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425A - 가스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425A
KR20050044425A KR1020047007207A KR20047007207A KR20050044425A KR 20050044425 A KR20050044425 A KR 20050044425A KR 1020047007207 A KR1020047007207 A KR 1020047007207A KR 20047007207 A KR20047007207 A KR 20047007207A KR 20050044425 A KR20050044425 A KR 20050044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housing
combustion chamber
gas generator
filt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7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다마사히로
고다마료이
기시노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4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29Ign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60R2021/264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bustion chambers or sub-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에 형성되어, 연소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3)가 장전되어, 필터재(4)를 갖는 연소실(2)과,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실(2) 내의 가스발생제(3)를 착화연소시키는 점화기(5)와, 상기 하우징(1)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2)과 가스유로(S)를 통해 이 하우징(1)의 내외를 연통하는 가스방출구멍(6)을 갖아 되는 가스발생기이고, 상기 가스유로(S)에 냉각제(21)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스발생기{GAS GENERATOR}
본 발명은, 에어백 등을 팽창시키는 데 적합한 가스발생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온가스의 냉각효과가 뛰어난 가스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충돌시에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급속히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는 가스발생기는 스티어링 휠 내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 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airbag module)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 벨트(seat belt)의 버클(buckle) 내에 설치된 에어백 모듈에 부착되어 에어 벨트용 가스발생기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가스발생기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작동기)으로부터의 통전에 의해서 점화기(스퀴브(squib))를 발화하여, 이 화염에 의해 가스발생제를 연소시켜, 다량의 가스를 급격히 발생시킨다.
최근, 자동차 내의 의장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해서, 가스발생기도 그 형상, 크기에 제한이 부과되게 되어, 가스발생기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발생기는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온가스를 가스발생기 내에 장전되어 있는 필터재에 의해서 냉각하여 방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가스발생기를 소형화함으로써, 고온가스의 냉각효과를 갖는 필터재 자신의 두께도 얇게 할 필요가 발생하여, 방출되는 가스를 충분히 냉각하여 방출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스발생기가 소형화한 경우이더라도,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온가스를 충분히 냉각하여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져, 방출가스의 온도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전화제(40)의 수용용기(41)의 개략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그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필터재(4)의 지지부재(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4b는 그 A-A 선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스발생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어, 연소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가 장전되고, 필터재를 갖는 연소실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실 내의 가스발생제를 착화 연소시키는 점화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과 가스유로를 통해 이 하우징의 내외를 연통하는 가스방출구멍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가스발생기로서, 상기 가스유로에 냉각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가스가, 가스방출구멍으로부터 방출될 때에, 연소실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재와, 가스방출 구멍에 통하는 가스유로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에 의해 충분히 냉각되어 방출된다. 이 때문에, 가스발생기가 소형화된 경우이더라도, 필터재 및 냉각제에 의해서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온가스를 충분히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장척(長尺) 원통 형상을 하고, 상기 점화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측에 상기 가스방출구멍을 선단에 갖는 가스방출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 벨트 내에 가스를 도입하여, 이 시트 벨트를 팽창시키는 에어 벨트용의 가스발생기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이, 점화기와 상기 점화기를 유지하는 홀더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가 점화기를 유지하는 동시에, 점화기로부터의 화염을 강화하는 전화제(傳火劑)를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유지하여, 상기 수용용기가 철(鐵)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화제의 수용용기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철제이기 때문에, 전화제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연소실 내에 장전되어 있는 가스발생제에 효율적으로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강도도 높고, 전화제로부터의 열에 의해서 용이하게 파단(破斷)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수용용기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화염이 방출되어, 화염을 확실하게 연소실 내에 장전되어 있는 가스발생제에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용용기는 상당한 강도가 있으면 어떠한 재질의 것이라도 사용은 가능하고, 철, 스테인레스, 티타늄(titanium)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철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가, 상기 하우징의 타단측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연소실 내에서 발생한 가스의 압력에 의해, 필터재의 위치어긋남을 억제할 수가 있어, 연소실에서 발생한 가스가 확실하게 필터재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링 형상의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다수의 봉(俸) 형상의 제2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필터재가 접촉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발생시의 연소실 내의 압력에 의해, 필터재가 변형한 경우이더라도, 연소실과, 가스방출통 내의 가스유로는 연통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연소실로부터의 가스의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통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가스방출구멍의 내측의 상기 가스유로에 제2 필터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방출통 내의 냉각제로 냉각된 가스를 더욱 확실히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필터재를 장착함으로써, 필터의 두께 등의 조정에 의해 하우징 내의 압력손실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가스발생기의 가스방출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가 상기 가스방출통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유로가 되는 가스방출통의 내벽의 표면적이 커져,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고온가스가, 가스방출통 내에서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는 전술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통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가스방출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온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스방출통의 길이, 즉 가스유로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가스방출통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에 의해, 가스방출통의 내벽의 표면적이 조정되어, 가스방출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온도가 조정된다. 이 때문에, 가스방출통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방출되는 가스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의 제1 실시형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가스발생기(P1)는 주로 에어 벨트의 시트 벨트를 팽창시키기 위한 것으로, 장척 통 형상의 외통(外筒)(8)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과, 하우징(1)의 일단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수단(I)을 구성하는 점화기(5)와, 하우징(1) 내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실(2)과, 연소실(2) 내에 장전되어 있는 가스발생제(3)와 필터재(4)와, 하우징(1)의 타단측에 형성되어, 하우징(1)의 내외를 연통하는 가스방출구멍(6)을 갖는 가스방출통(7)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에어 벨트란 탑승자 시트에 설치되며, 가늘고 긴 자루 형상의 시트 벨트 내에 가스발생기(P1)로부터 방출되는 청정한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이 시트 벨트를 팽창시키는 것이다.
