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523B1 -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523B1
KR100215523B1 KR1019930028869A KR930028869A KR100215523B1 KR 100215523 B1 KR100215523 B1 KR 100215523B1 KR 1019930028869 A KR1019930028869 A KR 1019930028869A KR 930028869 A KR930028869 A KR 930028869A KR 100215523 B1 KR100215523 B1 KR 100215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unloading
main body
ship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125A (ko
Inventor
신지 난바
데루유끼 나가니시
요시끼요 도이
노리오 도리야
겐지 안도오
가즈야 오다기리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237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656896B2/ja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Publication of KR94001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5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3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적하를 탑재하는 이송판(42)을 구비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안벽(4)에 배치하고, 상기 이송판(42)를 상기 안벽(4)에 착안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한 근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이송판(42)와 안벽 크레인(52) 등의 선적 하역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옮겨싣기를 하므로서, 이송판(42)을 중간 버퍼로서 기능시키고, 선적 하역 장치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는 동시에, 하역 기능 부분의 대기 상태를 적게하고, 경비의 삭감과 안전성의 향상과 취급의 간단화를 얻는다.

Description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의 한 실시예를 전천후형 버스에 설치한 예의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요부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에 의한 하역 작업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반송대차(搬送台車)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반송대차의 전체 평면도.
제10도는 제8도에 나타낸 반송대차가 포함하는 소대차(小台車)의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를 갖춘 전천후 버스를 안벽창고에 조합시킨 구성예의 평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키드(skid)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나타내는 스키드의 평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나타낸 스키드의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코일 선적 상황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코일 선적 상황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7도는 종래의 하역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8도는 종래의 하역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I-I 선 단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II-II 선 단면도.
제21도는 종래의 쌓기/실어내기 설비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 4 : 안벽
5 : 건물, 버스 (berth) 6 : 기대(基台)
7 : 착안용 항로 8 :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
9 : 쌓기/실어내기 설비 10 : 트러스 부재
11 : 지주 12 : 지지대
13 : 지주 14 : 자주대차(自走台車)
15 : 매달기도구 16 : 안벽측 달아올림 장치
17 : 안벽측 대차 18 : 매달기도구
19 : 선박측 달아올림 장치 20 : 선박측 시프터
21A, 21B : 주행빔 (beam) 22a, 22b : 레일
23 : 지주 24 : 주행기구 (모터)
25 : 횡행 (橫行) 빔 26 : 횡행기구 (모터)
27 : 승강로드 28 : 승강기구 (모터)
29 : 매달기도구 30 : 선회기구 (모터)
31 : 하역 중계 장치 32 : 본체 프레임
33 : 이동용 레일 34 : 차륜
35 : 본체부 36 : 연출부 (延出部)
37 : 이송레일 38 : 내장 스키드
39 : 출입레일 40 : 슬라이드 가이드
41 : 승강 지지체 42 ; 이송판
43 : 잠금핀 (lock pin) 44 : 차륜
45 : 이송기 46 : 대차본체
47 : 리프터 48 : 구동부
49 : 매달기도구 50 : 와이어
51 : 건물 52 : 안벽 크레인
53 : 매달기도구 54 : 달아올림 장치
55 : 해안 출발대차 56 : 해안 출발로
57 : 반송 장치 58 : 어미대차
59 : 자대차 (子台車) 60 : 대차 프레임
61 : 문형 수용대 62 : 대차 레일
63 : 대차 프레임 65 : 승강 수용대
66 : 안벽창고 67,68 : 이송로
69 : 크로스 스키드 70 : 반출 스키드
71 : 접속 스키드 72 : 이송대차
73 : 해안 출발 스키드 74 : 베이스
75 : 자대차용 레일 76 : 새들 (saddle)
본 발명은, 형상 및 치수가 비교적 균일한 중량물, 예를들면 강판의 코일을 다수 선적(船積)하거나 양륙(揚陸)하는 하역 방법과, 이 하역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역 의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하(積荷)를 강판 코일을 예로들어 종래 기술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코일 W을 배(1)에 선적 또는 양륙하는 하역 작업은 천정 크레인(2) 등에 의하여 실시되고 있다. 도면중에 (3)은 코일 W을 얹어 놓은 해안 출발 스키드, 4는 안벽 (岸壁) 이다.
그런데, 종래의 하역 작업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1) 적하 W를 선적하는 경우에, 안벽(4)에서 선박(1)내의 선적 위치까지, 동일 크레인(2)으로 일련의 작업으로서 실시하기 때문에, 하역 의 사이클 타임이 길고, 하역 능률이 낮았다.
(2) 선박(1)의 마스트(mast)를 비켜가기 위하여, 안벽 크레인 및 천정 크레인(2)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적하를 매다는 길이가 길어지고, 짐의 흔들림이 발생하여 위험하고, 작업 손실도 많다.
(3) 전천후 버스(berth; 5)(건물내에서 선적하는 버스)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천정 크레인(2)이 사용되지만, 선박(1)의 마스트를 비키기 위하여, 천정 크레인(2)의 높이를 높게 하면 이에 따라서 건물 전체도 높게할 필요가 있어서, 설비비가 매우 많이 든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 - 13822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 - 227830호에 있어서의 코일의 선적 하역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선적 하역 설비는, 선적 대기 장소에 위치한 육상 적하 이동 장치상에 얹어놓인 적하를 배에 선적 또는 부릴 때에, 배 위쪽에 이 배의 너비 방향으로 걸치는 모양으로 설치되고, 배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빔(beam)을 이용하여 선적 또는 부리는 것이다.
