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214B1 -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214B1
KR100399214B1 KR10-2001-0031863A KR20010031863A KR100399214B1 KR 100399214 B1 KR100399214 B1 KR 100399214B1 KR 20010031863 A KR20010031863 A KR 20010031863A KR 100399214 B1 KR100399214 B1 KR 10039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echanism
container
lever
uni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4252A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김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한 filed Critical 김경한
Priority to KR10-2001-0031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214B1/ko
Publication of KR20020094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1IS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26Corner fittings characterised by shape, configuration or number of op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결합구에 결속기구를 자동적으로 착탈시켜 저비용 고효율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과, 컨테이너 결합구에 결속기구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결속기구 착탈유니트와, 그 결속기구 착탈유니트에 결속기구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로딩/언로딩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Description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Apparatus for engaging and disengaging a securing device for cargo container}
본 발명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시 컨테이너 결속기구를 자동적으로 결합 및 해체시켜 주기 위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출입 등을 위한 화물 운송을 위해 철제 박스 형태로 제작된 컨테이너는 예컨대, 컨테이너 운반선과 같은 대형 선박에 선적되어 주로 해상 운송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선적 또는 야적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트위스트록(Twistlock)이라고 하는 결속기구(10)에 의해 상호 결속되도록 다층 구조로 적재된다.
상기 결속기구(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네모서리부에 각각 구비된 모서리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 프레임(1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상기 결속기구(10)의 하부 결합콘(13b)과 상부 결합콘(13a)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결속기구(10)의 일예와 그 작동상태를 예시해 보인 것으로서, 통상 블록형 몸체(11)의 상방과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을 구비한다.
상기 블록형 몸체(11)는 통상 볼트/너트나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1)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양분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은 상기 블록형 몸체(11)의 중앙부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결합된 회전축(13)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각도 틀어진 자세를 가진다. 또한, 상기 회전축(13)의 일측에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 레버(12)가 구비되며, 그 작동 레버(12)는 상기 블록형 몸체(11)의 일측에 형성된 장공(11a)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결속기구(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 레버(12)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이 연동 회전하여 그 자세가 변경된다. 이로써, 상기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은 그 회전 위치의 자세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결합콘(13a)이 상단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결합콘(13b)이 하단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어 체결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이너 적재시 상기 결속기구(10)는 상부 결합콘(13a)이 상단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0)의 모서리 프레임(110)의 하부 결합구(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 레버(12)의 회전에 의해 그 자세가 일정 각도 틀어지도록 회전하게 되어 상기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탈 방지된 상태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체결상태에서 상기 결합구(111)의 하부 결합콘(13b)은 하단에 위치한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에 삽입됨으로써, 상단과 하단의 컨테이너(100)를 상호 결속하게 된다. 반면에, 컨테이너 하역시에는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의 자세를 결합초기 자세로 복귀시키도록 작동 레버(12)를 회전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컨테이너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하역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2d는 다른 유형의 결속기구(10')를 예시해 보인 것으로서, 비록 그 내부 구조는 도시해 보이지 않았으나, 블록형 몸체(11')의 일측으로 돌출된 작동 레버(12')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a)(13'b)이 각각 선택적으로 상단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거나, 또는 상기 하부 결합콘(13b)이 하단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게 되어 체결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작업이 선적 및 하역 인부들의 노동력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컨테이너를 이송하는 트레일러의 대기시간이 늘어나는 등 컨테이너의 선적과 하역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고비용 저효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작업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 고효율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이 가능하도록 컨테이너에 결속기구를 자동적으로 결합 및 해체시켜 주기 위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적재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컨테이너 결속기구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분리사시도와 결합사시도 및 작동상태도,
도 2d는 컨테이너 결속기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컨테이너 결속기구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일부절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전체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테이너 이송수단의 일예에 대한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결속기구 100...컨테이너
110...모서리 프레임 111...결합구
200...베이스 프레임 210...체인컨베이어
220...구동부 221...체인
300...결속기구 착탈유니트 310...지지프레임
330...액튜에이터 350...가이드블록
351...결속기구 검출센서 370...레버작동판
371...레버 위치 검출센서 400...로딩/언로딩 유니트
410...핑거 500...결속기구 이송유니트
510...컨베이어 530...엘리베이터
550...X-Y로봇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는, 상하단으로 적재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의 상호 결속을 위한 결속기구를 상기 컨테이너의 모서리 프레임에 구비된 결합구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구가 하방 노출되도록 상기 컨테이너를 탑재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결합구에 상기 결속기구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결속기구 착탈유니트와;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에 상기 결속기구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로딩/언로딩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는, 상기 컨테이너 결합구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결속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블록과; 상기 결속기구에 구비된 레버를 간섭하여 회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의 주위에 설치되는 레버작동판과; 상기 레버작동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승강운동과 상기 레버작동판의 구동에 따라 상기 결속기구를 상기 컨테이너의결합구에 착탈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결속기구의 탑재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결속기구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구에 상기 결속기구를 삽입/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작동판은 상기 결속기구의 