하우징(1)의 일단측은 점화기(5)와 그것을 유지하는 홀더(13)로 구성되는 점화수단(I)이 장착되어 폐쇄되고 있다. 이 홀더(13)는 외통(8) 내의 축단(軸端)측에 끼움삽입되고, 외통(8)의 축단(20)이 내측으로 절곡됨으로써 유지되어, 하우징(1)의 일단측을 폐쇄하고 있다.
하우징(1)의 타단(9)측에는 가스방출통(7)이, 그 외경을 외통(8)의 외경보다도 작게 하여, 외통(8)의 축심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굴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스방출통(7)의 선단에는 가스방출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 내의 연소실(2) 내에는 외통(8)의 타단(9)측으로부터 필터재(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0), 필터재(4), 가스발생제(3), 쿠션재(11, 12)의 순서로 장전되고, 또한 점화기(5)가 콕킹(caulking)고정되어 있는 홀더(13)가 끼움 삽입되어 있다. 연소실(2) 내에서 가스발생제(3)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재(4)를 통과하여 어느 정도 냉각되어, 청정한 가스로서 가스방출통(7)을 통과하여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된다. 이 필터재(4)는 예컨대, 메리야스편 철망, 평직 철망이나 크림프직 금속선재의 집합체에 의해서, 외통(8)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원기둥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 필터재(4)는 하우징(1)의 타단(9)측에 장착되는 지지부재(10)에 접촉하여 장착되어 있다.
가스방출통(7)에는 내벽을 따라서 통 형상의 냉각제(21)가 설치되고, 선단에 가스방출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방출구멍(6)은 가스방출통(7)의 내부의 가스유로(S)를 통해 하우징(1)의 내외를 연통하고 있다. 또한, 냉각제(21)가 내벽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방출통(7)의 내주부의 표면적이 커져, 연소실(2)로부터 필터재(4)를 통과하여 온 가스를 다시 냉각한다. 이 때문에, 이 가스방출통(7)을 길게함으로써, 내주부의 표면적이 커져, 가스의 냉각효과가 향상한다. 이와 같이, 가스방출통의 길이, 즉 가스유로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온도를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냉각제(21)는 압력손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냉각효과를 갖고 있다. 통상 이용하는 필터에서도 냉각효과는 있지만, 냉각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버린다. 냉각제(21)는 이 결점을 보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터(inflator)의 성능에 있어서 초기의 솟아오름(立上)의 성능을 손상하는 일없이 최대압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재(19)가 가스방출구멍(6)의 내측의 가스유로(S)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스유로(S) 내에서 냉각된 가스를,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하기 직전에도 더욱 확실히 냉각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필터재를 장착함으로써, 필터의 두께 등의 조정에 의해 하우징 내의 압력손실을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가스발생기의 가스방출특성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 제2 필터재(19)는 전술의 필터재(4)와 같이, 예컨대, 메리야스편 철망, 평직 철망이나 크림프직 금속선재의 집합체에 의해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익스펜디드 메탈(expanded metal), 펀칭 메탈(punching metal)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이 제2 필터재(19)는 가스방출통(21)의 형상에 의존하지만, 대략 지름 8mm 내지 12mm, 중량 0.7g, 내지 7.0g, 공극율 36% 내지 76%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재(4)는 이것도 하우징(1)의 형상에 의존하지만, 대략 지름 20mm 내지 24mm, 중량 20g 내지 40g, 공극율 38% 내지 6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스방출통(21)은 짧은 경우이더라도 집진효과(가스방출통(8)의 내측벽에 슬러그(slug) 등이 부착하여 집진된다.)