대표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 - 138223 호의 수단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8도 ~ 제20도에 표시와 같이, 안벽(4)과 기대(基台; 6)와의 사이에, 선박(1)의 착안용 항로(7)가 형성되고, 선박(1)은 안벽(4)측에 착안된다.
안벽(4)과 기대(6)와의 사이에는 선박(1)의 전장을 커버하는 전천후 버스(건물)(5)가 구축되고 이 버스(5)의 높이는, 선박(1)의 마스트를 비킬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안벽(4)과 기대(6)와의 사이에 소정위치에는, 코일(하물) W의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가 배치되고, 이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전방과 후방에 선박내의 쌓기/실어내기 설비(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에는, 선박(1)의 너비 방향으로 신장하는 트러스 부재(10)가 설치되고, 이 트러스 부재(10)의 양단부는, 기대(6)의 건물지주(11)의 지지대(12)와 안벽(4)의 지주(13)에서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트러스 부재(10)는, 선박(1)의 마스트보다도 낮고 선창해치(hatch) 상부를 비킬정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트러스 부재(10)내에는, 안벽측의 선적 대기 위치 A와 선박측의 대기 위치 B와의 거리를 왕복 주행하는 자주(自走)대차(14)가 설치되어 있다.
또, 트러스 부재(10)의 A 위치에는 코일 W의 중심구멍을 거는 매달기도구(15)를 갖는 와이어식 안벽측 달아올림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달아올림 장치(16)는, 선적시에는, 코일 W을 싣고 A 위치로 주행된 안벽측 대차(17)의 코일 W를 달아올려서, A 위치에 주행된 빈 자주대차(14)에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다시 싣는 한편, 짐을 부릴 때에는 코일 W을 싣고 A 위치로 주행된 자주대차(14)의 코일 W을 달아 올려서, A 위치에 주행된 빈 안벽측대차(17)에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다시 싣는 것이다.
또한, 트러스 부재(10)의 B 위치에는 코일 W의 중심구멍을 거는 매달기도구(18)를 갖는 와이어식 선박측 달아올림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달아올림 장치(19)는, 선적시에는 코일 W을 싣고 B 위치로 주행된 자주대차(14)의 코일 W을 달아올려서, B 위치(대기위치)에 시프트된 빈 선박측 시프터(20)에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다시 싣는 한편, 적하를 부릴 때에는, 코일 W을 싣고 B 위치(대기위치)에 시프트된 선박측 시프터(20)의 코일 W을 달아올려서, B 위치에 주행된 빈 자주대차(14)에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다시 싣는 것이다.
상기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 9B)에는, 선박(1)의 너비 방향으로 신장하는 주행빔(21A), (21B)가 각각 설치되고, 이 각 주행빔(21A, 21B)의 양단부는, 기대(6)의 건물지주(11)에 설치된 레일(22a)과 안벽(4)의 지주(23)에 설치된 레일(22b)에서, 선박(1)의 길이 방향으로 주행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주행빔(21A, 21B)은, 레일(22a, 22b)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각 주행빔(21A, 21B)도, 트러스 부재(10)와 동일하게 선박(1)의 마스트보다도 낮고, 선창해치 상부를 비켜갈 정도의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레일(22a, 22b)은, 트러스 부재(10)를 경계로 하여 전방과 후방으로 분할되고, 후방레일(22a, 22b)에서 주행빔(21A)가 지지되고, 전방레일(22a, 22b)에서 주행빔(21B)이 지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 9B)를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하면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보다도 전방의 선수측의 쌓기 위치와, 후방의 선미측의 쌓기 위치에 코일 W를 쌓거나, 각 쌓기 위치에서 코일 W를 실어낼 수 있고, 하역 능력이 더욱 향상하지만, 예를들면 후방의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만으로도 좋다.
또한,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 9B)는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후방의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만을 설명한다.
제20도 및 제21도에 표시와 같이 상기 주행빔(21A)에는 주행기구(모터)(24)가 설치되는 한편, 이 주행빔(21A)에는 횡행빔(25)이 횡행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횡행빔(25)에는 횡행기구(모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횡행빔(25)에는 승강로드(27)가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승강로드(27)에는 승강기구(모터)(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로드(27)의 하단에는, 코일 W 의 중심구멍을 거는 매달기도구(29)가 선회가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승강로드(27)에는 선회기구(모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달기도구(29)는, 각 기구(24, 26, 28, 30)에 의하여 주행, 횡행, 승강, 선회되어, 대기 위치와 선박 내의 쌓기 위치와의 사이에서 코일 W을 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또한, 매달기도구(29)가 포크식의 것이면, B 위치(대기위치)의 선박측 시프터(20)에 코일 W을 싣는다거나, 동 위치의 시프터(20)에서 코일 W을 달아 올린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텅(tongue)식의 경우에는, 선박측 시프터(20)를 시프트 시켜서, 그 시프트 위치를 대기 위치로 하면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면, 하역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선박(1)이 착안후에, 안벽(4)의 달아올림 장치(크레인등)로, 안벽(4)의 소정 위치에 놓여 있는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트러스 부재(10)을 달아올려서, 기대(6)의 건물 지주(11)의 지지대(12)와 안벽(4)의 지주(13)에 부착시킨다. 다음에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의 주행빔(21A)을 달아올려서, 레일(22a, 22b) 위에 장착한다.
그리고, 코일 W을 실은 안벽측 대차(17)를 A 위치로 주행시키고, 이어서,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달아올림 장치(16)로 코일 W을 달아 올리고, A 위치로 주행시킨 빈 자주대차(14)에 코일 W을 매달아 다시 싣는다.
