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485A -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485A
KR20050027485A KR1020030063771A KR20030063771A KR20050027485A KR 20050027485 A KR20050027485 A KR 20050027485A KR 1020030063771 A KR1020030063771 A KR 1020030063771A KR 20030063771 A KR20030063771 A KR 20030063771A KR 20050027485 A KR20050027485 A KR 20050027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onic compass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080B1 (ko
Inventor
심기학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 넥스모어시스템즈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080B1/ko
Priority to PCT/KR2004/002352 priority patent/WO2005027365A1/en
Priority to CA002539317A priority patent/CA2539317A1/en
Priority to CNB2004800265064A priority patent/CN100428645C/zh
Priority to US10/571,872 priority patent/US20070042823A1/en
Priority to BRPI0414376-0A priority patent/BRPI0414376A/pt
Priority to EP04774611A priority patent/EP1665565A4/en
Publication of KR20050027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A63F13/1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4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the platform being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4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platform network
    • A63F2300/406Transmission via wireless network, e.g. pager or GS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5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details of game servers
    • A63F2300/55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 A63F2300/5546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 A63F2300/5573Details of game data or player data management using player registration data, e.g. identification, account, preferences, game history play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게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네트워트형 모바일 게임의 게임 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이중 모드 게임이라고 판단되면,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 나침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는 게임 화면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를 정확하고 손쉽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s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Network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나침반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하고,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따라 내장된 전자 나침반 모듈에서 출력되는 값을 게임 진행 과정에서의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공학, 통신 공학, 단말기와 관련된 제반 기술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도 다양한 기능을 갖게 되었다. 즉, 무선 통신 및 데이터 처리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망 접속, 화상 통신 및 동영상 메시지 전송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의 최대 단점인 고정성을 극복하여 사용자의 이동성을 폭넓게 보장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중앙처리장치(CPU : Control Process Unit)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컬러 LCD(Liquid Crystal Display) 화면 및 64 화음 수준의 음원 등이 지원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의 진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게임(이하, '모바일 게임'이라 칭함)은 언제 어디서나 플레이가 가능하고, 여타 휴대용 게임기와는 달리 이동통신 단말기를 교체하지 않아도 새로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낮은 성능으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게임을 다운로드하여 즐기는 자립(Stand-Alone)형 게임이 주종을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온라인(Online) 상에서 다른 사용자와 함께 플레이가 가능한 네트워크(Network)형 게임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예시 화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화면 좌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진행 중인 게임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화면 우측에는 좌측의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키버튼의 용도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특히, 모바일 게임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위한 키버튼이 상, 하, 좌, 우 방향과 점프 동작마다 각각 할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 우측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키버튼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능들을 숙지한 후 모바일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 제어 캐릭터를 움직이기 위해서 대개 양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상, 하, 좌, 우 방향 및 점프 동작에 설정된 각각의 키버튼을 지속적으로 눌러주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 제어 캐릭터를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도 1에 도시된 '방울 공격'과 같은 특수한 동작을 수행하기가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만 게임에 숙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모바일 게임마다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이동이나 특수 기능에 할당된 키버튼이 상이하기 때문에 모바일 게임에 익숙해지기가 더욱 더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형성된 키 매트릭스(Key Matrix)는 면적이 좁아 키버튼 사이의 상, 하, 좌, 우 간격이 좁은 반면, 이에 비해 키버튼을 누르는 데 사용하는 엄지손가락은 상대적으로 접촉용 면적이 크다. 따라서, 실제로 게임을 진행할 경우 누르고자 하는 키버튼에 인접하고 있는 다른 키버튼을 누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원활한 게임 진행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나침반과 동일한 원리로 동작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하고,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 방향에 따라 내장된 전자 나침반 모듈에서 출력되는 값을 게임 진행 과정에서의 3차원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모바일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컴파일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파일러 및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가 설치된 프로그램 메모리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저장부; 이동국 식별 번호, ESN, 개인 보안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 상기 모바일 게임의 선택, 실행, 진행 및 중지와 관련된 키값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외부 지자계의 크기에 비례하여 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자기 센서를 내장하여 수평 회전각 값이나 수직 회전각 값을 출력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따라 상기 모바일 게임을 제어하되, 상기 모바일 게임의 진행 도중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수평 회전각 값이나 상기 수직 회전각 값을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이터값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특정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LCD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무선 인터넷 게임 시스템에서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게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파악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트형 모바일 게임이 지원하는 게임 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이중 모드 게임이라고 판단되면,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 나침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하고,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e) 수신하는 상기 제어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는 게임 화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바람직한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프로그램 메모리부(210), 파라미터(Parameter) 저장부(211), 키입력부(212), LCD 표시부(213),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 모바일 게임 저장부(215), 모드 상태 저장부(216), 가입자 정보 저장부(217),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220),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 베이스밴드(Baseband) 변환부(240), RF 신호 처리부(250), 스피커(260), 마이크로폰(270), 안테나(280) 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부(110)에는 네트워크와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하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을 처리하기 위한 컴파일러(Compiler)가 저장되어 있다. 컴파일러는 C++, 임베디드 비주얼(Embedded Visual) C++, 자바(JAVA) 등의 프로그램 언어로 코딩된 모바일 게임 컨텐츠를 컴파일하여 실행시키는 기능을 한다. 컴파일러는 모바일 게임 컨텐츠가 코딩된 프로그램 언어의 종류별로 설치되어 있고, 특정 모바일 게임 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해당 모바일 게임 컨텐츠의 파일 정보를 분석하여 코딩된 프로그램 언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 컨텐츠를 실행시킨다.