를 갖고 있고, 길면 길수록 바람직하고, 가스발생기로서 부착되는 장소의 크기에 의해서 적절하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연소실(2)로부터의 가스를 가스방출통(7)을 통과시킬 때에, 효율적으로 냉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가스방출통(21)은 내경이 9.05mm 내지 9.6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방출통(21)은 길이가 10mm 내지 1OO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제(21)는 가스유로(S) 내의 표면적을 크게 한 것이면 되고, 전술의 필터재(4)와 같이, 예컨대, 메리야스편 철망, 평직 철망이나 크림프직 금속선재의 집합체에 의해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나, 익스펜디드 메탈 또는 펀칭 메탈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냉각제(21)는 가스방출통(21)에 내부에 삽입되는 외경이면 되고, 약 9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께는 두꺼울수록, 냉각효과 및 집진효과가 높게 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의 성능에 있어서 초기의 솟아오름의 성능을 손상하는 일이 없도록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냉각제(21)의 내경부의 단면적이 가스유로(S)의 단면적의 1%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로 되도록 냉각제(21)의 두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발생제(3)는 쿠션재(11, 12)에 의해서, 진동에 의해 분상화(粉狀化)하지 않도록 보호되어 있다. 또한, 가스발생제(3)에 접촉하는 쿠션재(11)에는 점화수단(I)이 되는 점화기(5)로부터의 화염의 위력을 지연없이, 확실하게 가스발생제(3)에 전달하기 위한 십자 형상의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쿠션재(11)의 주위에는 링 형상으로 성형(成型)된 전화제(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전화제(26)는 점화기(5)의 착화에 의한 화염력을 높여, 가스발생제(3)의 착화를 확실하게 한다. 이들 각 쿠션재(11, 12)로서는 실리콘(silicon) 고무나 실리콘 발포체 등의 탄성재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0)는 익스펜디드 메탈이나 펀칭 메탈 등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익스펜디드 메탈 등을 사용하는 경우는, 가스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가스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다수를 적층하여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익스펜디드 메탈 대신에 철망 등을 이용하여도 되며, 또한,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것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점화수단(I)을 구성하는 점화기(5)는 통전발화하는 전기식의 것이 바람직하고, 연소실(2)의 내측으로부터 하우징(1)의 일단측이 되는 홀더(13)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점화기(5)는 쿠션재(12)를 관통하여 연소실(2)측에 돌출하고 있다. 이 점화기(5)는 충돌 센서로부터의 충돌신호에 기초하여 통전발화되어, 화염을 연소실(2) 내에 분출함으로써, 가스발생제(3)를 강제적으로 착화연소시킨다.
다음에, 가스발생기(P1)의 작동을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P1)는 하우징(1)의 타단(9)측에서 시트 벨트의 버클(buckle) 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충돌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발생기(P1)는 점화기(5)를 통전발화시킨다. 점화기(5)의 화염은 쿠션재(11)를 파열, 개구한 후, 쿠션재(1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화제(26)에 의해서, 화염이 강화되어 연소실(2) 내의 가스발생제(3)를 강제적으로 착화연소시킨다. 이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가스발생제(3)의 착화연소는 하우징(1)의 일단측으로부터 필터재(4)측으로 순차 이행된다.
연소실(2) 내에서의 연소가 진행하여, 연소실(2)이 소정내압까지 상승하면, 연소실(2) 내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재(4) 내에 하우징(1)의 축방향에 유입하여, 여기서 슬러그(slug) 포집과 냉각을 거쳐, 청정한 가스로 된다. 이 청정한 가스는 필터재(4)의 지지부재(10)를 통과한 후, 가스방출통(7)을 통과하여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된다. 가스방출통(7) 내부의 가스유로(S)를 가스가 통과할 때,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21)에 의해서 다시 냉각된다. 또한, 필터재(4)로 포집할 수 없던 가스 중에 잔존하고 있는 슬러그는, 가스방출통(7)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21)에 부착하여 포집된다. 또한, 가스방출구멍(6)의 앞에 장착되어 있는 제2 필터재(19)에 의해서, 가스유로(S)를 통과하여 온 가스는, 더 확실히 냉각 및 슬러그 포집된다.