그후, 자주대차(14)를 B 위치로 주행시켜, 이어서 달아올림 장치(19)로 코일 W을 달아올려, B 위치(대기위치)에 시프트된 빈 시프터(20)에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다시 싣는다. 그리고 쌓기/ㅊ(9A)의 주행빔(21A), 횡행빔(25), 승강로드(27), 매달기도구(27)를 각기구(24, 26, 28, 30)에 의하여, 주행, 횡행, 승강, 선회시키고, 먼저, 매달기도구(27)를 시프터(20)에 실린 코일 W의 중심구멍에 걸어서 코일 W을 달아올리고, 이어서 선박내의 쌓기 위치로 이동시키고, 매달기도구(27)에 의하여 코일 W을 매달아 내려 코일 W의 중심구멍에서 빼내면 코일 W의 하적 1 사이클이 완료한다.
이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코일 W의 하적 작업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하적 작업이 종료하면, 안벽(4)의 달아올림 장치로 집어넣기/들어내기설비(8)의 트러스 부재(10)와,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의 주행빔(21A)을 해체하여 안벽(4)의 소정 위치에 둔다.
또한,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에 의한 코일 W의 이동은 비교적 단시간에 실시될 수 있음에 비해서,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에 의한 코일 W의 이동은, 쌓기 위치가 광범위하며, 겹쳐쌓기에 시간이 걸리므로, 본예와 같이 2대 설치하여 서로 교대로 코일을 이동시키도록 하면,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에 의한 코일 W의 이동의 시간 손실이 반감한다.
한편, 짐부리기 작업을 하는데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 즉, 쌓인 위치의 코일 W을 쌓기/실어내기 설비(9A)로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고, 대기위치의 코일 W을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로 안벽측 대차(17)상에 이동시키는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코일 W의 짐부리기 작업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짐부리기 작업도 짐싣기 작업과 동일하게, 2대의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 9B)를 사용하면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에 의하여 코일 W의 이동의 시간 손실이 반감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와 선내 쌓기/실어내기 설비(9A, 9B)에 의하여, 선적 작업에 있어서 집어넣기 쌓기 작업이, 짐부리기 작업에 있어서는, 들어내기, 실어내기 작업이, 각각 동시 병행적으로 실시될 수 있고, 각 설비(8, 9A, 9B)에 의하여 하역 사이클 타임이 대폭으로 단축되어 하역 능률이 향상한다.
또한, 각 설비(8, 9A, 9B)는 선박(1)의 선창해치 상부를 비킬 정도의 높이로 병설할 수 있기 때문에, 선박(1)의 마스트를 비키기 위하여 높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코일 W의 매다는 길이가 짧고, 또한 짐의 흔들림이 생기기 어렵고, 안정성이 향상되고 작업손실도 적어진다.
또, 각 설비(8, 9A, 9B)는 낮아도 좋기 때문에 전천후 버스(5)의 건물 전체를 낮게 할 수 있고, 설비비도 저감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은, 적하의 선적, 양륙을 안벽측대차(17)와 적하의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달아올림 장치(16)와의 사이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대차(17)를 선적대기 위치 A에 정확히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대차(17)의 정지 위치의 위치맞춤을 정확하게 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위치 결정을 위한 전용의 조작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 선적 대기 위치 A 에는, 하나의 대차(17)밖에 정지할 수 없으므로, 하역 작업이 완료한 대차(17)가 선적 대기 위치(A)에서 물러나기 까지, 다음의 대차(17)가 선적 대기 위치 A로 이동할 수 없고, 그 결과, 하역 능률이 저하한다거나, 다수의 대차(17)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비가 많이 들고, 보수관리가 번거롭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대차(17)가 차례로 선적 대기 위치 A로 이동해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17)의 선적 대기 위치 A의 이동로는 왕로(往路) 전용의 이동로와 복로(復路) 전용의 이동로를 필요로 하고, 이 때문에 그렇지않아도 좁은 안벽 공간을 더욱 좁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레인의 사이클 타임은, 횡주행 작업보다도, 감아올리기, 감아내리기 작업에 많은 시간을 허비하는데,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의 크레인(16)은, 이전과 동일하게 안벽상의 코일 W를 선적 가능한 높이 위치까지 감아올려야하고, 이 때문에 크레인 자체의 사이클 타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각빔(10, 21A, 21B)은 선창해치 상부를 비킬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므로, 배가 착안한 뒤에, 전체를 장착하고, 배가 안벽에서 떨어질때에는, 그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있고, 그 설비의 장착,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걸리게 되는 동시에, 설비 전체가 대형이고, 또한, 대중량이기 때문에, 장착 해체를 위한 전용 설비를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창안된 것이고, 대차측(17)과 선적 하역 장치측과의 사이에 버퍼 기능부를 설치함으로써, 선적 하역 장치에의 적하를 받고 내주는 것을 항상 일정한 조건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대차(17)가 대기 상태가 되는 것을 극력 적게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역 방법은, 적하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57)가 설치된 안벽(4)에 배치되고, 또한, 적하를 탑재하는 이송판(42)과 상기 반송 장치(57)와 이송판(42)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기(45)를 구비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상기 안벽(4)의 정점에 배치하고, 상기 이송판(42)을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시키고, 상기 이송판(42)과 안벽 크레인(52) 등의 선적 하역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이송을 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적 하역 방법은,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32)의 