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750B1 -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750B1
KR100207750B1 KR1019960048142A KR19960048142A KR100207750B1 KR 100207750 B1 KR100207750 B1 KR 100207750B1 KR 1019960048142 A KR1019960048142 A KR 1019960048142A KR 19960048142 A KR19960048142 A KR 19960048142A KR 100207750 B1 KR100207750 B1 KR 100207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screw
unit
conveying means
driving sourc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947A (ko
Inventor
강진우
김영철
윤영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75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8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92Design or construction of the moving platform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Abstract

서로 다른 형태의 설비 사이에서 이적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이적재장치는 무인 운반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수단과, 승강수단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송수단과, 제1이송수단에 제1이송수단과 동일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적재 대상물품을 수평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제1이송수단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품을 고정하는 픽업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Loading/unloading apparatus for unmanned cart}
본 발명은 무인 운반차 위에 탑재되어 상대설비와 이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형태의 설비 사이에 이적재가 가능하도록 된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구조, 포크리프트를 이용한 구조 등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컨베이어를 이용한 구조는 무인 운반차와 상대 설비 모두 컨베이어를 포함한 구조인 경우에만 이용 가능하다. 만일 무인 운반차의 구조가 컨베이어를 이용한 구조이고 상대 설비 구조가 무구동의 랙 구조인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상대 설비에 대한 핸들링이 불가능하다. 즉, 상대 설비에 있어서, 그 설비에 있는 운반 물품을 무인 운반차측으로 밀어주든지 무인 운반차에 있는 운반 물품을 끌어오던지 해야하는데 상대 설비에는 아무런 구동수단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운반동작을 전혀 수행할 수 없게된다. 또한, 상기 상대설비에 컨베이어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설치위치가 상기 무인 운반차의 컨베어이와 동일 높이가 되어야 한다.
포크리프트를 이용한 구조는 팔레트에 적재되어 있는 운반 물품을 무인 운반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무인 운반차가 이동되어 물품을 이적재한다. 즉, 이 포크리프트를 이용한 구조는 운반 물품이 포크를 통해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팔레트에 적재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 조건으로 팔레트에 적재되지 않는 종류의 물품의 핸들링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유형의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들은 한정된 형태의 설비에 대해서만 이적재 작업이 가능하여 일 작업구역 내에 서로 다른 형태의 설비가 혼재할 경우 적용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형태의 대상물품 및 이적재 위치를 갖는 설비들에 적용가능한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무인 운반차 20...승강수단 21...제1구동원
22...제1동력전달부 23...제1풀리 24...제1벨트
26...제1리드스크류 27...엘리베이터 30...제1이송수단
31...제2구동원 32...제2동력전달부 33...제3리드스크류
34...베이스 플레이트 40...제2이송수단 41....제3구동원
42...제2풀리 43...제3풀리 44...제2벨트
45...제3벨트 46...플레이스부 47...볼캐스터
50...픽업부 51...제4구동부 52...기어부
53...랙기어부 54...랙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는, 무인 운반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상기 제1이송수단과 동일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적재 대상물품을 수평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품을 고정하는 픽업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를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는 무인 운반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수단(20)과, 이 승강수단(2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송수단(30)과, 이 제1이송수단(30) 상에 설치되어 이적재 대상물품을 수평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40) 및 제1이송수단(30)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품을 잡아주는 픽업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수단(30), 제2이송수단(40)은 같은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20)은 상기 무인 운반차(10)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21)과, 상기 무인 운반차(10)에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리드스크류(26)와, 상기 제1구동원(21)의 동력을 상기 제1리드스크류(26)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22) 및 상기 제1리드스크류(2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26)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동력전달부(22)는 상기 제1구동원(21)의 회전축과 상기 제1리드스크류(26) 각각에 형성된 제1풀리(23)와, 상기 두 제1풀리(23) 사이를 연결하는 제1벨트(24)를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구동원(21)과 제1리드스크류(26)를 직접 연결하는 기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1이송수단(30)은 상기 엘리베이터(27)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리드스크류(33)와, 이 제2리드스크류(3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31)과, 상기 제2리드스크류(33)와 상기 제2구동원(31)을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부(32) 및 상기 제2리드스크류(33)에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수평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4)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제1이송수단(30)은 이,적재시 상기 제2이송수단(40)이 상대 설비에 인접되도록 제2이송수단(40)을 수평 이송한다.
상기 제2이송수단(40)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에 설치되며 그 상부에 적재된 대상물품을 이송한다. 이를 위하여 제2이송수단(40)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원(41)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부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 및 제3풀리(43)와, 상기 제3구동원(41)과 상기 제2풀리(42)를 연결하는 제2벨트(44)와, 상기 제2풀리(42)와 상기 제3풀리(43)에 감겨진 제3벨트(45)와, 상기 제3벨트(45)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3구동원(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직선운동하는 플레이스부(46) 및 대상물품의 하부면과 마주하여 대상물품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캐스터(47)로 구성된다. 상기 플레이스부(46)는 상기 볼캐스터(47) 상에 위치된 대상물품을 일 측면과 접촉되고 상기 제3구동원(41)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대상물품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상기 픽업부(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볼캐스터(47) 상에 놓인 대상물품을 잡아준다. 이를 위하여 이 픽업부(50)는 그 회전축 단부에 기어부(52)를 갖는 제4구동부(51)와, 상기 기어부(52)와 맞물려 그 회전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랙기어부(53) 및 상기 랙기어부(53)의 단부에 설치되며 대상물품이 탑재된 랙(rack)과 결합되어 상기 랙을 고정하는 랙고정부(54)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의 동작을 적재시와, 이재시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적재시. 무인 운반차(10)가 작업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1구동원(21)의 동력으로 부터 제1리드스크류(26)가 회전되어, 이 제1리드스크류(26)에 나사결합된 엘리베이터(27)가 작업 높이로 승강된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원(31)의 동력으로 부터 제2리드스크류(33)가 회전되어 이 제2리드스크류(33)에 나사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34)가 지정된 작업위치로 수평이동한다. 이후, 제3벨트(45)에 고정된 플레이스부(46)가 제3구동원(41)의 동력에 의해 대상물품이 탑재된 랙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픽업부(50)의 구동 즉, 제4구동부(51)의 회전에 의해 랙기어부(53)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에서 직선운동하고 그 단부에 설치된 랙고정부(54)가 상기 랙을 잡는다.
상기 플레이스부(46) 또는 랙고정부(54)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으로 안내된 대상물품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에 설치된 볼캐스터(47)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된 채로 상기 제3구동원(41)의 동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4)의 소정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승강수단(20), 제1 및 제2이송수단(30)(40)이 원위치 된 채로 적재동작이 완료된다.
2) 이재시. 베이스 플레이트(34) 상에 대상물품이 적재된 채로 상기 무인 운반차(10)는 이재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제1구동원(21)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제1리드스크류(26)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27)가 이재위치로 승강된다. 적재시와 마찬가지로 제2리드스크류(33)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34)가 수평이동된다. 그리고, 플레이스부(46) 및/또는 픽업부(50)가 수평이동되면서, 대상물품을 이재위치로 밀어준다. 이후, 승강수단(20), 제1 및 제2이송수단(30)(40) 및 픽업부(50)가 원위치 된 채로 이재동작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이,적재동작을 반복하면서, 상기한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는 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는 첫째, 승강수단을 통하여 무인 운반차와 상대 설비의 이적재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도 대상 물품의 이송이 가능하며, 둘째, 베이스 플레이트 위에 동일 직선 상에서 독립적으로 이송되는 제1, 제2이송수단 및 픽업부를 이용하여 무인 운반차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이적재물을 핸들링할 수 있으므로, 상대설비가 컨베이어 구조이든 랙 구조이든 관계없이 작업이 가능한다. 따라서, 상대설비의 형태, 높이, 이적재물의 적재 상태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각 구성요소의 동작범위 내에서 여러 형태의 대상물품 및 서로 다른 형태의 이적재 위치를 갖는 설비들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6)

