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433B1 -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433B1
KR0125433B1 KR1019950016230A KR19950016230A KR0125433B1 KR 0125433 B1 KR0125433 B1 KR 0125433B1 KR 1019950016230 A KR1019950016230 A KR 1019950016230A KR 19950016230 A KR19950016230 A KR 19950016230A KR 0125433 B1 KR0125433 B1 KR 012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shaft
motor
rail
ca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31A (ko
Inventor
유수남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433B1/ko
Publication of KR97000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5/00Axle units; Parts thereof ; Arrangements for lubrication of axles
    • B60B35/12Torque-transmitting ax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3)의 조립공정이 이루어지는 자동이송라인(4)에 직교되게 레일(20)을 설치하여 자동이송장치(100)가 상기한 레일(20)을 따라 자동으로 좌우로 이동되게 저면에 로울러(40)를 장착하고 상기한 로울러(40)를 모우터(30)로 구동시키며, 상기한 레일(20)의 일단으로 컨베이어장치(2)에 의해 이송되는 프로펠러샤프트(1)의 저면에 갈고리(70)의 끝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실린더(60)의 피스톤(61)이 상승되면서 프로펠러샤프트(1)가 적재되도록 하여 프로펠러샤프트(1)가 조립되는 자동차(3)의 이송라인(4)으로 복귀되게 한 것으로 작업자는 자동으로 이송된 프로펠러샤프트(1)를 자동차(1)의 트랜스미션과 디퍼렌셜기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작업능률이 향상되고 작업장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의 (a), (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펠러샤프트 2 : 컨베이어장치
10 : 제동리미트스위치 20 : 레일
21 : 제1리미트스위치 22 : 제2리미트스위치
30 : 모우터 40 : 로울러
50 : 구동스위치 60 : 실린더
61 : 피스톤 70 : 갈고리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프로펠러샤프트를 자동으로 적재하여 자동이송리프트에 올려져 이송된 자동 조립라인에 근접되게 운반되도록 한 프로펠러샤프트의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생산라인은 자동이송리프트에 의해 자동차가 들어올려져 이송되면서 각종 부품이 조립되었다. 즉, 각종 조립작업은 이송라인을 따라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작업자는 이동중인 자동차를 정지시키고 각종 부품을 체결한 다음 자동차를 다음 단계로 이송시키거나 작업자가 조립부품을 들고 이송장치에 직접 올라가서 자동차와 같이 이동되는 상태에서 작업을 했다.
한편, 자동차에 장착되는 부품중 프로펠러샤프트는 그 길이가 길고 무게가 무거워 두 명의 작업자가 프로펠러샤프트가 적재된 장소에 가서 프로펠러샤프트의 양단을 잡고 들어올린 상태에서 자동차가 이송된 이송라인을 들고와 자동차의 저면에 보이는 트랜스미션과 디퍼렌셜기어에 양단을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프로펠러샤프트를 차체에 장착시 적재된 곳에서부터 이송라인까지 들고와 들어올린 상태에서 체결을 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힘이 소요되고 적재된 장소에서부터 이송라인까지 들고오는 시간 또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프로펠러샤프트가 적재된 장소에서부터 자동차의 이송라인까지 프로펠러샤프트를 무인으로 자동 적재 및 이송하는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하므로 작업자는 프로펠러샤프트를 들어올려 바로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이 편리해지고 운반시 소요되었던 작업시간도 단축되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조립공정이 이루어지는 자동이송라인에 직교되게 레일을 설치하여 자동이송장치가 상기한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좌우로 이동되게 저면에 로울러를 장착하고 상기한 로울러를 모우터로 구동시키며, 상기한 레일의 일단으로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프로펠러샤프트의 저면을 갈고리로 체결하여 들어올리게 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될 프로펠러샤프트(1)를 컨베이어장치(2)로 이송시켜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놓이도록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제동리미트스위치(10)를 장착하여 프로펠러샤프트(1)가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놓이면서 접촉되게 하여 컨베이어장치(2)의 전원이 단속되게 하고 레일(20)을 자동차(3)가 이송되는 자동이송라인(4)에 직교되게 자동이송장치(4)와 컨베이어장치(2) 사이에 설치하며, 상기한 레일(20)을 따라 자동이송장치(100)가 좌우로 이동되게 모우터(30)를 장착하고 저면에 로울러(40)를 