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918A -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 Google Patents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918A
KR20050031918A KR1020040076372A KR20040076372A KR20050031918A KR 20050031918 A KR20050031918 A KR 20050031918A KR 1020040076372 A KR1020040076372 A KR 1020040076372A KR 20040076372 A KR20040076372 A KR 20040076372A KR 20050031918 A KR20050031918 A KR 20050031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coating layer
resin
laminat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1987B1 (ko
Inventor
하시모토히로유키
고마츠쇼이치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더 인크테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더 인크테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1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1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02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 H01J5/08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0Esters of organic acids
    • C08J2301/12Cellulose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6Substr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88Next to cellulosic
    • Y10T428/31884Regenerated or modified cellulose
    • Y10T428/31891Where addition polymer is an ester or hal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5Ester, halide or nitrile of addition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971Of carbohyd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 발생을 억제한 적층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로서, 투명기재와, 그 위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드코팅층이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ARTICLE HAVING A HARDCOATING LAYER PREVENTED FROM CURLING}
본 발명은 적층체, 특히 CRT,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광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적층체, 특히 액정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는 발광체와, 반사판과, 편광판과, 방현성(防眩性) 필름과, 하드코팅층과, 투명기재로 구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드코팅층은 방현성 필름의 보호를 주목적으로 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1996-80472호 및 일본 공개특허 1999-70606호에는, 하드코팅층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전리방사성 경화형 수지 등에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근래 휴대전화, 소형 노트북 등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그 박형화가 계속해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본 발명자는 종래의 두께(100~70㎛)의 절반의 투명기재에, 전리방사성 경화형 수지 등을 도포하고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가교경화시켜 하드코팅층을 형성하였더니, 하드코팅층에 굴곡이 발생하여, 그 결과 편광판 또는 방현성 필름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현재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번에 2종류의 특정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조합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굴곡의 발생을 억제하고, 평활한 층면을 가진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뛰어난 평활면을 가지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로서,
투명기재와, 그 위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하드코팅층이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하기 식 (Ⅰ):
...(Ⅰ)
로 표현되는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경화한 것이다.
적층체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를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1)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투명기재(9) 윗면에 하드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하드코팅층(5)은,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투명기재(9) 윗면에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하드코팅층이 굴곡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드코팅층의 둘레부(4)와 중심부(3)의 두께(7)의 차이는 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기술적으로 보아 두께(7)의 차이가 1.0㎛이하, 바람직하게는 0.5㎛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인 것이 좋다.
1) 하드코팅층
본 발명에서의 하드코팅층은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 [(CH2=CHCOCOH2) 3CCH2OH]와, 상기 식 (Ⅰ)로 나타내어지는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한다.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의 혼합비는 4:6~6:4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5:5.5~5.5:4.5이다.
본 발명에서 하드코팅층은 상기 2종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욱이 다른 기본재료 예를 들어, UV경화형 화합물 등의 전리방사성 경화조성물을 첨가하여도 좋다. 또한,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때,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예로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을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품명 일가큐어 184(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스사 제품)를 들 수 있다.
임의의 재료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층에 대전방지제(도전제) 및/또는 방현성제를 포함하여도 좋다.
대전방지제
대전방지제의 구체예로서는 금속이나 금속산화물 혹은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미립자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안티몬도프의 인듐·주석산화물(이하, 'ATO'라고 한다), 인듐·주석산화물(이하, 'ITO'라고 한다), 금 및/또는 니켈로 표면처리한 유기화합물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은 하드코팅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중량% 이상 70중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5중량% 이상이고 상한이 60중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25중량%이상이고 상한이 50중량%이하이다.
방현성제
방현성제의 구체예로서는 플라스틱 비즈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플라스틱 비즈의 구체예로서는 스틸렌 비즈(굴절률 1.59), 멜라민 비즈(굴절률 1.57), 아크릴 비즈(굴절률 1.49), 아크릴-스틸렌 비즈(굴절률 1.54), 폴리카보네이트 비즈, 폴리에틸렌 비즈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틸렌 비즈를 들 수 있다.
