KR101728117B1 -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117B1
KR101728117B1 KR1020150044473A KR20150044473A KR101728117B1 KR 101728117 B1 KR101728117 B1 KR 101728117B1 KR 1020150044473 A KR1020150044473 A KR 1020150044473A KR 20150044473 A KR20150044473 A KR 20150044473A KR 101728117 B1 KR101728117 B1 KR 10172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inding mechanism
pallet
shutt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577A (ko
Inventor
민경식
Original Assignee
민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식 filed Critical 민경식
Priority to KR102015004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117B1/ko
Priority to PCT/KR2016/003221 priority patent/WO2016159641A1/ko
Publication of KR2016011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컨테이너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기구가 노출되는 착탈공이 형성되고,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착탈공으로 자동 이동하여 결속기구를 컨테이너로부터 분리 또는 컨테이너와 장착시키는 어셈블리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System of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테이너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기구를 자동으로 착탈 및 관리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출입 등을 위한 화물 운송을 위해 철제 박스 형태로 제작된 컨테이너는 예컨대,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 선적되어 주로 해상 운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선박에 선적되었을 경우 트위스트록(Twistlock)이라 하는 결속기구에 의해 선박에 고정되거나 컨테이너끼리 상호 결속되어 서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다층 구조로 적층된다.
도 1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적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결속기구와 작동상태를 예시해 보인 것이다. 도 3은 결속기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결속기구는 트위스트록(Twistlock)일 수 있다. 컨테이너는 결속기구(10)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선박의 흔들림에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결속기구(10)는 컨테이너(100)의 네 모서리 부에 각각 구비된 기둥형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서, 기둥형 프레임(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결속기구(10)의 하부 결합콘(13b)과 상부 결합콘(13a)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결속기구는 블록형 몸체(11)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을 구비한다.
블록형 몸체(11)는 통상 볼트/너트나 스크류 등과 같은 결속기구(1)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양분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은 블록형 몸체(11)의 중앙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된 회전축(13)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 틀어진 자세를 가진다. 또한, 회전축(13)에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 레버(12)가 구비되며, 그 작동 레버(12)는 블록형 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11a)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결속기구(10)는, 작동 레버(1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부 결합콘 (13a)과 하부 결합콘(13b)이 연동 회전하여 그 자세가 변경된다. 이로써,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은 그 회전 위치의 자세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상부 결합콘(13a)이 상단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거나, 또는 하부 결합콘(13b)이 하단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어 체결된다.
컨테이너 적재시 결속기구(10)는 상부 결합콘(13a)이 상단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0)의 기둥형 프레임 (110)의 하부 결합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12)의 회전에 의해 그 자세가 일정 각도 틀어지도록 회전하게 되어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탈 방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이와 같은 장착상태에서 결합구(111)의 하부 결합콘(13b)은 하단에 위치한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에 삽입됨으로써, 상단과 하단의 컨테이너(100)를 상호 결속하게 된다. 반면에, 컨테이너 하역시에는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의 자세를 장착초기 자세로 복귀시키도록 작동 레버(12)를 회전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컨테이너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하역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 블록형 몸체(11')의 일측으로 돌출된 작동 레버(12')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a)(13'b)이 각각 선택적으로 상단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거나, 또는 하부 결합콘(13b)이 하단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어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작업시 결속기구를 컨테이너에 장착하거나 컨테이너로부터 해체하는 작업을 선적 및 하역 인부들의 노동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트레일러의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등 컨테이너의 선적과 하역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결속기구의 중량이 비교적 커, 작업중 부주의로 인해 인부들이 상해를 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260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컨테이너에 결속기구를 자동적으로 장착 및 해체시켜 주기 위한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둘째, 결속기구를 자동으로 회수 및 공급하여 작업 능률과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셋째, 결속기구 착탈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컨테이너를 상호 결속하는 결속기구가 노출되는 착탈공이 형성되고,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착탈공을 통해서 결속기구를 자동적으로 컨테이너로부터 해체하거나 또는 컨테이너에 장착시키는 어셈블리툴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비용 고효율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이 가능하다.
둘째, 결속기구를 자동으로 회수 및 공급하여 작업 능률과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셋째, 결속기구 착탈을 자동화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의 적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속기구와 그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결속기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에서 컨테이너를 처리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규격의 컨테이너를 적용한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결속기구를 컨테이너로부터 해체하여 지그플레이트로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결속기구를 지그플레이트로부터 팔레트로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스테이션으로 팔레트를 이송 및 회수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팔레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거유닛의 사시도 및 활용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와 베이스를 이송하는 베이스셔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에 팔레트를 공급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보급셔틀에서 베이스셔틀로 결속기구를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8은 베이스셔틀 내에서 결속기구의 이동을 표현한 것이다.
