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301A - 창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창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301A
KR20050028301A KR1020040066684A KR20040066684A KR20050028301A KR 20050028301 A KR20050028301 A KR 20050028301A KR 1020040066684 A KR1020040066684 A KR 1020040066684A KR 20040066684 A KR20040066684 A KR 20040066684A KR 20050028301 A KR20050028301 A KR 2005002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ielding material
window assembly
mold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5126B1 (ko
Inventor
아마노가츠유키
스즈키아키히로
다케우치도모키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1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434Coating brittle material,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1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means for bonding the coating to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PO 또는 TPS를 주체로 하는 차폐재(遮蔽材)가 무기 유리제의 창판(窓板)의 외주부에 적절히 형성된 창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창문 조립체(1)는 무기 유리제의 창판(10)과, 그 외주(外周) 가장자리(100)를 따라서 형성된 차폐재(20)를 구비한다. 차폐재(20)는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30)을 통하여 창판(10)에 접합되어 있다. 이 차폐재(20)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를, 미리 접착제층(30)이 형성되어 있는 창판(10)에 가열 용융 상태로 압접(壓接)하고, 냉각 고화(固化)하여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창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A window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 등의 피장착체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창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창판(窓板)과, 그 창판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적으로 고착된 차폐재(遮蔽材)(틀재, 몰딩, 개스킷(gasket)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차폐재"라고 말한다.)를 구비한 창문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창문 조립체는 차량 또는 건축물이나 공작물 등의 피장착체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차폐재는 창판보다도 연질(軟質)의 재료(합성수지, 그 유사 재료 등)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판과 피장착체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작용을 갖는다.
이러한 창문 조립체로서, 투명한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질 내지 반경질의 염화비닐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틀재(차폐재)를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모듈 윈도우", "모듈러 윈도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창문 조립체에 관한 종래 기술문헌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평2-60722호 공보
최근, 환경에의 배려 등의 관점에서, 염화비닐 수지를 대신하는 재료를 사용하여 차폐재를 구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한 대체 재료로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이하, "TPE"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 중에서도, 입수의 용이성 및 경량화의 관점에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하, "TPO"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를 주체로 구성된 차폐재를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또한, 입수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하, "TPS"라고 말하는 경우도 있다.)를 주체로 구성된 차폐재를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TPE는 염화비닐 수지에 비하여 무기 유리에의 접착성이 낮다. 이 때문에, 모듈 윈도우의 차폐재에 TPE를 적용하면, 무기 유리제 창판과 차폐재와의 접착력이 낮아지거나 또는 없어져서 적용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TPE(특히 TPO, TPS)를 주체로 하는 차폐재를 갖는 창문 조립체로서, 그 차폐재가 무기 유리제의 창판(窓板)의 외주부에 적절한 접착력을 가지고 형성된 창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이러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은, 피장착체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창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그 창문 조립체는 표리 양면을 갖는 무기 유리제의 창판(窓板)과,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차폐재(遮蔽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조립체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이 차폐재에 의해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와 상기 창문 개구부 사이가 차폐된다. 창판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 차폐재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기부(基部) 성형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창판에 접합된 기부를 갖는다. 그 기부는 전형적으로는, 가열 용융 상태의 기부 성형재료가 창판에 대하여 압접(壓接)된 상태에서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접합되어 냉각 고화(固化)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폐재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돌출부 성형재료에 의해 상기 기부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창문 개구 가장자리를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창문 조립체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돌출부가 탄성 변형하여 상기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탄접(彈接)(탄성적으로 압접)한다.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따르면, 무기 유리제의 창판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구성된 차폐재의 기부가 강고히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적어도 이면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창판의 표면보다도 조화(粗化)된 표면을 갖는 조화층(粗化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화층상에 형성되고, 그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차폐재의 기부가 상기 창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제 2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차폐재의 접합 강도가 보다 높아진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연삭 처리에 의해 조면화(粗面化)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조면화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그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차폐재의 기부가 상기 창판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제 3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성형재료가 무기 필러를 더 함유하는 것이다. 제 4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형상은 직선형상부와 코너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재는 상기 직선형상부 및 코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폐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상부보다도 창판의 면 중심측을 향해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제 5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피장착체에 창문 조립체를 장착했을 때, 코너부에서 돌출부에 압축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가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인 것이다. 제 6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7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가 카르복실기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 또는 아크릴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인 것이다. 제 7 발명의 창문 조립체에 따르면, 상기 제 1 발명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창문 조립체가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가 제공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8 발명은, 무기 유리제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폐재가 형성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제조방법은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창판을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그 접착제층은 전형적으로는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창판을 사출 성형틀에 세트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을 닫음으로써,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틀의 캐버티에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창판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버티를 틀 내부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를, 가열되어 용융한 상태로 상기 틀의 사출 게이트로부터 상기 캐버티에 소정의 사출 압력하에서 사출해서 충전하여, 상기 차폐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를 상기 접착제층으로 상기 창판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성형재료가 냉각 고화된 후에 상기 성형틀을 열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상기 차폐재가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꺼내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무기 유리제의 창판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차폐재가 강고히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9 발명은, 무기 유리제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폐재가 형성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제조방법은, 상기 창판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는,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창판을 사출 성형틀에 세트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틀을 닫음으로써,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틀의 캐버티에 노출한 상태에서 상기 창판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버티를 틀 내부에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를, 가열되어 용융한 상태로 상기 틀의 사출 게이트로부터 상기 캐버티에 소정의 사출 압력하에서 사출해서 충전하여, 상기 차폐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를 상기 접착제층으로 상기 창판에 접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성형재료가 냉각 고화한 후에 상기 성형틀을 열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상기 차폐재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꺼내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무기 유리제의 창판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차폐재가 강고히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제조방법은, 접착제층의 기능(접착성능)이 잘 발휘되는 기간이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즉, 이 제조방법은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재료(접착제)의 선택 자유도가 높다.