또한, 프로그램 메모리부(11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특정 서버, 예컨대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 등에 접속하여 네트워크형 게임을 수행하거나 모바일 게임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소정의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설치되는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코딩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HTML(Microsoft-HTML)로 코딩된 모바일 익스플로러(Mobile Explorer), c-HTML(Compact-HTML)로 코딩된 콤팩트 넷프론트(Compact NetFron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파라미터 저장부(21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음성 통화 및/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3GPP2, 국제전기통신연합(ITU), OHG(Operator Harmonization Group) 등에서 정의한 동기식, 비동기식 및 제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될 각종 파라미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메모리부(21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토콜 소프트웨어는 파라미터 저장부(211)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변조 및 복조한다.
키입력부(212)에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 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스크롤(Scroll)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12)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키, 기능키, 방향키 등을 조작하여 원하는 모바일 게임을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키입력부(212)에 구비된 다수의 키버튼은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 있는 이미지(이하, '사용자 제어 캐릭터'라고 칭함)의 이동과는 무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입력부(212)에 구비된 특정 키버튼을 조작하여 사용자 제어 캐릭터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움직여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움직이는 방향 및 움직인 각도에 비례하여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LCD 표시부(213)는 일반적으로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각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LCD 표시부(213)는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게임 화면,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 게임 점수, 게임 순위 등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각종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는 자기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 등을 내장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움직이는 거리 및/또는 방향에 따라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출력 신호 값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는 정확한 동작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로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플립(Flip)형인지 폴더(Folder)형인지에 따라 전자 나침반 모듈(214)이 내장되는 위치가 상이하게 될 것이다. 예컨대, 플립형인 경우에는 키입력부(212)와 LCD 표시부(213)가 동일한 평면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평형을 유지하는 이유로 설치되는 위치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폴더형인 경우에는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경우 키입력부(212)와 LCD 표시부(213)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양손과 연동되는 키입력부(212)가 구비된 몸체에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모바일 게임 저장부(215)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무선 인터넷망 접속을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거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수신한 하나 이상의 모바일 게임이 저장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바일 게임은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있고,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이 요구되는 게임으로, 예컨대 슈팅(Shooting) 게임 등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은 고정된 위치에서 가로축이나 세로축과 같은 기준축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기준축과 사용자 제어 캐릭터간에 생기는 각도가 변하는 움직임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모바일 게임은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 값을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에 이용할 수 있는 모드(이하, '전자 나침반 모드'라 칭함)를 지원하는 게임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게임은 전자 나침반 모드와 키버튼으로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드(이하, '키 매트릭스 모드'라 칭함)를 모두 지원하고, 특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특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모드 상태 저장부(216)는 키입력부(212)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예컨대, 0, 1, 2,...)로 저장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대기 모드, 통화 모드, 자립형 게임 모드, 네트워크형 게임 모드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216)를 갱신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217)에는 이동국 식별 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개인 보안키,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217)는 카드 형태로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슬롯(Slot)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어 SIM 카드라고도 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망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SIM 카드 이외에도 각종 IC 카드도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카드가 아닌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칩에 가입자 정보 