이에 의해,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되는 충분히 냉각된 청정한 가스는, 에어 벨트의 시트 벨트 내에 직접 도입되어, 에어 벨트의 시트 벨트는 순간적으로 팽창한다. 또, 이 가스방출통(7)은 외통(8)의 축심과 동일 축심이 아니여도 되고,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되며, 수용되는 시트 벨트의 버클 형상에 맞추어 형성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의 제2 실시형태를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발생기(P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P1)와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발생기(P2)는, 하우징(1)의 일단에 장착되어 있는 점화수단(I)과, 타단(9)측 내에 장착되어 있는 지지부재(10)가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발생기(P1)와 다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점화수단(I)은 점화기(5)를 유지하는 홀더(13)와, 이 홀더(13)에 점화기(5)와 함께 유지되는 전화제(40)를 수용하는 수용용기(4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의 일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전화제(40)를 수용하는 수용용기(41)는 예컨대, 열전도성이 뛰어난 철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용기(41)는 1개 또는 다수의 구멍(42)이 형성된 저반(底盤)(43)과, 저반(43)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통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측통부(44)와, 측통부(44)로부터 수직하게 면방향으로 넓어지는 플랜지(flange)부(45)로 구성되어 있다. 수용용기(41)가 열전도성이 뛰어난 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제(40)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전도성이 뛰어나, 연소실(2) 내에 장전되어 있는 가스발생제(3)를 효율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 이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제의 것은 강도가 낮고, 전화제(40)로부터의 열 에너지에 의해서 용이하게 찢어지기 때문에, 전화제(40)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방사방향이 일정하게 되지 않는 우려가 있었다. 그런데, 철제의 것은 알루미늄제의 것에 비해 강도가 높고, 철제의 것은 구멍을 설치함으로써, 전화제(40)로부터의 열 에너지의 방향성을 안정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전화제(40)로부터의 열 에너지를 확실하게 연소실(2) 내로 향하게 할 수 있어,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가스발생제(3)를 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저반(43)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2)은 1개 내지 6개인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구멍의 지름은 2mm 내지 12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하는 전화제(40)의 양은, 0.1g 내지 0.6g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1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링 형상의 제1 부재(10a)와, 이 제1 부재(10a)로부터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다수의 봉 형상의 제2 부재(10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부재(10b)가 필터재(4)와 접촉하여, 필터재(4)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 형상의 제1 부재(10a) 만으로 필터재(4)를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봉 형상의 제2 부재(10b)에 의해서 필터재(4)를 지지함으로써, 연소실(2) 내의 압력이 높아져, 필터재(4)가 변형한 경우라도, 가스의 흐름이 저해되지 않고, 가스가 확실하게 필터재(4)를 통과하여, 필터재(4)를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지지부재(10)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부재(10b)는 봉 형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봉과 봉의 사이에는, 공간이 필요하고, 이 공간이 가스의 유로가 되어, 필터(4)가 유효하게 활용된다. 봉 형상 부분이 이어져 원형으로 된 것에서는, 이 공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효과가 없어진다. 이 지지부재(10)에 설치되어 있는 봉 형상의 제2 부재(10b)의 개수는 다수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필터재(4)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는 6개가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가스발생기의 제3 실시형태를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발생기(P3)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P1) 및 도 2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P2)와 동일부재는 동일부호를 붙이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있어서, 가스발생기(P3)는 운전석용 에어백을 팽창전개시키는 것으로, 단척(短尺) 원통 형상의 하우징(1)과, 하우징(1) 내를 상하 2개의 연소실(2a, 2b)로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칸막이 부재(15)와, 각 연소실(2a, 2b) 내에 각각 장착되는 필터재(4a, 4b)와, 각 연소실(2a, 2b) 내에 장전되어 있는 가스발생제(3)를 각각 독립하여 연소시키는 점화기(5a, 5b)와, 필터재(4a, 4b)를 지지하고, 가스발생제(3)로부터의 연소가스를 통과시키는 다수의 가스통과구멍(22, 23)을 갖는 내통재(24, 25)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상부 용기(30)와 하부 용기(31)를 용접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폐쇄된 구조이다.
상부 용기(30)는 컵(cup) 형상을 하고 있고, 측통부(30b)의 주위에는, 다수의 가스방출구멍(6)이 하우징(1)의 축심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상부 용기(30)의 뚜껑부(30a)의 내측에는, 그 내면을 따라, 접시형의 뚜껑부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뚜껑부재(32)는 하우징(1) 내를 상하로 칸막이 하는 칸막이 부재(15)와 용접되어, 연소실(2a)을 구획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상부 용기(30)의 측통부(30b)의 내주에는 가스방출구멍(6)으로 통하는 가스유로(S)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통부(30b)의 내벽을 따라, 냉각제(21)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15)는 대략 컵(cup) 형상을 하고 있고, 저부(15a)에는, 하우징(1)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볼록부(33) 및 구멍(34)이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15)의 측통부(15b)에는, 둘레 방향에 걸쳐 다수의 오리피스(14)가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 부재(15)의 측통부(15b)의 외주와 상부 용기(30)의 측통부(30b)의 내주와의 사이에는 고리 형상의 가스유로(S)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통부(15b)의 내주측에는, 고리 형상 공간(S1)이 형성되고, 또한 그 내주측에, 내통재(24) 및 필터재(4a)가 배치되고, 연소실(2a)이 형성되어 있다. 연소실(2a) 내에는 가스발생제(3)가 장전되어 있다. 필터재(4a)는 칸막이 부재(15) 및 뚜껑부재(32)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5, 36)에 의해서, 내주측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다. 이 돌기(35, 36)는 필터재(4a)의 위치 결정을 행함과 동시에, 가스발생제(3)가 연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필터재(4a)와 칸막이 부재(15) 및 뚜껑부재(32) 사이를 통과시키지 않고서, 모두 이 필터재(4a)를 통과시키는 역할도 한다.
