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56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565B1
KR102045565B1 KR1020130101668A KR20130101668A KR102045565B1 KR 102045565 B1 KR102045565 B1 KR 102045565B1 KR 1020130101668 A KR1020130101668 A KR 1020130101668A KR 20130101668 A KR20130101668 A KR 20130101668A KR 102045565 B1 KR102045565 B1 KR 10204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or
printed circuit
pi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4594A (ko
Inventor
이승원
이규환
서명원
양지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고, 그 일부가 절개된 커넥터영역을 가지며 제1타입 및 제1타입과 다른 제2타입이 혼합된 패드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영역에 삽입되고 패드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핀들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평판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기영동표시장치(Electro Phoretic Display; EP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박형화가 용이하여 텔레비전(TV)이나 비디오 등의 가전용 분야에서부터 노트북(Note book)이나 핸드폰과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 분야 등으로 그 사용처가 다양해지고 있다.
앞서 나열된 평판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및 전기영동표시장치 등은 박형화가 용이함은 물론 유연성을 부가하여 연성 표시장치 또는 커브드 표시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 되고 있다.
한편, 연성 표시장치 또는 커브드 표시장치의 제품군은 고해상도, 슬림화 및 유연성을 부가함에 따라 외력에 의해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이나 커넥터의 이탈 등과 같이 커넥터와 관련된 신뢰성 문제가 대두하고 있어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높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고, 그 일부가 절개된 커넥터영역을 가지며 제1타입 및 제1타입과 다른 제2타입이 혼합된 패드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영역에 삽입되고 패드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핀들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제1타입은 표면실장 타입이고, 제2타입은 딥 타입일 수 있다.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꺾인 기역자 형상을 갖는 제1핀과,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으로만 뻗은 일자 형상을 갖는 제2핀을 포함하되, 제1핀과 제2핀의 길이는 다를 수 있다.
제1핀과 제2핀은 하나씩 또는 N(N은 2 이상 정수)개씩 상호 교번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구멍을 관통하는 돌기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고정부는 솔더링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패드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패드에 안착되는 평평한 접촉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고정부는 접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고, 그 일부가 절개된 커넥터영역을 가지며 표면에만 형성된 표면부 및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부로 이루어진 패드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커넥터영역에 삽입되고 패드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핀들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핀들 각각은 그 일부가 표면부에 안착되도록 일자(-)형상을 갖고 그 끝단이 홈부에 끼워지도록 기역자(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들은 길이가 모두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 다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커넥터는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와 고정부는 접착되거나 솔더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실장 타입과 딥 타입이 혼합된 물리적 접속 구조를 이용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실장 시 공차를 제거 또는 개선할 수 있고, 오프셋 타입의 커넥터 적용으로 기판에 형성된 구조물의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브드 표시장치 또는 연성표시장치와 같이 휘어지는 표시장치에 적용시 장치의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
도 6은 커넥터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를 이용한 커브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를 이용한 커브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예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는 타이밍 제어부(120), 게이트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및 표시 패널(150)이 포함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게이트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패널(150)에 실장되거나 표시 패널(150)에 연결된 외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30)는 게이트라인들(GL)을 통해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표시 패널(150)은 게이트 구동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150)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표시 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은 유기발광소자, 액정표시소자 및 전기영동표시소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SP)에는 스캔 라인(G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스캔 신호에 대응하여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서브 픽셀(SP)은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액정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0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0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150)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AA)과 영상을 비표시하는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NA)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측에는 게이트 구동부가 형성된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인패널 형태로 표시 패널(150)에 형성되므로 이는 미도시한다.
연성회로기판(145)은 표시 패널(150)에 부착된다. 연성회로기판(145)은 이방성 도전 필름 등에 의해 그 일측이 비표시영역(NA)의 하측에 부착된다. 연성회로기판(145)에는 데이터 구동부(140)가 실장된다. 연성회로기판(145)은 표시 패널(150)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로 구비된다.
