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999A -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999A
KR20050026999A KR1020040065452A KR20040065452A KR20050026999A KR 20050026999 A KR20050026999 A KR 20050026999A KR 1020040065452 A KR1020040065452 A KR 1020040065452A KR 20040065452 A KR20040065452 A KR 20040065452A KR 20050026999 A KR20050026999 A KR 20050026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electric
electrical
terminal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593B1 (ko
Inventor
스기우라켄미
Original Assignee
덴소풍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소풍성전자(주) filed Critical 덴소풍성전자(주)
Publication of KR20050026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5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LCD를 한쪽 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단자(3)에 절곡부(折曲)부(3c)를 만들고, 홀더부(6)의 LCD설치면(6a)에 대해서 LCD(1)에 경사를 만든다.
따라서 단자(3)의 직선부(3a)가 배선판(4)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LCD(1)에 대해서 단자(3)의 직선부(3a)에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단자(3)를 커넥터(5)에 꽂는다.
이 때 LCD(1)의 아래 면에 설치된 편광판(2)의 돌출 부분이 홀더부(6)의 슬로프(6c)에 닿게 되는데, 계속해서 LCD(1)에 힘을 가하면 편광판(2)이 슬로프(6c)의 경사에 닿아 미끄러짐으로써 LCD(1)는 서서히 수평으로 되어간다.
따라서 단자(3)에는 LCD(1)가 수평으로 되려고하는 응력이 인가되는데, 단자(3)의 직선부(3a)에 설치된 굽어진 부분(3d)에 의하여 굽어짐으로써 응력이 완화되고, LCD(1)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부가 홀더부(6)가 걸치는 부분(6b)의 아래쪽에 꽂힌다.

Description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LCD indicator for cars}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한 쪽 방향으로 조립하는 차량용 LCD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LCD 표시장치를 도 7을 근거로 설명하겠다.
도 7은 홀더부(6)에 LCD(1)를 고정시킨 차량용 LCD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표시하고 있듯이, 차량용 LCD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LCD(1)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LCD(1)의 표면 및 뒷면에는 편광판(2)이 설치되며, LCD(1) 및 편광판(2)의 단부(端部;끝 부분)에 단자(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단자(3)가 배선판(4)에 있는 커넥터(5)에 꽂히고,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인 LCD(1)의 단부가 홀더(6)에 형성된 걸치도록 되어있는 부분(6b)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LCD조립 방법에 대해서, 도 8의 (a)~(c)에 표시한 종래의 차량용 LCD 표시장치에서의 LCD(1)의 조립 공정도를 바탕으로 설명하겠다.
우선, 도 8의(a)에 표시한 공정에서는 단자(3)를 접속시킨 LCD(1)를 준비하고, LCD(1)를 정면에서 봤을 때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인 LCD(1)의 단부와 홀더부(6)에 만들어진 걸치는 부분(6b)의 선단(先端)이 겹치지 않도록 LCD(1)를 배치한다.
이 때 LCD(1)에 접속된 단자(3)의 직선부(3a)가 배선판(4)에 대하여 수직이되도록 배치된다.
또 단자(3)의 직선부(3a)의 아래 부분 배선판(4)에 있는 커넥터(5)가 위치하도록 배선판(4)을 배치한다.
따라서, 도 8의 (b)에 표시한 공정에서는 LCD(1)를 소정의 높이까지 내리고, 단자(3)를 배선판(4)에 있는 커넥터(5)에 꽂고, LCD(1)와 배선판(4)을 단자(3)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끝으로 도 8의 (c)에 표시한 공정에서는 LCD(1) 및 배선판(4)을 홀더부(6)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해서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이되는 LCD(1)의 단부를 홀더부(6)에 걸칠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6b)의 아래측에 꽂고, LCD(1)를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도 7에 표시한 차량용 LCD 표시 장치가 완성된다.
위에 기술한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LCD조립 방법에서는 지면(紙面) 상하 방향과 지면 좌우 방향의 2 방향으로 LCD(1)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2단계의 조립공정이 필요하게 되어있다.