내통재(24)는 예컨대, 다공금속판(punching metal)이나 익스펜디드 메탈 등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成形)하여 제작된다. 이 내통재(24)는 필터재(4a)의 외주에 장착되어, 칸막이 부재(15)로부터 뚜껑부재(32) 근방까지 연장하고 있다. 또한, 내통재(24)에는, 필터재(4a)를 통과하여 온 가스가 통과하는 다수의 가스통과구멍(22)이 설치되어, 연소실(2a)과 공간(S1)을 연통하고 있다.
하우징(1)의 하부 용기(31)는 하부 뚜껑부(31a)와, 하부 뚜껑부(31a)로부터 상부 용기(30)측을 향해 연장되는 측통부(31b)와, 측통부(31b)로부터 직경 외측을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부(31c)로 이루어진다. 이 플랜지부(31c)에 에어백 모듈(에어백, 백 커버 등으로 이루어진다)의 리테이너 등(도시생략)이 부착된다. 하부 뚜껑부(31a)에는, 축심으로부터 편심하여 구멍(51, 52)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용기(31)의 측통부(31b)의 내주측에는, 공간(S3)이 형성되고, 또한 그 내주측에, 내통재(25) 및 필터재(4b)가 배치되고, 칸막이 부재(15)의 하부측에 연소실(2b)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재(25)는 전술한 내통재(24)와 같이 예컨대, 다공금속판(punching metal)이나 익스펜디드 메탈 등을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되어, 필터재(4b)를 통과하여 온 가스가 통과하는 다수의 가스통과구멍(23)이 설치되어, 연소실(2b)과 공간(S3)을 연통하고 있다.
필터재(4b)와 칸막이 부재(15) 사이에는, 링 형상의 칸막이 판(5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칸막이 판(50)은 상부 용기(30)의 단부 및 칸막이 부재(15)의 저부(15a)와 접하여, 상부 용기(30)의 측통부(30b)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유로(S)와, 하부 용기(31)의 측통부(31b)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S3)을 칸막이 하고 있다. 이 칸막이 판(50)에는, 가스유로(S)와 공간(S3)과의 사이에 연통하는 다수의 오리피스(16)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용기(31)의 하부 뚜껑부(31a)에 설치된 구멍(51, 52)에는, 각각 단척 내통(53, 54)이 설치되어 있다. 단척 내통(53, 54)은 구멍(51, 52)에 각각 용접됨과 동시에, 단척 내통(53)은 상부에 설치된 콕킹 돌기(45)에 의해서 칸막이 부재(15)에 콕킹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단척 내통(53, 54)에는, 각각 점화기(5a, 5b)가 장착되어 있다. 점화기(5a, 5b)는 각각 단척 내통(53, 54)에 설치된 콕킹 돌기(44, 46)에 의해서 콕킹 고정되어 있다.
각 점화기(5a, 5b)는 리드핀(17, 18)과 도시하지 않은 외부 커넥터를 연결하여, 각 점화기(5) 내에 수납되어 있는 전교선(電橋線)에 통전하여, 각 점화기(5) 내에 수납되어 있는 착화약을 발화시키는 핀형 스퀴브를 이용하고 있다.
또, 각 점화기(5)는 핀형 스퀴브 외에, 피그 테일(pig tail)형 스퀴브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피그 테일형 스퀴브는 각 리드 핀(17, 18)을 대신하여 리드선으로 한 것으로, 각 리드 선을 하우징 외측에 인출하여, 그 선단에 가스발생기측 커넥터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가스발생기측 커넥터를 차량측 커넥터에 접속함으로써, 도시 생략하는 가스발생기의 제어부(작동기)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발생기(P3)는 스티어링 휠 내에 장착된 에어백 모듈에 부착된다. 그리고, 가스발생기(P3)의 각 점화기(5a, 5b)는 도시 생략하는 차량측 커넥터에 각각 접속되어, 제어부에 접속된다.