본 발명의 제 10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 또는 제 9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적어도 이면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창판의 표면보다도 조화(粗化)된 표면을 갖는 조화층(粗化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화층상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 10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8 발명 또는 제 9 발명의 제조방법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11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 내지 제 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창판의 한쪽의 폭광면(幅廣面) 그리고 상기 창판의 단면 및/또는 다른쪽의 폭광면의 외주 가장자리에 대하여,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접착제층 위에 상기 차폐재를 형성하는 것이다. 제 11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8 발명 내지 제 10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12 발명은, 상기 제 8 발명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 세트된 창판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를 상온을 넘는 온도역(溫度域)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재료를 사출하는 것이다. 제 12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8 발명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이하에 드는 효과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얻어진다. 즉, 차폐재가 보다 강고히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용융한 성형재료가 캐버티에 사출되었을 때 창판에 가해지는 열충격이 완화되므로, 창판에 예측하지 못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재료의 급격한 온도 저하에 따른 고화가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상기 성형재료에 과대한 유동 저항을 주지 않고, 또한 과대한 사출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캐버티 내의 구석구석까지 적절히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2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전체를 상온을 넘는 온도역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창판에 상기 차폐재를 접합하는 것이다. 이 제조방법에서는, 창판의 외형이 가열에 의해 팽창한 상태에서 차폐재가 접합되므로, 차폐재의 접합 후에 냉각에 의해 창판 및 차폐재의 쌍방이 수축한다. 이 때문에, 상온 이하의 온도역에 있는 창판에 차폐재를 접합한 경우에 비하여 양자간의 수축량의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3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 12 발명의 제조방법이 이루는 효과에 더하여, 또한 창판과 차폐재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을 저감하여 창판 및/또는 차폐재에 일그러짐이나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잘 회피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고 있는 내용 이외의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종래 기술에 기초하는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기술 내용과 당해 분야에 있어서의 기술 상식에 기초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조립체를 구성하는 차폐재는, 그 적어도 기부(基部)(창판에 접합되는 부분)가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성형재료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하드 세그먼트(hard segment)(올레핀 성분)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1-펜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소프트 세그먼트(엘라스토머 성분)로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EPDM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 세그먼트로서 2종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해도 좋으며, 소프트 세그먼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하드 세그먼트가 폴리프로필렌이고, 소프트 세그먼트가 EPM 또는 EPDM인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면, 질량비로 5∼45부(보다 바람직하게는 10∼35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부)의 폴리프로필렌과, 20∼60부(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부)의 EPDM과, 적당량(예를 들면 20∼50부, 바람직하게는 30∼40부)의 연화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재료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차폐재(적어도 그 기부)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TPO의 시판품으로서는, 에이이에스 재팬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산토프렌(santoprene)(등록상표)",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밀라스토머(milastomer)(등록상표)", 미츠비시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 "사모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재료를 구성하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 블록 및 올레핀 블록을 갖는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C)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수소첨가 S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수소첨가 SI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차폐재(적어도 그 기부)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SBC의 시판품으로서는, 니켄테크노스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 "액티머(actymer)", 압코 가부시키가이샤(Advanced Plastics Compounds Company)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 "스미플렉스", 미츠비시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라바론(등록상표)" 등을 들 수 있다.
차폐재 중 적어도 창판에 접합되는 부분(기부)을 형성하는 재료는, 유기질 또는 무기질의 필러를 함유할 수 있다. 무기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탄산칼슘,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카본블랙, 탤크(talc), 크레이(clay), 카올린(kaolin), 실리카, 규조토, 운모분, 알루미나, 황산바륨, 황산알루미늄, 황산칼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이황화몰리브덴, 유리구(球), 시라스발룬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과 같은 입자형상의 무기 필러; 카본 파이버,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탄화규소 섬유, 무기 위스커(whisker)(예를 들면 염기성 황산마그네슘 위스커, 티탄산칼륨 위스커, 붕산알루미늄 위스커) 등의 무기 섬유와 같은 섬유형상의 무기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러한 무기 필러는, 예를 들면 전체의 1∼50질량%를 차지하는 비율로 함유시킬 수 있다.