이렇게 2단계 공정이 필요하게 된 것은 LCD(1)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6)의 걸치는 부분 (6b)의 아래쪽에 꽂아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것이 LCD(1)의 조립공정을 늘리는 원인으로 되어있다.
즉, LCD(1) 및 배선판(4)을 이동시키지 않으면 LCD(1)를 홀더부(6)에 설치할 수 없다.
그래서 이러한 2단계의 조립 공정은 번잡하기 때문에 LCD(1)를 한쪽 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한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의 점을 감안하여 차량용 LCD 표시 장치에서 배선판 및 홀더부를 고정한채로 LCD를 한쪽 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용 LC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LCD부(1, 2)와, LCD부의 단부에 있는 단자(3)와, LCD부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전기회로를 갖춘 배선판(4)과, 배선판에 있는 단자를 통하여 LCD부와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코넥터(5)와, LCD부에 단자가 접속된 단부와는 반대측 단부를 고정 유지하도록 되어있고, 걸치는 부분(6c)을 갖춘 홀더부(6)를 갖는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이며, 단자는 LCD부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부(3b)와, 유지부 옆에 있는 “<”모양의 절곡부(折曲部)와, 절곡부와 그 단자의 처음과 단부와의 사이에 있는 직선부(3a)와, 직선부에 있는 굽어진 부분(3d)이 있으며, 단자의 직선부를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커넥터에 삽입 시키면서, LCD부의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의 LCD설치면(6a)에 댄 상태에서 단자를 커넥터에 삽입함으로써, 단자의 굽어지는 부분을 굽히고, LCD부의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의 LCD설치면 위에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LCD부에서의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의 걸치는 부분의 아래쪽에 꽂고, LCD부를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단자에 절곡부를 만들어서 “<”자 모양으로 함으로써 배선판 및 홀더부를 고정한 상태로 LCD부의 끝이 홀더부의 걸치는 부분의 처음과 끝에 닿지 않도록 단자의 직선부를 코넥터에 꽂을 수 있다.
즉, LCD부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의 걸치는 부분의 아래 쪽에 꽂기 때문에 2단계 조립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LCD부는 기울려져 있지만, LCD부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 반대쪽 단부가 LCD설치면을 미끌어져나가면서 단자에 만들어놓은 굽어지는 부분이 꺽어지므로써 LCD부를 LCD설치면에 수평으로 되도록하고, LCD부의 단자가 접속되어있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를 홀더부의 걸치는 부분의 아래쪽에 꽂고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자의 직선부에 평행이 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서 LCD부를 한 쪽 방향으로 조립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단자의 굽어지는 부분은 직선부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잘려진 부분(3e, 3g) 또는 만곡부(灣曲部)(3f)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단자의 직선부를 이렇게 굽어지기 쉬운 형태로 함으로써, 기울어진 LCD부가 수평으로 되는 과정에서 단자에 인가(印加)되는 응력을 이렇게 굽어지기 쉬운 부위가 절곡됨으로써 완화 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은 홀더부에는 LCD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는 LCD설치면 부분에 홈(6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홀더부에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LCD부가 홈과 LCD설치면과의 경계점에 닿으므로써 LCD부가 경계점에서 미끄러지기 쉽게되고, LCD부를 수평으로 하는 것이 쉬워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는 홀더부에는 LCD부의 반대측 단부에 설치되는 LCD설치면 부분에 슬로프(6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따라 청구항 3과 마찬가지로 홀더부에 슬로프를 형성함으로써, LCD부가 슬로프와 LCD설치면과의 경계점에 닿고, LCD부가 경계점에서 미끄러지기 쉽게되고, LCD부를 수평으로하는 것이 쉬워진다.