저장부(216)의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모드 상태 저장부(216)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키입력부(212)로부터 자립형 게임의 실행 요청에 관한 키값이 입력되면 모바일 게임 저장부(215)에 저장되어 있는 자립형 게임의 목록을 LCD 표시부(213)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키입력부(212)로부터 네트워크형 게임의 실행 요청에 관한 키값이 입력되면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소정의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네트워크형 게임의 목록을 수신하여 LCD 표시부(213)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네트워크형 게임이 선택되면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와 실시간으로 게임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게임을 진행한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키입력부(212)로부터 입력되는 게임 제어용 키값뿐만 아니라,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로부터 수신하는 게임 제어용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 전송한다. 물론,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게임 제어용 키값 및/또는 게임 제어용 데이터 수신하는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진행 중인 게임의 규칙에 따라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 등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진행 중인 게임 화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 등으로 구성되어 네트워크형 게임을 지원하는 기술 내용은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자립형 게임이나 네트워크형 게임이 지원하는 모드의 종류를 파악하여 게임 목록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키 매트릭스 모드만 지원하는 게임이면 '<키>'로, 전자 나침반 모드만 지원하는 게임이면 '<나침반>'으로, 키 매트릭스 모드와 전자 나침반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게임이면 '<키&나침반>'으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게임 목록 화면에서 키 매트릭스 모드와 전자 나침반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모바일 게임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모바일 게임은 게임 시작 전에 하나의 특정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화면을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전자 나침반 모드만 지원하는 모바일 게임이 선택되거나, 모드 선택 화면에서 전자 나침반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를 구동시키고,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 값을 이용하여 실행 중인 모바일 게임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키입력부(212)을 통해 요청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 전송한다(TX DATA).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함)(230)는 음성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고 다중 경로 잡음 제거를 위한 이퀄라이저(Equalizer)로서 기능하며, 음향 데이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DSP(23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40)와 음성 데이터(SPEECH)를 주고받으며,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부터 디지털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는 DSP(230)와 RF 신호 처리부(250), 스피커(260) 및 마이크로폰(270)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밴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DAC : Digital to Analog Conversion)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C :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는 전송 데이터(TXIQ)를 RF 신호 처리부(250)로 전달하며, RF 신호 처리부(250)의 전력을 제어(POWER)하거나 그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그리고, RF 신호 처리부(250)로부터 수신 신호(RXIQ)를 전달받는다.
RF 신호 처리부(250)는 RF 안테나(280)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복조 및 증폭하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40)로부터 인가되는 전송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 공간으로 송출한다. 스피커(260)는 실행 중인 모바일 게임에서 출력되는 음향 데이터를 베이스 밴드 변환부(240)으로부터 수신하여 가청음으로 출력하고, 마이크로폰(270)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는 크게 자기 센서부(310), 제어 회로부(320) 및 보정용 프로세서(330) 등을 포함한다.
자기 센서부(310)는 외부 자계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X축 자기 센서(312)와 Y축 자기 센서(314)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자기 센서는 링 모양의 고 투자성체(高透磁性體) 퍼멀로이(Permalloy)로서 전주(全周)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여자 코일이 감기고, 검출 코일인 X축 자기 센서(312)와 Y축 자기 센서(314)가 직경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여 감겨 있다.
한편, 지자기는 남에서 북으로 향하는 자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본체의 전면이 대체로 수평하고 전면이 위로 향하고 있는 경우, X축 자기 센서(312)와 Y축 자기 센서(314)에서는 외부 자계가 변함에 따라 여현파형 및 정현파형의 센서 출력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자기 센서가 외부 자계의 변화에 따라 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원리는 통상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회로부(32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 Analog to Digital Converter)(322) 및 직류 정전압 회로(324) 등을 포함한다. 제어 회로부(320)는 X축 자기 센서(312) 및 Y축 자기 센서(3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는 X축 자기 센서(312) 및 Y축 자기 센서(314)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센서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가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의 값이 게임 내에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여서 기준축인 가로축이나 세로축과 이루는 수직 회전각 값이나 수평 회전각 값이 된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는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보정용 프로세서(330)로 전달한다.