한편, 차폐재 중 창판에 접합되는 부위 이외의 부분(예를 들면 돌출부)은 상술과 같은 기부 성형재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성의 성형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고, 다른 조성의 성형재료(예를 들면 TPO, TPS 이외의 TPE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통상은, 제조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기부와 돌출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은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프로필렌, 1-부텐, 1-헥센(hexene), 4-메틸-1-펜텐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공중합체 수지,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과의 공중합체 수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는, 올레핀계 모노머(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4-메틸-1-펜텐 등)와 스티렌계 모노머(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와의 공중합체 수지 등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올레핀계 모노머와 스티렌계 모노머와의 블록 공중합체 수지이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수지"에는 상온에서 양호한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가 "산변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은, 산성기(酸性基)(전형적으로는 카르복실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산변성 수지는,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에 불포화 카르복실산을 그라프트 중합(graft polymerization)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말레인산, 푸말산, 이타콘산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적당한 후처리(가수분해 등)에 의해 카르복실기로 변환할 수 있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에스테르, 무수물 등)를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그라프트 중합시킨 후, 에스테르를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기를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착제층(접착제)의 주성분으로서 바람직한 산변성 수지로서는, 소위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카르복실기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 및 아크릴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가 예시된다.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의 시판품으로서는, 미츠비시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 "사후렌(등록상표)"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사후렌(등록상표) P-1000", "동(同) A-1000", "동 E-2000", "동 AP-34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사후렌(등록상표) P-1000", "동 AP-343"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적절한 접착력이 얻어지는 이론으로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된다.
즉, TPO와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접착제와의 접착의 경우, 접착제중의 -H기와, 가열에 의해 활성화한 유리중의 -OH기와의 수소 결합 또는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접착제와 유리가 접착함과 아울러, 접착제중의 올레핀 성분과 차폐재중의 올레핀 성분(예를 들면 PP성분)이 상용(相溶)함으로써 접착제와 차폐재가 접착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제의 창판과 TPO를 사용한 차폐재가 적절히 접착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TPS와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 접착제와의 접착의 경우, 접착제중의 -H기와, 가열에 의해 활성화한 유리중의 -OH기와의 수소 결합에 의해 접착제와 유리가 접착함과 아울러, 접착제중의 올레핀부와 차폐재중의 올레핀 성분이 상용함으로써 접착제와 차폐재가 접착한다. 이것에 의해 유리제의 창판과 TPS를 사용한 차폐재가 적절히 접착한다고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이러한 구체예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을 자동차의 백 윈도우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백 윈도우용 창문 조립체(1)는, 표리 양면을 갖는 투명한 창판(窓板;10)과, 그 외주 가장자리부(외주 가장자리)(100)를 따라서 형성된 차폐재(20)를 구비한다. 이 창문 조립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선 C를 중심으로 하여 실질적으로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창판(10)의 외주 형상은 정면에서 보아 대략적으로 말해 사각형상이며, 상대적으로 거의 직선적인 4개의 직선형상부(102)와, 서로 이웃하는 거의 직선형상부(102) 사이에 위치하는 코너부(104)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창판(10)의 전 둘레에 걸쳐 차폐재(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차폐재(20)는 직선형상부(102) 및 코너부(104)를 포함하는 범위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판(10)은 전체로서, 피장착체로서의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차량의 외측이 되는 표면(10A)을 볼록면, 차량의 내측이 되는 이면(10B)을 오목면으로 하는 곡면(曲面)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창판(10)으로서는, 일반적인 자동차 후면 유리용 창재(窓材)(예를 들면, 판두께 약 3.0∼3.5mm의 강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창판(10)의 이면(10B)에는, 그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프릿(frit)층(12)이 융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프릿층(12)의 표면(노출면)은, 비교적 고융점의 무기 분말(전형적으로는 유리 분말)이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창판(10)의 다른 부분(표면(10A) 및 프릿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이면(10B))보다도 조화(粗化)된 표면으로 되어 있다. 프릿층(12)은 착색 불투명이고, 전형적으로는 까맣게 착색되어 있으며, 창문 조립체(10)의 표면에서 보았을 때에 창판(10)의 외주 부분의 이면측을 가려 막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창판(10)의 단면(10C)은 연삭 처리(글라인더(grinder) 등에 의한 연삭 가공)에 의해, 투명 부분의 표면보다는 조면화(粗面化)되어 있다.
차폐재(20)는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를 단면(외주 단면)(10C)으로부터 이면(10B)에 걸쳐 단면 대략 L자형상으로 덮는 기부(基部)(22)와, 그 기부(22)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두께가 얇고 탄성 변형 가능한 돌출부(24)를 갖는다. 기부(22)가 창판(10)을 덮는 부분의 창판 이면(10B) 및 창판 단면(10C)상에는 접착제층(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착제층(30)을 통하여 기부(22)(차폐재(20))가 창판(10)에 접합되어 있다. 한편, 프릿층(12)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프릿층(12) 위로부터 접착제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PO를 주체로 하는 차폐재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기부(22) 및 돌출부(24)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30)은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바람직하게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문 조립체(1)를 피장착체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9)(여기에서는 자동차의 차체 패널(panel)에 의해 구성됨)에 장착하면, 돌출부(24)가 창문 개구 가장자리(9)에 탄성적으로 압접(壓接)함으로써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10C)와 창문 개구 가장자리(9) 사이가 차폐된다. 한편, 도 1의 부호 41은 창문 조립체(1)를 위치결정 고정하는 고정구의 장착 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차체 패널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등에 상기 고정구를 걸어서 고정시킴으로써 창문 조립체(1)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중의 부호 44는, 창문 조립체(1)와 창문 개구 가장자리(9)를 접착함과 아울러 양자 사이를 밀봉하는 페이스트형상이고 경화하면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는 접착 겸용의 밀봉재(sealant;44)(창문 조립체(1)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중의 부호 46은, 이 밀봉재(44)가 삐져 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댐러버(dam rubber)(창문 조립체(1)의 전 둘레에 걸쳐 형성됨)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구성의 창문 조립체(1)는, 연삭 처리에 의해 조면화된 단면(10C) 및 프릿층(12)을 갖는 창판(10)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이하의 단계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계 1 :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부를 탈지(脫脂)하는 단계이다. 즉,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범위를 청정화(탈지)한다. 예를 들면 저급 알코올 등으로 닦는다. 이것에 의해, 유분, 진애(塵埃), 더러움 등을 제거한다.
