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595A - 연료 분사 밸브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595A
KR20050043595A KR1020040039439A KR20040039439A KR20050043595A KR 20050043595 A KR20050043595 A KR 20050043595A KR 1020040039439 A KR1020040039439 A KR 1020040039439A KR 20040039439 A KR20040039439 A KR 20040039439A KR 20050043595 A KR20050043595 A KR 20050043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yoke
fuel injection
movable iron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427B1 (ko
Inventor
후쿠토미노리히사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43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04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having valves, e.g. having a plurality of valves in series
    • F02M61/10Other injectors with elongated valve bodies, i.e. of needle-valv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리브(17)를 통하여 고정 철심(11)과 요크(16)를 용접에 의해 일체화할 때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에 기인하는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연료 분사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연료 분사 신호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가동 철심(22)은 슬리브(17)와 요크(16)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요크(16)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밸브{FUEL INJECTION VALVE}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로 차량용 엔진에 사용하는 연료 분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도 6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특개2002-3831호 공보)에 나타내여진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자기 통로 부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7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엔진의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에 동작 신호가 보내지면, 코일(13)에 전류가 흐르고, 고정 철심(11), 가동 철심(22), 요크(16),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자기 루프에 자력선(100)으로 도시한 자속이 생기고, 가동 철심(22)은 압축 스프링(14)의 스프링력을 초과하는 전자 흡인력을 받아서 고정 철심(11)측으로 흡인된다.
가동 철심(22)이 고정 철심(11)측으로 흡인됨에 의해, 가동 철심과 일체화된 밸브체(21)도 고정 철심(11)측으로 이동하고, 엔진 내로의 연료 분사가 행하여진다.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17은 요크(16)와 고정 철심(11)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인 비자성의 금속성 슬리브이다.
상기 슬리브(17)는 고정 철심(11)이 끼워들어가는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요크(16)측의 단부 외주에 링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링 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7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슬리브(17)의 단면 형상은 L자 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17)의 링 부는 요크(16)와 맞닿은 상태에서 요크(16)와 용접되고, 슬리브(17)의 원통부는 끼워들어간 고정 철심(11)과 용접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브(17)를 통하여, 고정 철심(11)과 요크(16)의 위치 관계는 고정된다.
또한, 17a는 슬리브(17)의 링 부와 요크(16)와의 용접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17b는 슬리브(17)의 원통부와 고정 철심(11)과의 용접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요크(16)와 고정 철심(11)의 사이에 비자성 금속제의 슬리브(17)를 배치하여, 고정 철심(11)과 요크(16)와의 사이의 자기 리크를 극력 적게 하고, 또한, 요크(16)와 슬리브(17) 사이 및 고정 철심(11)과 슬리브(17)를 용접 접합하여 연료의 실링을 행하고 있다.
특히, 통내 분사용 연료 분사 밸브(즉, 차량용의 연료 분사 밸브)는 밸브체의 응답성을 고속으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슬리브(17)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최소로 할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슬리브(17)의 두께(t)를 극력 얇게 함에 의해, 와전류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2002-3831호 공보(도 1)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슬리브(17)의 두께를 얇게 하면, 슬리브(17)와 요크(16)와의 용접부(17a)는 요크(16)의 자기 통로(즉, 자력선(100)의 통로)에 가깝기 때문에, 용접에 의해 고온화하는 부분이 일부 요크의 자기 통로로 확산하고, 그 부분(즉, 도 7의 파선으로 도시한 반원의 내부)은 자속 밀도가 저하하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으로 된다.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주로 요크(16)의 재질이 되는 전자 스테인리스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 900℃ 이상에서 자속 밀도가 급격하게 저하(예를 들면 900℃에서 자속 밀도가 1.10T였던 것이 950℃에서 자속 밀도가 1,02T로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가동 철심(22)에 발생하는 전자 흡인력도 저하되어 버린다.