  1. 무인 운반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에 상기 제1이송수단과 동일 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적재 대상물품을 수평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상기 제1이송수단 상에 설치되어 대상물품을 고정하는 픽업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무인 운반차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원과, 상기 무인 운반차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리드스크류와, 상기 제1구동원의 동력을 상기 제1리드스크류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1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리드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승강되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리드스크류와, 상기 제2리드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원과, 상기 제2리드스크류와 상기 제2구동원을 연결하는 제2동력전달부 및 상기 제2리드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구동원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 양단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풀리와, 상기 풀리 사이에 감겨진 벨트와, 상기 제3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의 상기 한쌍의 풀리 사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도록 상기 벨트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이송되는 대상물품의 저면과 접촉되어 대상물품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볼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는 상기 제1이송수단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4구동부와, 이 제4구동부의 회전력에 의해 직선이동하는 랙기어부와, 상기 랙기어부의 일단에 설치되고 대상물품이 탑재되는 랙과 결합되어 이 랙을 고정하는 랙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KR1019960048142A 1996-10-24 1996-10-24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KR100207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42A KR100207750B1 (ko) 1996-10-24 1996-10-24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142A KR100207750B1 (ko) 1996-10-24 1996-10-24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47A KR19980028947A (ko) 1998-07-15
KR100207750B1 true KR100207750B1 (ko) 1999-07-15

Family

ID=1947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142A KR100207750B1 (ko) 1996-10-24 1996-10-24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90B1 (ko) * 2002-07-16 2004-12-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공급 및 센터링 장치
KR20230146315A (ko) 2022-04-12 2023-10-19 순 욱 황 슬라이딩 랙에 적용되는 이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711B1 (ko) 2020-03-23 2021-08-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무인운반 및 리프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690B1 (ko) * 2002-07-16 2004-12-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그린타이어의 공급 및 센터링 장치
KR20230146315A (ko) 2022-04-12 2023-10-19 순 욱 황 슬라이딩 랙에 적용되는 이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47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5025A (en) Loading/unloading apparatus on a vehicle and method therefor
US4494298A (e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US20090114507A1 (en) Integrated overhead transport system with stationary drive
JPH044960A (ja) 筒体移載装置
KR100207750B1 (ko)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KR200354550Y1 (ko)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JPH06100108A (ja) ロール物移載装置
JPH03284534A (ja) 移載装置
JP3830406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停止制御装置
CN218490928U (zh) 机械手及堆垛机
JP2005247446A (ja) 移載装置
CN216996313U (zh) 输送装置及提升机
JP2767064B2 (ja) コイル仕分け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40609A (ko) 케리어 로딩/언로딩 장치
KR200277232Y1 (ko) 화물 적재용 운반차
JP2506555Y2 (ja) 自動移載装置
JPH0539194A (ja) 搬送用ロボツト
JP3105172B2 (ja) 移載機における供給装置
JP3186396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H1045211A (ja) 物品保管装置
JPH0331198A (ja) 垂直搬送装置
JP2540813B2 (ja) リニアモ−タ搬送装置の進路変更装置
JPH01226622A (ja) ターンテーブルに対する移載装置
JPS6011853Y2 (ja) 機械部品の積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