인쇄회로기판(165a, 165b)은 연성회로기판(145)에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165a, 165b)은 이방성 도전 필름 등에 의해 그 일측이 연성회로기판(145)의 타측에 부착된다. 인쇄회로기판(165a, 165b)에는 제1 내지 제4커넥터(CN1 ~ CN4)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커넥터(CN1 ~ CN4)는 표시 패널(150)의 크기에 대응하여 다수로 구비된다. 제1 내지 제4커넥터(CN1 ~ CN4)에는 케이블(Cb1 ~ Cb4)의 일측이 접속된다.
콘트롤보드(125)는 인쇄회로기판(165a, 16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트롤보드(125)에는 제5 내지 제8커넥터(CN5 ~ CN8)가 형성된다. 제5 내지 제8커넥터(CN5 ~ CN8)에는 케이블(Cb1 ~ Cb4)의 타측이 접속된다. 즉, 콘트롤보드(125)와 인쇄회로기판(165a, 165b)는 제1 내지 제8커넥터(CN1 ~ CN8)와 케이블(Cb1 ~ Cb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트롤보드(125)에는 타이밍 제어부(120)나 영상 제어부 등과 같은 집적회로가 실장된다. 도면에서는 타이밍 제어부(120)가 콘트롤보드(125)에 실장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인쇄회로기판(165a, 165b)에 실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65a, 165b) 및 제1 내지 제4커넥터(CN1 ~ CN4)는 크랙 및 이탈을 방지하고 전기적인 접속 시, 고 신뢰성을 갖기 위해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이며, 도 6은 커넥터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커넥터영역(CNA)이 형성된다. 커넥터영역(CNA)은 커넥터(CN1)가 인쇄회로기판(156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개된 영역이다.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고정부(CNH)가 형성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된 커넥터(CN1)를 고정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고정부(CNH)에는 커넥터(CN1)에 형성된 돌출부(CNS)가 삽입된다. 고정부(CNH)는 인쇄회로기판(156a)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에 삽입 고정되며 납 등에 의해 솔더링된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다수의 제1패드(THU) 및 제2패드(SMT)가 형성된다. 제1패드(THU)는 인쇄회로기판(156a)을 관통하는 구멍(딥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패드(SMT)는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표면실장 타입)에만 형성된다. 제1패드(THU) 및 제2패드(SMT)는 각종 신호배선이나 전원배선에 연결된다.
커넥터(CN1)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되고 돌출부(CNS)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6a)에 고정된다. 커넥터(CN1)는 몸체(CNB), 돌출부(CNS), 케이블 삽입구(IN) 및 핀(PN)으로 구성된다. 커넥터(CN1)는 핀(PN)의 개수와 배치에 따라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넥터(CN1)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구멍을 관통하는 돌기를 갖는다.
커넥터(CN1)에는 다수의 제1핀(PN1) 및 제2핀(PN2)이 형성된다. 제1핀(PN1)의 길이는 제2핀(PN2)의 길이보다 길고 인쇄회로기판(156a)을 관통하도록 꺾인 기역자(ㄱ) 형상을 갖는다. 반면, 제2핀(PN2)의 길이는 제1핀(PN1)의 길이보다 짧고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으로만 뻗은 일자(-) 형상을 갖는다. 제1핀(PN1) 및 제2핀(PN2)은 케이블 삽입구(IN)의 상부에 위치한다.