청구항 5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 LCD부는, LCD(1)과 LCD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판(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편광판 끝은 LCD부의 반대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LCD 뒷쪽에 설치된 편광판을 LCD부의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자로부터 돌출되게 함으로써 편광판의 돌출 부분이 홀더부분의 슬로프에 닿기 때문에 LCD에 직접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LCD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 배선판에는 커넥터 주위에, LCD부에 단자가 접속된 단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이렇게 LCD부의 단자가 접속된 쪽과 반대측 단자를 홀더부에 있는 걸치는 부분에 의하여 유지되며, LCD부 단자가 접속되어 있는 쪽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갈고리로 유지시킴으로써 LCD부의 양쪽 단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내진성(耐振性)이 향상되므로 LCD가 심하게 흔들림을 받아도 LCD의 양쪽 끝 부분이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LCD부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의 각 수단의 괄호 안의 부호는 뒤에 기술하는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체적인 수단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근거로 설명하겠다.
또한, 이하에는 도 7에 표시한 부자재와 동일한 것에는 동일 부호로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있듯이 차량용 LCD 표시 장치는 LCD(1)와, 편광판(2)과, 단자(3)와, 배선판(4)과, 커넥터(5)와, 홀더부(6)와, 걸치는 갈고리(7)로 구성되어 있다.
LCD(1) 및 편광판(2)은 화상, 예를 들면 차량 속도의 숫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것으로, 편광판(2)은 LCD(1)의 표면 및 뒷면에 있다.
2장의 LCD(1)는 각각 액정을 끼우고 있는 글래스이며, 각 글래스에서 액정이 설치된 면에는 단자(3)에 접속된 전극이 있다.
각각의 글래스에서 한 쪽은 플러스 전극, 다른 한 쪽은 마이너스 전극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글래스는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극간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의 분자 배열이 변화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2장의 편광판 2중에서 LCD(1)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판(2)은 LCD(1)의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LCD(1)와 편광판(2)은 본 발명의 LCD부에 상당한다.
단자(3)는 LCD(1)와 배선판(4)에 있는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해놓은 것이다.
도 2는 조립 전의 단자(3)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의 (a)는 단자(3)의 개략도, 도 2의 (b)는 단자(3)의 굽어지는 부분(3d)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에 표시하듯이 단자(3)는 직선부(3a)와 유지부(3b)와, 절곡부(3c)와, 굽어지는 부분(3d)을 갖고 있다.
직선부(3a)는 커넥터(5)에 꽂히는 부위이며, LCD(1)를 조립할 때에는 단자(3)에 대하여 직선부(3a)와 평행인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LCD(1)가 홀더부(6)에 설치되도록 되어있다.
유지부(3b)는 LCD(1)와 편광판(2)을 유지하고 있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3)에 2개의 튀어나온 볼록부가 형성되며, 2개의 볼록부가 LCD(1)와 LCD(1)의 뒤쪽에 설치된 편광판(2)과 접함으로써, LCD(1) 및 편광판(2)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절곡부(3c)는 “<”자 형상으로 되어있는 부위이며, 유지부(3b) 근변에 만들어져 있다.
즉, 도 2의 (a)에 표시하듯이, 유지부(3b)에서 LCD(1) 및 편광판(2)을 유지하고 있는 쪽이 직선부(3c) 측으로 기울려지도록 단자(3)로 절곡되어 있다.
굽어지는 부분(3d)은 LCD(1)를 조립할 때 기울린 상태의 LCD(1)가 수평이 될 때 단자(3)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2의 (b)에 표시하였듯이 굽어지는 부분(3d)에는 잘려진 부분(3e)이 만들어져 있어서, 직선부(3a) 외의 부분보다도 잘 굽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표시한 조립 전의 단자(3)는 위와 같이 되어있으며, LCD(1)가 도 1과 같이 홀더부(6)에 조립되면, 단자(3)는 굽어지는 부분(3d)의 위치에서 굽어지며, LCD(1) 및 편광판(2)이 직선부(3a)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고, 이것이 홀더부(6) 내의 움푹 패인 부분에 수용(收容)된 상태가 된다.