도 19는 갠트리크레인이 팔레트를 이송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210)에서 컨테이너(100)를 처리하는 모습을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21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규격의 컨테이너(100)를 적용한 베이스(240)의 평면도로, 도 7(a)는 20ft컨테이너(100) 두 개가 안착된 것이고, 도 7(b)는 40ft 컨테이너(103)가 안착된 것이며, 도 7(c)는 45ft 컨테이너(105)가 안착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결속기구를 컨테이너로부터 해체하여 지그플레이트로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도 8(a)는 어셈블리툴(243)이 결속기구(10)를 해체하는 것이고, 도 8(b)는 제1지그유닛(271)이 어셈블리툴(243)로부터 결속기구(10)를 회수하는 것이며, 도 8(c)는 제1지그유닛(271)이 결속기구(10)를 지그플레이트(273)에 전달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결속기구를 지그플레이트로 부터 팔레트로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도 9(a)는 지그플레이트(273)가 베이스(240)에서 팔레트(250)로 이동한 것이고, 도 9(b)는 제2지그유닛(272)이 결속기구(10)를 지그플레이트(273)로부터 회수하여 팔레트(250)에 보관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4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선박(30)에 선적하거나 하역하기 위해서 컨테이너(100)를 이동시키는 크레인(20); 및 크레인(20)에 의해 이동된 컨테이너(100)를 놓여지는 스테이션(210)을 포함하고, 스테이션(210)은, 컨테이너(100)가 놓여지며, 컨테이너(100)를 상호 결속하기 위한 결속기구(10)가 통과되는 착탈공(241)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240); 및 착탈공(241)을 통해서 결속기구(10)를 자동으로 컨테이너(100)로부터 해체 또는 컨테이너(100)에 장착시키는 어셈블리툴(243)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소에서 컨테이너(100)를 보관하는 보관소와 스테이션(210) 사이를 운행하며 컨테이너(100)를 이송하는 컨테이너셔틀(40) 및 별도의 장소에서 결속기구를 보관하는 보관소와 스테이션(210) 사이를 운행하며 결속기구(10)를 이송하는 결속기구셔틀(50)을 포함한다
크레인(20)은 정박하여 있는 선박(30)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선박(30)에 컨테이너(100)를 선적하거나, 선박(30)으로부터 컨테이너(100)을 하역하기 위한 것이다.
스테이션(210)은 컨테이너(100)가 임시로 놓여지는 곳으로, 컨테이너(100)에 대해서 결속기구(10)를 장착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이 행하여진다. 즉, 컨테이너(100)를 선박(30)에 선적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210)에서 결속기구(10)가 컨테이너(100)에 장착되며, 컨테이너(100)를 선박(30)으로부터 하역하는 경우에는 스테이션(210)에서 결속기구(10)가 해체된다.
스테이션(210)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테이너(100)가 놓여지는 베이스(240)와 결속기구(10)가 보관되는 팔레트(250)를 구비하고 있다.
컨테이너(100)가 놓여지는 베이스(240)는 컨테이너(100)의 모서리가 위치하는 부위에 착탈공(2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션(210)에는 컨테이너(100)에 대해서 결속기구(10)를 장착 또는 해체하기 위한 작업을 자동으로 행하기 위한 어셈블리툴(243)을 구비한다.
어셈블리툴(243)은 스테이션(210) 하부에 설치되며 착탈공(241)을 향해 승강운동 가능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어셈블리툴(243)의 상부에는 결속기구(10)가 놓여지며, 결속기구(10)를 회전시켜 컨테이너(100)에 대해서 결속기구(10)를 장착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어셈블리툴(243)은 결속기구(10)를 회전시켜 결속기구(10)를 컨테이너(100)에 장착한다. 이후 크레인(20)은 컨테이너(100)를 선박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선박에서 하적한 컨테이너(100)는 스테이션(210)으로 옮겨진다. 어셈블리툴(243)은 결속기구(10)를 회전시켜 결속기구(10)를 컨테이너(100)로부터 해체한다. 이후 컨테이너(100)는 스테이션(210)에서 컨테이너 보관소로 옮겨진다.
컨테이너 보관소는 야적장일 수 있다. 컨테이너셔틀(40)은 컨테이너(100) 보관소와 스테이션(210) 사이를 이동한다. 선박(30)에서 하역된 컨테이너(100)는 컨테이너(100) 보관소로 이동한다. 컨테이너셔틀(40)은 결속기구(10)를 제거한 컨테이너(100)를 컨테이너 보관소로 이동할 수 있다. 컨테이너셔틀(40)은 컨테이너(100)에 결속기구(10)를 체결하기 위해 컨테이너(100)를 스테이션(210)으로 이송한다. 결속기구 보관소는 스테이션(210)이 해체한 결속기구(10)를 보관하는 곳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210)에 구비되는 팔레트(250)와 베이스(240)는 서로 평행하고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팔레트(250)는 베이스(2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팔레트(25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팔레트(250)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210a)은 중심에 베이스(240)를 배치하고 베이스(240)의 좌우 측면에 팔레트(25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테이션(210b)은 중심에 팔레트(250)를 배치하고, 팔레트(250)의 좌우 측면에 베이스(240)를 배치할 수도 있다. 팔레트(250)는 복수의 팔레트(2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240)에 형성되는 착탈공(241)은 컨테이너(100)의 모서리 하측과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착탈공(241)은 16개의 제1 내지 제6 착탈공(241a 내지 241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240)에 놓여지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 크기에 따라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a)와 같이 20ft 크기의 컨테이너(101) 두 개를 베이스(240)에 배치할 경우 결속기구(10)는 제1, 3, 9, 11 및 6, 8, 14, 16 착탈공(241a, 241c, 241f, 241h, 241i, 241k, 241n, 241p)에 노출된다. 도 7(b)에서와 같이 40ft 크기의 컨테이너(103)를 베이스(240)에 배치할 경우 결속기구(10)는 제2, 7, 10, 15 착탈공(241b, 241g, 241j, 241o)에 노출된다. 또한, 도 7(c)에서와 같이 45ft 컨테이너(105)를 베이스(240)에 배치할 경우 결속기구(10)는 제1, 8, 9, 16 번 착탈공(241a, 241h, 241i, 241p)에 노출된다.