단계 2 :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청정화된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착제층(30)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당한 용제(溶劑)(톨루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 등)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접착제를, 창판(10)의 소정의 범위(후에 차폐재(20)가 형성되는 부분)에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단계 3 : 접착제층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즉, 접착제층(도포된 접착제)(30)을 건조(바람직하게는 자연 건조)시켜서, 접착제에 포함되는 용제의 적어도 일부(바람직하게는 대부분)를 휘발시킨다.
단계 4 : 창판을 가열하는 단계이다. 즉, 접착제층(30)이 형성된 창판(10)을, 그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부(100)가 상온(예를 들면 25℃)을 넘는 온도 범위가 되도록 가열한다. 이 때의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약 50℃ 이상(전형적으로는 약 50∼130℃)의 범위로 할 수 있으며, 약 60℃ 이상(전형적으로는 약 60∼1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80℃ 이상(전형적으로는 약 80∼12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창판(10)의 전체를 상온을 넘는 온도로 가열해도 좋다. 한편, 단계 3은 이 단계 4와 동시에 행해도 좋다.
단계 5 : 창판을 사출 성형틀에 세트하는 단계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접착제층(30)이 형성된 창판(10)을 사출 성형틀(50)에 세트한다. 이 사출 성형틀(50)은 코어형(core型)(하형(下型))(52) 및 캐버티형(cavity型)(상형(上型))(54)을 구비한다. 사출 성형틀(50)을 열어서 창판(10)을 배치한다. 한편, 상기 단계 4를 생략하고, 이와 같이 성형틀(50)을 열어서 창판(10)을 배치한 상태에서 창판(10)의 가열을 행해도 좋다.
단계 6 : 성형틀을 닫아서 차폐재 형성용의 캐버티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성형틀(50)을 닫음(몰드 클램핑)으로써, 코어형(52) 및 캐버티형(54)의 형면(型面)과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에 의해, 차폐재(20)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캐버티(56)가 구획 형성된다. 이 캐버티(56)는, 상세하게는, 기부(22)의 바닥부(222)(도 2참조)에 대응한 형상의 바닥부 성형용 캐버티(562)와, 기부(22)의 측부(224)에 대응한 형상의 측부 성형용 캐버티(564)와, 돌출부(24)에 대응한 형상의 돌출부 성형용 캐버티(566)를 갖는다. 또한, 몰드 클램핑에 의해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의 적어도 일부가 캐버티(56) 내에 노출한 상태에서 창판(10)이 고정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성형틀(50) 중 부호 502는, 이 때 창판 누름겸 밀봉부로서 기능하는 부분이다.
단계 7 : 가열 용융한 성형재료(주로 TPO 수지)를 캐버티에 사출 충전하는 단계이다. 즉, 캐버티형(54)에 형성된 러너(runner;542), 스프루(sprue;544) 및 사출 게이트(546)를 통하여, 가열 용융 상태에 있는 차폐재 성형재료를 캐버티(56)에 소정의 사출 압력(통상은 200∼1000kgf/㎠정도, 즉 약 20∼100MPa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 하에서 사출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가열 용융 상태에 있는 차폐재 성형재료가 접착제층(30)을 통하여 창판(10)에 대해서 압접된다. 이 때의 사출 성형 온도는, 사용하는 TPO의 종류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은 170∼230℃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캐버티(56)에 공급된 성형재료가 갖는 열과 상기 사출 압력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단면형상의 차폐재(20)가 형성됨과 아울러, 차폐재(20)는 접착제층(30)에 의해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에 일체적으로 접합된다.
단계 8 : 사출한 성형재료(수지)를 냉각하는 단계이다. 사출한 성형재료의 적어도 표면이 용융 온도를 하회하는(고화하는) 온도까지 냉각한다. 사출한 성형재료의 전체가 실질적으로 용융 온도를 하회하는 온도까지(보다 바람직하게는, 열변형 온도를 하회하는 온도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냉각에 따른 체적수축을 보충하기에 충분한 양의 성형재료를 캐버티(26)에 계속해서 공급(보압(保壓)함)하면 좋다.