전단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이송판(42)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기(45)를 상기 본체 프레임(32)상을 전후 방향으로 자주(自走) 이동하도록 배치하여, 안벽 크레인(52) 등의 선적 하역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이송판(42) 바로 위에의 복귀 이동동작 및, 상기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상기 적하의 주고받기 동작을 자동운전으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의 하역 중계 장치(31)는, 적하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57)가 설치된 안벽(4)에 설치되고,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32)의 전단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이송판(4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32) 위를 전후 방향으로 자주이동하여, 상기 반송 장치(57)와 이송판(42)과의 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기(45)를 가져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체 프레임(32)을, 본체부(35)와 연출부(36)로 구성하고, 이 본체부(35)는, 내부에 반송 장치(57)와의 사이에서 직접 적하 W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내장 스키드(38)을 가지며,
상기 연출부(36)는, 상기 본체부(35)의 전방에 일체로 설치됨과 동시에, 전단에 이송판(42)이 높이 조정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이 본체 프레임(32)상에, 이송기(45)의 이동통로를, 상기 내장 스키드(38)에서 이송판(42)에 이르는 거리에 걸쳐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체 프레임(32)위를 전후로 자주이동하는 이송기(45)의 대차본체(46)의 전단부에, 적하를 착탈이 자유롭게 매달아서 승강하는 매달기도구(49)를 갖는 리프터(47)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체 프레임(32)의 본체부(35)의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부분을 양측 쪽으로 개방하여, 상기 내장 스키드(38)을 문형(門型)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32)의 양측에서 반송 장치(57)에 있어서의 해안 출발 대차(55)의 자대차(子台車)(59)가 적하 W를 탑재한 상태에서 출입이 자유롭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앙을 개방한 장방형테 형상의 승강 지지체(41)를 본체 프레임(32)의 연출부(36)의 전면에, 이 연출부(36)의 전면의 좌우 양측의 상하단에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40)에 의하여, 직립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 이송판(42)을 한쪽 지지된 모양으로 고정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작용을 뒤에 상세히 설명하는 제15도 제1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착안(着岸)한 배(1)에 대해서, 적하의 선적, 양륙을 행함에 있어서는, 우선 이송판(47)이 배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도록, 하역 중계 장치(31) 전체를 위치시킨다.
하역 중계 장치(31)를 안벽(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케 한 경우에는, 밀물 썰물 상태나, 배(1)의 적하의 적재 상태등에 맞추어서, 배(1)에 대한 장치 전체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하역 작업의 안정성을 높히게 된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이송판(42)은, 그 자체 적하를 탑재하여 이동하지 않고, 다만, 적하를 일시적으로 탑재 유지하는 것 뿐이므로, 배에 대해서 더욱 접근하여 위치하게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용이하고, 그러므로, 배에 대해서 충분히 바로 가까이에서, 안벽 크레인(52)과의 적하의 주고 받기를 하는 것이 유리한 장소에 위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이송판(42)을 선창내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적하의 매달기, 달아올리기 양이 대폭으로 적어진다.
하역 중계 장치(31)를 안벽(4)의 정점에 배치함으로써, 이송판(42)도 안벽(4)의 정점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 이송판(42)의 안벽(4)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 그리고 높이 방향의 위치 정보를 안벽 크레인(52)의 동작 제어부에 사전에 입력해 놓는다.
안벽 크레인(52)은, 배(1)의 해치를 비켜갈 수 있는 안전한 높이가 된 상태에서, 이송판(42)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이송판(42)의 바로 위에 자동으로 복귀이동하여 위치하고, 이어서 동일하게 이송판의 위치정보에 따라서, 이송판(42)과의 적하의 주고 받기를 자동으로 행한다. 안벽 크레인(52)의 이송판(42)의 바로 위 위치에서 배(1)의 위쪽으로의 이동및 안벽 크레인(52)과 배(1)와의 적하의 주고 받기는 선내에 있어서의 적하를 놓는 장소의 인식 및 선내에의 착상(着床)이 자동으로는 곤란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행한다.
이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32)위를 자주이동하는 이송기(45)에 의하여, 안벽(4)측의 선적 대기 위치 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에서의 적하의 옮겨싣기를 한다. 또, 이 이송기에 의한 선적 대기 위치 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적하의 옮겨싣기와는 따로 이송판(42)과 배(1)와의 사이의 안벽 크레인(52) 등의 선적 하역 장치에 의한 적하의 주고 받기가 행하여 진다.
이 때문에 선적 대기 위치 A에서의 적하의 옮겨 싣기가 완료된 해안 출발 대차(55)는, 이송판(42)과 배와의 사이의 적하 주고 받기 작업에 속박됨이 없이, 즉시 적하의 이송작업에 종사할 수 있다.
동일하게, 안벽 크레인(52)등의 선적 하역 장치에 의한 이송판(42)과 배(1)와의 사이의 적하의 주고받기 작업은, 해안 출발 대차(55)의 적하 반송작업에 속박되는 적이 없이 행할 수 있다.
다음에 제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본체 프레임(32)에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경우는, 이 내장 스키드(38)가 대기위치 A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대기 위치 A와 이송판(42)이 일체적으로 취급되고, 이송기(45)에 의한 대기위치(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적하인 코일 W의 옮겨 싣기 작업을 원활하고 간단하게 그리고 정밀도 좋게 달성할 수 있다.