베이스(240)에는, 놓여지는 컨테이너(100)의 크기에 맞게 돌출위치가 변경되는 고정구(245)가 배치된다. 고정구(245)는 컨테이너(100)가 안착되는 지점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형성된다.
고정구(245)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은 베이스(240)의 내측을 향해 형성된다. 고정구(245)로 향하는 컨테이너(100)는 경사면에 의해 안착지점이 가이드되고, 컨테이너(100)의 모서리는 착탈공(241)으로 향한다. 따라서, 결속기구는 착탈공(241)에 노출된다.
고정구(245)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컨테이너(100)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해 배치된 길이대응고정구(246)를 포함한다.
고정구(245)는, 복수의 컨테이너(100) 사이에 돌출되어 복수의 컨테이너(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대응고정구(247)를 포함한다. 고정구(245)는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어 컨테이너(100)의 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된 측면대응고정구(248)을 포함한다. 측면대응고정구(248)는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컨테이너(100)의 모서리가 착탈공(241)과 대응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240)는 20ft 컨테이너(101) 또는 40ft 컨테이너(103) 또는 45ft 컨테이너(105)를 가이드하기 위해 고정구(245)를 돌출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규격에 따라 길이가 다르므로 복수의 고정구(245)는 컨테이너(100)의 길이에 따라 돌출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고정구(245)의 돌출위치 변경은 유압식 또는 공압식 엑츄에이터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고정구(245)의 작동 개수는 몇 개의 컨테이너(100)를 동시에 베이스(240)에 안착시킬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40ft 컨테이너(103)와 45ft 컨테이너(105)는 길이가 다르므로, 길이대응고정구(246)는 컨테이너(100)의 종류에 따라 신축한다. 20ft 컨테이너(101) 두 개가 배치될 경우 길이대응고정구(246)는 45ft 컨테이너(105)와 동일한 위치에서 돌출되고, 간격대응고정구(247)는 중앙에 5ft의 간격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240)에서 돌출된다.
어셈블리툴(243)은 제1~제16 착탈공(241a, 241b, 241c, 241d, 241e, 241f, 241g, 241h, 241i, 241j, 241k, 241l, 241m, 241n, 241o, 241p)의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셈블리툴(243)은 복수의 착탈공(241)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어셈블리툴(243)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2착탈공(241) 중 어느 하나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어셈블리툴(243)이 두 개의 착탈공(241)을 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어셈블리툴(243)에 결속기구(10)를 공급 및 어셈블리툴(243)로부터 결속기구(10)를 회수하도록 결속기구(10)를 자동으로 파지하고, 이동하는 제1지그유닛(271)을 포함한다.
제1지그유닛(271)은 결속기구(10)를 파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제1핑거(271a);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빔(271b); 및 제1가이드빔(271b)에 고정되고,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며, 제1핑거(271a)와 연결된 제1연결부(271c)를 포함한다.
제1핑거(271a)는 결속기구(10)를 파지하여 결속기구(10)를 상하 이동시킨다. 제1핑거(271a)는 어셈블리툴(243)과 지그플레이트(273) 사이에서 이동한다. 다만, 어셈블리툴(243)과 지그플레이트(273)는 높이 차가 형성될 수 있고, 결속기구(10)는 소정 높이를 갖고 어셈블리툴(243)과 지그플레이트(273)에 삽입되므로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제1핑거(271a)는 상승, 수평이동, 하강의 순서로 이동한다.
제1핑거(271a)는 제1가이드빔(271b)을 따라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핑거(271a)는 후술한 순환컨베이어(280)에 결속기구(10)를 안착시키거나, 순환컨베이어(280)로부터 결속기구(10)를 회수하여 어셈블리툴(243)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1지그유닛(271)은, 순환컨베이어(280)와 어셈블리툴(243) 사이에서 결속기구(10)를 전달한다.