장착하여 모우터(30)의 회전력이 로울러(40)에 전달되게 연결하며, 구동스위치(50)의 스위칭동작에 모우터(30)가 정회전되어 자동이송장치(100)가 레일(20)을 따라 일측으로 이동되게 하고 자동이송장치(100)의 내측에 장착한 실린더(60)의 피스톤(61)이 하향으로 동작되게 하며, 레일(20)의 양단에 제1, 제2리미트스위치(21), (22)를 장착하여 모우터(30)에 의해 구동된 자동이송장치(100)가 제1리미트스위치(21)와 접촉되어 접점이 온되어 모우터(30)의 전원이 단속되게 하고 실린더(60)의 피스톤(61)이 상향으로 동작되게 하고 상기한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장착한 제동리미트스위치(10)의 접점 온동작에 모우터(30)가 역회전되게하며, 제2리미트스위치(22)와 자동이송장치(100)의 접촉에 따른 제2리미트스위치(22)의 접점에 역회전중인 모우터(30)의 전원이 단속되게 하고 상기한 피스톤(61)의 상면에는 일단이 상향되어 경사지게 형성한 갈고리(70)를 다수개 장착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a는 벨트이고 2b는 벨트이고 2b는 로울러로 미도시한 컨베이어장치(2)의 모우터에 의해 로울러(2b)와 벨트(2a)가 구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의 (가), (나)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설치한 제동리미트스위치(10)가 프로펠러샤프트(1)를 컨베이어장치(2)로 이송시켜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위치하게 되면서 접촉되게 하여 접점시킴으로서 컨베이어장치(2)는 제동되는데 이때, 자동차(3)의 이송라인(4)에 근접된 위치에 놓인 자동이송장치(100)는 구동스위치(50)의 접점동작에 실린더(60)의 피스톤(61)이 하향하면서 모우터(30)의 정회전시켜 자동이송장치(100)가 레일(20)의 끝단에 위치한 컨베이어장치(2) 쪽으로 이동되게 하여 레일(20)위에 장착한 제1리미트스위치(21)와 접촉시키면서 자동이송장치(100)와 제1리미트스위치(21)와의 접촉으로 스위칭동작되게 하며, 이에 따라 모우터(30)의 전원이 차단되어 자동이송장치(100)는 정지하게 되고 실린더(60)는 전원을 인가받아 피스톤(61)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61)이 상승되면서 피스톤(61) 상면에 장착한 3개의 갈고리(70)에 프로펠러샤프트(1)가 걸려 들어올려지게 되면서 제동리미트스위치(10)의 접점이 온되어 컨베이어장치(2)는 뒤에 대기중에 있던 프로펠러샤프트(1)를 이송하게 되고 모우터(30)에 직류인 전원을 교차시켜 모우터(30)가 역회전하게 되므로 자동이송장치(100)는 자동차(3)의 이송라인(4)쪽으로 이동되며, 자동이송장치(100)가 이송라인(4)의 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자동이송장치(100)는 제2리미트스위치(22)와 접촉되어 모우터(30)의 전원이 차단됨으로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동이송장치(100)가 자동차(3)의 조립라인(4), 즉 자동이송리프트(5)의 일측에 놓이게 되면 작업자는 이송된 프로펠러샤프트(1)를 들어올려 자동차(3)의 저면에 보이는 트랜스미션과 디퍼렌셜기어에 양단을 체결하여 조립이 완료되면 구동스위치(50)를 접점시켜 자동이송장치(100)가 다음에 이송될 자동차(3)에 장착할 또 다른 프로펠러샤프트(1)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갈고리(70)는 자동이송장치(100)가 컨베이어장치(2)에 근접되어 있는 상태에서 갈고리(70)의 끝단이 컨베이어장치(2)에 의해 이송되어 제동스위치(10)를 누르고 있는 프로펠러샤프트(1)의 저면에 끼워져 있게 위치시킨 것으로 피스톤(61)의 상승동작에 갈고리(70)의 끝단이 놓인 프로펠러샤프트(1)도 같이 들러 올려지게 하고 갈고리(70)를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고정되지 않은 프로펠러샤프트(1)가 경사면를 따라 굴러와 갈고리(70)의 고리부(71)에 안착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60)는 컨베이어장치(2)에 의해 이송된 프로펠러샤프트(1)를 갈고리(70)로 저면에서 들어올릴 수 있게 한 것으로 실린더(60)의 상승작용에 경사진 갈고리(70)의 고리부(71)로 굴러와 프로펠러샤프트(1)가 안착되게 하며, 실린더(60)의 상승작용에 따른 피스톤(61)이 상승된 높이가 자동이송리프트(5)에 올려진 자동차(3)에 조립되기 용이하도록 작업자의 평균신장을 계산하여 설정한 것으로 작업자는 자동이송장치(100)에 의해 옮겨진 프로펠러샤프트(1)를 이송라인(4)의 일측에서 용이하게 들러올려 자동차(3)의 저면에 정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3)가 자동이송리프트(5)에 의해 들어올려져 조립공정이 이루어지는 자동이송라인(4)에 직교되게 레일(20)을 설치하여 상기한 레일(20)을 따라 자동이송장치(100)가 자동으로 좌우로 이동되게 저면에 로울러(40)를 장착하고 상기한 로울러(40)를 모우터(30)로 구동시키며, 상기한 레일(20)의 양단에 제1, 제2리미트스위치(21), (22)를 장착하여 상기한 모우터(30)의 전원을 단속시키고 레일(20)의 일단에 위치한 컨베이어장치(2)의 제동리미트스위치(10)의 온동작에 프로펠러샤프트(1)를 이송되게 함은 물론 일측에 놓인 자동이송장치(100)의 모우터(3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우터(30)가 역회전되게 하여 자동이송리프트(5)의 일측, 즉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한것으로 자동으로 이송된 프로펠러샤프트(1)를 자동차(3)의 트랜스미션과 디퍼렌셜기어에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작업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 것이다.