제어부는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센서(가속도 센서)와, 각 점화기(5a, 5b)에 통전하는 승압회로(昇厭回路)와, 백업 콘덴서(backup condenser)와, 스퀴브(점화기) 구동회로로 구성되며, 마이크로컴퓨터로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부에 접속된 가스발생기(P3)는 충돌 센서가 자동차의 충돌을 검출함으로써, 먼저 점화시키는 점화기(5b)에 접속되어 있는 스퀴브 구동회로에 의해서 점화기(5b)만이 작동(통전발화)하여, 연소실(2b) 내의 가스발생제(3)를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실(2b) 내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재(4b) 내에 유입하여, 여기서 슬러그 포집과 냉각을 거쳐 내통재(25)에 설치되어 있는 각 가스통과구멍(23)으로부터 가스통과공간(S3) 내에 유입하여, 체류한다. 그리고, 공간(S3) 내에 유입한 가스는 균일하게 분산된 후, 각 오리피스(16)를 통과하여, 가스유로(S) 내에 방출된다. 가스유로(S) 내에 방출된 가스는 상부 용기(30)의 측통부(30b)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21)에 의해 다시 냉각된다.
이것으로서, 연소실(2b)에서 발생한 가스가 오리피스(16)를 통과하여 그 방출량이 제어됨으로써, 연소실(2b) 내의 가스발생제(3)의 연소를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방출량은 오리피스(16)의 구멍 직경, 구멍수에 따라서 제어의 정도가 변한다. 또한, 연소실(2b)에서 발생한 가스가 냉각제(21)를 통과하여 그 방출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연소실(2b) 내의 가스발생제(3)의 연소를 안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방출온도는 냉각제(21)의 양으로 제어의 정도가 변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연소실(2b)의 가스발생제(3)만의 연소이기 때문에, 오리피스를 통과한 가스는 하우징(1)의 측통부에 형성된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하우징(1)의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에어백 내에 방출되어, 에어백은 완만하게 팽창전개를 개시한다.
계속해서, 연소실(2b)의 연소 개시후, 제어부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 제어된 스퀴브 구동회로에 의해 미소시간차를 갖고 점화기(5a)가 작동(통전발화)한다. 그 화염은 연소실(2a) 내에 분출되어, 가스발생제(3)를 연소시킴으로써, 고온가스를 발생시킨다.
연소실(2a) 내에서 발생한 고온가스는 필터재(4a) 내에 유입하고, 여기서 슬러그 포집과 냉각을 거쳐 공간(S1) 내에 유출한다. 그리고, 공간(S1)에 유출한 가스는 칸막이 부재(15)의 측통부(15b)에 다수 설치된 오리피스(14)로부터, 가스유로(S) 내에 유출한다. 가스유로(S) 내에 유입한 가스는 이 가스유로(S) 내에서, 체류하여, 연소실(2b)로부터 방출되어 온 가스와 합류함과 동시에, 측통부(30b)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냉각제(21)에 의해서 다시 냉각되어, 하우징(1)의 측통부(30b)에 설치된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하우징(1)의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에어백 내에 방출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은 각 연소실(2a, 2b)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청정하고, 충분히 냉각된 가스에 의해서 급속한 팽창전개가 이루어진다.
이 결과, 에어백은 전개 초기에서 연소실(2b)에서 발생하여, 오리피스(16)에 의해서 방출량이 제어된 가스에 의해서 완만하게 팽창전개를 개시한다. 그리고, 미소시간 후로부터, 연소실(2a)에서 발생한 가스가 연소실(2b)에서 발생한 가스와 가스유로(S)에서 합류하여, 여기서, 다시 냉각되어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된다.
또, 각 점화기(5a, 5b)의 작동은 점화기(5b)를 먼저 작동시킨 상태로써 설명하였지만, 점화기(5a)를 먼저 작동시켜도 되고, 또, 미소시간차를 갖고 행하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의 충돌형태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된다.
예컨대, 고속도에서의 정면충돌이나 전방충돌과 같이 위험도가 높은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5a, 5b)를 동시에 작동(통전발화)하여, 에어백을 각 연소실(2a, 2b)에서 발생한 다량의 가스로써 급속히 팽창전개시킨다.
또, 위험도가 중간 정도인 충돌에서는, 각 점화기(5a, 5b)를 미소시간차를 갖고 작동(통전발화)하여, 에어백을 전개 초기에서 소량의 가스로 완만하게 팽창전개하고, 미소시간후에 다량의 가스로써 급속히 팽창전개시킨다.
또한, 위험도가 경미한 정도인 충돌에서는, 예컨대 점화기(5b)만을 작동(통전발화)하여, 에어백을 비교적 긴 시간에 걸쳐 소량의 가스로써 완만하게 팽창전개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가스발생기에서는, 각 점화기(5a, 5b)의 작동(통전발화)을 선택함으로써, 발생하는 가스량을 조정할 수 있고, 에어백 팽창전개를 제어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연소실(2a, 2b)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오리피스(14, 16)에 의해서 가스방출량이 제어되고,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되기 전에 일단, 가스유로(S)에서 체류하여, 여기에 설치된 냉각제(21)에 의해서 다시 냉각된 후, 에어백에 방출되기 때문에, 충분히 냉각된 균일한 양의 가스가 방출된다.