이송기(45)를, 대차본체(46)의 전단부에 리프터(47)를 장착하여 구성한 경우에는, 리프터(40)에 의한 적하의 달아올리기, 달아내리기 동작과, 대차본체(46)의 자주이동 동작만으로, 대기 위치 (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적하의 옮겨싣기를 달성할 수 있고, 또 대기위치 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에 높이 위치의 차가 있어도, 이 높이 위치의 차에 하등의 영향받지 않고, 대기위치 A와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적하의 옮겨싣기 작업을 지장없이 달성할 수 있다.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본체 프레임(32)부분을, 좌우 양측 쪽으로 개방한 경우에는 1대의 하역 중계 장치(31)를 2개의 반송 장치(제5도의 부호 57)의 자대차 (제8도의 부호 59)에 대응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하역 중계 장치(31)를 대기 상태로 하게 하지 않고, 거의 연속 가동시킬 수 있다.
이송판(42)을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 한쪽으로 지지된 상태로 고정설치한 경우에는, 이송판(42)이 본체 프레임(32)의 전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이송판(42)에 대한 주고 받기가 하기 쉬어진다.
[실시예]
이하, 적하로서 강판의 코일을 취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1)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1도는 전체 측면도, 제2도는 전체 평면도, 그리고, 제3도는 전체 정면도이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본체 프레임(32)은, 안벽(4)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부설된 이동용 레일(33)위를, 차륜(34)에 의하여 자주이동할 수 있는 본체부(35)와, 이 본체부(35)의 전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나오도록 설치된 연출부(36)로 구성되고, 이 본체 프레임(32)상에는 대략 전장에 걸쳐 이송레일(37)이 부설되어 있다.
본체부(35)의 다소 앞으로 치우친 중앙부 내부에는, 문형의 내장 스키드(3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본체부(35)의 양측쪽은 개방되어 있는 동시에, 본체부 바닥면에는 본체부(35)의 전너비 범위에 걸쳐서 출입레일(39)이 부설되어 있다.
연출부(36)는, 본체부(35)의 전단에서 기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고, 기립부를 설치함으로써, 연출부(36)의 전면은 높이 방향의 길이가 커게 되어 있다.
연출부(36)의 전면의 좌우 양측의 상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40)에 의하여, 중앙부를 개방한 직립 장방형테 형상을 한 승강 지지체(41)가 좌우에서 끼우는 형태로 승강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이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 코일 W의 수용대로서 기능하는 이송판(42)이 한쪽 지지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승강 지지체(41)의 한쪽의 세로 트러스에, 연출부(36)의 전면에 마주하는 측으로, 세로방향을 따라서 일정간격으로 잠금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그리고, 연출부의 전면에 이 잠금구멍에 끼워넣어 걸어 맞춤하여, 승강 지지체(41)를 연출부(36)에 대해서, 일정한 높이로 잠그는 잠금핀(43)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 레일(37)위에, 차륜(44)을 통해서, 자주이동 가능하게 얹어놓은 이송기(45)는, 하면에 차륜(44)을 설치한 대차본체(46)와, 이 대차본체(46)의 전단부에, 전방으로 연출한 형태로 장착된 리프터(47)와, 대차본체(46)의 후반부에 설치된 구동부(48)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48)는, 리프터(47)의 구동부분과, 대차본체(46)의 자주구동부분과, 그리고, 각각의 제어부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리프터(47)가 구비하고 있는 확축식 텅인 매달기도구(49)는, 구동부(48)에 의하여 권취되고, 풀려지는 와이어(50)의 선단에 매달린 모양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송기(45)는, 그 후퇴끝 위치에서, 매달기도구(49)를 내장 스키드(38)의 바로 위, 즉 벽안(4)측의 선적 대기 위치 A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전진 끝 위치에서 매달기도구(49)를 이송판(42)의 코일 탑재부의 바로위에 위치시키도록, 그 이동 끝이 설정되어 있다.
또, 이송판(42)의 높이 설정은, 전진 끝 위치에 위치한 이송기(45)의 리프터(47)에 의해, 이송판(42)과 승강 지지체(41)와의 일체물을 승강 변위시켜서, 원하는 높이위치가 된 곳에서, 잠금핀(43)으로 그 높이 위치를 고정하여 설정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전천후형 버스 내에 설치한 경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전천후형 버스(5)는 안벽(4)에 건물(51)을 세움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건물(51)내의 천정부근에 설치된 선적 하역 장치인 안벽 크레인(52)은, 이 전천후 버스(5)에 출입하는 배(1)의 마스트 상부를 비킬 정도의 높이 위치로,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너비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또한 안벽(4)을 따라서, 즉 배(1)의 긴쪽 방향을 따라서 자주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벽 크레인(52)은 종래부터의 일반적인 천정 크레인과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고, 주체부분인 트러스에, 확축텅등의 매달기도구(53)를 승강가능하게 조립한 매달기도구(54)를 이 트러스를 따라서 자주이동가능으로 장착하여 구성해도 좋다.
하역 중계 장치(31)가 전진 끝 위치까지 전진한 상태에서는, 이송판(42)은 배(1)의 선창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제4도에 표시와 같이 이 이송판(42)을 선창내에 위치시킬 수 있고, 또 밀물 썰물 상태나, 배(1)의 적하의 적재 상태등에 의하여, 선창해치 상부가 연출부(36) 및 이송판(42)에 충돌한 위험이 있을 때에는, 제6도에 표시와 같이, 하역 중계 장치(31)를 이송판(42)이 배(1)의 측근에 위치할 때까지 후퇴시킨다.
또한, 선적 하역 이 없는 경우에는, 제7도에 표시와 같이, 하역 중계 장치(31)를 후퇴끝 위치인 대기 위치까지 후퇴시킨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양측 측근에는, 반송대차(55)와 해안 출발로(56)로 구성되는 반송 장치(5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해안 출발로(56)와 이동용 레일은 평행이고, 그러므로 반송대차(55)는, 하역 중계 장치(31)의 내장 스키드(38)에 측방향에서 마주대할 수 있게 된다.
