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301A -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301A
KR20070057301A KR1020050116078A KR20050116078A KR20070057301A KR 20070057301 A KR20070057301 A KR 20070057301A KR 1020050116078 A KR1020050116078 A KR 1020050116078A KR 20050116078 A KR20050116078 A KR 20050116078A KR 20070057301 A KR20070057301 A KR 20070057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p
connection terminal
connector
printed circuit
connec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6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6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57301A/ko
Priority to US11/485,211 priority patent/US7407409B2/en
Priority to CN2006101309126A priority patent/CN101017936B/zh
Priority to JP2006326144A priority patent/JP2007157715A/ja
Publication of KR20070057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5Position of the PCB during processing
    • H05K2203/1572Processing both sides of a PCB by the same process; Providing a similar arrangement of components on both sides; Making interlayer connections from two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단자의 수가 증가할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와, 이들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Circuit Inser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커넥터와 체결된 연성 인쇄 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커넥터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연성 인쇄 회로의 체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연성 인쇄 회로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8 : 커버 하우징 110 : 연성 인쇄 회로 커넥터
112 : 커넥터 하우징 114,116 : 접속 단자
118,120 : 리드단자 122 : 접속구
126 :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 128 : 타이밍 제어부
130 : 연성 인쇄 회로 132 : 베이스 필름
134,136 : 패드 단자 138 : 전원부
150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52 : 제어 인쇄 회로 기판
160 : 액정 표시 패널 162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64 : 칼러 필터 기판 166 : 집적 회로
본 발명은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속단자의 수가 증가할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 성 인쇄 회로와, 이들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경박단소화의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재들 예컨대, 백라이트, 커넥터, 인쇄 회로 기판(PCB) 또는 결합구조 등에 있어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표시패널이 화상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각종 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부는 액정 표시 패널의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와,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와, 전원부를 구비한다.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는 제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되어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에 제어 신호 및 구동 전압들을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는 다수개의 IC(Integrated Circuit)들로 집적화된다. 집적화된 데이터 드라이브 IC와 게이트 드라이브 IC 각각은 TCP(Tape Carrier Package) 상에 실장되어 액정 표시 패널과 접속된다. 또한, 드라이브 IC는 TCP에 접속되어진 데이터 PCB(Printed Circuit Board)에 형성되어진 신호라인들을 통해 제어 인쇄 회로 기판으로부터 제어신호들 및 구동전압들을 공급받는다.
이 때, 제어 인쇄 회로 기판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은 각각의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PCB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여기서, PCB용 커넥터는 2열 배열을 가지고 있어 차지하는 영역에 대비해 접속 단자수가 많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양쪽 인쇄 회로 기판에 커넥터가 실장되어 암수로 존재하여야 하고 높이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 인쇄 회로 기판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 중 어느 한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된 FPC와 다른 인쇄 회로 기판에 형성된 커넥터가 체결됨으로써 두 인쇄 회로 기판은 연결된다. 여기서, FPC가 삽입되는 FPC용 커넥터는 어느 한 인쇄 회로 기판에만 실장되어 PCB용 커넥터에 비해 높이 제약이 적은 반면 FPC용 커넥터가 인쇄 회로 기판에 차지하는 면적에 비해 접속 단자 수가 적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10) 간의 거리(d)를 좁혀 접속 단자(10) 수를 늘리는 방안과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0)의 제1 및 제2 접속부(10a,10b)의 폭이 차등적으로 배열되고 제1 및 제2 접속부(10a,10b)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조는 접속 단자(10) 간의 거리가 좁아져 접속 단자(10)에 형성된 도금층이 성장하여 인접한 접속 단자(10)와 단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의 접속 단자(10) 간의 거리가 좁아져 해당 접속 단자와 FPC 패드 단자 간의 얼라인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단자의 수가 증가할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 접속 단자와 접속되는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연성 인쇄 회로와, 이들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는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의 제1 실시 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의 제2 실시 예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단에 설치된 커버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에 삽입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는 상기 연성 인 쇄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패드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패드 단자군의 제1 실시 예는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상기 제1 패드 단자군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의 제2 실시 예는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상기 제1 패드 단자군 각각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커넥터(110)는 접속구(122)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 징(112)과, 커넥터 하우징(112) 내에 다수개 형성되는 접속 단자(114,116)와, 커넥터 하우징(112)의 일측단에 설치된 커버 하우징(108)을 구비한다.