레버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레버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 위치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결속기구의 레버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구에 상기 결속기구를 착탈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는, 상기 결속기구를 파지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에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핑거와, 상기 핑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컨테이너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결합장치에 따르면, 상기 결속기구를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의 주위에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결속기구 이송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기구 이송유니트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주위에 타원 트랙상으로 순환 주행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상으로 상기 결속기구가 탑재되는 지그플레이트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이송유니트와, 상기 지그플레이트를 상기 컨베이어에 대해 업다운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와, 팔레트에 적재된 결속기구를 상기 엘리베이터상의 지그플레이트에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X-Y로봇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는, 컨테이너(100)의 모서리 프레임(110)에 구비된 결합구(도 1의 도면부호 111 참조)가 하방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0)를 탑재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에 결속기구(10)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와, 상기 결속기구(10)를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에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로딩/언로딩유니트(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상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체인컨베이어(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도면의 참조부호 220은 상기 체인컨베이어(210)를 회전 구동시켜 주기 위한 구동부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체인컨베이(210)에 대한 일실시예를 예시해 보인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210)에 의해 순환 구동되도록 나란하게 설치된 1쌍의 체인(221)의 양단에 복수의 플레이트(210')를 연결 설치하여 순환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모서리 프레임(110)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330)와, 상기 액튜에이터(330)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결속기구(1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블록(350)과, 상기 결속기구(10)에 구비된 작동 레버(12)를 간섭하여 작동시키도록 상기 가이드블록(350)의 일측에 구비되는 레버작동판(370) 및 그 레버작동판(38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380)는 상기 레버작동판(370)을 전후좌우 및 승강운동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통상적인 XY테이블이나 직교좌표 로봇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블록(350)은 상기 결속기구(10)의 탑재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결속기구 검출센서(351)를 구비하며, 상기 검출센서(351)의 검출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여 컨테이너 선적시에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에 상기 결속기구(10)를 삽입시키게 되고, 컨테이너 하역시에는 이탈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속기구 검출센서(351)는 예컨대, 포토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검출센서 또는 압전소자와 같은 접촉식 검출센서 등의 특정 센서 사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다양한 형태의 물체검출수단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레버작동판(370)은 시퀀스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블록(350)의 승강운동과 연계하여 전후좌우 및 승강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결속기구(10)의 레버(12)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레버 위치 검출센서(371)를 구비하며, 그 레버위치 검출센서(37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12)의 위치에 따라 그 선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요홈 주위에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작동판(370)은 상기 레버 위치 검출센서(371)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결속기구(10)의 레버(12)를 선택적으로 회전시켜 그 위치를 변경시켜 줌으로써,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및 하부 결합콘(13a)(13b)의 자세를 변화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레버작동판(370)은 컨테이너 선적시에는 상기 결속기구(10)의 레버(12)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서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이 이탈 방지되도록 체결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하역시에는 상기 레버(12)를 원위치로 회전시켜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의 내측에서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이 이탈 가능한 상태의 자세를 가지도록 해준다.
상기 레버 검출수단(371)은 예컨대, 예컨대, 포토센서와 같은 비접촉식 검출센서 또는 압전소자와 같은 접촉식 검출센서 등의 특정 센서 사용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물체검출수단의 이용이 가능하다.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400)는 상기 결속기구(10)를 파지하여 상기 가이드블록(350)에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핑거(410)와, 그 핑거(4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핑거 구동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 구동부(430)는 예컨대, 통상적인 부품 이송장치에서와 같이 상기 핑거(410)가 상기 결속기구(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핑거(410)를 상기 가이드블럭(350)상으로 이송시키기 액튜에이터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핑거 구동부(430)가 XY로봇과 같은 이송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결속기구(10)를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400)의 주위에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결속기구 이송유니트(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속기구 이송유니트(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주위에 타원 트랙상으로 순환 주행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510)와, 상기 컨베이어(510)상으로 상기 결속기구(10)가 탑재되는 지그플레이트(20)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하여 업다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530)와, 적치대(40)의 팔레트(30)에 적재된 결속기구(10)를 상기 엘리베이터(530)상의 지그플레이트(20)에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X-Y로봇(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엘리베이터(530)와 상기 X-Y로봇(550)은 시퀀스 제어에 의해 상호 연계적으로 구동되며, 상기 엘리베이터(530)는 상기 지그플레이트(20)를 상기 컨베이어(510)상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이송유니트(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팔레트(30)는 예컨대 이동 가능한 대차형 적치대(40) 또는 컨베이어 등에 의해 상기 X-Y로봇(550)의 주위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그플레이트(20)는 컨베이어 등의 통상적인 이송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530)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에 따르면, 컨테이너 선적시 예를 들어 컨테이너(100)가 트레일러 등에 탑재되어 항만의 선적장소에 도착하게 되는 경우 크레인과 같은 통상의 선적장치가 컨테이너(100)를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이송롤러(210)상에 탑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테이너(100)의 이송과정중에 있어서, 상기 X-Y로봇(550)은 상기 팔레트(30)에 적재된 결속기구(10)를 상기 엘리베이터(530)에 공급되어 있는 지그플레이트(20)상에 이송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엘리베이터(530)는 상기 결속기구(10)가 탑재된 지그플레이트(20)를 상승시켜 상기 타원 트랙상 컨베이어(510)의 일측에 위치정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 정렬된 지그플레이트(20)는 상기 X-Y로봇(550)에 의해 컨베이어(510)상으로 이송되어 순환하게 된다.