또,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에 의하면, 가스발생기가 소형화한 경우이더라도,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서 발생하는 고온가스를 충분히 냉각하여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가스유로의 내벽을 따라 냉각제를 배치함으로써, 가스의 유속에의 영향을 억제하여, 냉각제를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와 같은 정도로, 고온가스를 냉각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 내의 의장의 자유도를 저해하는 일이 없고, 또한, 안정성이 높은 가스발생기로 할 수 있다.

Claims (8)

  1. 하우징(1),
    상기 하우징(1) 내에 형성되어, 연소에 의해 고온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제(3)가 장전되고, 필터재(4)를 갖는 연소실(2),
    상기 하우징(1)에 장착되어, 상기 연소실(2) 내의 가스발생제(3)를 착화연소시키는 점화수단(I), 및
    상기 하우징(1)에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2)과 가스유로(S)를 통해 이 하우징(1)의 내외를 연통하는 가스방출구멍(6)을 가지고 이루어지는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로(S)에 냉각제(coolant)(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이 장척(長尺) 원통 형상을 하며, 상기 점화수단(I)이 상기 하우징(1)의 일단측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1)의 타단(9)측에 상기 가스방출구멍(6)을 선단에 갖는 가스방출통(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I)이 점화기(5)와 상기 점화기(5)를 유지하는 홀더(13)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13)가 점화기(5)를 유지하는 동시에, 점화기(5)로부터의 화염을 강화하는 전화제(40)를 수용하는 수용용기(41)를 유지하고, 상기 수용용기(41)가 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재(4)가 상기 하우징(1)의 타단(9)측에 설치된 지지부재(10)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l0)가 링 형상의 제1 부재(10a)와, 상기 제1 부재(l0a)로부터 중심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다수의 봉 형상의 제2 부재(10b)로 구성되어, 상기 제2 부재(l0b)와 상기 필터재(4)가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통(7)의 선단에 설치된 상기 가스방출구멍(6)의 내측의 상기 가스유로(S)에 제2 필터재(19)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제(21)가 상기 가스방출통(7)의 내벽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방출통(7)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가스방출구멍(6)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스의 온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KR1020047007207A 2001-11-15 2002-11-15 가스발생기 KR20050044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49608 2001-11-15
JPJP-P-2001-00349608 2001-11-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425A true KR20050044425A (ko) 2005-05-12

Family

ID=1916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7207A KR20050044425A (ko) 2001-11-15 2002-11-15 가스발생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78831B2 (ko)
EP (1) EP1454803A4 (ko)
JP (1) JP4176639B2 (ko)
KR (1) KR20050044425A (ko)
CN (1) CN100384664C (ko)
WO (1) WO2003042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03395B2 (en) * 2005-02-10 2010-04-2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having an ignition nozzle
CN100410110C (zh) * 2005-07-11 2008-08-13 北京理工大学 高温燃气快速冷却装置
CN101370575B (zh) * 2006-01-18 2011-09-07 日本化药株式会社 气体传动装置用小型气体发生器和预紧器系统
JP4989916B2 (ja) * 2006-04-27 2012-08-01 株式会社ダイセル 人員拘束装置用ガス発生器
JP2007314050A (ja) * 2006-05-26 2007-12-06 Daicel Chem Ind Ltd 点火器を含む装置
US10717032B2 (en) * 2006-09-21 2020-07-2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US9700825B2 (en) 2006-09-21 2017-07-11 Acs Industries, Inc. Expanded metal filters
JP2008094259A (ja) * 2006-10-12 2008-04-24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7914040B1 (en) 2007-04-27 2011-03-29 Tk Holdings, Inc. Cold gas generating system
US8123878B1 (en) 2007-05-31 2012-02-28 Tk Holdings, Inc. Gas generating system
JP5067045B2 (ja) * 2007-07-04 2012-11-07 マックス株式会社 ガス燃焼式打込み工具
US7857345B1 (en) 2007-07-06 2010-12-28 Tk Holdings, Inc. Valve assembly for gas generating system
US8113542B1 (en) 2008-01-22 2012-02-14 Tk Holdings, Inc. Pressurized gas release mechanism
US7967333B2 (en) * 2008-10-21 2011-06-28 Autoliv Asp, Inc. Inflator with ignition distribution
JP5571043B2 (ja) 2010-12-22 2014-08-1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
CN102226385A (zh) * 2011-05-24 2011-10-26 中国石油集团川庆钻探工程有限公司长庆井下技术作业公司 一种油管电缆桥塞压力发生器