제1가이드빔(271b)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1핑거(271a)를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연결부(271c)는 제1가이드빔(271b)에 고정되어 이동하고 제1핑거(271a)부를 지지한다. 제1지그유닛(271)은, 지그플레이트(273)와 어셈블리툴(243) 사이에서 결속기구(10)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팔레트(250)의 단 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결속기구(10)를 수용하는 지그플레이트(273); 및 팔레트(2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팔레트(250)와 지그플레이트(273) 사이에서 결속기구(10)를 전달하는 제2지그유닛(2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그유닛(272)은, 결속기구(10)를 파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제2핑거(272a);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가이드빔(272b); 및 제2가이드빔(272b)에 고정되고,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며, 제2핑거(272a)와 연결된 제2연결부(272c)를 포함한다. 제2핑거(272a)는 결속기구(10)를 파지하여 결속기구(10)를 상하 이동시킨다. 제2핑거(272a)는 지그플레이트(273)로와 팔레트(250) 사이에서 이동한다. 다만, 팔레트(250)와 지그플레이트(273)는 높이 차가 형성될 수 있고, 결속기구(10)는 소정 높이를 갖고 팔레트(250)와 지그플레이트(273)에 삽입되므로 간섭을 줄이기 위해 제2핑거(272a)는 상승, 수평이동, 하강의 순서로 이동한다. 제2핑거(272a)는 후술할 제2가이드빔(272b)을 따라 팔레트(25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가이드빔(272b)은 팔레트(2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제2핑거(272a)를 팔레트(2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핑거(271a)와 제2핑거(272a) 및 제1연결부(271c)와 제2연결부(272c)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핑거(271a)는 제1가이드빔(271b)의 양단으로 이동하여 어셈블리툴(243)에 결속기구(10)를 공급 또는 회수한다. 또한, 복수의 제1핑거(271a)는 제1가이드빔(271b)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지그플레이트(273)에 결속기구(10)를 전달 또는 공급받는다.
다른 예로, 복수의 제2핑거(272a)는 제2가이드빔(272b)의 중앙으로 이동하여 지그플레이트(273)에 결속기구(10)를 전달 또는 회수한다. 제2핑거(272a)는 제2가이드빔(272b)에 의해 팔레트(25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팔레트(250)에 결속기구(10)를 전달 또는 회수한다.
지그플레이트(273)는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복수의 결속기구(10)를 운반한다. 지그플레이트(273)는 제1지그유닛(271)과 제2지그유닛(272)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1지그유닛(271)은 어셈블리툴(243)과 지그플레이트(273) 사이를 이동하며 결속기구(10)를 이송한다. 제2지그유닛(272)은 팔레트(250)와 지그플레이트(273)를 이동하면 결속기구(10)를 이송한다. 베이스(240)와 팔레트(250)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지그플레이트(273)는 베이스(240)와 팔레트(250)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며 결속기구(10)를 전달할 수 있다.
지그플레이트(273)는 레일(275)을 타고 이동한다. 레일(275)은 컨테이너(100)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일(275)은 컨테이너(100)의 전방과 팔레트(250)의 전방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베이스(240) 하부에 순환주행 가능하게 배치되고, 결속기구(10)를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순환컨베이어(280)를 포함한다. 순환컨베이어(280)는 타원형을 형성하며 베이스(240) 하부에서 순환 주행한다. 제1지그유닛(271)은 베이스(240) 하부에서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해당 착탈공(241)과 근접한 결속기구(10)를 순환컨베이어(280)로부터 들어올려 어셈블리툴(243)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40ft 컨테이너(103)를 베이스(240)에 배치한 경우, 제1지그유닛(271)은 제2, 7, 10, 15착탈공(241) 근방에 위치하는 결속기구(10)를 순환컨베이어(280)로부터 회수하여 제2, 7, 10, 15어셈블리툴(243)에 전달한다. 또한, 순환컨베이어(280)는 제1지그유닛(271)의 이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접 해당 착탈공(241) 근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순환컨베이어(280)는 제1핑거(271a) 근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핑거(271a)는 순환컨베이어(280)로부터 결속기구(10)를 공급받아 어셈블리툴(24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핑거(271a)는 어셈블리툴(243)로부터 회수한 결속기구(10)를 순환컨베이어(280)에 옮겨둘 수 있다. 즉, 순환컨베이어(280)가 해당 착탈공(241) 근처를 항상 순환하고 있으므로 결속기구(10)의 회수 및 공급 시간이 감소한다. 따라서, 컨테이너(100)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순환컨베이어(280)와 팔레트(250)와 지그플레이트(273)는 결속기구(10)를 수용하는 삽입공(252)를 형성한다. 삽입공(252)은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결속기구(10)를 동시에 수용한다. 삽입공(252)은 결속기구(10)가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여 제1핑거(271a) 및 제2핑거(272a)가 결속기구(10)를 정확히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테이션(210)의 자동화를 원활하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스테이션(210)에서 처리한 컨테이너(100)를 이송 또는 스테이션(210)으로 컨테이너(100)를 공급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에 따라 스테이션(210)으로 팔레트를 이송 및 회수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9내지 도 11 및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선박(30)과 스테이션(210) 사이에서 컨테이너(100)를 이송하는 메인트롤리(21); 및 스테이션(210)에 안착된 컨테이너(100) 및 팔레트(250)를 이송하는 서브트롤리(23)을 포함하는 크레인(20)을 포함한다.