배선판(4)은 LCD(1)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기회로가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커넥터(5)는 배선판(4)에 비치되어 있으며, LCD(1)과 배선판(4)에 있는 전기회로를 단자(3)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커넥터(5)의 삽입구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가 설치되어있으며, 커넥터(5)에 꽂혀진 단자(3)가 배선판(4)에 대하여 수직으로 꽂히도록 되어있다.
홀더부(6)는 LCD(1)를 설치하도록 해주는 것으로, 예를 들면 프리즘이나 메터케이스에 상당하는 것이다.
도 3은 LCD(1)가 수용되는 홀더부(6)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표시했듯이 홀더부(6)에는 LCD설치면(6a)과, 걸치는 부분(6b)과, 슬로프(6c)가 설치되어 있다.
LCD설치면(6a)은 LCD(1)가 설치되는 장소이며, LCD(1)의 뒷면에 설치된 편광판(2)이 접촉하는 면이다.
걸치는 부분(6b)은 단자(3)가 접속되어있는 측과 반대측 LCD(1) 단자의 부풀어오름(튀어나옴)을 방지하는 것이며, LCD(1)에서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자가 걸치는 부분(6b) 보다 아래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되어있다.
슬로프(6c)는 LCD(1)에서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자가 설치되는 LCD 설치면(6a)의 위치에 형성된 것이다.
걸치는 부분에 속하는 갈고리(7)는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의 LCD(1) 단부의 들뜸을 방지하는것이다.
예를 들면 프리즘이나 메터케이스로 되어 있으며 커넥터(5) 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걸치는 부분에 속하는 갈고리(7)는 한쪽으로 드는 바네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LCD(1)에서의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 단자를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걸치는 부분의 갈고리(7)는 처음 단부에는 홀더부(6) 쪽에 테이퍼면(7a)이 형성되어 있다.
차량용 LCD 표시 장치는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으며, 예를 들면 자동차, 이륜차 메터로 이용된다.
또한, 이외의 농업기계나 건축기계의 메터로 이용되기도 한다.
다음은 위의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LCD(1)의 조립 공정을 도 4에 나타내고, 이 도면에 근거하여 LCD(1)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LCD(1)을 홀더부(6)에 설치할 때, 우선 도 4의 (a)에 나타나 있듯이, LCD(1)를 홀더부(6) 위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단자(3)의 직선부(3a)가 배선판(4)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커넥터(5)의 바로 위부분에 단자(3)를 설치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지면 아래 방향, 즉 단자(3)의 직선부(3a)와 평행 방향으로 LCD(1) 및 단자(3)를 이동시킨다.
이 때, 단자(3)의 절곡부(3c)에 의하여 LCD(1)는 LCD 설치면(6a)에 대하여 비스듬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단자(3)의 직선부(3a)로부터 편광판(2)의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자와의 거리가 LCD(1)를 기울리지 않았을 경우보다 짧아진다.
구체적으로 도면 중앙 좌우방향에서 단자(3)의 직선부(3a)로부터 편광판(2)의 단자(3)가 접속된 쪽과는 반대쪽 단자와의 거리가, 커넥터(5)로부터 홀더부(6)의 걸치는 부분(6b)의 처음 부분과 끝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짧아진다.
그러므로, 편광판(2)에 단자(3)가 접속되어있는 쪽과는 반대쪽 단이 홀더부(6)의 걸치는 부분(6b)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의 (b)에서 표시했듯이 단자(3)에 대해서 단자(3)의 직선부(3a)에 평행이 되는 방향에 힘을 가해서 단자(3)를 커넥터(5)에 꽂는다.
이 때에 LCD(1)의 뒤쪽에 설치된 편광판(2)의 돌출부분이 홀더부(6)의 슬로프(6c)에 접촉한다.