연료 분사 밸브를 다량 생산하는 경우, 용접 온도 및 용접 위치의 편차에 의해 자기 특성 변화 부분의 자기 특성도 흐트러지기 때문에, 가동 철심에 발생하는 전자 흡인력에도 편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생산되는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은 제품마다 편차가 매우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도 9는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횡축은 연료 분사 밸브에 인가하는 분사 신호의 구동 펄스 폭(msec), 종축은 1회당의 연료 분사량(㎣)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의 상한과 하한에서는 10% 정도의 편차 폭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슬리브와 요크와의 용접시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에 기인하는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의 연료 분사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 분사 밸브는 연료 분사 신호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형상의 가동 철심, 일단이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화되고, 타단에 밸브 시트부를 마련한 밸브체, 상기 밸브 시트부가 이접함에 의해 개폐되는 오리피스를 갖은 플레이트로 구성된 밸브 장치와, 상기 가동 철심과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통형상의 고정 철심, 상기 가동 철심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요크,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요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비자성 금속의 슬리브, 상기 고정 철심, 가동 철심, 요크와 함께 자기 루프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 철심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에 축방향의 전자적 흡인력을 부여하는 코일, 상기 밸브체를 상기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력을 가세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비한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요크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상기 요크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철심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요크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상기 요크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을 통과하는 자속은 오목부의 하측(즉, 고정 철심이 없는 측)으로 우회한다.
따라서 요크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을 통과하는 자속 수을 감소시켜서, 자기 특성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슬리브와 요크와의 용접시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에 기인하는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자기 통로 부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1)는 솔레노이드 장치(10)와 밸브 장치(20)로 구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장치(10)는 코일(13), 고정 철심(11), 요크(16), 하우징(12), 고정 철심(11)과 요크(16)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인 비자성 금속제의 슬리브(17), 후술하는 가동 철심과 일체화된 밸브에 스프링력을 가세하기 위한 압축 스프링(14), 압축 스프링(14)의 위치를 조정하고 고정하는 로드(1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장치(20)는 밸브체(21), 밸브체(21)를 고정하고 수용하는 밸브 본체(24), 밸브체(21)의 일단과 일체화된 가동 철심(22), 밸브 본체(24)의 단부에 마련된 밸브 시트부(24a), 복수의 오리피스를 갖는 플레이트(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0은 연료 분사 밸브(1)에 고압의(예를 들면, 2MPa 이상의)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관이고, 31은 연료 공급관(30)의 연료 유통 구멍이다.
자동차용의 엔진은 복수 기통이기 때문에, 각 기통에 대응하여 복수의 연료 분사 밸브를 지면(紙面)의 전후 방향(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하고, 연료 공급관(30)의 길이 방향이 지면의 전후 방향(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33는 필터의 메시부, 34는 필터 지지 부재이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연료 공급관(30)과 엔진의 실린더 헤드(40)의 사이에 각각 실 재(51 및 52)를 사이에 두고 축방향 하향의 누르는 하중에 의해 와셔(53)상에 부착된다.
엔진의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연료 분사 밸브(1)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에 동작 신호가 보내지면, 코일(13)에 전류가 흐르고, 고정 철심(11), 가동 철심(22), 요크(16),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자기 루프에 자속이 생기고, 가동 철심(22)은 압축 스프링(14)의 스프링력을 초과하는 전자 흡인력을 받아서 고정 철심(11)측으로 흡인된다.
가동 철심(22)이 고정 철심(11)측으로 흡인되면, 가동 철심(22)과 일체화된 밸브체(21)의 선단부인 밸브 시트부(21a)는 밸브 본체(24)의 밸브 시트면으로부터 떨어지고, 밸브 시트부(21a)와 밸브 본체(24)의 밸브 시트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고압의 연료는 플레이트(23)의 오리피스로부터 엔진의 기통 내로 분사된다.