상기 컨베이어(510)에 의해 순환하는 지그플레이트(20)상의 결속기구(10)는 상기 컨테이너(100)의 모서리 프레임(110)에 구비된 결합구(111)의 하방에 각각 위치결정된다. 상기 컨베이어(510)에는 상기 지그플레이트(20)를 위치결정시켜 주기 위한 통상의 위치결정기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400)의 핑거(410)가 상기 결속기구(10)를 파지하여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의 가이드블록(350)에 로딩하게 된다.
상기 결속기구(10)의 로딩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블록(350)에 구비된 결속기구 검출센서(351)는 상기 결속기구(10)의 탑재상태를 검출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즉, 상기 결속기구가 탑재된 경우에 송출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튜에이터(330)가 상기 가이드블록(350)을 상승시켜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을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에 삽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은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지며, 상기 작동 레버(12)는 도 2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블록형 몸체(11)의 장공(11a)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레버작동판(370)이 전진하여 레버 위치 검출수단(371)이 상기 결속기구(10)의 작동 레버(12)의 위치를 검출한다. 상기 레버 위치 검출수단(371)의 레버 위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레버작동판(370)이 상기 작동 레버(12)의 위치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제어됨에 따라 상기 작동 레버(12)가 일정 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및 하부 결합콘(13a)(13b)이 연동하여 자세 변경됨에 따라, 상부 결합콘(13a)은 상기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의 내측에 걸리도록 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결속기구(10)의 하부 결합콘(13b)은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하단 컨테이너(100)의 상부 결합구(111)에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자세를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결속기구(10)가 모서리 프레임(110)의 하부 결합구(111)에 결합된 컨테이너(1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상에 구비된 체인컨베이어(210)에 의해 크레인과 같은 선적장치(미도시)측으로 이송되어 도 1에예시된 바와 같이 육측 또는 선박의 갑판 하단부에 미리 놓여 있는 다른 컨테이너의 상단에 탑재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의 탑재시 상단에 탑재되는 컨테이너(100)의 하부 결합구(111)에 결합되어 하방 돌출된 결속기구(10)의 하부 결합콘(13b)은 하단에 위치한 컨테이너 결합구에 삽입됨으로써 상단의 컨테이너와 하단의 컨테이너를 상호 결속시키게 된다.
반면에, 컨테이너 하역시에는 상기 결속기구(10)의 상부 결합콘(13a)과 하부 결합콘(13b)의 자세를 결합초기 자세로 복귀시키도록 작동 레버(12)를 회전하여 상부 결합콘(13a)의 체결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컨테이너의 결속상태가 해제되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하역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에 따르면, 컨테이너 하역시 상하단의 컨테이너를 결속시키는 결속기구(10)의 하부 결합콘(13b)은 컨테이너 결합구(111)로부터 출입이 자유로운 상태이므로, 최상단의 컨테이너(100)를 크레인과 같은 통상적인 하역장치에 의해 이송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210)의 이송롤러(210)상에 탑재하게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결속기구 결합과정의 역순에 따른 동작에 의해 컨테이너(100)의 결합구(111)에 결합된 결속기구(10)의 체결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해 낸 다음 트레일러 등에 옮겨 실어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에 따르면, 화물운송용 컨테이너의 선적 또는 하역시 결속기구를 컨테이너에 자동적으로 결합 및 해체시켜 줄 수 있으므로, 선적과 하역시간 및 트레일러 대기시간 등을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인화, 생력화에 의해 저비용 고효율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8)

  1. 상하단으로 적재된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100)의 상호 결속을 위한 결속기구(10)를 상기 컨테이너(100)의 모서리 프레임(110)에 구비된 결합구(111)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합구(111)가 하방 노출되도록 상기 컨테이너(100)를 탑재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200)과;
    상기 결합구(111)에 상기 결속기구(10)를 착탈시켜 주기 위한 결속기구 착탈유니트와(300);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에 상기 결속기구(10)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로딩/언로딩유니트(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기구 착탈유니트(300)는,
    상기 컨테이너 결합구(111) 주위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330)와;
    상기 액튜에이터(330)에 의해 승강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결속기구(1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블록(350)과;
    상기 결속기구(10)에 구비된 레버(12)를 간섭하여 회동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310)의 주위에 설치되는 레버작동판(370)과;