플라스틱 비즈의 입자직경은 0.5㎛이상 15㎛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3㎛이상이며 상한이 6㎛이하이다. 입자직경 범위가 상기 범위에 포함됨으로써, 광을 확산하는 효과가 높아, 방현성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으며, 내부 헤이즈(haze)값을 증가시켜, 영상의 번쩍임을 충분히 개선할 수 있다.
플라스틱 비즈의 첨가량은 하드코팅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3중량%이상 30중량%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5중량%이상이고 상한이 20중량%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8중량%이상이고 상한이 15중량%이하이다. 첨가량이 상기 범위 안에 포함됨으로써, 광을 확산하는 효과가 높아, 투과영상의 선명도가 증가하며, 영상의 번쩍임을 억제할 수 있다.
플라스틱 비즈를 첨가할 때, 실리카 등의 무기충전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무기충전제를 첨가함으로써,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 수지성분 중에 첨가된 플라스틱 비즈의 침강을 억제할 수 있다.
무기충전제의 입자직경은 0.5㎛이상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충전제의 첨가량은 하드코팅층의 전체중량에 대하여 3중량%이상 30중량%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15중량%이하이다. 무기충전제의 입자직경 또는 첨가량이 상기 범위 안에 포함될 경우, 플라스틱 비즈의 침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하드코팅층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비즈 또는 무기충전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하드코팅층을 구성하는 수지성분과 충분히 혼합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에, 투명기재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 및 방현성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대전방지제와 방현성제 모두를 첨가하여도 좋다. 대전방지제와 방현성제의 내용은 상기한 바와 같아도 좋다.
하드코팅층의 형성
하드코팅층은 상술한 2종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대전방지제, 방현성제를 적절한 용제 예를 들어,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헥산,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프로필, MEK, MIBK에 혼합하여 얻은 액체 조성물을 투명기재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액체조성물에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등의 레벨링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라직하다. 레벨링제를 첨가한 액체조성물은, 도포 또는 건조시에 도막표면에 대하여 산소에 의한 경화저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내찰상성(耐擦傷性)의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레벨링제는 내열성이 요구되는 필름형상 투명기재(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 이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코팅법, 미야바코팅법, 그라비아 코팅법 등의 도포방법을 들 수 있다. 액체조성물의 도포 후에, 건조와 자외선 경화를 실시한다.
자외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등, 블랙라이트 형광등,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의 광원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의 파장으로는 190~380nm의 파장범위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콕크로프트왈톤형, 반데그라프형, 공진변압기형, 절연코어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
2) 투명기재
투명기재는 투명성, 평활성, 내열성을 구비하며, 기계적 강도도 뛰어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기재를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열가소성 수지들을 박막의 유연성이 풍부한 필름형상 부재로서 사용하지만, 경화성이 요구되는 사용형태에 따라, 이 열가소성 수지들의 판 또는 글라스판의 판형상 부재도 사용할 수 있다.
투명기재의 두께는 20㎛이상 30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200㎛이하이며, 하한이 30㎛이상이다. 투명기재가 판형상 부재인 경우에는 이 두께들을 초과하는 두께여도 좋다.
투명기재는 그 위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접착성 향상을 위하여, 코로나 방전처리, 산화처리 등의 물리적인 처리 외에, 앵커(anchor)제 혹은 프라이머(primer)라는 도료를 미리 도포해두어도 좋다.
3) 임의의 층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투명기재와 그 윗면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대전방지층, 방현성층 및 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층을 형성시킨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a. 대전방지층
대전방지층(도전성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드코팅층의 윗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대전방지층 형성의 구체예로서는, 하드코팅층의 윗면에 도전성 금속 혹은 도전성 금속산화물 등을 증착하거나 스퍼터링함으로써 증착막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수지 안에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시킨 수지 조성물을 도포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대전방지층을 증착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도전성 금속 혹은 도전성 금속산화물로서 예를 들어, 안티몬도프의 인듐·주석산화물(이하, 'ATO'라고 한다), 인듐·주석산화물(이하, 'ITO'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대전방지층으로서의 증착막의 두께는 10nm이상 200n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100nm이하이며, 하한이 50nm이상이다.