제1핀(PN1)과 제2핀(PN2)은 하나씩 또는 N(N은 2 이상 정수)개씩 상호 교번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랜덤(도 6 참조)하게 배치된다. 제1핀(PN1)은 제1패드(TH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핀(PN2)은 제2패드(SM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핀(PN1)과 제1패드(THU)는 딥 타입으로 접속되고, 제2핀(PN2)과 제2패드(SMT)는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된다. 제1핀(PN1) 및 제2핀(PN2)의 길이와 접속 방식을 달리하면 솔더링 시 땜납 부분의 크랙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간의 피치를 좁히면서 외력에 대한 물리적인 저항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56a)에 형성된 커넥터영역(CNA)에 커넥터(CN1)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CN1)를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에 부착하는 구조 대비 구조물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조는 핀과 패드가 서로 다른 타입 예컨대, 딥 타입과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되고, 인쇄회로기판(156a)과 커넥터(CN1)가 딥 타입 형태로 솔더링된다. 이로 인하여, 표면실장 타입 대비 더욱 견고한 구조적 접속 관계가 유지되므로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커넥터영역(CNA)이 형성된다. 커넥터영역(CNA)은 커넥터(CN1)가 인쇄회로기판(156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개된 영역이다.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고정부(CNH)가 형성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된 커넥터(CN1)를 고정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고정부(CNH)에는 커넥터(CN1)에 형성된 돌출부(CNS)가 부착된다. 고정부(CNH)는 평평한 패드를 갖고,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에 안착되며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된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다수의 제1패드(THU) 및 제2패드(SMT)가 형성된다. 제1패드(THU)는 인쇄회로기판(156a)을 관통하는 구멍(딥 타입)으로 형성되는 반면, 제2패드(SMT)는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표면실장 타입)에만 형성된다. 제1패드(THU) 및 제2패드(SMT)는 각종 신호배선이나 전원배선에 연결된다.
커넥터(CN1)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되고 돌출부(CNS)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6a)에 고정된다. 커넥터(CN1)는 몸체(CNB), 돌출부(CNS), 케이블 삽입구(IN) 및 핀(PN)으로 구성된다. 커넥터(CN1)는 핀(PN)의 개수와 배치에 따라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넥터(CN1)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평평한 패드에 안착되는 평평한 접촉면을 갖는다.
커넥터(CN1)에는 다수의 제1핀(PN1) 및 제2핀(PN2)이 형성된다. 제1핀(PN1)의 길이는 제2핀(PN2)의 길이보다 짧고 인쇄회로기판(156a) 방향으로 꺾인 기역자(ㄱ) 형상을 갖는다. 반면, 제2핀(PN2)의 길이는 제1핀(PN1)의 길이보다 길고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으로만 뻗은 일자(-) 형상을 갖는다.
제1핀(PN1)과 제2핀(PN2)은 하나씩 또는 N(N은 2 이상 정수)개씩 상호 교번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된다. 제1핀(PN1)은 제1패드(TH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핀(PN2)은 제2패드(SM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핀(PN1)과 제1패드(THU)는 딥 타입으로 접속되고, 제2핀(PN2)과 제2패드(SMT)는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된다. 제1핀(PN1) 및 제2핀(PN2)의 길이와 접속 방식을 달리하면 솔더링 시 땜납 부분의 크랙을 방지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들 간의 피치를 좁히면서 외력에 대한 물리적인 저항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56a)에 형성된 커넥터영역(CNA)에 커넥터(CN1)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CN1)를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에 부착하는 구조 대비 구조물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조는 핀과 패드가 서로 다른 타입 예컨대, 딥 타입과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되고, 인쇄회로기판(156a)과 커넥터(CN1)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표면실장 타입 대비 더욱 견고한 구조적 접속 관계가 유지되므로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평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의 정면 및 측면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커넥터영역(CNA)이 형성된다. 커넥터영역(CNA)은 커넥터(CN1)가 인쇄회로기판(156a)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절개된 영역이다.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되, 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커넥터영역(CNA)의 형상은 커넥터(CN1)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고정부(CNH)가 형성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된 커넥터(CN1)를 고정한다. 고정부(CNH)는 커넥터영역(CNA)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고정부(CNH)에는 커넥터(CN1)에 형성된 돌출부(CNS)가 부착된다. 고정부(CNH)는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을 갖고,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홈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부착된다. 고정부(CNH)와 돌출부(CNS)는 접착되거나 솔더링된다.