    상기 레버작동판(370)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8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블록(350)의 승강운동과 상기 레버작동판(37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결속기구(10)를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구(111)에 착탈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350)은 상기 결속기구(10)의 탑재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결속기구 검출수단(351)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351)의 검출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승강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구(111)에 상기 결속기구(10)를 삽입/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작동판(370)은 상기 결속기구(10)의 레버(12) 위치를 판별할 수 있는 레버 위치 검출수단(371)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12) 위치 검출수단(371)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결속기구(10)의 레버(12) 위치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상기 컨테이너의 결합구(111)에 상기 결속기구(10)를 착탈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400)는,
    상기 결속기구(10)를 파지하여 상기 가이드블록(200)에 로딩/언로딩하기 위한 핑거(410)와,
    상기 핑거(41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에는 상기 컨테이너(100)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이송수단(21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기구(10)를 상기 로딩/언로딩유니트(400)의 주위에 연속적으로 이송하여 주기 위한 결속기구 이송유니트(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기구 이송유니트(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0)의 주위에 타원 트랙상으로 순환 주행하도록 설치된 컨베이어(510)와, 상기 컨베이어(510)상으로 상기 결속기구(10)가 탑재되는 지그플레이트(20)를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이송유니트와, 상기 지그플레이트(20)를 상기 컨베이어(510)에 대해 업다운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530)와, 팔레트(30)에 적재된 결속기구(10)를 상기 엘리베이터(530)상의 지그플레이트(20)에 로딩/언로딩시켜 주기 위한 X-Y로봇(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KR10-2001-0031863A 2001-06-08 2001-06-08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KR10039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863A KR100399214B1 (ko) 2001-06-08 2001-06-08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863A KR100399214B1 (ko) 2001-06-08 2001-06-08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52A KR20020094252A (ko) 2002-12-18
KR100399214B1 true KR100399214B1 (ko) 2003-09-26

Family

ID=27708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863A KR100399214B1 (ko) 2001-06-08 2001-06-08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2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117B1 (ko) * 2015-03-30 2017-04-19 민경식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EP4276031A1 (en) 2022-05-10 2023-11-15 Cabka Group GmbH Cam for a base for transport and method of actuating a c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1997A1 (en) * 1980-01-13 1981-07-23 Y Yonahara Vehicle housing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
KR900700366A (ko) * 1988-02-04 1990-08-13 오까무로 다다유끼 콘테이너의 연결구
JPH0353495U (ko) * 1989-09-27 1991-05-23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1997A1 (en) * 1980-01-13 1981-07-23 Y Yonahara Vehicle housing apparatus for marine transport
KR900700366A (ko) * 1988-02-04 1990-08-13 오까무로 다다유끼 콘테이너의 연결구
JPH0353495U (ko) * 1989-09-27 1991-05-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252A (ko) 200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1379A1 (en) End effector, robot and package sorting system
CN212558291U (zh) 对接系统以及生产线
JP2000128357A (ja) 列単位荷積装置
US20080286074A1 (en) Inter-Box Connector (Ibc) Storage and Handling System
US2022019469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istlock handling and management
KR100399214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결속기구 착탈장치
JP2000085973A (ja) 柱状連続荷積装置
JPH05208731A (ja) コンテナ内の荷役装置
JPH05278854A (ja) 製品選別移載方法及び装置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JPS638094A (ja) ラツシングコ−ン係脱装置
JPH0694992B2 (ja) インゴット供給機用コンベア装置とインゴット供給機とインゴット供給装置
JP3556896B2 (ja) 瓶ケース用ピッキング装置
JPH06247562A (ja) 高速船用荷役設備
TW201834951A (zh) 電子元件作業機
KR20170080023A (ko) 연결이 가능한 컨테이너 이송용 리프트
JPH06127676A (ja) パレタイザ
JPH0671088U (ja) 物流品収納ケースの搬送装置
KR0125433B1 (ko)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KR880002061Y1 (ko) 팔레트 (pallet) 이송 제어회로
JPS63208437A (ja) 荷物自動積込システム
KR100440780B1 (ko) 트레이 반도체 부품배치장치
KR200147517Y1 (ko) 캠코더 데크의 자동 조립장치
KR20160116577A (ko)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