직류 정전압 회로(324)는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X축 자기 센서(312) 및 Y축 자기 센서(314)로 전압의 크기가 변하지 않는 직류 정전압을 공급하여 자기 센서의 정확한 센싱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보정용 프로세서(330)는 제어 회로부(320)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의 보정이 필요한 경우 보정 작업을 수행하고, 보정된 디지털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220)로 전달한다. 여기서, 보정이 필요한 경우란 보정용 프로세서(330)가 수신한 디지털 신호의 값이 음(-)인 경우나 360˚이상인 경우 등을 말한다. 보정용 프로세서(330)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의 값을 판단하여 음이라고 판단되면 360˚를 더하여 회전각 값을 보정하고, 360˚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360˚를 감산하여 회전각 값을 보정한다. 따라서, 전자 나침반 모듈부(214)에서 출력되는 보정된 디지털 신호는 항상 0 ~ 360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보정용 프로세서(330)는 실행 중인 모바일 게임에 수평 회전각 값 또는 수직 회전각 값의 임계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디지털 신호의 값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보정 작업을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수평 회전각 값이나 수직 회전각 값의 임계치가 90˚나 180˚로 정해진 경우에는 90˚나 180˚를 넘는 디지털 신호는 각각 90˚나 180˚를 감산하는 보정을 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축 자기 센서(312) 및 Y축 자기 센서(314)에서의 변화하는 외부 자계와 각 자기 센서에서의 출력 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X축 자기 센서(312)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상태에서 외부 자계의 X축 성분에 비례하는 센서 출력값(Sx)을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Y축 자기 센서(314)도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상태에서 외부 자계의 Y축 성분에 비례하는 센서 출력값(Sy)을 출력한다. X축 자기 센서(312)와 Y축 자기 센서(314)는 각각 소정의 방향에 따르는 자계의 크기에 비례하는 신호 값을 출력하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자기 센서부(310)의 단일 칩(Chip) 상에 자계 검출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제어 캐릭터(550)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5A를 보면 기준축인 가로축(510)과 수직을 이루고 있던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우측으로 각도 A만큼 움직인다고 가정하자. 여기서, 참조번호 520, 530 및 540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회전축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우측으로 각도 A만큼 움직였다는 의미는 보다 정확하게는 회전축 520과 회전축 530이 이루는 각도가 A라는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우측으로 각도 A만큼 움직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내장된 Y축 자기 센서(314)가 외부 자계가 변화한 크기에 비례하여 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 및 보정용 프로세서(330)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220)로 센서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보정용 프로세서(330)로부터 수신한 보정된 디지털 신호를 체크하여 진행 중인 게임 내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550)를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 및 각도만큼 이동시킨다. 여기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550)의 이동 각도는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움직인 각도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가중치를 곱하여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좌측으로 각도 B만큼 움직이는 것과 우측으로 각도 A만큼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원리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가로축을 기준으로 좌방향이나 우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실제 모바일 게임에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좌우 방향의 각도 조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제어 캐릭터(620)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6A를 보면, 기준축인 세로축(610)과 수직을 이루고 있던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상측으로 각도 A, B 및 C만큼 움직인다고 가정하자.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상측으로 각도 A만큼 움직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내장된 X축 자기 센서(312)가 외부 자계가 변화한 크기에 비례하여 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322) 및 보정용 프로세서(330)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220)로 센서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20)는 보정용 프로세서(330)로부터 수신한 보정된 디지털 신호를 체크하여 진행 중인 게임 내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550)를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방향 및 각도만큼 이동시킨다. 물론, 도 5에서도 이미 설명하였지만 사용자 제어 캐릭터(620)의 이동 각도는 실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움직인 각도와 동일하게 할 수도 있지만, 소정의 가중치를 곱하여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세로축을 기준으로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실제 모바일 게임에서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상하 방향의 각도 조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탑재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특정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에 접속한다(S700).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에서 제공하는 메뉴(Menu) 화면에서 모바일 게임을 선택하고, 모바일 게임 목록을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S702). 여기서, 모바일 게임 목록에 포함된 모바일 게임은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은 사용자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로 분류되는 인공 지능이 부여된 컴퓨터와의 대결 모드 및 동시에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간의 대결 모드를 제공하는 게임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모바일 게임 목록에서 특정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선택하면, 입력한 키값이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 전송된다(S704).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키값을 이용하여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파악하고, 파악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지원하는 게임 모드를 파악한다(S706). 여기서, 게임 모드는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키 매트릭스 모드, 전자 나침반 모드 및 키 매트릭스 모드와 전자 나침반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이중 모드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단계 S706에서 파악한 게임 모드가 이중 모드를 지원하는 이중 모드 게임이라고 판단되면, 게임 모드의 선택을 위한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제공한다(S708).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전자 나침반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키값이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 전송된다(S710).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수신하는 키값을 파악하여 전자 나침반 모드로서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될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S712). 여기서, 제어용 데이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생성되는 수평 회전각 값 및/또는 상기 수직 회전각 값을 의미한다.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용 데이터에 따라 구동 중인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내에서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움직임을 제어한다(S714).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는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는 게임 화면을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S716).