연료 분사 밸브(1)의 구동 회로(도시 생략)로부터의 동작 신호가 없어지면 코일(13)을 흐르는 전류는 없어지고, 가동 철심(22)을 고정 철심(11)측으로 흡인하고 있던 흡인력도 없어진다.
따라서 밸브체(21)는 압축 스프링(14)의 스프링력에 가세되어 플레이트(23)측으로 이동하고, 밸브 시트부(21a)는 밸브 본체(24)의 밸브 시트면에 가압되고, 연료의 분사는 종료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61은 스러스트(축방향의) 에어 갭이고, 그 부분(즉, 스러스트 에어 갭(61))에서 고정 철심(11)과 가동 철심(22) 사이에 전자 흡인력이 작용하고, 가동 철심(22)이 고정 철심(11)에 흡인된다.
가동 철심(22)은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스러스트 에어 갭(61)은 가동 철심(22)의 이동 거리 이상의 간극이 필요하다.
또한, 62는 래디얼(지름 방향의)에어 갭이고, 가동 철심(22)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요크(16)와 접촉하지 않도록, 가동 철심(22)과 요크(16) 사이에 마련한 간극이다.
배경 기술의 항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자성 금속제의 슬리브(17)는 고정 철심(11)이 끼워들어가지는 원통부와, 그 원통부의 요크(16)측의 단부 외주에 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링 부로 구성되어 있고, 축 A를 통하는 평면에서의 단면 형상은 L자 모양을 하고 있다.
그리고, 슬리브(17)의 링 부는 요크(16)의 고정 철심(11)측의 단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레이저 용접에 의해, 요크(16)와 접합되고, 슬리브(17)의 원통부는 끼워들어간 고정 철심(11)과 레이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슬리브(17)를 통하여, 고정 철심(11)과 요크(16)의 위치 관계는 고정된다.
또한, 17a는 슬리브(17)의 링 부와 요크(16)과의 용접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17b는 슬리브(17)의 원통부와 고정 철심(11)과의 용접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각각의 용접부분(접합부)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연료 실링 가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슬리브(17)는 고정 철심(11)과 요크(16) 사이의 자기 리크를 최소로 하고, 또한, 녹 방지를 위해 투자율이 낮은 비자성재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
고정 철심(11), 가동 철심(22), 요크(16), 하우징(12)으로 구성되는 자기 루프에 발생하는 자속의 응답성을 고속으로 하기 위해, 슬리브(17)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극력 적게할 필요가 있어서, 슬리브(17)의 두께(t)는 극력 얇게 하고 있다.
그런데, 슬리브(17)와 요크(16)의 용접부(17a)에서의 용융 온도는 철의 융점인 1540℃를 초과하는데, 요크(16)의 용접부(17a) 부근의 부분(도 2에서, 파선의 반원으로 둘러싼 부분)도 금속의 열전도에 의해 약 1000℃까지 상승한다.
이 부분은 자속 밀도가 저하되고, 또한 자기 특성이 제품마다 흐트러지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을 통과하는 자속 수(즉, 자력선(100)의 수)를 줄여서,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에서의 자기 특성의 편차가 전체의 자속 수의 편차에 주는 영향을 적게 하고, 가동 철심(22)에 발생하는 전자 흡인력의 편차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동 철심(22)의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오목부(홈부)(22a)를 마련하여, 자기 저항이 큰 부분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가동 철심(22)을 통과하는 자속은 오목부(22a)의 하측(즉, 고정 철심(11)이 없는 측)으로 우회하기 때문에,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을 통과하는 자속 수도 감소하고, 이 부분의 자기 특성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홈부)(22a)의 폭은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의 축방향의 길이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홈부)(22a)의 지름 방향의 깊이는 가동 철심(22)의 외주에 오목부(홈부)(22a)를 형성함에 의한 자속 수의 감소에 의한 전자력의 저하가 실용상 지장이 없는 정도로 할 것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횡축은 연료 분사 밸브에 인가하는 분사 신호의 구동 펄스 폭(m sec), 종축은 1회당의 연료 분사량(㎣)이다.
