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4550Y1 -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4550Y1
KR200354550Y1 KR2019980017597U KR19980017597U KR200354550Y1 KR 200354550 Y1 KR200354550 Y1 KR 200354550Y1 KR 2019980017597 U KR2019980017597 U KR 2019980017597U KR 19980017597 U KR19980017597 U KR 19980017597U KR 200354550 Y1 KR200354550 Y1 KR 2003545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ubber
fork
pallet
convey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465U (ko
Inventor
옥상환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17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4550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4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4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45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45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23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means insertable between the stacked article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4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rotary mov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깔판상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를 포크장치로 하나씩 찍어내어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공기실린더(12)로 작동되는 포크(11)를 구비한 포크장치(1)와, 이 포크장치(1)를 승,하강시키는 포크승하강장치(2), 상기 포크장치(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트롤리(3), 이 모두를 장착하고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블록고무이송장치(4), 깔판상에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10)를 회전테이블(6)까지 이송시키는 로울러컨베이어(5), 상기 블록고무(10)가 올려지고 상승 및 회전할 수 있는 회전테이블(6), 상기 포크(11)를 하나의 블록고무(10)에 찔러넣을 때 주변의 블록이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푸셔(7)와 스토퍼(8) 및, 이송되어 온 블록고무(10)를 포크(11)로부터 받아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9)를 구비하여서,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수를 줄여 생산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무인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
본 고안은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깔판(pallet)상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를 포크장치로 하나씩 찍어내어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켜서,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수를 줄여 생산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이송되어 온 깔판상의 블록고무들을 일일이 컨베이어에 부리는 작업을 수행해 온 바, 먼저 갈쿠리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를 분리시킨 후, 진공흡착기(vacuum lifter)를 이용하여, 즉 진공패드를 고무표면에 밀착시켜 고무표면과 패드사이의 진공을 이용하여 블록고무를 들어올린 다음, 경량궤도를 사용하여 계량컨베이어로 블록고무를 실어 보냈다.
그러나, 이러한 인력에 의한 작업은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가 하나씩 분리해서 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통상의 하루 작업량이 약 2400회라고 할 때 작업자가 받게 되는 노동부하를 중량으로 환산하면 2400회×35Kg = 84Ton이 되는데, 이러한 과중한 노동부하에 의한 피로 때문에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하기 곤란하며, 더욱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어서, 이에 따른 인건비의 증가와 함께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깔판상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를 포크장치로 하나씩 찍어내어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켜서, 작업자의 노동부하를 감소시키고 작업자의 수를 줄여 생산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1 : 포크장치 2 : 포크승하강장치