앞에서 설명하였듯이, 종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소형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움직임에 따라 모바일 게임 내의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쉽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 좁은 면적의 키 매트릭스에 형성된 키버튼을 누르는 횟수가 크게 감소하므로, 모바일 게임을 보다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예시 화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나침반 모듈부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X축 자기 센서 및 Y축 자기 센서에서의 변화하는 외부 자계와 각 자기 센서에서의 출력 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나침반 기능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이동통신 단말기 210 : 프로그램 메모리부
211 : 파라미터 저장부 212 : 키입력부
213 : LCD 표시부 214 : 전자 나침반 모듈부
215 : 모바일 게임 저장부 216 : 모드 상태 저장부
217 : 가입자 정보 저장부 220 : 마이크로프로세서
23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40 : 베이스밴드 변환부
250 : RF 신호 처리부 260 : 스피커
310 : 자기 센서부 312 : X축 자기 센서
314 : Y축 자기 센서 320 : 제어 회로부
322 :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324 : 직류 정전압 회로
330 : 보정용 프로세서 510, 610 : 기준축
520, 530, 540 : 회전축 550, 620 : 사용자 제어 캐릭터

Claims (23)

  1.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상기 모바일 게임을 실행할 수 있도록 컴파일(Compile)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컴파일러(Compiler) 및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된 프로그램 메모리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Parameter)가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 저장부;
    이동국 식별 번호(MIN :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ical Serial Number), 개인 보안키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상기 모바일 게임의 선택, 실행, 진행 및 중지와 관련된 키값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키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외부 지자계의 크기에 비례하여 센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자기 센서를 내장하여 수평 회전각 값이나 수직 회전각 값을 출력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따라 상기 모바일 게임을 제어하되, 상기 모바일 게임의 진행 도중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부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수평 회전각 값이나 상기 수직 회전각 값을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이터값으로 무선 인터넷망을 통하여 특정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바일 게임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게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저장부는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3GPP2,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및 OHG(Operator Harmonization Group)에서 정의한 동기식, 비동기식 및 제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로 코딩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HTML(Microsoft-HTML)로 코딩된 모바일 익스플로러(Mobile Explorer) 및 c-HTML(Compact-HTML)로 코딩된 콤팩트 넷프론트(Compact NetFront)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 인터넷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상기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에 접속한 후 상기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부는
    상기 외부 지자계의 X축 성분 및 Y축 성분의 변화에 따라 X축 센서 출력 신호 및 Y축 센서 출력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X축 자기 센서 및 Y축 자기 센서;
    상기 X축 센서 출력 신호 및/또는 상기 Y축 센서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보정 작업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보정 작업을 수행하되 보정된 디지털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보정용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부는 상기 X축 자기 센서 및 상기 Y축 자기 센서로 직류 정전압을 공급하는 직류 정전압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용 프로세서는 상기 보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보정용 알고리즘을 내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용 프로세서는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값이 음(-)의 값을 갖거나 360°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에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용 프로세서는 수신한 상기 디지털 신호의 값이 기 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보정 작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자신의 세로축 상에 임의의 지점을 고정점으로 하여 좌측 방향 및/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가로축 상의 임의의 지점을 고정점으로 하여 상방향 및/또는 하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듈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몸체 부분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진행 중인 상기 모바일 게임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무선 인터넷 게임 시스템에서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게임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파악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트형 모바일 게임이 지원하는 게임 모드를 파악하는 단계;
    (c)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이중 모드 게임이라고 판단되면,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 나침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 실행하고,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e) 수신하는 상기 제어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단계; 및