도 9와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분사량 특성의 편차의 상한과 하한에서는 10% 정도의 편차 폭이 있었던 것이,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6% 정도로 개선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의하면, 양산되는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가 작아지고, 품질이 안정된 연료 분사 밸브의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는 연료 분사 신호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형상의 가동 철심(22), 일단이 가동 철심(22)와 일체화되고, 타단에 밸브 시트부(24a)를 마련한 밸브체(21), 밸브 시트부(24a)가 이접함에 의해 개폐되는 오리피스를 갖은 플레이트(23)로 구성된 밸브 장치(20)와, 가동 철심(22)과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통형상의 고정 철심(11), 가동 철심(22)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요크(16), 용접에 의해 고정 철심(11)과 요크(16)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비자성 금속의 슬리브(17), 고정 철심(11), 가동 철심(22), 요크(16)과 함께 자기 루프를 형성하는 하우징(12), 고정 철심(11)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가동 철심(22)에 축방향의 전자적 흡인력을 부여하는 코일(13), 밸브체(21)를 플레이트(2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력을 가세하는 압축 스프링(14)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장치(10)를 구비한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가동 철심(22)은 슬리브(17)와 요크(16)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요크(16)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가동 철심(22)을 통과하는 자속은 가동 철심(22)의 외주부에 형성된 오목부의 하측(즉, 고정 철심이 없는 측)으로 우회하여,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을 통과하는 자속 수을 감소시켜서, 자기 특성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슬리브(17)와 요크(16)과의 용접시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에 기인하는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자기 통로 부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에서는 단면을 나타내는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가동 철심(22)의 외주의 일부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오목부(22a)를 형성하고, 가동 철심(22)의 반경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자속의 폐색부가 발생하고, 전자력이 저하한다.
그 때문에,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밸브체(21)를 자성재로 구성하여, 밸브체(21)의 상부에도 자력선(100)이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21)의 상부와 가동 철심(22)을 병행하는 자로(磁路)로 함에 의해, 가동 철심(22)의 외주에 오목부(22a)를 형성함에 의한 자속 수의 저하를 회피하고 있다.
또한, 밸브 본체(24) 하부의 밸브 시트부(24a)는 오리피스를 갖는 플레이트(23)와 충돌 동작을 행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있는 자성재로서 마르텐사이트계의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가동 철심(22)의 외주에 오목부(22a)를 마련하고, 자속이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에 의해 양산된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통로를 통과하는 자속 수의 감소에 의해 솔레노이드 장치(10)의 전자력이 종래의 경우보다도 20% 정도 저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밸브체(21)를 자성재로 구성하고, 밸브체(21)의 상부와 가동 철심(22)을 병행하는 자로로 하여 자속 수의 저하를 회피하고 있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장치(10)의 전자력은 실시예 1의 경우보다도 16% 정도 회복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에서는 가동 철심(22)의 외주에 오목부(22a)를 마련하고, 자속이 요크(16)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16a)을 통과하지 않도록 함에 의해 양산되는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밸브체(21)를 자성재로 구성하여, 밸브체(21)의 상부와 가동 철심(22)을 병행하는 자로로 하여 자속 수의 저하를 회피하고 있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장치(10)의 전자력 저하도 약간(4% 정도)이다.
즉, 실시예 2에 의하면, 분사량 특성의 편차가 작고, 또한, 솔레노이드 장치의 전자력 저하도 약간인 연료 분사 밸브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 철심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요크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상기 요크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철심을 통과하는 자속은 오목부의 하측(즉, 고정 철심이 없는 측)으로 우회한다.