커넥터 하우징(112)은 상부면(112a)과, 그 상부면(112a)과 마주보는 하부면(112b)과, 상부면(112a)과 하부면(112b) 사이에 형성되어 접속구(122)를 마련하는 측면(112c)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의 하우징(112) 내에 마련된 접속구(122)에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접속된 FPC가 삽입된다.
접속 단자는 접속구(122) 내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를 구비한다.
제1 접속 단자(114)는 커넥터의 하우징(112)의 상부면(112a)의 배면 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제1 접속 단자군을 이룬다. 이러한 제1 접속 단자(114)는 FPC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와 접속된다. 제2 접속 단자(116)는 커넥터의 하우징(112)의 하부면(112b)의 전면 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제2 접속 단자군을 이룬다. 이러한 제2 접속 단자(116)는 제1 접속 단자(114)와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FPC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패드 단자와 접속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 각각으로부터 신장된 제1 및 제2 리드 단자(118,120)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솔더링 공정을 통해 접속된다. 제1 및 제2 리드 단자(118,120)는 커넥터 하우징(1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커버 하우징(108)은 커넥터 하우징(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접속구(122)를 개폐한다.
이러한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 (132)의 양쪽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패드 단자(134,136)를 구비한다.
제1 패드 단자(134)는 커넥터의 제1 접속단자(114)각각과 접속되어 제1 패드 단자군을 이루며, 제2 패드 단자(136)는 커넥터의 제2 접속단자(116)와 접속되어 제2 패드 단자군을 이룬다. 이러한 제1 및 제2 패드 단자(134,13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114,116)와 대응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들이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종래에 비해 접속 단자군들 각각의 간격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 단자수를 종래에 비해 2배 이상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는 베이스필름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패드 단자군이 마주보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패드 단자수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FPC의 접촉 불량은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커넥터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와 대비하여 제1 및 제2 접속 단자들이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접속 단자는 접속구(122) 내에서 교번적으로 배치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를 구비한다.
제1 접속 단자(114)는 커넥터의 하우징(112)의 상부면(112a)의 배면 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제1 접속 단자군을 이룬다. 이러한 제1 접속 단자(114)는 FPC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와 접속된다. 제2 접속 단자(116)는 커넥터 하우징(112)의 하부면(112b)의 전면 상에 다수개 형성되어 제2 접속 단자군을 이룬다. 이러한 제2 접속 단자(116)는 제1 접속단자들(114) 사이에 형성되어 FPC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패드 단자와 접속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 각각으로부터 신장된 제1 및 제2 리드 단자(118,120) 각각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형성된 신호라인과 솔더링 공정을 통해 접속된다. 제1 및 제2 리드 단자(118,120)는 커넥터 하우징(112)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132)의 양쪽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패드 단자(134,136)를 구비한다.
제1 패드 단자(134)는 커넥터의 제1 접속단자(114)와 접속된다. 제2 패드 단자(136)는 커넥터의 제2 접속단자(116)와 접속되며 제1 패드 단자들(134) 사이의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패드 단자(134,136)는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 접속단자(114,116)와 대응되도록 베이스 필름(132)을 사이에 두고 교번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들이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종래에 비해 접속 단자군들 각각의 간격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 단자수를 종래에 비해 2배 이상 늘릴 수 있다. 또 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는 베이스필름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패드 단자들이 엇갈리도록 형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패드 단자수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와 FPC의 접촉 불량은 방지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그 커넥터와 접속되는 FPC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커넥터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를 가지는 커넥터(110)와, 그 커넥터(110)의 접속구(122)에 수용될 FPC(130)를 마련한다. 여기서, 커넥터(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커넥터와 동일하며, FPC(130)는 도 5에 도시된 FPC와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PC(13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0)의 접속구(122) 내에 수용됨으로써 FPC(130)의 제1 패드 단자(132)는 커넥터(110)의 제1 접속 단자(114)와 접속되며, FPC(130)의 제2 패드 단자(134)는 커넥터(110)의 제2 접속 단자(116)와 접속된다. 이에 따라, FPC(130)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신호는 커넥터(110)의 제1 및 제2 접속 단자(114,116)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라인에 공급된다. 또는 제1 인쇄 회로 기판에 안착된 커넥터(110)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신호는 FPC(130)를 통해 제2 인쇄 회로 기판의 신호라인에 공급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60),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26),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26)과 접속된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을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16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62)과, 칼러 필터 기판(164)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160)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액정셀(Clc)들이 마련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액정셀(Clc)에 공급한다.