단계 9 : 형 열기 및 창문 조립체를 꺼내는 단계이다. 즉, 사출 성형틀(50)을 열어서, 압출핀(ejector pin;548)을 사용하여 창문 조립체(1)를 꺼낸다. 이렇게 해서,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에 차폐재(20)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창문 조립체(1)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차폐재(20)는 기부(22)와 돌출부(24)가 동일한 차폐재 형성재료에 의해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다.
한편, 여기에서 예시한 제조방법에는, 필요에 따라서 단계 1∼9 이외의 제조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단계 1∼9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생략 또는 다른 단계와 병합해도 좋다. 생략하기에 적합한 단계로서는, 예를 들면, 단계 1, 단계 3, 단계 4를 들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과 같이 창판(10)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부(100)를 가열한 상태에서 성형재료를 사출하면, 사출된 성형재료의 온도가 급격히 저하하지 않아, 이것에 의해 급격한 고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성형재료에 과대한 유동 저항을 주지 않고, 또한 과대한 사출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캐버티(56)의 구석구석까지(예를 들면 부호 562, 564, 566의 각 부에) 적절히 충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성형재료의 사출에 필요로 하는 압력(사출 압력)이 작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창판(10)에 가해지는 재료의 압력도 작아지게 된다. 이 때문에, 성형재료를 사출할 때에 창판(10)이 손상되거나, 성형재료의 사출 압력에 의해 틀 내에서 창판(10)이 움직이는(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몰드 클램핑시에 창판(10)을 죄는 힘도 적게 들게 되기 때문에, 몰드 클램핑시 등에 창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따르면,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가 달성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TPO를 주체로 하는 차폐부 성형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 차폐재를 구비하는 창문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TPS(바람직하게는 SBC)를 주체로 하는 차폐부 성형재료를 사용한 차폐재를 구비하는 창문 조립체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접착제층으로서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폐재(20)가 형성되는 범위(기부(22)가 접합되는 범위)에만 접착제층(30)을 형성하였으나, 접착제층(30)을 형성하는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제조 오차를 고려해서 상기 범위를 포함하여 이것보다 약간 넓은 범위에 접착제층(30)을 형성해도 좋다. 또는 상기 범위 중의 일부에 접착제층(30)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접착제층(30)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단속적(斷續的)으로(예를 들면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 2 실시예>
이 제 2 실시예는, 차폐부의 사출 성형과 동시에, 사출한 재료의 일부를 유동시켜서 장착 클립 등의 고정구를 창판 이면에 접합할 수 있는 구성의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예이다. 이하,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판(10)에는, 후에 차폐재(20)가 형성되는 부분 및 고정구(42)가 고착(固着)되는 부분의 창판 이면(10B)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미리 접착제층(30, 32)을 형성해 둔다. 사출 성형틀(50)이 열려 있을 때에 틀(50)(코어형(52))의 소정 위치에 고정구(42)를 세트하고, 이어서 창판(10)을 세트한다. 틀(50)을 닫고, 형성된 캐버티(56)에 러너(542), 스프루(544)를 통하여 가열 용융한 성형재료를 사출한다. 이 때, 러너(542)에 접속된 다른 스프루(545)로부터 유지부 성형용 캐버티(549)에 가열 용융한 성형재료를 사출하여 충전한다. 이것에 의해, 고정구(42)의 기부(422)를 창판(10)에 고정하는 유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유지부를 접착제층(32)을 통하여 창판 이면(10B)에 접합할 수 있다. 유지부(도 4에 나타내는 유지부 성형용 캐버티(549)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됨)는 고정구(42)의 기부(422)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정구(42)를 창판 이면(10B)의 프릿층(12)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 고정구(42)는 창문 조립체(1)를 차체 패널 등에 장착할 때에, 차체 개구부의 위치결정 구멍 등에 걸어 고정시켜서 창문 조립체(1)를 위치결정하는 데 이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에서는, 차폐재(20)의 기부는 실질적으로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의 이면(10B)측만을 덮도록 형성된다.
한편, 고정구(42)의 기부(422)를 창판 이면(10B)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틈새를 가지게 해 두면, 상기 틈새에 성형재료가 들어가서 고화하므로, 고정구(42)에 방향의 변위성을 줄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제 3 실시예는, 본 발명을 차량의 쿼터(quarter) 윈도우(승용차나 밴의 리액오터 유리창, 스테이션 왜건(station wagon)의 화물실 측면의 유리창 등)에 적용한 예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3)에서는, 창판(10)의 외주 가장자리부(100)의 이면(10B)으로부터 단면(10C)을 지나 표면(10A)에 이르는 범위에 연속해서 차폐재(20)의 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부(22)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미리(차폐재(20)를 형성하기보다 전에) 형성된 접착제층(30)을 통하여 창판(10)에 접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창문 조립체(3)는, 차폐재(20)의 두께가 얇고 유연한 돌출부(24)가 피장착체(여기에서는 자동차)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9)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외측으로부터 탄접(彈接)하도록 하여 장착된다.