대전방지층을 도막으로 형성하는 도전성 미립자의 구체예로서는, 앞서 대전방지제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여도 좋다. 도전성 미립자의 첨가량은 대전방지층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5중량%이상 70중량%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60중량%이하이며, 하한이 15중량%이상이다.
도전성 미립자를 분산시키는 수지로서는 투명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자외선 또는 전자선에 의해 경화하는 수지인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와 용제건조형 수지와의 혼합물, 또는 열경화형 수지의 3가지 종류를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가지는 것 예를 들어,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알키드수지(alkyd resin), 스피로아세탈(spiroacetal)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올리고머 또는 프레폴리머, 반응성 희석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틸렌, 메틸스틸렌, N-비닐피롤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머 및 다관능 모노머 예를 들어, 폴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를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히라 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록심에스테르,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파이드, 티옥산톤(thioxanthone)류를 들 수 있다.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용제건조형 수지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에 혼합하여 사용되는 용제건조형 수지로서는 주로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예시되는 것이 이용된다. 용제건조형 수지의 첨가에 의해, 도포면의 도막 결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투명기재의 재료가 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인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셀룰로오스계 수지, 예를 들어 니트로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투명기재와 대전방지층의 밀착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페놀수지, 요소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수지, 멜라닌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수지, 규소수지, 폴리실록산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가교제, 중합개시제 등의 경화제, 중합촉진제, 용제, 점도조정제 등을 더욱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전방지층으로서의 도막의 두께는 0.05㎛이상 2㎛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1㎛이하이며, 하한이 0.1㎛이상이다.
대전방지층으로서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미립자에 상술한 도전성 미립자를 첨가한 액체조성물을, 롤코팅법, 미야바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등의 도포방법에 의해 도포한다. 이어서, 이 액체조성물의 도포 후에, 건조와 자외선 경화를 실시한다.
전리방사선 경화형 수지조성물의 경화방법은, 전자선 또는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한다. 전자선경화인 경우에는 100KeV~300KeV의 에너지를 가지는 전자선 등을 사용한다. 자외선 경화인 경우에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아크, 크세논아크,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하는 자외선 등을 사용한다.
대전방지층의 형성은 대전방지층의 표면저항값이 5×107Ω/□ 이하가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방현성층
방현성층은 바람직하게는 하드코팅층 또는 대전방지층의 윗면에 형성되면 좋다. 방현성층은 방현성제를 수지에 분산시킨 액체조성물을 도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방현성제, 수지, 도공방법 등은 상술한 것과 마찬가지이면 좋다.
방현성층의 두께는 0.5㎛이상 10㎛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하한이 1㎛이상이며, 하한이 7㎛이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대전방지제와 방현성제를 혼합한 대전방지/방현성층으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c. 굴절률층
굴절률층은 바람직하게는 방현성층의 윗면에 형성되면 좋다. 굴절률층은 바람직하게는 방현성층보다도 굴절률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방현성층의 굴절률이 1.5이상이고, 굴절률층의 굴절률이 1.5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45이하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바람직한 일례로서는, 투명기재와 투명도전층(이 굴절률들은 방현성층의 굴절률 이하)과, 방현층(굴절률 1.50이상)과, 굴절률층(굴절률 1.5미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적층체와 공기층(굴절률 1.0)이 접해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방현성층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층을 적층하므로써 반사방지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굴절률층의 두께는 20nm이상 800nm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상한이 400nm이하이며, 하한이 50nm이상이다.
굴절률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실리콘함유 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를 들 수 있으며, 그 예로서는 불화비닐리덴 30~90중량%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5~50중량%를 함유하는 모노머 조성물이 공중합되어 이루어지는 불소 함유 비율이 60~70중량%인 불소함유 공중합체 100중량부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가지는 중합성 화합물 80~15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불소함유 공중합체는 불화비닐리덴과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을 함유하는 모노머 조성물을 공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 모노머 조성물에서의 각 성분의 비율은 불화비닐리덴이 30~90중량%, 바람직하게는 40~8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이며, 또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이 5~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5~45중량%이다. 이 모노머 조성물은 더욱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을 0~40중량%, 바람직하게는 0~3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 함유하는 것이어도 좋다.