    (f)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움직이는 게임 화면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모바일 게임 목록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무선 인터넷 게임 서버에 접속해야 실행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이중 모드 게임이란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움직임을 키 매트릭스(Key Matrix)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키버튼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키 매트릭스 모드와 내장된 전자 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드를 모두 지원하는 모바일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이 상기 키 매트릭스 모드를 지원하는 게임이거나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드를 지원하는 게임인 경우에는 단계 (d)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된 모바일 게임을 바로 실행하고,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은 상기 키 매트릭스 모드와 상기 전자 나침반 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제어용 데이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수평 회전각 값 및/또는 수직 회전각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제 15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데이터는 수신하는 상기 수평 회전각 값 및/또는 상기 수직 회전각 값에 따라 구동 중인 모바일 게임에서의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의 상, 하, 좌, 우 방향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데 이용되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은 상기 사용자 제어 캐릭터가 상, 하, 좌, 우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게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은 사용자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로 분류되는 인공 지능이 부여된 컴퓨터와의 대결 모드 및 동시에 두 명 이상의 사용자간의 대결 모드를 제공하는 게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나침반 모듈이 탑재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연동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30063771A 2003-09-15 2003-09-15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KR10067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71A KR100673080B1 (ko) 2003-09-15 2003-09-15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PCT/KR2004/002352 WO2005027365A1 (en) 2003-09-15 2004-09-15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s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network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CA002539317A CA2539317A1 (en) 2003-09-15 2004-09-15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s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network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CNB2004800265064A CN100428645C (zh) 2003-09-15 2004-09-15 具有电子罗盘模块的移动通信终端以及使用其电子罗盘模块玩网络型移动游戏的方法
US10/571,872 US20070042823A1 (en) 2003-09-15 2004-09-15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playing network type mobile game method using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of
BRPI0414376-0A BRPI0414376A (pt) 2003-09-15 2004-09-15 terminal móvel de comunicação para assistir um jogo móvel de rede, e método para propiciar um serviço de jogo movel de rede pela utilização de um terminal móvel de comunicação
EP04774611A EP1665565A4 (en) 2003-09-15 2004-09-15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ELECTRICAL COMPASS MODULE AND METHOD FOR PLAYING A MOBILE GAME OF THE NETWORK TYPE USING THE ELECTRICAL COMPASS MODUL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771A KR100673080B1 (ko) 2003-09-15 2003-09-15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485A true KR20050027485A (ko) 2005-03-21
KR100673080B1 KR100673080B1 (ko) 2007-01-22

Family

ID=3624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771A KR100673080B1 (ko) 2003-09-15 2003-09-15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42823A1 (ko)
EP (1) EP1665565A4 (ko)
KR (1) KR100673080B1 (ko)
CN (1) CN100428645C (ko)
BR (1) BRPI0414376A (ko)
CA (1) CA2539317A1 (ko)
WO (1) WO20050273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88955B (zh) * 2007-09-13 2010-09-15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控制消费性产品的装置及其方法
CN101561708B (zh) * 2008-04-15 2012-09-05 宏碁股份有限公司 利用动作感测判断输入模式的方法与其输入装置
WO2010009349A1 (en) * 2008-07-18 2010-01-21 Wms Gaming, Inc. Communicating wagering game information using mesh networks
JP4806459B2 (ja) * 2009-07-09 2011-11-0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519423B2 (en) * 2011-04-22 2016-12-13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737803B2 (en) 2011-08-04 2017-08-22 Sandbox Software, Llc System and method for gaming utilizing a mobile device
WO2014016781A1 (en) * 2012-07-25 2014-01-30 Amit Nir A video game controller
KR20160112143A (ko) 2015-03-18 201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면 업데이트 방법
US10819706B2 (en) 2018-07-09 2020-10-27 Ig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remote gaming communications in a venue
US20200027302A1 (en) 2018-07-18 2020-01-23 Igt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mobile device application to locate electronic gaming machines
CN109379492B (zh) * 2018-10-17 2019-1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水平垂直仪功能的指南针实现方法及手机
KR20210119975A (ko) * 2019-01-10 2021-10-06 엠에이치엠 마이크로테크니크 에스에이알엘 네트워크 연결 가능한 감지 장치