또한, 이러한 편광판(2)의 돌출 부분이 슬로프(6c)와 접촉되도록 슬로프(6c)는 홀더부(6)를 정면에서 봤을 때 LCD설치면(6a)과 슬로프(6c)와의 경계점이 편광판(2)의 돌출된 부분과 LCD설치면(6a)과의 접촉점보다 커넥터(5)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LCD(1)의 조립을 하는 장치는 단자(3) 근방의 LCD(1)의 글래스면을 흡인해서 반송 및 조립을 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단자(3)를 커넥터(5)에 꽂으면 편광판(2)의 돌출부분이 경사 상태인 슬로프(6c)를 용이하게 미끄러지면서 LCD(1)가 서서히 수평으로 되어간다.
이 때, 단자(3)에는 LCD(1)가 수평이 되려고 하는 응력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절곡부(3c)에 의하여 비스듬해진 LCD(1)가 수평으로 되면서 단자(3)의 직선부(3a)에는 홀더부(6) 쪽으로 눌려지는 응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굽어지는 부분(3d)이 그 응력을 받아서 절곡되고 유지부(3b)가 직선부(3a)와 약(略) 수직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굽어지는 부분(3d)이 절곡되므로 인하여 기울여진 LCD(1)를 LCD설치면(6a)에 대하여 평행으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자(3)에 인가되는 응력을 굽어지는 부분(3d)에서 막아낼 수 있으므로, 단자(3)의 그 외의 부분에 응력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도록 완화할 수 있다.
또 LCD(1)에 가해지는 힘은 LCD(1)에 있어서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인 판광판(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의하여 막아낼 수 있게되지만, 이 편광판(2)의 돌출 부분이 홀더부(6)에 있는 슬로프(6c)에 닿게 됨으로써 LCD(1)에 직접 힘이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LC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해서 직선부(3a)를 커넥터(5) 내에 꽂으면, 도 4의 (c)에 나타나 있듯이 LCD(1)에서 단자(3)가 접속되어있는 쪽과 반대측 단자를 홀더부(6)의 걸치는 부분(6b)의 아래쪽에 꽂게되고, LCD(1) 및 편광판(2)이 홀더부(6)에 수용된다.
또 도시하지는 않지만, LCD(1)가 수평이 되는 정도에서, 단자(3)가 접속되어있는 쪽과 편광판(2)의 아래 부분에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에 있는 테이퍼면(7a)에 접촉한다.
그러면서 LCD(1) 및 편광판(2)을 지면의 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테이퍼면(7a)의 경사에 따라 고정시키는 갈고리(7)가 탄성 변형을 하기 때문에, LCD(1) 및 편광판(2)을 고정시키는 갈고리(7)의 아래쪽에 꽂을 수 있다.
이렇게 편광판(2)이 LCD설치면(6a)에 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가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며, 고정시키는 갈고리(7)에 의해서 LCD(1)의 단자(3)가 접속되는 쪽의 단부가 유지된다.
이렇게 해서 도 1에 표기한 차량용 LCD 표시 장치가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했듯이, 단자(3)의 직선부(3a)에 평행인 방향, 즉 한 쪽 방향만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도 단자(3)가 접속되어있는 쪽과는 반대측의 LCD(1)의 단부를 걸치는 부분(6b)에 꽂을 수 있으며, LCD(1)를 홀더부(6)에 수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LCD(1)의 한 쪽 방향으로의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선판(4)에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가 있다.
따라서,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의 주상(柱狀) 부위에 따라, LCD(1) 및 편광판(2)이 LCD설치면(6a)과 평행 방향으로 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뿐아니라,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의 선단부(先端部)에 따라 LCD(1) 및 편광판(2)이 LCD설치면(6a)과 수직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내진 성능이 향상되며, 차량에 탑재되어 커다란 진동을 가해도 LCD(1)가 홀더부(6)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형태)
LCD(1)를 홀더부(6)에 설치할 때, LCD(1)가 수평으로 될 때에 단자(3)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 시키기 위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 표기한 굽어지는 부분(3d)을 다른 형상으로 해도좋다.
도 5는 단자(3)의 굽어지는 부분(3d)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굽어지는 부분(3d)에 만곡부(3g)를 만들어놓은 도면이다.