크레인(20)은, 메인트롤리(21)를 지지하는 메인지브(22); 서브트롤리(23)를 지지하는 서브지브(24); 메인지브(22)와 서브지브(24)를 지지하도록 세워진 마스트(25)를 포함하고, 스테이션(210)은, 마스트(25)에 연결 지지될 수 있다. 크레인(20)은 메인트롤리(21)와 서브트롤리(23)를 포함한다. 메인트롤리(21)는 결속기구(10)를 포함하는 컨테이너(100)를 이송한다. 서브트롤리(23)는 결속기구(10)가 없는 컨테이너(100)를 이송한다. 서브트롤리(23)는 팔레트(250)를 이송한다. 메인지브(22)와 서브지브(24)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메인지브(22)와 서브지브(24)는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브지브(24)의 높이는 메인지브(22)의 높이보다 낮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마스트(25)는 서브지브(24)와 메인지브(22)에 동시 연결될 수 있다. 즉, 하측에서는 서브지브(24)와 연결되고 상측에서는 메인지브(22)와 연결된다. 스테이션(210)은 서브지브(24)의 하측에서 마스트(25)에 연결된다. 마스트(25)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고 스테이션(210)은 복수의 마스트(25)에 의해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마스트(25) 및 스테이션(2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되어 컨테이너셔틀(40)과 결속기구셔틀(50)이 이동하는 왕복트랙이 형성될 수 있다. 왕복트랙은, 복수의 차선으로 형성되고, 마스트(25) 및 스테이션(21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왕복트랙은 컨테이너(10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차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차선은 마스트(25)와 스테이션(210)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일측 차선은 컨테이너셔틀(40)이 타측 차선은 결속기구셔틀(50)이 운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측 차선은 후술할 공급셔틀(320)이 타측 차선은 후술할 회수셔틀(330)이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의한 팔레트(250)의 사시도이다. 팔레트(250)는, 결속기구(10)가 삽입되는 삽입공(252)이 복수로 형성된 보관플레이트(251)를 포함한다. 보관플레이트(251)는, 어셈블리툴(243)이 결속기구(10)를 컨테이너(100)에 장착시 스테이션(210)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공(252)은 결속기구(10)가 빠지지 않을 정도의 직경을 갖고, 그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삽입공(252)은 보관플레이트(251)에 형성된다. 보관플레이트(251)는 복수의 삽입공(252)을 형성한다. 삽입공(252)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공(252)은 종 방향 및 횡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기구(10)는 컨테이너(100)를 선박(30)에 선적하거나, 복수의 컨테이너(100)를 적층할 경우 컨테이너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어셈블리툴(243)에 결속기구(10)를 공급해야 한다. 제2핑거(272a)는 종 방향 횡 방향으로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하여 결속기구(10)를 파지한 후 지그플레이트(273)에 전달할 수 있다. 팔레트(250)는, 컨테이너(100)로부터 회수한 결속기구(10)를 수용하는 보관탱크(253); 및 보관탱크(253)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55)를 포함한다. 보관탱크(253) 및 지지플레이트(255)는 어셈블리툴(243)이 결속기구(10)를 컨테이너(100)로부터 탈거시 스테이션(2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탱크(253)는 박스형상일 수 있고, 복수개의 결속기구(10)를 수용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지지플레이트(255)는 복수의 보관탱크(253)를 지지할 수 있으며, 지게차 등이 지지플레이트(255)를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홈(256)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0)를 하역하는 경우 결속기구(10)는 컨테이너(100)와 해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체된 결속기구(10)는 모아져 컨테이너(100)를 하역한 선박(30)에 돌려주거나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결속기구(10)를 보관하는 공간을 최적화 하기 위해 보관탱크(253)를 이용할 수 있다. 팔레트(250)는, 결속기구(10)가 삽입되는 삽입공(252)이 복수로 형성된 보관플레이트(251); 컨테이너(100)로부터 회수한 결속기구(10)를 수용하고, 보관플레이트(251) 하측에 배치된 보관탱크(253); 및 보관탱크(253)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255)를 포함한다. 팔레트(250)는 보관플레이트(251)와 보관탱크(253)와 지지플레이트(25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팔레트(250)는 컨테이너(100)의 선적과 하역에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보관플레이트(251)는 어셈블리툴(243)에 공급할 결속기구(10)를 보관한다. 보관탱크(253)는 어셈블리툴(243)이 해체한 결속기구(10)를 보관한다.