US10777037B1 (en) 2019-02-21 2020-09-15 Igt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mobile device to identify an electronic gam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9250C (fi) * 1989-01-10 1997-12-29 Nintendo Co Ltd Järjestelmä ulkoisen muistin luvattoman käytön estämiseksi
US5453758A (en) * 1992-07-31 1995-09-26 Sony Corporation Input apparatus
US6128509A (en) * 1997-11-07 2000-10-03 Nokia Mobile Phone Limited Intelligent service interface and messaging protocol for coupling a mobile station to peripheral devices
JP2000137556A (ja) * 1998-11-02 2000-05-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電子機器及び情報表示方法
US6375572B1 (en) * 1999-10-04 2002-04-23 Nintendo Co., Ltd. Portable game apparatus with acceleration sensor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storing a game progam
JP3596401B2 (ja) * 2000-01-25 2004-12-02 ヤマハ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6773344B1 (en) * 2000-03-16 2004-08-10 Creator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interactive toys with interactive television and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JP4095231B2 (ja) * 2000-03-27 2008-06-04 マイクロストーン株式会社 運動センサ付き携帯電話機
KR20010097336A (ko) * 2000-04-21 2001-11-08 이용천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게임 제공방법
DE10035133A1 (de) 2000-07-19 2002-01-31 Nikolaus Von Seemann System und Verfahren zur Teilnahme an einem Spiel mittels eines Mobiltelefons
JP2002077329A (ja) * 2000-08-31 2002-03-15 Nintendo Co Ltd 電子装置
JP4635342B2 (ja) * 2001-01-10 2011-02-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および方法
US7031875B2 (en) * 2001-01-24 2006-04-18 Geo Vector Corporation Pointing systems for addressing objects
DE60232945D1 (de) 2001-11-22 2009-08-27 Yamaha Corp Elektronisches Gerät
JP3584927B2 (ja) * 2002-01-07 2004-11-04 ヤマハ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及び該携帯情報端末において実行されるゲームソフトによる制御方法
KR100451183B1 (ko) * 2001-12-07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및 방법
KR200266509Y1 (ko) * 2001-12-14 2002-02-28 가이아 텔레콤(주) 기울기에 따라 액정화면이 변하는 휴대기기
US20030199282A1 (en) * 2002-01-15 2003-10-23 Cezary Marcjan Mobile telephone active messaging system
CN2565219Y (zh) * 2002-04-29 2003-08-06 罗彭泳 带电子罗盘的移动电话
US7920509B2 (en) * 2002-08-22 2011-04-05 At&T Mobility Ii Llc Remote node acces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57415A (ko) * 2002-12-26 200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방법
US11033821B2 (en) * 2003-09-02 2021-06-15 Jeffrey D. Mull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based games and employment of the same on location enabled devices
US7697961B2 (en) * 2005-05-24 2010-04-13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39317A1 (en) 2005-03-24
EP1665565A1 (en) 2006-06-07
US20070042823A1 (en) 2007-02-22
BRPI0414376A (pt) 2006-11-21
KR100673080B1 (ko) 2007-01-22
CN1853355A (zh) 2006-10-25
WO2005027365A1 (en) 2005-03-24
EP1665565A4 (en) 2011-03-02
CN100428645C (zh) 2008-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0583B1 (ko)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 방법
KR100673080B1 (ko)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형 모바일 게임을진행하는 방법
JP4179614B2 (ja) 移動体通信端末用外部装置、移動体通信端末及び移動体通信端末用外部表示システム
KR101436160B1 (ko) WebOS-기반 사용자 장치들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핸드오프하는 방법 및 시스템
EP2306656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oard game service in mobile terminal
EP2264567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on in portable terminal
KR100590586B1 (ko) 전자 나침반 모듈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나침반 모듈을 이용하여 자립형 모바일 게임을 진행하는방법
JP2011101231A (ja) 携帯端末
KR20070028995A (ko) 근거리 측위 통신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의 슈팅 게임 방법및 장치
KR2005012272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US20070015580A1 (en) Mobile terminals for supplementing game module resources and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the same
KR1005608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마임 타입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해당 컨텐츠 파일을 연결하는 방법
WO2004102374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装置及び移動通信端末装置
KR20070068820A (ko) 적외선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네트워크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JP6068952B2 (ja) 携帯端末及び制御方法
JP2006314018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62190B1 (ko) 움직임 데이터를 제공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이를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전자 단말기와 그 방법
KR20050090683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이동 단말기 및 그 사용 방법
KR20040067243A (ko)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N114885195A (zh) 一种手机控制电视游戏的方法及系统
JP2010136403A (ja) 携帯電話機
US20070155504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nother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3-d detection data
KR20040105897A (ko) 입력 디바이스로 사용 가능한 배터리 팩
KR2007002877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기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