인쇄회로기판(156a)에는 다수의 패드(SMT, H)가 형성된다. 패드(S, H)는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에만 형성된 표면부(S)와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부(H)로 형성된다. 패드(S, H)의 표면부(S)는 커넥터영역(CNA)의 절개면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하고 홈부(H)는 커넥터영역(CNA)의 절개면과 먼 영역(표면의 상부)에 위치한다. 패드(SMT, H)는 각종 신호배선이나 전원배선에 연결된다.
커넥터(CN1)는 커넥터영역(CNA)에 삽입되고 돌출부(CNS)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56a)에 고정된다. 커넥터(CN1)는 몸체(CNB), 돌출부(CNS), 케이블 삽입구(IN) 및 핀(PN)으로 구성된다. 커넥터(CN1)는 핀(PN)의 개수와 배치에 따라 사각형이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넥터(CN1)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된다. 돌출부(CNS)는 고정부(CNH)의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는다.
커넥터(CN1)에는 다수의 핀(PN)이 형성된다. 핀(PN)의 길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 다르다. 핀(PN)의 일부는 일자(-)형상을 갖고 그 끝단은 기역자(ㄱ) 형상을 갖는다. 핀(PN)은 패드(S, H)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핀(PN)의 일부는 패드(S, H)의 표면부(S)에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되고, 핀(PN)의 끝단은 패드(S, H)의 홈부(H)에 끼워진다. 핀(PN)과 패드(S, H) 간의 접속 및 결합 구조를 위와 같이 하면, 핀(PN)과 패드(S, H)의 길이를 달리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피치를 유지하며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핀(PN)과 패드(S, H) 간의 접속 및 결합 구조를 위와 같이 하면, 표면실장 타입 및 딥 타입과 유사한 타입이 혼합되므로 표면실장 시 공차를 제거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조는 인쇄회로기판(156a)에 형성된 커넥터영역(CNA)에 커넥터(CN1)가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커넥터(CN1)를 인쇄회로기판(156a)의 표면에 부착하는 구조 대비 구조물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구조는 핀과 패드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56a)과 커넥터(CN1)를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시키면서도 딥 타입과 유사하게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표면실장 타입 대비 더욱 견고한 구조적 접속 관계가 유지되므로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커넥터에 구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이 구조는 콘트롤보드 및 콘트롤보드 상에 형성된 커넥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조를 커브드 표시장치(또는 연성 표시장치)에 적용할 경우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비교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를 이용한 커브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를 이용한 커브드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165a)에 표면실장 타입의 커넥터(CN1 ~ CN4)를 접속시켰다. 구체적으로, 비교예는 커넥터(CN1 ~ CN4)의 돌출부(CNS)와 인쇄회로기판(165a)의 고정부(CNH)는 물론 커넥터(CN1 ~ CN4)의 핀(PN)과 인쇄회로기판(165a)의 패드(SMT)가 표면실장 타입으로 접속된다.