<제 4 실시예>
사용하는 재료 및 사출 성형 조건을 변화시켜서, 창판과 차폐재와의 접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테스트 피스(test piece)로서는 두께 3mm, 길이 120mm, 폭 25mm의 유리판을 주체로 하는 것을 사용하였다. 그 유리판의 한쪽의 면(이면)은, 그 전면에 프릿층(조화층(粗化層))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조화되어 있다. 다른쪽 면(표면)은 이면보다도 조도(粗度;roughness)가 작은(평활한) 유리면인 채로 되어 있다. 테스트 피스의 표면 및 이면 중 어느 한쪽의 면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一端)으로부터 중앙 부근까지의 범위(즉 길이 약 60mm의 범위)에 이르러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미츠비시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상표 "사후렌(등록상표) P-1000" (이하, 접착제 (A)라고 말한다.) 및 "동(同) AP-343" (이하, 접착제 (B)라고 말한다.)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테스트 피스의 접착제층 형성면에 성형재료를 사출하여 판형상의 성형체(창문 조립체에 있어서의 차폐재에 상당함)를 형성하였다. 성형재료로서는, 미츠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TPO인 "밀라스토머(등록상표) S650B"를 주체로 하는 것(이하, 성형재료 (1)이라고 말한다.), 압코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TPS인 상표 "스미플렉스 QE503ATB"를 주체로 하는 것(이하, 성형재료 (2)라고 말한다.), 미츠비시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로부터 입수 가능한 TPO인 상표 "사모란 QT70SA"를 주체로 하는 것(이하, 성형재료 (3)이라고 말한다.)을 사용하였다. 이 중 성형재료 (1)은, 전체의 40질량%의 무기 필러(여기에서는 탤크)를 함유하는 조성이다.
사출 성형은 이하와 같이 해서 행하였다. 즉,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형(上型;62)과 하형(下型;64)을 구비하는 사출 성형틀(60)을 열고, 접착제층(30)을 갖는 면(표면 또는 이면)을 위로 해서 테스트 피스(5)를 하형(64)에 세트한다. 도 7에는, 프릿층(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즉, 유리판(4)이 노출하고 있는 면)을 위로 해서 테스트 피스(5)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틀(60)을 닫으면, 테스트 피스(5)의 표면 및 상형(52)의 캐버티면에 의해, 두께 약 2mm, 길이 약 120mm, 폭 약 25mm의 캐버티(56)가 구획 형성된다. 사출 성형기의 실린더 온도 190℃, 사출 압력 800kgf/㎠(약 78MPa)의 조건에서, 상형(52)에 형성된 스프루(544)를 통해서 가열 용융 상태에 있는 성형재료를 사출하여, 캐버티(56)에 충전한다. 이 때, 성형재료를 사출하기 전에 테스트 피스(5)가 소정의 온도가 되도록 오븐에서 적절히 가열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테스트 피스(5)의 온도를 15℃(가열 없음), 60℃(가열 15초) 또는 80℃(가열 30초)로 하여 성형재료를 사출한다. 사출 완료로부터 5초간 보압(保壓)한 후, 냉각하여 틀(60)을 열고, 판형상의 성형체가 형성된 테스트 피스(5)(측정용 샘플)를 꺼낸다.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상태(常態), 내습(耐濕)(온도 50℃×습도 95%로 240시간 유지한 후), 내열(온도 80℃로 240시간 유지한 후), 내수(耐水)(온도 40℃의 수중(水中)에 240시간 유지한 후), 내고온수(耐高溫水)(온도 80℃의 수중에 3시간 유지한 후), 냉열(온도 80℃에 5시간 유지, 실온에 1시간, 30℃에 5시간 유지, 실온에 1시간 유지의 사이클을 5회 반복한 후)의 각 조건에서, 180°박리 시험에 의해 성형체의 테스트 피스에의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다. 즉, 도 8(프릿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판형상 성형체를 형성한 경우) 및 도 9(프릿층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판형상 성형체를 형성한 경우)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착제층(3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범위의 테스트 피스(5)상에 형성된 판형상 성형체(6)를 되접어 꺾어서 180°방향(도 8 및 도 9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겼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층(30)상에 형성된 성형체(6)의 18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표 1중의 측정값의 단위는 "kgf/25mm폭"이다. 표중의 값에 9.8을 곱함으로써 SI단위인 "N/25mm폭"으로 환산할 수 있다. 또한, 측정값 앞의 *은 모재(母材) 파괴한 것(즉, 접착 계면이 아니라 성형체의 내부에서 파괴한 것)을 나타낸다. 표중의 공란은 그 조건에서는 측정을 행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측정 회수(샘플수 n)가 3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는, 여기에서 사용한 어떠한 성형재료와 접착제의 조합에 의해서도 테스트 피스에 성형체를 접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보다 양호한 접합품(창문 조립체에 상당함)을 얻기 위해서, 조화층(粗化層)(프릿층(12))을 형성하는 것, 테스트 피스를 상온을 넘는 온도역(溫度域)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성형재료를 사출하는 것의 각각이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화층의 형성 및 테스트 피스의 가열의 쌍방을 실시함으로써 더욱 양호한 접합품이 얻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성형재료 (1)과 접착제 (B)의 조합, 성형재료 (2)와 접착제 (B)의 조합에서는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가지로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백 윈도우의 제법(製法)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량의 프론트 윈도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창판이 투명 중간막을 갖는 래미네이트 유리일 때는, 창판을 가열할 때의 최고 온도를 110℃정도로 한정시켜서 중간막의 열 열화(熱劣化)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의 조합에 의해 기술적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으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기 유리제의 창판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구성된 차폐재의 기부가 강고히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창문 조립체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체를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박리 강도의 시험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박리 강도의 시험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3 : 창문 조립체 9 : 창문 개구 가장자리
10 : 창판(窓板) 10A : 표면
10B : 이면 10C : 단면
100 : 외주 가장자리(외주 가장자리부)
102 : 직선형상부 104 : 코너부
12 : 프릿층(조화층(粗化層)) 20 : 차폐재
22 : 기부(基部) 24 : 돌출부
30, 32 : 접착제층 50 : 사출 성형틀
52 : 코어형(상형(上型)) 54 : 캐버티형(하형(下型))
546 : 사출 게이트 56 : 캐버티

Claims (13)

  1. 피장착체의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창문 조립체로서,
    그 창문 조립체는 표리 양면을 갖는 무기 유리제의 창판(窓板)과, 상기 창판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를 따라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와 상기 창문 개구 가장자리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재(遮蔽材)를 구비하고,
