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557Y1 - 공작물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557Y1
KR960005557Y1 KR2019930027803U KR930027803U KR960005557Y1 KR 960005557 Y1 KR960005557 Y1 KR 960005557Y1 KR 2019930027803 U KR2019930027803 U KR 2019930027803U KR 930027803 U KR930027803 U KR 930027803U KR 960005557 Y1 KR960005557 Y1 KR 960005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frame
loading
supply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100U (ko
Inventor
전중일
육진홍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7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557Y1/ko
Publication of KR950017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23Q7/142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 B23Q7/1447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with work holders not rigidly fixed to the transport devic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23Q7/048Multiple gripp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5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roller-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공작물 적재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적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적재장치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공작물 적재장치의 정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공작물 취출수단을 도시한 정면도
제 5 도는 제 5 도에 도시된 공작물 취출수단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레임 20 : 적재수단
30 : 공작물 공급수단 40 : 공작물 취출수단
50 : 컨베이어
본 고안은 공작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생산 공정 사이에 설치되어 공작물을 자동 적재 및 공급하는 공작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 있어 각 공정간에 공작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공작물을 대차에 적재하여 운반하거나 컨베이어 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공작물을 공급하는 것은 각 공정에서 공작물의 가공에 따른 시간 차가 있으므로 공작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공작물을 작업자가 대차에 적재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는 공작물의 운반시 공작물이 파손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정 공정에서 공작물이 적치되는 경우 작업자가 공작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가공 대기중인 공작물에 의해 주위의 환경이 어지렵혀지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생산공정에 공작물의 공급에 따른 시간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공작물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공작물의 공급시 공작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작물의 운반 및 공급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작물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과 :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걸려 회전되는 무한궤도부재와, 이 무한궤도부재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재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공작물 적재수단과 : 상기 공작물 적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구동시키는 모우터를 구비하여 상기 파지부재에 공작물을 공급하거나 파지부재로부터 공작물을 취출하는 공작물의 공급 및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의 입구측과 공작물 취출수단의 출구측에는 공작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적재장치는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무한 궤도부재에 설치된 파지부재에 공작물(100)을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하여 적재하는 공작물 적재수단(20)과, 상기 공작물 적재수단(20)의 수직 하부에 설치되어 적재수단(20)의 파지부재(24)에 공작물을 공급하는 공작물 공급수단(30)과, 상기 적재수단(20)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지부재(24)에 지지된 공작물(100)을 취출하는 공작물 취출수단(40)과, 상기 각 수단이 고정설치되는 프레임(11)으로 대별된다.
상기 공작물 적재수단(20)은 다수의 공작물(100)을 적재하는 것으로, 프레임(11)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회전축(21)(21')이 고정설치되고 이 회전축(21)(21')에는 각각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한쌍의 회전력 전달부재(22)(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회전력 전달부재(22)(22')에는 무한궤도부재(23)가 설치되는데, 이 무한 궤도부재(23)의 외주면에는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파지부재(24)가 고정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22)(22')와 무한궤도부재(23)는 각각 스프로 킷과 체인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파지부재(24)는 블럭상의 본체(24a)상측에 개구(24b)가 형성된 관통부(24c)을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작물 적재수단(20)의 회전축(21)(21')은 프레임(11)에 설치된 구동수단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회전축(21)(21')중 적어도 일측 회전축(21)에 풀리(61)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11)에는 기어드 모우터(62)을 설치하여 상기 기어드 모우터(62)의 회전축(62a)에 설치된 풀리(61')와 상기 풀리(61)를 벨트(63)으로 연결한 것이다. 이때에 상기 기어드 모우터(62)와 회전축(21)은 체인과 스프로킷을 구동연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30)은 상술한 적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술한 적재수단(20)의 파지부재(24)에 공작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제 4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같이 소정길이를 가지는 프레임(31)에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봉(3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가이드 가이드봉(32)의 단부에는 지지프레임(3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1)에는 액튜에이터(34)가 고정설치되어 그 로드(34a)의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33)의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33)의 상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지지프레임(33)의 양측에 설치된 브라켓(35)에 의해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36)가 설치되는데, 각 가이드 롤러(36)는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이 구동부는 상기 각 롤러(36)의 회전축에 회전축(36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로킷(37)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6)의 회전축(36a)에 설치된 스프로킷(37)은 지지프레임(33)의 하면에 지지대(38)에 의해 지지되는 모우터(39)의 회전축(39a)에 설치된 스프로킷(39b)과 체인(39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에는 공급된 공작물(100)이 완료된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우터(39)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감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70은 아이들롤러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이고 80은 각 가이드 롤러(36)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이다.
상기 공작물 취출수단(40)은 상술한 바와같은 공작물 공급수단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30)의 공급측과 공작물 취출수단(40)의 취출측에는 각각 관상의 공작물(100)을 공급하는 컨베이어(50)가 설치되는데, 이 컨베이어(50)는 프레임(51)이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롤러(52)가 설치되고 이 롤러(52)중 적어도 하나는 구동수단인 모우터(5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롤러(52)의 회전축에 설치된 스프로킷과 모우터(53)에 설치된 스프로킷이 체인(5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적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적재장치에 공작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상기 컨베이어(50)의 롤러(52)상에 공작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수단(20)의 모우터(62)가 회전하여 회전력 전달부재(22)인 스프로킷을 회전시킴으로써 무한궤도부재(23)인 체인을 이송시켜 그 외주면에 설치된 파지부재(24)중 적어도 하나가 공작물 공급수단(30)의 가이드 롤러(36)의 수직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30)의 액튜에이터(34)가 작동되어 프레임(34)에 대해 지지프레임(33)를 상승시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지부재(24)의 양단부가 가이드롤러(36)를 지지하는 블라켓(35)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50)의 모우터(53)과 공작물 공급수단(30)의 모우터(39)를 작동시켜 롤러(52)와 가이드 롤러(36)가 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컨베이어(50) 롤러(52)의 상부에 위치한 공작물(100)은 공작물 공급수단(30)의 가이드 롤러(36)상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36)가 모우터(39)에 의해 회전되게 됨으로써 상기 적재수단의 파지부재(24)에 형성된 관통공(24c)에 삽입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파지부재(24)에 공작물(100)의 공급이 완료되면 적재수단(20)의 프레임(11)에 설치된 감지수단에 의해 공작물의 공급정도가 감지되고 이 감지된 상태에 따라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30)의 모우터(39)를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지부재(24)에 공작물(100)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액튜에이터(34)가 작동되어 프레임(31)에 대해 지지프레임(33)을 하강시킴으로써 파지부재(24)와 가이드 롤러(36)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파지부재(24)와 가이드 롤러(36)이 분리되면 상기 무한궤도부재(23)인 체인은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력 전달부재(22)에 의해 이동되어 인접한 파지부재가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술한 바와같은 공작물(100) 공급작용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공작물 적재수단에 공작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에서 공작물(100)을 취출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작물 취출수단을 작동시키게 되는데, 이 공작물 취출수단은 상기 공작물 공급수단과 구조가 동일하고 그 작용 또한 동일한데, 이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파지부재(24)에 공작물(100)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액튜에이터(44)에 의해 지지프레임(33)이 상승하게 되어 가이드 롤러(46)가 파지부재(24)에 지지된 공작물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모우터(39)가 회전하여 가이드 롤러(36)를 회전시킴으로써 공작물(100)을 파지부재(24)로부터 취출시키게 된다. 취출된 공작물(100)은 그 전면에 설치된 컨베이어(50)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작물의 취출이 완료되면 액튜에이터(44)가 작동되어 지지프레임(43)이 하강하게 되어 파지부재(24)와 가이드롤러(46)가 분리되고 상기 무한 궤도부재(23)가 이동됨으로써 상술한바와 같은 취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 공작물의 적재장치는 각 생산라인에 있어서 연속되어 공급되는 공작물을 일시적으로 적재한후 이송시키게 되므로 공작물의 이송에 따른 적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각 공정에 원활한 공작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