반송대차(55)는 제8도 내지 제10도에 표시와 같이, 어미대차(58)와 자대차(59)로 구성되어 있다.
어미대차(58)의 프레임(60)상에, 코일 W를 얹어 놓는 1쌍의 문형수용대(61)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 대차 프레임(60)상에, 반송로(56)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자대차 레일(62)이 설치되어 있고, 자대차(59)가 자대차 레일 상을 자유롭게 자주(自走)하게 탑재되어 있다. 자대차(59)의 프레임(63)에, 한쌍의 플런저(plunger;64)에 의하여 승강하는 승강 수용대(6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문형 수용대(61)의 코일 수용 부분사이에, 자대차(59)의 승강 수용대(65)가 출입이 자유로운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코일 W의 안벽 창고(66)를 포함하여 설치된 전천후 버스(5)에 설치한 경우의 전체 배치 평편 구성을 나타낸다. 안벽 창고(66)에 부설된 2개의 평행한 반송로(67, 68)에 직교하여 해안 출발로(56)의 한쪽단이 위치되어 있다.
해안 출발로(56)의 육지 측단부와, 안벽(4)측의 이송로(67)와의 측근에, 2개의 크로스 스키드(6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양 해안 출발로(56)의 육지측단부 측가까이에는, 복수 병렬로 나열된 3군의 반출 스키드(70)가 설치되어 있고, 반출 스키드(70)는 해안 출발 대차(55)와의 사이에서 코일 W의 주고 받기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양 이송로(67, 68)의 크로스 스키드(69)에 마주대한 장소에, 접속 스키드(7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접속 스키드(71)를 중계함으로써, 육지측의 이송로(67)의 이송대차(72)에서 안벽측의 이송로(68)의 이송대차(72)에 코일 W을 옮겨 실을 수 있다.
안벽측의 이송로(68)의 이송대차(72)에서, 해안 출발로(56)의 해안 출발 대차(55)에 코일 W을 옮겨 싣는데에는, 크로스 스키드(69)에 직접, 또는 창고내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반출 스키드(70)을 경유하여 행한다.
해안 출발로(56)의 반송끝인 선적 대기 위치의 측근에는, 복수 병렬로 해안 출발 스키드(73)가 설치되어 있어서, 해안 출발 대차(55)와 하역 중계 장치(31)과의 사이의 코일 W의 옮겨 싣기 동작의 조정용 버퍼를 형성하고 있다.
해안 출발 대차(55)는, 해안 출발로(56)를 따라서 코일 W의 이송을 어미대차(58)에 코일 W을 탑재하여 행한다. 동일하게, 이송대차(72)는, 이송로(67, 68)을 따른 코일 W의 이송을, 어미대차(58)에 코일 W을 탑재하여 행한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내장 스키드(38), 해안 출발 스키드(73), 크로스 스키드(69), 접속 스키드(71)와의 사이에서의 코일 W의 옮겨싣기는, 자대차(59)에 코일 W을 탑재하여 행한다.
다음에, 크로스 스키드(69), 반출 스키드(70), 접속 스키드(71)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12도 내지 제14도와 같이 창고 건물의 바닥면 또는 안벽(4)에 고정된 베이스(74)의 상면 중앙에, 자대차용레일(75)을 부설하는 동시에 코일 W을 탑재 유지하는 1쌍의 문형새들(76)을 세워 설치하고, 양 문형새들(76)의 마주 대한 단면 사이에는 자대차(59)의 승강 수용대(65)가 출입 자유로운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문형 새들(76)은, 제작 및 장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2개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접속 스키드(71)로는, 자대차용 레일(75)이 형성하는 주행로가, 접속 스키드(71)를 전부 통과할 필요가 있지만, 또 다른 스키드(69, 70, 73)자대차(59)의 주행로는 스키드를 전부 통과할 필요는 없다.
또, 크로스 스키드(69)에서는, 1쌍의 문형 새들(76)을 각각 2분할하고, 이 2분할된 각각의 문형 새들(76)사이에 자대차(59)의 승강 수용대(65)가 출입 가능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자대차(59)의 주행통로를 직교하는 2방향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이들의 주행통로의 교차점이 위치하는 바닥판을 90°회전 변위시킬 수 있는 터너(turner)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역 중계 장치(31)의 내장 스키드(38)도, 접속 스키드(71)와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자대차(59)의 주행로를 형성하는 출입레일(39)은, 본체부(35)의 전 너비 범위에 걸쳐서 전부 통하고 있고, 해안 출발 대차(55)의 자대차(59)가 코일 W을 탑재한 상태로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다음에,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하역 동작의 일례를 제15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역 중계 장치(31)를 이동용레일(39)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배(1)의 착안 상황에 적합한 정위치에 정지시키는 동시에, 이송판(42)의 높이를 하역 에 적합하게 한 위치에 셋트한다.
그리고 이 이송판(42)의 전후 방향(이동용 레일(38)을 따른 방향) 및 좌우 방향 그리고 높이 방향의 위치 정보를 안벽 크레인(52)의 동작 제어부에 입력한다.
이 상태에서, 제15도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반출 스키드(70)상의 코일 W을 해안 출발 대차(55)로, 하역 중계 장치(31)의 본체 프레임(32)내의 선적 대기 위치 A에 반송하고, 이 위치 A에 위치한 코일 W을 하역 중계 장치(31)의 반송기(45)로 이송판(42)위로 이송한다.