Claims (1)

  1. 저면에 장착한 로울러가 모우터에 의해 구동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20)의 양단에 제1, 제2리미트스위치(21), (22)를 장착하고 구동스위치(50)의 접점에 상기 모우터(30)가 정회전하여 레일(20) 위로 로울러(40)가 구동되게 하여 상기 제1리미트스위치(21)와 접촉되어 모우터(30)의 전원이 단전되게 하고 일측으로 상향되어 경사진 다수개의 갈고리(70)를 상면에 형성된 피스톤(61)이 상향으로 상승되게 실린더(60)에 전원이 인가되게 하며, 프로펠러샤프트(1)가 컨베이어장치(2)에 의해 이송되어 컨베이어장치(2)의 끝단에 장착한 제동리미트스위치(10)가 접점되어 모우터(30)가 역회전되게 접속하고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22)와의 접촉으로 모우터(30)의 전원이 차단되게 접속하여, 외측에 장착한 구동스위치(50)의 접점에 피스톤(61)이 하향되면서 모우터(30)가 정회전되게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KR1019950016230A 1995-06-19 1995-06-19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KR012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230A KR0125433B1 (ko) 1995-06-19 1995-06-19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230A KR0125433B1 (ko) 1995-06-19 1995-06-19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1A KR970001131A (ko) 1997-01-21
KR0125433B1 true KR0125433B1 (ko) 1997-12-08

Family

ID=1941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230A KR0125433B1 (ko) 1995-06-19 1995-06-19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469A (ko) * 2000-12-11 2002-06-19 이계안 프로펠러 샤프트 작업 사양 지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31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068B2 (en) Palette conveyance mechanism and assembling line using it
KR0125433B1 (ko)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US20020070491A1 (en) Method for securing workpieces
US5261523A (en) Triple-strand roller chain conveyor with accumulating pallets
US5526753A (en) Storage apparatus for a storage conveyor
KR100199894B1 (ko) 연료탱크 상승장치의 이동장치
KR0125437B1 (ko) 래터럴로드 조립용 장치
JPS6347593Y2 (ko)
KR101778189B1 (ko) 클러치 타입 컨베이어 시스템
JPH08295233A (ja) マグネット吸着式パレットコンベア
JPH0442019Y2 (ko)
KR100207750B1 (ko)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KR0122308B1 (ko) 자동차 조립용 공구의 자동이송장치
JP5239377B2 (ja) パレット搬送システム
JPH0738277Y2 (ja) 物品搬送コンベア
JPH0647844Y2 (ja) 工作物搬送装置
KR910007460Y1 (ko) 연탄상차용 이송장치
KR100344959B1 (ko) 무구동 스프로켓을 설치한 물류 이송 콘베이어
KR19990027325U (ko) 천정크레인의 자동 표시장치
KR960005557Y1 (ko) 공작물 적재장치
JPS5831827A (ja) 搬送車輛積載物の搬送装置
JP2576275B2 (ja) 天井走行車の昇降台
KR100321610B1 (ko)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KR970006107A (ko) 자동차 트랜스액슬 반송 시스템
CN115415964A (zh) 一种用于自卸装置的皮带安装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