따라서 요크의 자기 특성 변화 부분을 통과하는 자속 수을 감소시켜서, 자기 특성의 편차에 의한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슬리브와 요크와의 용접시의 열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에 기인하는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분사량 특성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의 연료 분사 밸브의 실현에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3은 실시예 1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5는 실시예 2에 의한 연료 분사 밸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요크에 사용되는 전자 스테인리스의 온도와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종래의 연료 분사 밸브의 분사량 특성의 제품 편차를 도시한 도면.
<부호의 설명>
1 : 연료 분사 밸브 30 : 솔레노이드 장치
11 : 고정 철심 12 : 하우징
13 : 코일 14 : 압축 스프링
15 : 로드 16 : 요크
16a : 자기 특성 변화 부분 17 : 슬리브
17a : 용접부 17b : 용접부
20 : 밸브 장치 21 : 밸브체
21a : 밸브 시트부 22 : 가동 철심
22a : 가동 철심의 오목부 23 : 플레이트
24 : 밸브 본체 30 : 연료 공급관
31 : 연료 유통 구멍 32 : 접속부
33 : 필터의 메시부 34 : 필터 지지 부재
40 : 실린더 헤드 51 : 실 재
52 : 실 재 53 : 와셔
54 : 커넥터부 55 : 터미널
61 : 스러스트 에어 갭 62 : 레이디얼 에어 갭
100 : 자력선

Claims (2)

  1. 연료 분사 신호에 응하여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통형상의 가동 철심, 일단이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화되고, 타단에 밸브 시트부를 마련한 밸브체, 상기 밸브 시트부가 이접함에 의해 개폐되는 오리피스를 갖은 플레이트로 구성된 밸브 장치와,
    상기 가동 철심과 축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통형상의 고정 철심, 상기 가동 철심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요크, 용접에 의해 상기 고정 철심과 상기 요크를 접합하여 일체화하는 비자성 금속의 슬리브, 상기 고정 철심, 가동 철심, 요크와 함께 자기 루프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고정 철심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동 철심에 축방향의 전자적 흡인력을 부여하는 코일, 상기 밸브체를 상기 플레이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프링력을 가세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비한 연료 분사 밸브에 있어서,
    상기 가동 철심은 상기 슬리브와 상기 요크를 용접할 때의 열에 의해 상기 요크에 생기는 자기 특성 변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그 외주에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지름 방향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가동 철심과 일체화된 상기 밸브체는 자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KR1020040039439A 2003-11-07 2004-06-01 연료 분사 밸브 KR100584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8692A JP3927534B2 (ja) 2003-11-07 2003-11-07 燃料噴射弁
JPJP-P-2003-00378692 2003-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95A true KR20050043595A (ko) 2005-05-11
KR100584427B1 KR100584427B1 (ko) 2006-05-26

Family

ID=3451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439A KR100584427B1 (ko) 2003-11-07 2004-06-01 연료 분사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81663B2 (ko)
JP (1) JP3927534B2 (ko)
KR (1) KR100584427B1 (ko)
CN (1) CN1614222A (ko)
DE (1) DE102004025562B4 (ko)
FR (1) FR2862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564A (ja) * 2004-03-03 2005-10-13 Denso Corp 燃料噴射弁
DE102008000797B4 (de) 2007-03-26 2014-05-22 Denso Corporation Elektromagnetventil und Kraftstoffeinspritzventil mit dem selben
CN101371033B (zh) * 2007-03-27 2010-10-27 三菱电机株式会社 燃料喷射阀
EP2112366B1 (en) * 2008-04-23 2011-11-02 Magneti Marelli S.p.A.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for gaseous fuels with anti-wear stop device
US20100019071A1 (en) * 2008-07-22 2010-01-28 Perry Robert B Fuel injector armature guide
GB0904645D0 (en) * 2009-03-19 2009-04-29 Delphi Tech Inc Actuator arrangement
JP5331731B2 (ja) * 2010-03-03 2013-10-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式の流量制御弁及びそれを用いた高圧燃料供給ポンプ