보관탱크(253)는 상측이 개방되고, 보관플레이트(251)는, 보관탱크(253)의 상측과 연통하는 개구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핑거(272a)는 보관탱크(253)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결속기구(10)를 내려놓는다. 결속기구(10)는 개구부(254)를 통해 보관탱크(253)로 이동한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수거유닛(260)의 사시도이고, 도 13(b)는 그 활용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팔레트(250)를 피봇운동 가능하게 고정하고, 팔레트(250)에서 낙하한 결속기구(10)를 채집하도록 직경이 감소하는 수집구(261)가 형성된 수거유닛(260)을 포함한다. 수거유닛(260)은 팔레트(250)를 수용하고 팔레트(250)를 회전시킨다. 팔레트(250)가 기울어지면 결속기구(10)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고 수집구(261)로 향한다. 수집구(261)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대기 형상일 수 있다. 수집구(261)는 결속기구(10)를 일방향으로 모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테이션(210)은 크레인(20)에 고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테이션은 이동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에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제2실시 예
도 1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240) 및 베이스셔틀(310)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베이스(240)에 팔레트(250)를 공급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210)은, 베이스(240) 하측에 팔레트(250)를 교체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스테이션(210)은 베이스(240) 하측에 배치되고, 팔레트(250)를 인이 또는 배출하도록 구동하는 이송컨베이어(340)를 포함한다.
베이스(240)와 팔레트(250)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지그유닛(272)은 팔레트(250)에 수용된 결속기구(10)를 베이스(24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지그유닛(271)은 어셈블리툴(243)로부터 회수한 결속기구(10)를 팔레트(250)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킨다. 베이스(240)와 팔레트(250)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므로 일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레일(275)을 삭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스테이션(210)도 베이스(240)와 팔레트(250)가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크레인(20)에 고정될 수 있고, 이 경우 베이스(240)의 하측에 이송컨베이어(340)를 배치하여 팔레트(250)를 자동 교체하도록 스테이션(21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베이스(240) 및 제1지그유닛(271)을 이송하는 베이스셔틀(310)을 포함한다. 베이스셔틀(310)은 자체 구동력을 가진 장치로 베이스(240)와 제1지그유닛(271)을 운송한다. 제1지그유닛(271)은 베이스셔틀(310)에 배치되고 베이스셔틀(310) 내부로 삽입된 팔레트(250)에서 결속기구(10)를 집어 어셈블리툴(243)에 전달할 수 있다. 결속기구셔틀(50)은, 결속기구(10)가 장착된 팔레트(250)를 이송하는 공급셔틀(320); 및 결속기구(10)를 소모한 팔레트(250)를 이송하는 회수셔틀(330)을 포함한다. 결속기구셔틀(50)은 공급셔틀(320)과 회수셔틀(330)로 분리 운행할 수 있다. 스테이션(210)이 일정 위치에 정차하여 컨테이너(100)에 결속기구(10)를 장착시킬 경우, 결속기구(10)가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따라서 공급셔틀(320)은 결속기구(10)를 스테이션(210)에 계속 공급하고, 스테이션(210)에서 배출되는 빈 팔레트(250)는 회수셔틀(330)이 운송한다.
베이스셔틀(310), 공급셔틀(320) 및 회수셔틀(330)은 차량일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자체 주행능력이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에서 컨테이너(100)와 결속기구(10)의 해체 및/또는 장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선박(30) 또는 야적장으로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급셔틀(320)과 회수셔틀(330)과 베이스셔틀(310)은, 팔레트(250)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셔틀(310)은 공급셔틀(320)과 회수셔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340)는 공급셔틀(320)과 회수셔틀(330)과 베이스셔틀(310)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공급셔틀(320), 베이스셔틀(310) 및 회수셔틀(330) 순으로 일직선으로 배치한 후, 이송컨베이어(340)가 구동하면 결속부재로 가득 찬 팔레트(250)는 베이스셔틀(310)로 이동하고, 베이스셔틀(310)에서 배출하는 빈 팔레트(250)는 회수셔틀(330)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제3실시 예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보급셔틀(440)에서 베이스셔틀(410)로 결속기구(10)를 옮기는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도 17(a)는 제2지그유닛(272)이 팔레트(250)에서 결속기구(10)를 취득하는 것이고, 도 17(b)는 제2지그유닛(272)이 결속기구(10)를 베이스(240)에 위치한 지그플레이트(273)에 전달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16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제2지그유닛(272)을 이송하고 팔레트(250)를 수용하는 보급셔틀(440)을 포함한다. 보급셔틀(440)은 베이스셔틀(410)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베이스(240) 및 어셈블리툴(243)을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베이스셔틀(410); 복수의 결속기구(10)가 장착된 팔레트(250)를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공급셔틀(420); 결속기구(10)를 소모한 팔레트(250)를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회수셔틀(430); 및 공급셔틀(420)로부터 팔레트(250)를 공급받아 베이스셔틀(410)에 결속기구(10)를 공급하고 이동 가능한 보급셔틀(4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실시 예는 회수셔틀(430), 공급셔틀(420), 보급셔틀(440), 베이스셔틀(41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8은 베이스셔틀(410)내에서 결속기구(10)의 이동을 표현한 것으로, 도 18(a)는 제1지그유닛(271)이 순환컨베이이어(280)에서 결속기구(10)를 취득하는 것이고, 도 18(b)는 제1지그유닛(271)이 어셈블리툴(243)에 결속기구(10)를 전달하는 것이고, 도 18(c)는 어셈블리툴(243)이 컨테이너(100)에 결속기구(10)를 장착하고, 제1지그유닛(271)은 지그플레이트(273)로 이동한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베이스셔틀(410)은 제1지그유닛(271)과 순환컨베이어(28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셔틀(420)은 보급셔틀(440)에 결속기구(10)가 가득 찬 팔레트(250)를 공급한다. 