이 불소함유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모노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다른 공중합체 성분이 예를 들어, 20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의 범위로 함유된 것이어도 좋다. 이 공중합체의 구체예로서는 플루오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에틸렌,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1,2-디클로로-1,2-디플루오로에틸렌, 2-브로모-3,3,3-트리플루오로에틸렌, 3-브로모-3,3-디플루오로프로필렌,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1,1,2-트리클로로-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렌, α-트리플루오로메타크릴산 등의 불소원자를 가지는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노머 조성물로부터 얻어지는 불소함유 공중합체의 불소함유 비율은 60~7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7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4~68중량%이다. 첨가비율이 이와 같은 범위에 속함으로써, 후술하는 용제에 대하여 양호한 용해성을 가진다. 또는 불소함유 공중합체를 성분으로서 함유함으로써, 뛰어난 밀착성과, 높은 투명성과, 낮은 굴절률을 가지며, 뛰어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불소함유 공중합체는 그 분자량이 폴리스틸렌 환산 수평균 분자량으로 5000~200000, 특히 10000~10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크기의 분자량을 가지는 불소함유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불소계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적합한 크기가 되며, 따라서 확실하게 적절한 도포성을 가지는 불소계 수지조성물로 할 수 있다.
불소함유 공중합체 자체의 굴절률은 1.45이하, 바람직하게는 1.42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이 범위에 있음으로써, 형성되는 박막의 반사방지 효과가 바람직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불소함유 공중합체와 수지를,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또는 열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중합하여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하는 수지는 대전방지성층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하여도 좋다. 이 수지들 중, 바람직하게는 디펜타에리스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사용하는 수지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1분자 중에 3개 이상 함유하는 것인 경우에는, 얻어지는 불소계 수지조성물은, 특히 기재에 대한 밀착성 및 기재 표면의 내상성(耐傷性) 등의 기계적 특성이 매우 양호한 박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수지의 첨가량은 불소함유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3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5~10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0~70중량부이다. 또한, 불소함유 공중합체와 수지를 포함하는 중합체 형성성분의 합계량에서의 불소함유 비율은 30~55중량%, 바람직하게는 35~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 또는 불소함유 비율이 상술한 범위 안에 있음으로써, 굴절률층은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양호하고, 또한 굴절률이 높고 양호한 반사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굴절률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제를 사용하고, 점도가 수지조성물로서 바람직한 도포성이 얻어지는 0.5~5cps(25℃), 바람직하게는 0.7~3cps(25℃)의 범위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선의 뛰어난 반사방지막을 실현할 수 있고, 균일하며 도포 얼룩이 없는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기재에 대한 밀착성이 특히 뛰어난 굴절률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의 경화수단은, 대전방지층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여도 좋다. 경화처리를 위하여 가열수단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예를 들어, 라디칼을 발생하여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시키는 열중합개시제가 불소계 수지조성물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층의 형성방법은 다른 일반적인 박막성형수단, 예를 들어 진공증착법, 스퍼터링법, 반응성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전기도금법 등의 적절한 수단이어도 좋고, 예를 들어 상기 이외의 반사방지도료의 도막, 막두께 0.1㎛ 정도의 MgF2 등의 극박막이나 금속증착막, 혹은 SiOx나 MgF2 의 증착막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적층체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투과형 표시장치에 이용된다. 특히, 텔레비젼,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의 디스플레이 표시에 사용된다. 특히 CRT, 액정패널 등의 고정세(高精細) 화상용 디스플레이의 표면에 사용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내용을 아래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적층체의 조제
코니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TAC(품명: KC4U×2MW)(막두께 40mm)를 기재로 하고, 아래의 투명 하드코팅층용 도공액을 바코터로 도포한 후, 용제를 건조시키고 UV 조사장치(퓨젼 UV 시스템 저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의 H밸브를 광원에 사용하여 경화하고(적산 광량 99mj), 막두께 약 7mm의 하드코팅층을 형성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투명 하드코팅층용 도공액의 조제
실시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니혼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PET-30)
이소시아눌산 EO 변성 디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식 (Ⅰ)의 화합물: 토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M-215)
톨루엔 60중량부
실록산계 레벨링제 0.2중량부
(다이니치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0-301)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중량부
(치바가이기 제품 일가큐어 184)
비교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니혼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PET-30)
톨루엔 60중량부
실록산계 레벨링제 0.2중량부
(다이니치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0-301)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중량부
(치바가이기 제품 일가큐어 184)
비교예 2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니혼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PET-30)
폴리에틸렌디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토아고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M-240')
톨루엔 60중량부
실록산계 레벨링제 0.2중량부
(다이니치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10-301)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중량부
(치바가이기 제품 일가큐어 184)
평가시험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서 제작한 적층체에 대하여 아래의 평가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평가 1: 굴곡발생 유무시험
적층체를 10cm×10cm으로 자랐을 때의 최대 굴곡폭(도 1에 따라)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온도 25도, 습도 55%의 환경에서 행하였다.