또한, 도 5의 (b)는 굽어지는 부분(3d)에 제1 실시형태와는 다른 잘려진 부분(3h)을 만들어 놓은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굽어지는 부분(3d)과 마찬가지로 이러한 도 5의 (a), (b)에 표기한 굽어지는 부분(3d)이 굽어지므로 인해서 단자(3)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위에 기술한 슬로프(6c)의 사이즈 또는 LCD(1)의 기울림 각도에 따라서는 LCD(1)를 홀더부에 조립할 때, 경사된 LCD(1)를 홀더부의 LCD설치면(6a) 방향으로 내려가면 편광판(2)의 돌출 부분이 슬로프(6c)에 닿는 경우와, 편광판(2)의 아래면이 슬로프(6c)와 LCD설치면(6a)과의 경계점에 닿는 경우가 있다.
편광판(2)의 돌출된 부분이 슬로프(6c)에 닿는 경우에는 편광판(2)의 돌출된 부분이 슬로프(6c)를 미끄러지므로 LCD(1)가 수평으로 되고, 또한 편광판(2)의 아래면이 슬로프(6c)와 LCD설치면(6a)과의 경계점에 닿는 경우에는 편광판(2)의 아래면이 경계점을 미끄러져 LCD(1)가 수평으로 되도록 되어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홀더부(6)에 슬로프(6c)를 만들었지만, 슬로프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표시한 형상이라도 좋다.
도 6은 LCD설치면(6a)으로 형성된 홈(6d)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형상으로 기울린 편광판(2)의 선단 주변이 홈(6d)과 LCD설치면(6a)과의 경계에 닿으므로 편광판(2)이 경계점을 미끄러져서 수평이 되기 쉬워진다.
홀더부(6)에 만들어져있는 걸치는 부분(6b)의 형상은, 제1 실시 형태에 표시한것뿐만 아니라, LCD(1)에서의 단자(3)가 접속되어 있는 쪽과는 반대측 단부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LCD 표시 장치에서 배선판 및 홀더부를 고정한채로 LCD를 한쪽 방향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LCD의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적용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에 표기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단자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 에 표기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홀더부 단면을 표기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 에 표기한 차량용 LCD표시 장치의 LCD조립 공정을 표기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에 표시하는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단자의 굽어진 부분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에 표시하는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홀더부의 하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차량용 LCD 표시 장치의 LCD조립 공정을 표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LCD(액정)
2. 편광판
3. 단자
4. 배선판
5. 커넥터
6. 홀더부
7. 걸치는 부분의 갈고리

Claims (6)

  1.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LCD부(1,2)와,
    전기(前記)의 LCD부의 단부에 있는 단자(3)와,
    전기 LCD부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기회로를 갖춘 배선판(4)과,
    전기 배선판에 있으면서 전기 단자를 통하여 전기 LCD부와 전기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5)와,
    전기 LCD부에 전기 단자가 접속된 끝부분과 반대측 끝 부분을 유지하도록 되어있어서 걸치게 되어있는 부분(6)을 갖춘 홀더부(6)을 갖는 차량용 LCD 표시장치이며,
    전기 단자는 전기 LCD부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부(3b)와,
    전기 유지부 부근에 “<”모양으로 되어있는 꺽여지는 절곡부(3c)와,
    전기 절곡부와 그 단자 끝부분 사이의 직선부(3a)와,
    전기 직선부에 설치되어 있는 곡선부(3d)를 갖고 있으며,
    전기 단자의 전기 직선부를 전기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기 커넥터에 삽입하고 아울러,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사측 끝부분을, 전기 홀더부의 LCD설치면(6a)에 댄 상태에서 다시 전기 단자를 전기 커넥터에 삽입시키는 것으로,
    전기 단자의 전기의 구부러진 부분을 굽히고,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사측의 단부를 전기 홀더부의 전기 LCD설치면상에 미끄러지도록 함으로써,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사측 끝부분을 전기 홀더부의 전기의 걸치는 부분 아래측에 꽂고, 전기의 LCD부를 전기 홀더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2. 전기 단자의 전기 구부러진 부분은 전기 직선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는 잘려진 부분(3e, 3g) 또는 만곡부(3f)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3. 전기의 홀더부에는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기 LCD설치면 부분에 홈(6d)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되어있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4. 전기의 홀더부에는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기 LCD설치면 부분에 슬로프(6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되어있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5. 전기 LCD부는 LCD(1)와, 전기 LCD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편광판(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 편광판의 끝은 전기 LCD부에서의 전기 반대측의 끝부분에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되어있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6. 전기 배선판에는 전기 커넥터 옆에 전기의 LCD부에 전기 단자가 접속된 단부를 유지해주기 위하여 걸쳐서 고정시키는 갈고리(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의 어느것 한 가지에 기재되어있는 차량용 액정 표시 장치.