3 : 트롤리 4 : 블록고무이송장치
5 : 로울러컨베이어 6 : 회전테이블
7 : 푸셔 8 : 스토퍼
9 : 이송컨베이어 10 : 블록고무
11 : 포크 12,73 : 공기실린더
21,31,41,51,61,63,71,81 : 모터 22,32,42,82 : 볼나사
33,43 : 선형운동안내부 34,44 : 바퀴
62,72 : 나사잭 64 : 테이블승하강장치
74 : 밀착패드 83 : 스토퍼 유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기실린더로 작동되는 포크(fork)를 구비한 포크장치와, 이 포크장치를 승,하강시키는 포크승하강장치, 상기 포크장치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트롤리(trolley), 이 모두를 장착하고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블록고무이송장치, 깔판상에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를 회전테이블까지 이송시키는 로울러컨베이어(roller conveyer), 상기 블록고무가 올려지고 상승 및 회전할 수 있는 회전테이블, 상기 포크를 하나의 블록고무에 찔러넣을 때 주변의 블록이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푸셔(pusher)와 스토퍼(stopper) 및, 이송되어 온 블록고무를 포크로부터 받아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이의 평면도이다. 포크장치(1)는 그 안에 설치된 공기실린더(12)와 이 공기실린더(12)에 연결된 세 갈래의 얇은 포크(11)를 구비하며, 이 포크장치(1)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는 포크승하강장치(2)의 모터(21)와 볼나사(22)에 직각으로 설치되어서, 이송되어 온 블록고무(1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상기 포크승하강장치(2)는 트롤리(3)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트롤리(3)는 모터(31)와, 볼나사(32), 선형운동안내부(33) 및, 바퀴(34)에 의해 작동되어 포크장치(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트롤리(3)는 블록고무이송장치(4)상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블록고무이송장치(4)도 모터(41)와, 볼나사(42), 선형운동안내부(43) 및, 바퀴(44)에 의해 작동되어 포크장치(1)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모터(51)로 구동되는 로울러컨베이어(5)는 깔판상에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10)를 회전테이블(6)까지 이송시키는데, 이 회전테이블(6)은 모터(61)와 나사잭(62)으로 구성된 테이블승하강장치(64)를 갖추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모터(63)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포크(11)를 하나의 블록고무(10)에 찔러넣을 때, 주변의 블록들이 밀려나지 않도록 모터(71)와, 나사잭(72), 공기실린더(73) 및, 밀착패드(74)로 구성된 푸셔(7)가 블록고무(10)위에서 눌러주고, 이 푸셔(7)와 함께 해당 블록고무(10)의 하단 블록들이 밀려나지 않도록 복수의 모터(81)와 볼나사(82) 및 유니트(83)로 구성된 스토퍼(8)가 포크장치(1)의 맞은편에서 지지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크(11)로 찍혀나온 블록고무(10)는 상기 블록고무이송장치(4)에 의해 이송컨베이어(9)상으로 이동되는데, 이 이송컨베이어(9)는 포크(11)로부터 블록고무(10)를 받아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깔판상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10)는 지게차로 운반되어 로울러컨베이어(5)상에 올려지고, 모터(51)에 의해 구동되는 이 로울러컨베이어(5)에 의해 블록고무(10)는 회전테이블(6)의 위까지 이송되는데, 이 때 깔판이 회전테이블(6)상에 위치됨을 근접센서가 감지하면서, 테이블승하강장치(64)가 작동하여 회전테이블(6)이 약간 상승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승하강장치(2)와 트롤리(3)가 각각의 모터(21,31)로 구동되어 포크장치(1)를 블록고무(10)의 측면에 위치시킨다.
상기 포크장치(1)내의 공기실린더(12)가 확장되면서 포크(11)를 최상단의 블록고무(10)의 내부로 찔러넣는데,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블록고무(10) 주변의 다른 블록들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푸셔(7)가 작동하여 블록고무(10)를 위에서 눌러주고, 이와 함께 해당 블록고무(10)의 하단 블록들이 밀려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포크장치(1)의 맞은편에서는 스토퍼(8)가 작동하여 주변 블록들을 지지한다.