평가 2: 도막 밀착도 평가시험
적층체에서의 하드코팅층 면에만 세로 10×가로 10=100개의 바둑판 눈금을 커터-나이프를 사용하여 형성하였다. 이어서, 바둑판 눈금 셀로테이프(니치반사 제품: 셀로판테이프) 2.5cm×2.5cm의 시험편을 5회 급속히 착탈을 반복하여 100개 중, 잔존하는 눈금의 수를 'm'로 하고 도막밀착도를 m/100으로 나타내었다.
평가 3: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값 측정시험
적층체를 반사·투과율계 HR-100(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겐큐쇼)에 의해 측정하였다.
평가 4: 강도평가시험
적층체를, 9.8N 하중으로 연필을 가압하여, 연필의 고도로 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5: 내찰상성 시험
적층체를 마모바퀴 CS-10F(테이버 인더스트리얼사 제품)를 사용하여, 4.9N×2의 하중으로 100회전 후의 헤이즈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굴곡(mm) 7 측정불능 측정불능
도막밀착도 100/100 100/100 100/100
전광선 투과율(%) 92.0 91.9 92.0
헤이즈도(%) 0.3 0.2 0.2
열필강도 H H B
내찰상성 시험 7.6 6.8 6.0
본 발명에 따르면, 2종류의 특정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조합한 것을 이용함으로써, 굴곡의 발생을 억제하고, 평활한 층면을 가진 하드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 적층체 3: 하드코팅층의 중심점
4: 하드코팅층의 둘레부 5: 하드코팅층
7: 굴곡폭 9: 투명기재

Claims (7)

  1.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로서,
    투명기재와, 그 위에 형성된 하드코팅층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하드코팅층이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하기 식 (Ⅰ):
    ...(Ⅰ)
    로 표현되는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을 경화한 것인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의 중심부 두께와 둘레부 두께의 차이가, 1.0㎛이하인 적층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스톨아크릴레이트와, 상기 이소시아눌산에톡시 변성디아크릴레이트의 혼합비가 4:6~6:4인 적층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재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인 적층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층이 대전성 방지제 및/또는 방현성제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 위에, 대전방지층, 방현성층, 및 굴절률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층이 형성된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KR1020040076372A 2003-09-30 2004-09-23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KR101081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1236 2003-09-30
JP2003341236A JP4500522B2 (ja) 2003-09-30 2003-09-30 ハードコート層のカール化を抑制した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918A true KR20050031918A (ko) 2005-04-06
KR101081987B1 KR101081987B1 (ko) 2011-11-10

Family

ID=3453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372A KR101081987B1 (ko) 2003-09-30 2004-09-23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47358B2 (ko)
JP (1) JP4500522B2 (ko)
KR (1) KR101081987B1 (ko)
TW (1) TW2005172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56B1 (ko) * 2007-01-18 2015-02-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하드코팅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0018B2 (en) * 2006-03-29 2011-06-14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film
JP2008133352A (ja) * 2006-11-28 2008-06-12 Toppan Printing Co Ltd 高硬度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5067333B2 (ja) * 2008-10-01 2012-1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スバリア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563794B1 (ko) * 2010-11-15 2015-10-27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하드 코트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JP5657593B2 (ja) * 2011-03-31 2015-01-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825910B2 (ja) * 2011-08-01 2015-1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418409B1 (ko) 2012-05-31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KR101379491B1 (ko) * 2012-05-31 2014-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1686B1 (ko) 2012-05-31 2015-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9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40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3B1 (ko) 2012-08-23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70464B1 (ko) 2012-08-23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KR101415838B1 (ko) 2012-08-23 2014-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조성물