JP5965334B2 (ja) * 2013-02-18 2016-08-03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JP6219132B2 (ja) * 2013-11-07 2017-10-25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5009705A1 (de) * 2015-07-30 2017-02-02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Gassackmodul, Fahrzeugsicherheits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zum Betreiben eines Gasgenerators
US9744190B2 (en) 2016-01-15 2017-08-29 Thomas Tait Continuous gas generator
CN107757953B (zh) * 2016-08-19 2021-02-12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低冲击的火工分离装置
JP6946097B2 (ja) 2017-07-21 2021-10-06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CN109177912B (zh) * 2018-10-17 2023-09-05 中国工程物理研究院总体工程研究所 单向阀式多级气体发生器
CN111238311A (zh) * 2020-03-25 2020-06-05 河南羽流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红外诱饵用固体燃气发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7882A (en) * 1972-07-27 1975-04-15 Talley Industries Gas generating device
US3972545A (en) * 1975-03-10 1976-08-03 Thiokol Corporation Multi-level cool gas generator
DE4009551A1 (de) * 1990-03-24 1991-09-26 Bayern Chemie Gmbh Flugchemie Beifahrer gasgenerator
DE4121039C2 (de) * 1991-06-26 1995-08-17 Rudolf Reiter Gasgenerator als Teil einer Aufprallschutzeinrichtung
JPH0752748A (ja) * 1993-08-23 1995-02-28 Nippon Oil & Fats Co Ltd 冷却捕集フィルタ及びそれを用いたガス発生器
US5716072A (en) * 1996-09-17 1998-02-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irbag gas generator with snap joint connection
JPH10181517A (ja) * 1996-11-06 1998-07-07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ガス発生器
DE19726296A1 (de) * 1997-06-20 1998-12-24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Gasgenerator mit Kühlvorrichtung
US6068290A (en) * 1997-12-23 2000-05-30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Inflator structure
JP4096412B2 (ja) * 1998-08-20 2008-06-04 タカタ株式会社 インフレータアッセンブリ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00198409A (ja) * 1998-11-04 2000-07-18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そのク―ラント
DE19903237B4 (de) * 1999-01-27 2004-02-05 Contec Chemieanlagen Gmbh Gasgenerator
EP1258401B1 (en) * 2000-02-22 2017-10-1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Airbag gas generator
JP2001270418A (ja) * 2000-03-24 2001-10-02 Takata Corp エアベルト装置及びそれ用のバックル
JP2002114126A (ja) * 2000-10-06 2002-04-16 Takata Corp ガス発生装置
JP2002308040A (ja) 2001-02-07 2002-10-23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JP4688357B2 (ja) 2001-07-04 2011-05-25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JP2003011770A (ja) 2001-07-04 2003-01-15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の梱包方法
JP2003146182A (ja) 2001-11-14 2003-05-21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62900A1 (en) 2004-12-30
CN100384664C (zh) 2008-04-30
JPWO2003042010A1 (ja) 2005-03-03
JP4176639B2 (ja) 2008-11-05
EP1454803A4 (en) 2005-02-16
EP1454803A1 (en) 2004-09-08
WO2003042010A1 (fr) 2003-05-22
US7178831B2 (en) 2007-02-20
CN1612820A (zh) 200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44425A (ko) 가스발생기
EP0793587B1 (en) Variable nonazide gas generator having multiple propellant chambers
EP0836563B1 (en) Dual chamber nonazide gas generator
KR100479307B1 (ko) 차량 탑승자용 안전 구속 시스템의 에어백 팽창 장치
US7784829B2 (en) Gas generator for airbag
JP5226853B2 (ja) ガス発生器
WO2000046078A1 (fr) Generateur de gaz
US20050161923A1 (en) Gas generator for airbag
US7055855B2 (en) Gas generator for multi-stage air bag
JP2000296756A (ja) ガス発生器
JP2006111257A (ja) ガス発生器
JPH1191495A (ja) ガス発生器
WO2003070528A1 (fr) Generateur de gaz
JP3891932B2 (ja) ガス発生器
JP4633918B2 (ja) ガス発生器
JP4533524B2 (ja) ガス発生器
JP4970671B2 (ja) ガス発生器
WO2001072560A1 (fr) Générateur de gaz
JP7361660B2 (ja) ガス発生器
JP2023175583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196116A (ja) ガス発生器
JP2003341466A (ja) インフレータ
JP2002362298A (ja) ガス発生器及びそれに用いるフィルター材
JPH0752743A (ja)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器
JPH1178763A (ja) 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