이송판(42)상에 코일 W이 얹어 놓이면, 매달기도구(53)를 배(1)의 해치상부를 비킬 수 있는 높이까지 끌어올려 대기하고 있던 안벽 크레인(52)은, 입력된 이송판(42)의 위치 정보에 따라서, 이송판(42)바로 위까지 매달기도구(54)의 이동, 이송판(42)상의 코일 W의 매달기도구(53)에 의하여 걸기 및 배(1)의 해치상부를 비킬 수 있는 안전한 높이 까지의 감아올리기의 각 동작을 자동 운전에 의하여 달성하고, 코일 W을 안전한 높이까지의 감아올린 시점에서 운전을 자동모드에서 수동모드로 전환한다.
코일 W을 달아올린 안벽 크레인(52)은, 수동운전으로, 이송판(42) 바로위 위치에서 배(1)의 선창위로 이동하여, 이어서 매달기도구(53)를 강하시켜서 코일 W을 선적하고, 매달기도구(53)를 안전한 높이 위치까지 감아올리고, 이 시점에서 그 운전을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전환하고, 대기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다음의 하역 작업을 대기한다.
이와 같이, 안벽 크레인(52)을 정점 복귀방식의 자동 운전으로 함으로써, 안벽 크레인(52)으로 안벽(4)에 설치한 복수의 해안 출발 스키드(3)위로부터 직접 하역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서 평균적인 적재량 1000톤급의 화물선인 경우, 하역 작업 시간을 10 30%단축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계선(係船)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이 달성된다.
또, 상기한 종래 방식에 있어서는, 안벽(4)측의 거는 작업과, 배(1)측의 선적 유도 작업에 최저 2명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데에 대해서, 안벽 크레인(52)을 정점 복귀 방식의 자동운전으로 함으로써 배(1)측의 작업자 1명만으로 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표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1〉적하의 선적 및 양륙의 하역 을 제20도와 같이, 안벽측 대차(17)와 집어넣기/들어내기 설비(8)와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는 것이 아니고, 사전에 정위치에 부동으로 배치된 이송판(42)을 중계하여 행하므로, 안벽 크레인(52)에 대한 반송 장치(해안 출발 대차(55))의 정지 위치를 엄격히 설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반송 장치에 대한 제어기능 부분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반송 장치의 조작을 간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2〉적하의 선적 및 양륙을 이송판(42)을 중계점으로 하여, 이 이송판(42)에 적하를 일시적으로 탑재하여, 이송판(42)과, 해안 출발 대차(55)와의 사이의 적하의 옮겨싣기는 하역 중계 장치(31)로 하고, 이송판(42)과 배(1)과의 사이에서의 적하의 주고 받기는 안벽 크레인(52)으로 하기 때문에, 이송판(42)을 중간 버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안 출발 대차(55) 등의 육지측 반송 장치 및 안벽 크레인(52) 등의 배측 하역 장치의 양쪽의 동작이 선적 상황에 구속되는 적이 적어지고, 이에 따라 적하의 하역 을 효율 좋게 달성할 수 있다.
〈3〉안벽 크레인(52)에 의한 적하의 달아올리기, 달아내리기 작업의 양을 대폭으로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하역 작업의 사이클 타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고, 따라서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하역 작업의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4〉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사용하면, 안벽 크레인(52)으로 선내에 적재한 후에는, 매회 정점 복귀를 반복하게 되므로, 안벽 크레인(52)의 운전의 복귀 부분, 및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적하의 주고 받기를 자동화할 수 있고, 안벽 크레인(52)의 운전 제어가 용이해지는 동시에, 안벽 크레인(52)에 의한 하역 작업의 효율 향상을 더욱 높힐 수 있다.
〈5〉본 발명에 의한 하역 중계 장치(31)는, 안벽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설치에 전용의 작업이나, 전용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하역 작업시마다 장착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취급이 간단한 동시에 이미 설치된 안벽 하역 설비에 간단하고 무리없이 조합할 수 있다.
〈6〉안벽 크레인(52)을 정점 복귀 방식으로 반자동 운전함으로써, 계선 시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안벽 측의 하역 작업원을 필요로하지 않기 때문에, 하역 경비의 대폭적인 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Claims (10)

  1. 적하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57)가 설치된 안벽(4)에 배치되고, 또한, 적하를 탑재하는 이송판(42)과, 상기 반송 장치(57)와 이송판(42)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기(45)를 구비한 하역 중계 장치(31)를 상기 안벽(4)의 정점에 배치하고, 상기 이송판(42)을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시켜서, 상기 이송판(42)과 안벽 크레인(52)등의 선적 하역 장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적하를 이송하는 선적 하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32)의 전단에, 높이 조절가능하게 이송판(42)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기(45)를 상기 본체 프레임(32)상을 전후 방향으로 자주(自走) 이동하도록 배치하여, 안벽 크레인(52)등의 선적 하역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이송판(42) 바로 위로의 복귀 이동동작 및, 상기 이송판(42)과의 사이의 상기 적하의 주고받기 동작을 자동운전으로하는 선적 하역 방법.