상기 포크(11)로 찍혀나온 블록고무(10)가 모터(41)에 의해 구동되는 블록고무이송장치(4)에 의해 이송컨베이어(9)의 위까지 이동된 후, 상기 포크장치(1)내의 공기실린더(12)가 수축하면서 포크(11)를 포크장치(1)내로 집어넣어 블록고무(10)를 이송컨베이어(9)상에 떨어뜨리게 되고, 이어서 이 이송컨베이어(9)가 블록고무(10)를 계량컨베이어까지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적재된 블록고무(10)의 최상단 한쪽이 모두 이송되면, 상기 회전테이블(6)은 모터(63)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서, 반대쪽의 블록들을 포크장치(1)로 찍을 수 있도록 되는데, 이 회전테이블(6)의 회전동안 상기 푸셔(7)와 스토퍼(8)는 각각 이전과 반대로 작동되어 블록고무(10)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한 단의 블록들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테이블승하강장치(64)의 작동으로 회전테이블(6)이 더욱 상승하여 다음 단의 이송이 이루어지며, 이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깔판상의 블록고무(10)를 모두 이송시키고 난 후, 상기 회전테이블(6)은 테이블승하강장치(32)에 의해 초기위치로 하강한다. 이 때 빈 깔판은 로울러컨베이어(5)상에 다시 올려지게 되어서 이 로울러컨베이어(5)를 통해 인출되며, 다음 깔판상에 적재된 블록고무가 회전테이블(6)의 위로 진입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업자의 과중한 노동부하를 절감시켜서 이송작업을 용이하고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송작업에 투입되는 작업자의 수를 줄여 생산비 절감효과를 가져오는 한편, 궁극적으로는 무인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깔판상에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10)를 회전테이블(6)까지 이송시키는 로울러컨베이어(5)와, 상기 블록고무(10)가 올려지고 상승 및 회전할 수 있는 회전테이블(6), 상기 깔판으로부터 블록고무(10)를 하나씩 인출하여 앞뒤로 이송하여 보낼 수 있도록 된 블록고무이송장치(4) 및, 이송되어 온 블록고무(10)를 블록고무이송장치(4)로부터 받아 계량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9)를 구비하는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록고무이송장치(4)에는 공기실린더(12)로 작동되는 포크(11)를 구비한 포크장치(1)와, 이 포크장치(1)를 승하강시키는 포크승하강장치(2) 및, 상기 포크장치(1)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트롤리(3)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블록고무이송장치(4)의 포크(11)를 하나의 블록고무(10)에 찔러넣을 때 주변의 블록이 밀려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푸셔(7)와 스토퍼(8)를 추가로 구비하여서,
    상기 깔판상에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블록고무(10)를 상기 포크장치(1)로 하나씩 찍어내어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고무 자동로딩장치.
KR2019980017597U 1998-09-16 1998-09-16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KR2003545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97U KR200354550Y1 (ko) 1998-09-16 1998-09-16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597U KR200354550Y1 (ko) 1998-09-16 1998-09-16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65U KR20000006465U (ko) 2000-04-15
KR200354550Y1 true KR200354550Y1 (ko) 2004-07-21

Family

ID=4934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597U KR200354550Y1 (ko) 1998-09-16 1998-09-16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45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429B1 (ko) 2022-08-24 2023-01-2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수의 직육면체 블록들의 적층 구조에서의 각 블록의 인식 및 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47752A (zh) * 2020-05-30 2020-10-30 长沙精英军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级小分子弱碱性活性用水的制备工艺及装置
CN112109992A (zh) * 2020-09-18 2020-12-22 吴皎阳 一种公共安全用材料下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429B1 (ko) 2022-08-24 2023-01-2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인공지능을 이용한 다수의 직육면체 블록들의 적층 구조에서의 각 블록의 인식 및 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465U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4298A (en) Automatic assembling apparatus
JPH04213512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US429830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loads
CN112830277A (zh) 货柜车自动检测装车系统
KR200354550Y1 (ko) 블록고무자동로딩장치
KR101441483B1 (ko) 물품 자동 적재 장치
CN217807011U (zh) 一种自动拆码垛装卸车
JPH1045210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215478495U (zh) 货柜车自动检测装车系统
JP272791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EP1522511B1 (en) An apparatus for in-feeding and removing trucks for tiles to and from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s
JP3612806B2 (ja) 巻取ロール縦積みパレタイザ及びパレットへの巻取ロール縦積み方法
KR100207750B1 (ko) 무인 운반차용 이적재장치
CN220699937U (zh) 一种木颗粒增强地板切割自动转运装置
CN219729631U (zh) 一种托盘物料用翻转装置
CN219585303U (zh) 移送设备
CN217837384U (zh) 用于轴件自动上下料的装置
JPH05306003A (ja) パレットストッカー
CN220596083U (zh) 传料装置
JPH0730592Y2 (ja) 成形品の自動積込み装置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3143230B2 (ja) 小製品の仕分け集積装置
JPH09136718A (ja) パレット出し入れ装置
JPH0751775A (ja) 板材加工機の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