보급셔틀(440)은 제2지그유닛(272)을 통하여 베이스셔틀(410)에 결속기구(10)를 공급한다. 회수셔틀(430)은 보급셔틀(440)에서 발생한 빈 팔레트(250)를 회수한다. 회수셔틀(430)과 공급셔틀(420)은 복수의 팔레트(250)를 이송할 수 있어 장기간 이동하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19는 갠트리크레인(450)이 팔레트(250)를 이송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도 19(a)는 갠트리크레인(450)이 보급셔틀(440)로부터 빈 팔레트(250)를 들어 올리는 것이고, 도 19(b)는 갠트리크레인(450)이 빈 팔레트(250)를 회수셔틀(430)에 적층하는 것이고, 도 19(c)는 갠트리크레인(450)이 공급셔틀(420)로부터 결속기구(10)가 충전된 팔레트(250)를 들어올리는 것이고, 도 19(d)는 갠트리크레인(450)이 팔레트(250)를 보급셔틀(440)로 전달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컨테이너(100) 선적 및 하역 시스템은 공급셔틀(420)로부터 보급셔틀(440)로 팔레트(250)를 이송하고, 보급셔틀(440)로부터 회수셔틀(430)로 팔레트(250)를 이송하는 갠트리크레인(450)을 포함한다. 보급셔틀(440)과 공급셔틀(420)과 회수셔틀(430)은 일렬로 배치되고, 갠트리크레인(450)은, 보급셔틀(440)과 공급셔틀(420)과 회수셔틀(430) 사이를 이동한다. 갠트리크레인(450)은 이동 가능한 크레인(20)이다. 갠트리크레인(450)은 일렬로 배치된 보급셔틀(440)과 공급셔틀(420)과 회수셔틀(430) 사이를 오가며 팔레트(250)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갠트리크레인(450)은 보급셔틀(440)에서 빈 팔레트(250)가 발생하면 빈 팔레트(250)를 들어올린다. 그 후 후진하여 회수셔틀(430)에 빈 팔레트를 내려놓는다. 그 후 전진하여 공급셔틀(420)에서 팔레트(250)를 들어올린다. 그 후 전진하여 보급셔틀(440)에 팔레트를 내려놓는다. 상기와 같이 갠트리크레인(450)이 팔레트(250)를 자동으로 공급 및 회수하므로 결속기구(10)의 장착 및 해체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결속기구 20: 크레인
30: 선박 40: 컨테이너셔틀
50: 결속기구셔틀 21: 메인트롤리
22: 메인지브 23: 서브트롤리
24: 서브지브 25: 마스트
100: 컨테이너 101: 20ft 컨테이너
103: 40ft 컨테이너 105: 45ft 컨테이너
111: 결합구 210: 스테이션
240: 베이스 241: 착탈공
243: 어셈블리툴 245: 고정구
246: 길이대응고정구 247: 간격대응고정구
248; 측면대응고정구 250: 팔레트
251: 보관플레이트 252: 삽입공
253: 보관탱크 254: 개구부
255: 지지플레이트 256: 홈
260: 수거유닛 261: 수집구
271: 제1지그유닛 271a: 제1핑거
271b: 제1가이드빔 271c: 제1연결부
272: 제2지그유닛 272a: 제2핑거
272b: 제2가이드빔 272c: 제2연결부
273: 지그플레이트 275: 레일
280: 순환컨베이어 301: 베이스
310: 베이스셔틀 320: 공급셔틀
330: 회수셔틀 340: 이송컨베이어
410: 베이스셔틀 420: 공급셔틀
430: 회수셔틀 440: 보급셔틀
450: 갠트리크레인

Claims (18)

  1. 컨테이너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컨테이너를 결속하는 결속기구가 노출되는 착탈공이 형성되고 컨테이너가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착탈공을 통해 결속기구를 자동으로 컨테이너로부터 분리 또는 컨테이너와 장착시키는 어셈블리툴로 구성되고, 상기 크레인에 의해 이동된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스테이션;
    상기 어셈블리툴에 결속기구를 공급 및 상기 어셈블리툴로부터 결속기구를 회수하도록 결속기구를 자동으로 파지하고, 이동하는 제1지그유닛;
    결속기구를 보관하는 팔레트;
    상기 팔레트의 단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를 향해 이동하며 복수의 결속기구를 수용하는 지그플레이트;
    상기 팔레트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팔레트와 상기 지그플레이트 사이에서 결속기구를 전달하는 제2지그유닛;
    컨테이너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팔레트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지그플레이트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선박과 상기 스테이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메인트롤리;
    상기 스테이션에 안착된 컨테이너 및 상기 팔레트를 이송하는 서브트롤리;
    상기 메인트롤리를 지지하는 메인지브;
    상기 서브트롤리를 지지하고 상기 메인지브보다 높이가 낮은 서브지브; 및
    상기 메인지브와 상기 서브지브를 지지하도록 세워진 복수의 마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복수의 마스트에 연결되어 공중에 고정되며,
    상기 서브트롤리는,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팔레트를 상기 공중에 매달린 스테이션으로부터 지상으로 이송 가능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공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어셈블리툴은,
    상기 복수의 착탈공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툴은,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 및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이동 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툴은,
    컨테이너에 삽입된 체결기구에 회전력을 가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부에 순환주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결속기구를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순환컨베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지그유닛은,
    상기 순환컨베이어와 상기 어셈블리툴 사이에서 상기 결속기구를 전달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유닛은,
    결속기구를 파지하고 상하방향으로 수직 이동하는 제1핑거;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가이드빔; 및