    상기 창판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차폐재는,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기부(基部) 성형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기부 성형재료가 가열 용융 상태로 상기 창판에 압접(壓接)되어 상기 접착제층에 의해 접합되어서 냉각 고화(固化)한 기부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돌출부 형성재료에 의해 상기 기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기부로부터 창문 개구 가장자리를 향해서 돌출하며, 상기 창문 조립체가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 탄성 변형하여 상기 창문 개구 가장자리에 탄접(彈接)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창문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적어도 이면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창판의 표면보다도 조화(粗化)된 표면을 갖는 조화층(粗化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화층상에 형성되고,
    그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차폐재의 기부가 상기 창판에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연삭 처리에 의해 조면화(粗面化)되어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조면화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에 형성되고, 그 접착제층을 통하여 상기 차폐재의 기부가 상기 창판에 접합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성형재료는 무기 필러(filler)를 더 함유하는 창문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 형상은 직선형상부와 코너부를 가지며, 상기 차폐재는 상기 직선형상부 및 코너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폐재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코너부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상부보다도 창판의 면 중심측을 향해서 변위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창문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카르복실기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아크릴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인 창문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는 카르복실기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 또는 아크릴 변성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인 창문 조립체.
  8. 무기 유리제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폐재가 형성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창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창판을 사출 성형틀에 세트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틀을 닫음으로써,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틀의 캐버티에 노출한 상태에서 상기 창판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버티를 틀 내부에 형성하는 공정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를, 가열되어 용융한 상태로 상기 틀의 사출 게이트로부터 상기 캐버티에 소정의 사출 압력하에서 사출해서 충전하여, 상기 차폐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를 상기 접착제층으로 상기 창판에 접합하는 공정과,
    그 성형재료가 냉각 고화한 후에 상기 성형틀을 열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상기 차폐재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9. 무기 유리제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폐재가 형성된 창문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창판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차폐재가 형성되는 부분에,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창판을 사출 성형틀에 세트하는 공정과,
    상기 성형틀을 닫음으로써, 상기 외주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틀의 캐버티에 노출한 상태에서 상기 창판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버티를 틀 내부에 형성하는 공정과,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또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를 주체로 하는 성형재료를, 가열되어 용융한 상태로 상기 틀의 사출 게이트로부터 상기 캐버티에 소정의 사출 압력하에서 사출해서 충전하여, 상기 차폐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차폐재를 상기 접착제층으로 상기 창판에 접합하는 공정과,
    그 성형재료가 냉각 고화한 후에 상기 성형틀을 열어서 상기 창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상기 차폐재가 일체적으로 접합된 창문 조립체를 상기 성형틀로부터 꺼내는 공정을 포함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이면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상기 창판의 표면보다도 조화된 표면을 갖는 조화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화층상에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창판의 한쪽의 폭광면(幅廣面)의 외주 가장자리 그리고 상기 창판의 단면 및/또는 다른쪽 폭광면의 외주 가장자리에, 산변성된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산변성된 올레핀-스티렌 공중합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면에 형성된 접착제층 위에 상기 차폐재를 형성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 세트된 창판의 적어도 외주 가장자리를 상온을 넘는 온도역(溫度域)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재료를 사출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창판의 전체를 상온을 넘는 온도역으로 가열한 상태에서 상기 창판에 상기 차폐재를 접합하는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040066684A 2003-09-18 2004-08-24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08151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5640A JP4129920B2 (ja) 2003-09-18 2003-09-18 窓組立体の製造方法
JPJP-P-2003-00325640 2003-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01A true KR20050028301A (ko) 2005-03-22
KR100815126B1 KR100815126B1 (ko) 2008-03-20

Family

ID=3445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684A KR100815126B1 (ko) 2003-09-18 2004-08-24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091935A1 (ko)
JP (1) JP4129920B2 (ko)
KR (1) KR100815126B1 (ko)
