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610B1 -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610B1
KR100321610B1 KR1019990042012A KR19990042012A KR100321610B1 KR 100321610 B1 KR100321610 B1 KR 100321610B1 KR 1019990042012 A KR1019990042012 A KR 1019990042012A KR 19990042012 A KR19990042012 A KR 19990042012A KR 100321610 B1 KR100321610 B1 KR 100321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veyor
lifter
horizontal
assembly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273A (ko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90042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610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6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4Vehicle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의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제 1 컨베이어의 일지점과 또다른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제 2 컨베이어의 일지점 사이에 수평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제 1 컨베이어의 리프터로 부터 차량의 바디를 인계받아 제 2 컨베이어의 리프터에 전달토록 함으로써, 차량 바디의 수평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차량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장으로 차량을 적절이 이송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A Horizontal Transportation Unit of Vehicles Body for Vehicles Assembly Process}
본 발명은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의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제 1 컨베이어의 일지점과 또다른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제 2 컨베이어의 일지점 사이에 수평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제 1 컨베이어의 리프터로 부터 차량의 바디를 인계받아 제 2 컨베이어의 리프터에 전달토록 함으로써, 차량 바디의 수평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차량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장으로 차량을 적절이 이송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각종 차체 패널이 차체 조립공정을 거치면서 일정한 형태를 갖는 바디로 형성되고, 이 바디를 도장공정으로 이송하여 도장을 실시한 후 조립공정으로 이송하여 엔진, 동력전달장치, 스티어링장치 등의 새시(Chassis)를 조립하여 자동차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장공정에서 조립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체인 컨베이어(1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소정 형상의 스키드(Skid)에 바디(60)가 올려져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상하로 절첩되게 작동되는 시저 리프트(Scissors lifter, 20)로 이송된다.
상기 시저 리프터(30)로 이송된 바디(60)는 드롭 리프터(Drop lifter, 30)에 의해 슬랫 컨베이어(Slat conveyor, 40)로 운반되고 이 슬랫 컨베이어(40)를 타고 이동되면서 상기 바디(60)에 다양한 부품과 장치가 조립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2는 종래 자동차 조립공정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로써,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키드(50)의 상부에 장착된 바디(60)가 다수개의 파이프 롤러(26)가 횡설된 시저 리프터(20)의 상판(24)에 올려지게 되면 상기시저 리프터(20)에 설치된 근접 스위치(미도시됨)가 상기 바디(60)의 진입을 감지하여 드롭 리프터(30)에 감지신호를 인가하게 되면 드롭 리프터(30)의 행거(32)가 작동되어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바디(60)의 전후 휠 하우스 패널(62) 하단부를 들어서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수평이동시킨 다음 다시 하방으로 이동되어 슬랫 컨베이어(40)의지그부(42)에 바디(60)를 내려 놓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롭 리프터(30)의 행거(32)는 구동수단(미도시됨)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동시에 복수개의 아암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그 수평방향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형성되고, 그 행거(32)의 단부는 바디(60)의 휠 하우스 패널(62) 하단부가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대략 니은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작업 과정이 바뀌어 수평선상으로의 이동이 필요할시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차량의 작업공간은 매우 다양한 조건을 요구하는바, 종래의 장치는 슬랫 컨베이어 끝단까지 차량의 바디를 이송해야 하며, 이송이 완료된 후에도 수직 하향 작업에 의해 타 컨베이어에 이송하는 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컨베이어가 계속적으로 작동되는 중간지점으로부터 수평선상으로 차량의 바디를 이송하여 작업을 실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일련의 작업이 완료되어 타 공정으로 차량을 이동시 다양한 작업공간으로 차량을 적절히 분산시키고자 할때에도, 종래에는 일개의 컨베이어 종점에 타 컨베이어를 설치해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컨베이어가 작동중인 중간지점에서부터 차량의 바디를 들어올려 수평선상으로 이동시킨다음 다른 컨베이어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바디 조립 공정을 유용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일단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차량 중에서 선택된 차량만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등 다양한 작업공간으로 차량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스키드에 바디가 올려져 작업공정이로 이송되는 자동차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 1 컨베이어가 유동되는 일지점의 컨베이어 양사이드에 설치되며 유압으로 차량을 리프팅하는 제 1 리프터와;
상기 제 1 리프터에 의해서 차량이 들어올려지면 바디의 배면으로 포크를 진입시켜 바디를 탑재하고, 탑재된 바디를 수평선상으로 이송하는 바디 수평이송장치와;
상기 수평이송장치에 의해 옮겨지는 차량의 바디를 전달받아 제 2 컨베이어가 유동되는 지점에 안착시키는 제 2 리프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자동차 조립공정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컨베이어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제 1 컨베이어 103: 차량의 바디
104, 122: 스키드 110: 제 1 리프터
111: 포크 112: 구동부
120: 수평이송장치 121: 제 2 컨베이어
130: 제 2 리프터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 및 수평 이송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평면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컨베이어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스키드에 바디가 올려져 작업공정이로 이송되는 자동차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 1 컨베이어(101)가 유동되는 일지점의 컨베이어 양사이드에 설치되며 유압으로 차량을 리프팅하는 제 1 리프터(110)와;
상기 제 1 리프터(110)에 의해서 차량이 들어올려지면 바디의 배면으로 포크(111)를 진입시켜 바디를 탑재하고, 탑재된 바디를 수평선상으로 이송하는 바디 수평이송장치(120)와;
상기 수평이송장치(120)에 의해 옮겨지는 차량의 바디(103)를 전달받아 제 2 컨베이어(121)가 유동되는 지점에 안착시키는 제 2 리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먼저 제 1 컨베이어(101)를 통해 차량을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1)의 양 사이드에는 본 발명의 제 1 리프터(110)가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스키드(104) 상부에 위치하는 차량을 컨베이어(101)보다 높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101)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디(103)를 이송중에 차량을 옮기는 지점에 도달하였을 시에는 상기 제 1 리프터(110)를 이용하여 차량을 들어 올린다.