KR101470466B1 (ko) 2012-08-23 2014-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 하드코팅 필름
KR101436616B1 (ko) 2012-08-23 2014-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하드코팅 필름
CN107531030B (zh) * 2015-06-02 2019-10-29 富士胶片株式会社 硬涂膜、图像显示元件的前面板、电阻膜式触摸面板、静电电容式触摸面板及图像显示装置
US20220098431A1 (en) * 2019-01-29 2022-03-31 Tarkett Gdl Cellulose ester compositions for surface covering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3211A (en) 1994-06-27 1997-09-02 Sony Chemicals Corporation Ultraviolet curing resin having low primary irritation index for optical disk
JPH08218295A (ja) 1995-02-13 1996-08-27 New Oji Paper Co Ltd 強光沢シート
JPH09300533A (ja) * 1996-05-14 1997-11-25 Nippon Kayaku Co Ltd ハードコート性を有するトリアセチルセルロースフィルム
JP3417803B2 (ja) 1997-07-07 2003-06-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シート
US5955190A (en) 1997-09-29 1999-09-21 Eastman Kodak Company Antistatic layer for photographic paper
EP0914875A3 (en) 1997-10-28 2002-10-23 Kansai Paint Co., Ltd. Multilayer coating film formation process
JP3515447B2 (ja) * 1998-10-14 2004-04-05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反射防止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フィルム
JP2001113648A (ja) * 1999-10-19 2001-04-24 Nippon Kayaku Co Ltd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JP3657869B2 (ja) 1999-10-29 2005-06-08 株式会社巴川製紙所 低反射部材
JP4623538B2 (ja) * 2000-06-13 2011-02-02 日本化薬株式会社 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硬化皮膜を有するフィルム
US6676997B2 (en) 2000-10-31 2004-01-13 Dainippon Ink And Chemicals, Inc. Method of forming a two-layer co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56B1 (ko) * 2007-01-18 2015-02-26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하드코팅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17260A (en) 2005-06-01
JP2005103973A (ja) 2005-04-21
TWI349615B (ko) 2011-10-01
KR101081987B1 (ko) 2011-11-10
US7247358B2 (en) 2007-07-24
JP4500522B2 (ja) 2010-07-14
US20050136273A1 (en)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221B1 (ko) 하드코팅층의 활성(滑性)을 개선한 적층체
KR101081987B1 (ko) 하드코팅층의 굴곡을 억제한 적층체
JP588076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3314965B2 (ja)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7709084B2 (en) Anti-newton ring sheet and touch panel using the same
JP5229108B2 (ja) 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及び透明導電性積層シート並びにタッチパネル
JP200605857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20020051295A1 (en) Transparent functional membrane containing functional ultrafine particles, transparent functional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3694153B2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H0618706A (ja) 耐擦傷性防眩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413629B1 (en) Easy adhesion film for transparent conductive thin film
JP4266623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2024001168A (ja)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CN111448487A (zh) 防眩膜、以及其制造方法及用途
KR101031817B1 (ko) 방현성 필름
JPH08309910A (ja) 透明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JP3471217B2 (ja) 透明導電性フイルム
JP2005288831A (ja) ハードコート積層体
JPH0618704A (ja) 反射防止性を有する耐擦傷性基材の製造方法、耐擦傷性基材及び偏光板
JP2005181996A (ja) 防眩性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190337B2 (ja) 低反射フィルム
JP4811748B2 (ja) ハードコート層の滑り性を改善したディスプレイ用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2196110A (ja) 光拡散層、光拡散性シート及び光学素子
JP2023164890A (ja) 防眩フィルム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