JP5772788B2 (ja) 2012-11-05 2015-09-0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燃料噴射システム
JP5768800B2 (ja) 2012-11-05 2015-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
JP5874607B2 (ja) 2012-11-05 2016-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燃料噴射システム
CN105508112A (zh) * 2016-01-27 2016-04-20 柳州源创电喷技术有限公司 高速长寿命电磁阀式脉动流体计量喷射器及其工形阀芯
GB2569588A (en) * 2017-12-20 2019-06-26 Delphi Automotive Systems Lux Direct acting fuel 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8728A1 (de) * 1974-12-12 1976-06-24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einspritzventil
JPS5915667A (ja) 1982-07-19 1984-01-26 Honda Motor Co Ltd 燃料噴射用ノズル
DE4018256A1 (de) * 1990-06-07 1991-12-12 Bosch Gmbh Robert Elektromagnetisch betaetigbares brennstoffeinspritzventil
JPH04175461A (ja) * 1990-11-07 1992-06-23 Nippondenso Co Ltd 燃料噴射弁
JP3505054B2 (ja) * 1997-01-17 2004-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ジェクタ
JPH11247739A (ja) * 1998-03-04 1999-09-14 Keihin Corp 電磁式燃料噴射弁
US6508418B1 (en) * 1998-05-27 2003-01-21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Contaminant tolerant compressed natural gas injector and method of directing gaseous fuel therethrough
JP2000291505A (ja) * 1999-04-05 2000-10-17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噴射弁
US6168098B1 (en) * 1999-06-09 2001-01-02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 injector with tubular lower needle guide
JP2001012636A (ja) * 1999-06-29 2001-01-16 Aisan Ind Co Ltd 複数のソレノイドと共通筒を有する燃料噴射装置
JP3508653B2 (ja) * 1999-10-28 2004-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
JP3884310B2 (ja) * 2002-03-22 2007-02-21 愛三工業株式会社 電磁式燃料噴射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4222A (zh) 2005-05-11
US20050098665A1 (en) 2005-05-12
JP2005140048A (ja) 2005-06-02
FR2862094A1 (fr) 2005-05-13
FR2862094B1 (fr) 2010-08-20
DE102004025562B4 (de) 2011-02-03
DE102004025562A1 (de) 2005-06-16
KR100584427B1 (ko) 2006-05-26
US6981663B2 (en) 2006-01-03
JP3927534B2 (ja)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262A (en) Fuel injection valv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5996910A (en)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136068B1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JP4589387B2 (ja) 燃料噴射用の噴射弁
KR100584427B1 (ko) 연료 분사 밸브
JPH11500509A (ja) 電磁石式に操作可能な弁
JP4226478B2 (ja) 強磁性コイルボビンを有する燃料噴射器
JP4143097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US7946276B2 (en) Protection device for a solenoid operated valve assembly
US4637554A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or with magnetic stop member
JP2004518849A (ja) 燃料噴射弁
JP3732723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US6543137B1 (en) Method for mounting a valve module of a fuel injector
JP3841457B2 (ja) 燃料インジェクタの計量バルブ制御用電磁石
JP2001505277A (ja) 電磁作動弁
EP1221550A1 (en) Modular fuel injector having an electromagnetic actuator, an integral filter and an adjustment assembly
JP3895738B2 (ja) 燃料噴射弁
JP3861944B2 (ja) 燃料噴射弁の製造方法
JP6025975B2 (ja) ハウジング、特にバルブハウジングを製造する方法
JPH10339240A (ja) 燃料噴射弁及びその製造方法
JP4158348B2 (ja) 燃料噴射弁および燃料噴射弁の組み付け方法
JP7019804B2 (ja) 燃料噴射弁
JP3954982B2 (ja) 電磁式燃料噴射弁
JP5012603B2 (ja) 燃料噴射弁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61170A1 (en) Electromagnetic fuel injection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