  1. 프레임과 :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걸려 회전되는 무한 궤도부재와, 이 무한궤도부재의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공작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파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공작물 적재수단과 ;
    상기 공작물 적재수단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봉에 의해 승강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가이드 롤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롤러를 구동시키는 모우터를 구비하여 상기 파지부재에 공작물을 공급하거나 파지부재로부터 공작물을 취출하는 공작물의 공급 및 취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적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공작물이 공급 완료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적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공급 및 취출수단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각각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와, 이 롤러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우터를 구비하여 된 이송수단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적재장치.
KR2019930027803U 1993-12-15 1993-12-15 공작물 적재장치 KR960005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803U KR960005557Y1 (ko) 1993-12-15 1993-12-15 공작물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803U KR960005557Y1 (ko) 1993-12-15 1993-12-15 공작물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00U KR950017100U (ko) 1995-07-20
KR960005557Y1 true KR960005557Y1 (ko) 1996-07-06

Family

ID=1937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803U KR960005557Y1 (ko) 1993-12-15 1993-12-15 공작물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5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00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1915A1 (en) Pallet/skid power roll system
KR101011727B1 (ko)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JP4707166B2 (ja) コンテナ昇降装置
KR960005557Y1 (ko) 공작물 적재장치
KR20000059646A (ko) 팔렛트 반전장치
JP3485153B2 (ja) 物品移載装置
JPH07300226A (ja) 搬送物の搬送方向変換装置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JPH0710240Y2 (ja) 真空炉
KR100213723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US20040197173A1 (en) Transfer media lift exchange system
JP3325940B2 (ja) 搬送装置
KR940011519B1 (ko) 콘베어 자동 이송장치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JP3306318B2 (ja) 搬出コンベア装置
JP3105172B2 (ja) 移載機における供給装置
JP2002173224A (ja) 搬送装置および搬送設備
JP3186396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KR0168584B1 (ko) 리튬전지의 소자이송장치
JP2023131831A (ja) 巻取ロール搬送システム
JPH02138011A (ja) 昇降搬送装置
JPH0761571A (ja) 物品の連続搬送装置
JPH06312364A (ja) コンクリート供試体の搬送装置
JPH07157045A (ja) コンベヤ装置
JPH06179507A (ja) 2連の搬送用コンベア間の動力伝達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格納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