  3. 적하를 반송하는 반송장치(57)가 설치된 안벽(4)에 설치되고, 상기 안벽(4)에 착안한 배(1)의 선창내 및 그 위쪽을 포함하는 근방에 위치하는 본체 프레임(32)의 전단에, 높이 조정 가능하게 이송판(42)을 설치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32) 위를, 전우 방향으로 자주이동하여, 상기 반송 장치(57)와 이송판(42) 사이에서 상기 적하의 이송을 행하는 이송기(45)를 가져서 이루어지는 선적 하역 중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2)을 본체부(35)와 연출부(36)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부(35)는 내부에 반송장치(57)와의 사이에서 직접 적하의 주고 받기를 행하는 내장 스키드(38)를 가지며, 상기 연출부(36)는 상기 본체부(35)의 전방에 일체로 설치되며 동시에 전단에 이송판(42)이 높이 조정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고, 상기 본체 프레임(32) 상에서 이송기(45)의 이동 통로를 상기 내장스키드(38)에서 이송판(42)에 이르는 거리에 걸쳐 설치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2) 위를 전후로 자주이동하는 이송기(45)의 대차 본체(46)의 전단부에, 적하를 착탈이 자유롭게 매달고 승강하는 매달기 도구(49)를 갖는 리프터(47)를 설치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6. 제3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2)의 본체부(35)의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부분을 양 측방향으로 개방하여, 상기 내장 스키드(38)를 문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32)의 양측에서 반송장치(57)에 있어서의 해안 출발 대차(55)의 자대차(59)가 적하를 탑재한 상태에서 출입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7. 제3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중앙을 개방한 장방형테 형상의 승강 지지체(41)를, 본체 프레임(32)의 연출부(36)의 전면에, 이 연출부(36)의 전면에 좌우 양측의 상하단에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40)에 의하여 직립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 이송판(42)을 한쪽 지지된 형상으로 고정설치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2)의 본체부(35)의 내장 스키드(38)를 설치한 부분을 양 측방향으로 개방하여, 상기 내장 스키드(38)를 문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32)의 양측에서 반송장치(57)에 있어서의 해안 출발 대차(55)의 자대차(59)가 적하를 탑재한 상태에서 출입이 자유롭도록 구성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중앙을 개방한 장방형테 형상의 승강 지지체(41)를, 본체 프레임(32)의 연출부(36)의 전면에, 이 연출부(36)의 전면의 좌우 양측의 상하단에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40)에 의하여 직립 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서 이송판(42)을 한쪽 지지된 형상으로 고정설치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중앙을 개방한 장방형테 형상의 승강 지지체(41)를, 본체 프레임(32)의 연출부(36)의 전면에, 이 연출부(36)의 전면의 좌우 양측의 상하단에 설치한 슬라이드 가이드(40)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승강 지지체(41)의 전면 하단에서 이송판(42)을 한쪽 지지된 형상으로 고정설치한 선적 하역 중계 장치.
KR1019930028869A 1992-12-25 1993-12-21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KR100215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59357 1992-12-25
JP35935792 1992-12-25
JP93-237765 1993-09-24
JP5237765A JP2656896B2 (ja) 1992-09-29 1993-09-24 船積み荷役方法および荷役中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125A KR940014125A (ko) 1994-07-16
KR100215523B1 true KR100215523B1 (ko) 1999-10-01

Family

ID=2653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869A KR100215523B1 (ko) 1992-12-25 1993-12-21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604217B1 (ko)
KR (1) KR100215523B1 (ko)
DE (1) DE6931360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36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포스코 선적 적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04612B (zh) * 2021-03-26 2022-07-29 国能黄骅港务有限责任公司 装船机移舱方法、控制器、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395317A (zh) * 2022-08-30 2022-11-25 武汉科技大学 一种船岸式岸电连接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702962A (nl) * 1987-12-08 1989-07-03 Figee Maschf Inrichting voor het invoeren van stukgoed, in het bijzonder op een pallet geplaatst stukgoed, in een continu werkende transporteu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36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포스코 선적 적치 장치
KR101952022B1 (ko) * 2017-06-22 2019-02-25 주식회사 포스코 선적 적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13604D1 (de) 1997-10-09
EP0604217A1 (en) 1994-06-29
KR940014125A (ko) 1994-07-16
EP0604217B1 (en) 1997-09-03
DE69313604T2 (de) 199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2850B2 (ja) 小口貨物、特にisoコンテナの積換え設備
US4293077A (en)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US5407316A (en) Rapid, compact, high density storage of cargo containers
US4546891A (en) Grappler system for lifting apparatus
JP2019508345A (ja) 高層ラック倉庫における貯蔵品の積入れおよび積出しまたは積替えのための搬送兼引渡しシステム、およびラック操作機
US6551043B2 (en) Loading device for ISO containers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KR100970818B1 (ko) 버퍼 스트래들 크레인
FI117862B (fi) Järjestelmä ja menetelmä varastoinnissa käytetyn kasetin käsittelyyn siirtolaitteen avulla
WO2014193242A1 (en) Container terminal
KR100215523B1 (ko) 선적 하역 방법 및 하역 중계 장치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CN113336103A (zh) 一种港口集装箱水平搬运无人车卸货系统及方法
CN203715193U (zh) 一种储物箱的输送装置
EP0573380A1 (en) Facility for the manoeuvreing of pallets in gantry cranes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DE3837726A1 (de) Verfahren zur verladung von schwergut mit einer schwergut-verladebruecke mit mehr als einer hebe- und senkvorrichtung
US6224314B1 (en) Universal rack loading/unloading system
SK287159B6 (sk) Zariadenie na dopravu a spôsob dopravy vyrobených alebo čiastočne vyrobených vozidiel
JP2000064799A (ja) 隧道構築用覆工材の搬送システム
KR101728117B1 (ko)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US7322786B1 (en) Mobile loader for transfer of containers between delivery vehicles and marine terminal cranes
CN212559161U (zh) 行吊的防晃动结构
CN111747302A (zh) 行吊的防晃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