그리고, 상기 제 1 컨베이어(101)의 수평 연장선상에는 제 2 컨베이어(121)가 위치하는바, 상기 제 2 컨베이어(121)는 제 1 컨베이어(101)를 통해 운송되는 차량을 다른 작업장소로 옮기는 일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컨베이어(101)를 통해 운반되는 차량의 바디(103)를 제 2 컨베이어(121)로 운송하는 수단이 필요한바, 이때 사용되는 장치가 대차간 바디 수평이송장치(120)이다.
상기 수평이송장치(120)는 리프팅된 차량의 바디를 직접실어 수평 연장방향으로 나르는 포크(111)와, 상기 포크(111)에 동력을 전달하여 수평이동이 가능토록 하는 구동부(1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부(112)는 제 1 리프터(110)와 제 2 리프터(130) 사이에 설치되며, 제 1 리프터(101)에 의해 차량의 바디(103)가 들어올려지면 상기 포크(111)를 이용하여 바디(103)를 탑재하고, 이어 구동부(112)의 동작으로 포크(111)가 수평선상 이동이 이루어지면 제 2 리프터(130)까지 차량이 이동되어, 상기 제 2 리프터(130) 설치지점에 이르게 되고, 제 2 리프터(130)는 하강하여 차량을 제 2 컨베이어(121)상부에 위치하는 스키드(122)에 안전하게 내려놓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바디를 운송시 수평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작업영역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장에 쉽게 운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일단의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일지점과 또다른 작업장으로 차량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의 일지점 사이에 수평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제 1 컨베이어의 리프터로 부터 차량의 바디를 인계받아 타측 컨베이어의 리프터에 전달토록 함으로써, 차량 바디의 수평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차량 조립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필요한 작업장으로 차량을 적절이 이송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컨베이어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되는 스키드에 바디가 올려져 작업공정이로 이송되는 자동차 조립공정에 있어서, 제 1 컨베이어(101)가 유동되는 일지점의 컨베이어 양사이드에 설치되며 유압으로 차량을 리프팅하는 제 1 리프터(110)와;
    상기 제 1 리프터(110)에 의해서 차량이 들어올려지면 바디의 배면으로 포크(111)를 진입시켜 바디를 탑재하고, 탑재된 바디를 수평선상으로 이송하는 바디 수평이송장치(120)와;
    상기 수평이송장치(120)에 의해 옮겨지는 차량의 바디(103)를 전달받아 제 2 컨베이어(121)가 유동되는 지점에 안착시키는 제 2 리프터(1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KR1019990042012A 1999-09-30 1999-09-30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KR100321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012A KR100321610B1 (ko) 1999-09-30 1999-09-30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012A KR100321610B1 (ko) 1999-09-30 1999-09-30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273A KR20010029273A (ko) 2001-04-06
KR100321610B1 true KR100321610B1 (ko) 2002-01-31

Family

ID=1961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012A KR100321610B1 (ko) 1999-09-30 1999-09-30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6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273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282B1 (en) Transfer system
EP2340982B1 (en) Plant for assembling mechanical parts on bodies of motor-vehicles
KR100622066B1 (ko) 자동차 조립 공정용 대차 시스템
KR100321610B1 (ko) 자동차 조립 공정의 바디 수평 이송장치
US20040134756A1 (en) Transfer system
JP4971896B2 (ja) トラバーサ装置
CN205294033U (zh) 流水线联动转运装置
CN104843446A (zh) 一种基于多车型的搬运装备
CN215247666U (zh) 一种新型换向装置
KR200183924Y1 (ko) 차체 부품의 자동 공급장치
CN210824133U (zh) 一种工件自动转运缓存设备
CN114802543B (zh) 整机装配产线
JPH08337310A (ja) ガラスの移載・位置決め装置
CN214776266U (zh) 电动工程车辆车架与前后桥装配装置
KR100191594B1 (ko) 자동차 자동 조립라인의 러프가이드 시스템
CN210028979U (zh) 天窗装配生产线用输送机构
KR19980040736U (ko) 부품 이송용 그립핑장치
KR100404903B1 (ko) 물체 이송 시스템
KR19980062844A (ko) 부품 이송용 그립핑 장치
KR100191610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이송장치
CN113104527A (zh) 一种新型换向装置
KR20080047740A (ko)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KR0125433B1 (ko) 프로펠러샤프트 자동이송장치
JP2006232022A (ja) 搭載装置及び搭載方法
KR100369180B1 (ko) 휠 클램프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