KR1020040065452A 2003-09-11 2004-08-19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 KR100601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9816A JP2005084622A (ja) 2003-09-11 2003-09-11 車両用lcd表示装置
JPJP-P-2003-00319816 2003-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99A true KR20050026999A (ko) 2005-03-17
KR100601593B1 KR100601593B1 (ko) 2006-07-14

Family

ID=34418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452A KR100601593B1 (ko) 2003-09-11 2004-08-19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084622A (ko)
KR (1) KR100601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23B1 (ko) * 2007-04-05 2008-04-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정보 단말기
CN104163145A (zh) * 2014-07-29 2014-11-26 常熟恒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液晶显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0534B2 (ja) * 2007-06-22 2009-11-25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接続構造
JP5578917B2 (ja) * 2010-04-07 2014-08-27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6035218B2 (ja) * 2013-09-18 2016-1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2327652B1 (ko) * 2017-04-04 2021-1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기기
JP7035346B2 (ja) * 2017-06-21 2022-03-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365B2 (ja) * 1993-11-29 2002-05-20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電気光学素子
JP3261928B2 (ja) * 1995-05-22 2002-03-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液晶ユニット投光装置
JPH0980406A (ja) * 1995-09-11 1997-03-28 Casio Comput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0170943A (ja) 1996-12-11 199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器および製造方法
JPH10221123A (ja) 1997-02-03 1998-08-21 Yazaki Corp Lcd固定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923B1 (ko) * 2007-04-05 2008-04-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정보 단말기
CN104163145A (zh) * 2014-07-29 2014-11-26 常熟恒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液晶显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593B1 (ko) 2006-07-14
JP2005084622A (ja) 200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474A (en) Display assembly
KR100601593B1 (ko) 차량용 액정 표시장치
US20020115352A1 (en) LC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JP4763309B2 (ja) 携帯型電子機器
CN107248679B (zh) 压固装置及电子设备
CN209946439U (zh) 一种背光模组、显示装置
JP5207135B2 (ja) 計器装置
JP4820118B2 (ja) Lcdホルダー
JP2675279B2 (ja) 料金メータ
US6433701B1 (en) Instrument cluster
JPH08188067A (ja) 特に自動車のダッシュボード用の、電気光学セルを有する表示装置
JP3301540B2 (ja) 液晶表示装置
CN215971385U (zh) 车用触摸开关
CN218547131U (zh) 一种汽车抬头显示器内部光学部件安装结构
CN104875689A (zh) 一种汽车lcd屏的固定安装结构
CN213109008U (zh) 汽车仪表上的液晶屏安装结构
CN217145653U (zh) 显示装置
EP1237396B1 (en) Component carrier
WO2012033017A1 (ja) 表示装置
US20220324471A1 (en) On-vehicle device
CN214324888U (zh) 一种新型的汽车电子仪表tft显示屏的除静电屏蔽框
KR102045565B1 (ko) 표시장치
JP2007173560A (ja) 2重基板構造
KR20190043681A (ko) 커넥터
KR20020043893A (ko) 자동차의 클러스터내의 lcd 장착용 브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