    상기 제1가이드빔에 고정되고, 컨테이너의 폭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제1핑거와 연결된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지지하는 컨테이너의 규격에 맞게 돌출위치가 변경되고, 결속기구가 상기 착탈공에 위치하도록 컨테이너와 마주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컨테이너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컨테이너의 전면 및 후면을 향해 배치된 길이대응고정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복수의 컨테이너 사이에 돌출되어 복수의 컨테이너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대응고정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결속기구가 장착된 팔레트를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공급셔틀; 및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어셈블리툴을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베이스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셔틀 및 상기 베이스셔틀은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며,
    상기 공급셔틀 및 상기 베이스셔틀은,
    상기 팔레트를 인입 및 배출 가능하도록 구동되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셔틀 및 상기 베이스셔틀은,
    상기 공급셔틀에 수용된 팔레트가 상기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베이스셔틀로 이동하도록 일렬로 연결가능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셔틀로부터 팔레트를 공급받아 상기 베이스셔틀에 결속기구를 공급하고 이동 가능한 보급셔틀;
    결속기구를 소모한 팔레트를 탑재하고 이동 가능한 회수셔틀; 및
    직선이동하며 상기 팔레트를 이송하는 갠트리크레인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KR1020150044473A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KR10172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3A KR101728117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PCT/KR2016/003221 WO2016159641A1 (ko) 2015-03-30 2016-03-29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473A KR101728117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77A KR20160116577A (ko) 2016-10-10
KR101728117B1 true KR101728117B1 (ko) 2017-04-19

Family

ID=5700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473A KR101728117B1 (ko) 2015-03-30 2015-03-30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8117B1 (ko)
WO (1) WO20161596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50B1 (ko) 2020-08-21 2022-01-18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컨테이너 크레인 레그 연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870A1 (en) 2001-12-11 2003-06-12 Paceco Corp.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JP2005538012A (ja) 2002-09-12 2005-12-15 ゴットヴァルト ポート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コンテナ船からコンテナを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トランスファプラント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214B1 (ko) * 2001-06-08 2003-09-26 김경한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DE10301197A1 (de) * 2003-01-15 2004-08-19 Noell Crane Systems Gmbh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Aus- und Einbau von Twistlocks
KR101429092B1 (ko) 2012-11-13 2014-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6870A1 (en) 2001-12-11 2003-06-12 Paceco Corp.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JP2005538012A (ja) 2002-09-12 2005-12-15 ゴットヴァルト ポート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コンテナ船からコンテナを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トランスファプラントおよび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850B1 (ko) 2020-08-21 2022-01-18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컨테이너 크레인 레그 연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하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577A (ko) 2016-10-10
WO2016159641A1 (ko) 2016-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7316A (en) Rapid, compact, high density storage of cargo containers
ES2763834T3 (es)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para contenedores apilables
US7779604B2 (en) Device for inserting twist lock container safety fittings
CN111038902B (zh) 入库运货方法、出库运货方法和agv运货装置
KR101222365B1 (ko) 매니퓰레이션 디바이스, 트위스트-록 처리 조립체, 트위스트-록의 고정 또는 분리 장치, 및 트위스트-록 저장 시스템
CN102428013A (zh) 一种用于安装和/或卸除集装箱的装置及其方法
JP2021185112A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KR20170137711A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CN108367862A (zh) 自动货仓系统和用于在所述货仓系统中存放挂装货物的方法
KR20160110951A (ko) 고층 입체 창고에서 컨테이너의 입고 및 출고 또는 이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010113831A (ko) 개별 탁송 화물용, 특히 iso 컨테이너용 로딩/언로딩장치
US20140367220A1 (en) Cargo container comprising a storage rack module and a transport module
KR20170110096A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JP2006516014A (ja) ツイストロックを自動的に取り付け取り外しするための装置
KR101728117B1 (ko)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JPS5982201A (ja) 物品の取扱設備
WO2024011913A1 (zh) 一种货物存取系统
KR101748853B1 (ko) 반도체 검사 및 분류시스템
CN211308996U (zh) 无人机自动装卸货设备
CN217893262U (zh) 自动装卸货系统及机库
CN213863862U (zh) 对接无人机配送货物的立体仓库、系统、无人机及其货舱
CN115432340A (zh) 立体分拣站、分拣方法及分拣出库方法
KR100215523B1 (ko)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CN111509153B (zh) 电池、包裹箱、无人机、转运中心及自动存取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