비교예는 곡면을 구현하기 위해 표시 패널(150)을 구부릴 경우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이나 커넥터의 이탈 등과 같은 파손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표면실장 타입이 인쇄회로기판(165a)과 커넥터(CN1 ~ CN4) 간의 물리적인 접속 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인쇄회로기판(165a)에 표면실장 타입과 딥 타입이 혼합된 커넥터(CN1 ~ CN4)를 접속시켰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커넥터(CN1 ~ CN4)의 돌출부(CNS)와 인쇄회로기판(165a)의 고정부(CNH)는 물론 커넥터(CN1 ~ CN4)의 핀(PN)과 인쇄회로기판(165a)의 패드(SMT)가 표면실장 타입과 딥 타입이 혼합된 방식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은 곡면을 구현하기 위해 표시 패널(150)을 구부리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이나 커넥터의 이탈 등과 같은 파손현상이 빈번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표면실장 타입과 딥 타입이 혼합되어 있어 인쇄회로기판(165a)과 커넥터(CN1 ~ CN4) 간의 물리적인 접속 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외력에 대한 강한 저항력 및 지지력은 물론 외력을 물리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상 본 발명은 표면실장 타입과 딥 타입이 혼합된 물리적 접속 구조를 이용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판, 배선 또는 패드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실장 시 공차를 제거 또는 개선할 수 있고, 오프셋 타입의 커넥터 적용으로 기판에 형성된 구조물의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브드 표시장치 또는 연성 표시장치와 같이 휘어지는 표시장치에 적용시 장치의 기구적/전기적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50: 표시 패널 125: 콘트롤보드
165a, 165b: 인쇄회로기판 CN1 ~ CN8: 제1 내지 제8커넥터
CNA: 커넥터영역 CNH: 고정부
THU: 제1패드 SMT: 제2패드
CNS: 돌출부 CNB: 몸체
CNS: 돌출부 IN: 케이블 삽입구
PN: 핀(들)

Claims (1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고, 그 일부가 절개된 커넥터영역을 가지며 제1타입 및 상기 제1타입과 다른 제2타입이 혼합된 패드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패드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핀들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타입은 표면실장 타입이고, 상기 제2타입은 딥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도록 꺾인 기역자 형상을 갖는 제1핀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으로만 뻗은 일자 형상을 갖는 제2핀을 포함하되,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의 길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핀과 상기 제2핀은
    하나씩 또는 N(N은 2 이상 정수)개씩 상호 교번하는 형태로 배치되거나 랜덤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돌기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는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평평한 패드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평평한 패드에 안착되는 평평한 접촉면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는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연결되고, 그 일부가 절개된 커넥터영역을 가지며 표면에만 형성된 표면부 및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부로 이루어진 패드들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커넥터영역에 삽입되고 상기 패드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핀들을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 각각은
    그 일부가 상기 표면부에 안착되도록 일자(-)형상을 갖고 그 끝단이 상기 홈부에 끼워지도록 기역자(ㄱ)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은
    길이가 모두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커넥터영역의 일측과 타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표면을 비관통하는 홈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기를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부는 접착되거나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30101668A 2013-08-27 2013-08-27 표시장치 KR10204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68A KR102045565B1 (ko) 2013-08-27 2013-08-27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668A KR102045565B1 (ko) 2013-08-27 2013-08-27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94A KR20150024594A (ko) 2015-03-09
KR102045565B1 true KR102045565B1 (ko) 2019-11-15

Family

ID=5302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668A KR102045565B1 (ko) 2013-08-27 2013-08-2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724B1 (ko) * 2018-01-12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연성 회로 기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794A (ja) 2006-01-31 2007-08-16 Denso Corp 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JP4983387B2 (ja) 2007-05-16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2683A (ko) * 2006-09-07 200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결합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860858B1 (ko) * 2011-03-02 2018-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pcb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평판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7794A (ja) 2006-01-31 2007-08-16 Denso Corp 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実装方法
JP4983387B2 (ja) 2007-05-16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594A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28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1141105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6647070A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330882B1 (ko) 표시 장치
US10546807B2 (en) Chip on fi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4952883A (zh) 柔性阵列基板、显示面板、键盘组件和电子设备
US20120195024A1 (en)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US9713249B2 (en) Chip on film flexible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CN105590613A (zh)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
CN204302618U (zh) 一种显示装置
CN105242433B (zh) 一种曲面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01846824A (zh) 液晶显示装置
KR20070057301A (ko)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EP2846084A1 (en) Circuit board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circuit board
CN104297963A (zh) 一种用于防止acf胶溢出到显示区的引线结构及方法
CN103091900A (zh) 液晶显示装置
TW200732802A (en)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nterface board
KR20080070420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
CN211236524U (zh) 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102600528B1 (ko) 표시 장치
KR101989824B1 (ko) 디스플레이 모듈
KR102045565B1 (ko) 표시장치
KR101330774B1 (ko) 백라이트 유닛용 인쇄회로기판
KR101424037B1 (ko) 액정표시장치
CN103096620A (zh) 一种印刷电路板、发光元件、背光模组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