CN (1) CN100523423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32B1 (ko) * 2006-11-15 2008-06-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자동차 도어창 및 고정창용 웨더스트립의 제작방법
KR100844353B1 (ko) * 2006-12-06 2008-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8700B2 (ja) * 2005-09-08 2008-06-25 東海興業株式会社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
GB2432870A (en) * 2005-11-18 2007-06-06 Gdx North America Inc Seal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DE102006057822A1 (de) * 2006-12-06 2008-06-26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Mehrschichtiges Verbundmaterial mit inhärent latentem Schutz gegenüber Verformung unter Temperatureinwirkung als Ausgleich des Bi-Metalleffektes
DE102006060459A1 (de) * 2006-12-19 2008-06-26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Mehrschichtiges Verbundmaterial mit mindestens einer Glasschicht
EP2230118B1 (en) 2009-03-17 2012-05-30 Pilkington Italia S.p.A. Vehicle glazing having a trim mounted thereon
US20110042848A1 (en) * 2009-08-24 2011-02-24 Ash Charles E Method of making a molded trim assembly
JP6022144B2 (ja) * 2010-04-01 2016-11-09 東海興業株式会社 ガラスランチャンネルとその組立体及び製造方法
EP2383131A1 (de) * 2010-04-28 2011-11-02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dach mit integriertem Rollo-Schiebedach
EP2394832A1 (de) 2010-06-11 2011-12-14 Saint-Gobain Glass France Fahrzeugfenster mit integriertem Rollo
EA023102B1 (ru) * 2010-07-27 2016-04-29 ЭйДжиСи ОТОМОУТИВ АМЕРИКАС Ар ЭНД Ди ИНК. Оконный узел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указанного узла
JP5848917B2 (ja) * 2011-08-23 2016-01-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アセンブリ
US9227348B2 (en) * 2011-09-21 2016-01-05 Ocean Net, Inc. Method for forming a glass-plastic composite
US8790771B2 (en) 2012-10-12 2014-07-29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Encapsulants for window assemblies
US8800222B2 (en) 2012-12-27 2014-08-12 Agc Automotive Americas R&D, Inc. Encapsulants for window assemblies
CN103085637B (zh) * 2013-02-05 2014-12-03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玻璃包边总成
CN104648093B (zh) 2013-11-21 2018-02-23 法国圣戈班玻璃公司 制造车窗组件的方法及车窗组件
US20180016405A1 (en) * 2015-01-25 2018-01-18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Hard coat film
JP2017007483A (ja) * 2015-06-19 2017-01-1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モジュール
JP6764416B2 (ja) * 2015-10-23 2020-09-30 宇部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フィラー組成物
FR3063254B1 (fr) * 2017-02-27 2019-03-22 Saint-Gobain Glass France Procede d'encap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016A (en) * 1989-07-04 1994-06-07 Chisso Corporation Emulsion adhesiv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5544458A (en) * 1993-03-05 1996-08-13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panel assembly
KR200167791Y1 (ko) 1999-08-06 2000-02-15 이환덕 일체형 가변 인서트 도어 몰딩 부품
JP2001354079A (ja) 2000-06-09 2001-12-25 Tokai Kogyo Co Ltd 車両用モール部材
JP2002347438A (ja) 2001-05-30 2002-12-04 Nissan Motor Co Ltd ウインドウ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3237376A (ja) 2002-02-14 2003-08-27 Tokai Kogyo Co Ltd 車両用窓縁モール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32B1 (ko) * 2006-11-15 2008-06-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자동차 도어창 및 고정창용 웨더스트립의 제작방법
KR100844353B1 (ko) * 2006-12-06 2008-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29920B2 (ja) 2008-08-06
US20050091935A1 (en) 2005-05-05
KR100815126B1 (ko) 2008-03-20
JP2005088773A (ja) 2005-04-07
CN100523423C (zh) 2009-08-05
CN1598233A (zh)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126B1 (ko) 창문 조립체의 제조방법
US5544458A (en) Vehicle panel assembly
US4874654A (en) Vehicle window glass
US11718244B2 (en) Trim part
JP3581307B2 (ja) 枠材付き窓用板材
JPH1128935A (ja)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組立体、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0367487B2 (ko)
JP4444890B2 (ja) 長尺な複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2059747A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装着フランジを備えた自動車サンルーフ
JP2555782B2 (ja) モ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71392A (ja) 自動車用樹脂ガラス
JP2003165137A (ja) 長尺な複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7077662A (ja) インサート成形法
JP4129924B2 (ja) 窓組立体の製造方法
JPH042787A (ja) 自動車用部品の製造方法
JP3918082B2 (ja) 自動車用モールディングの成形方法
JP3000278B1 (ja) 自動車ヘッドランプ用シ―ル材
JPH10244834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CN216467295U (zh) 车门玻璃呢槽及汽车车门和汽车
JP2004322957A (ja) 自動車用ベルトラインモール
JP2005104331A (ja) 窓組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製造装置ならびに窓組立体用窓板
JP2008213497A (ja) 自動車用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KR20090008094A (ko) 차량용 외장 몰딩의 제조방법
JP3066695B2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JP2014121987A (ja) 車両用シー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116

Effective date: 2008030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