액정 표시 패널(160)의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은 집적 회로(166)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 TCP)(150)를 통해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2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집적 회로(166)는 데이터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 회로와, 게이트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회로를 구비한다. 데이터 집적 회로는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화소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게이트 집적 회로는 게이트 하이 전압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집적 회로는 게이트 하이 전압이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 게이트 로우 전압을 게이트 라인들(GL)에 공급한다.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26)은 TCP(150)와 접속됨과 아울러 FPC 커넥터(110)와 FPC(130)을 통해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과 접속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인 쇄 회로 기판(126)은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128) 및 전원부(138)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해당 집적 회로(166)에 공급한다.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은 전원부로부터 생성된 백라이트 전원 신호를 백라이트 인버터부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0)은 FPC 커넥터(110)와 FPC(130)을 통해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128) 및 전원부(138)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을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26)에 공급한다. 그리고, 제어 인쇄 회로 기판(152)에 실장된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에는 케이블을 통해 접속된 사용자 연결부로부터의 입력 전원, 화소 데이터, 클럭 신호 및 동기 신호 등이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및 연성 인쇄 회로는 액정 표시 장치 뿐만 아니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소자, 전계 발광 소자 등의 표시 장치에 적용됨과 아울러 커넥터 및 연성 인쇄 회로를 가지는 모든 장치에도 적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들이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되는 커넥터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 를 갖는 표시 장치는 종래에 비해 커넥터의 접속 단자군들 각각의 간격을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속 단자수를 종래에 비해 2배 이상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베이스필름을 사이에 두고 제1 및 제2 패드 단자군이 마주보도록 형성된 연성 인쇄 회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종래에 비해 연성 인쇄 회로의 패드 단자수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드 단자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는 커넥터와 FPC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단에 설치된 커버 하우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5.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패드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패드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접속되도록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마주보는 제2 접속 단자군과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접속되도록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과 접속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상기 제1 패드 단자군 각각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8.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상기 구동회로부에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다수의 신호 생성부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수납되는 연성 회로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는
    접속구를 마련하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의 서로 다른 면에 분리되게끔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 회로는
    상기 제1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도록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제2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며 상기 제1 패드 단자군 각각과 마주보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접속 단자군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상부면의 배면 상에 형성된 제1 접속 단자군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하부면의 전면 상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군과 교번적으로 형성된 제2 접속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인쇄 회로는
    상기 제1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도록 베이스 필름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1 패드 단자군과;
    상기 제2 접속 단자군 각각과 접속되며 상기 제1 패드 단자군과 교번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2 패드 단자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50116078A 2005-12-01 2005-12-01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70057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78A KR20070057301A (ko) 2005-12-01 2005-12-01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1/485,211 US7407409B2 (en) 2005-12-01 2006-07-12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flexible printed circuit inserted into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CN2006101309126A CN101017936B (zh) 2005-12-01 2006-12-01 柔性印刷电路连接器,插入该连接器的柔性印刷电路,以及具有该连接器的显示设备及其方法
JP2006326144A JP2007157715A (ja) 2005-12-01 2006-12-01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用コネクタ、それに挿入される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をコネクタに連結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6078A KR20070057301A (ko) 2005-12-01 2005-12-01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301A true KR20070057301A (ko) 2007-06-07

Family

ID=3811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6078A KR20070057301A (ko) 2005-12-01 2005-12-01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7409B2 (ko)
JP (1) JP2007157715A (ko)
KR (1) KR20070057301A (ko)
CN (1) CN1010179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27B1 (ko) * 2008-05-09 2014-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581B1 (ko) * 2007-01-18 2014-04-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 라인을 구비한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포함한액정표시장치
TWI360260B (en) * 2008-08-06 2012-03-11 Pegatron Corp Connector structure
KR101696475B1 (ko) * 2010-07-19 2017-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TWI413315B (zh) * 2011-08-30 2013-10-21 Wistron Corp 連接器及其電子裝置
TWI559824B (zh) * 2015-10-06 2016-11-21 Hong-Jie Dai 柔性印刷電路板、連接器組件及電子裝置
TWI562689B (en) * 2015-10-06 2016-12-11 Hong-Jie Dai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connector assembly and an electronic device
CN106210197A (zh) * 2016-07-28 2016-12-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JP7208739B2 (ja) * 2018-08-10 2023-01-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配線基板
CN112150938B (zh) * 2019-06-28 2022-10-14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led模组板及显示屏
KR20210067000A (ko) * 2019-11-28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5459Y (zh) * 1992-09-07 1993-11-03 李志达 印刷电路板插接座
JP3104600B2 (ja) * 1995-12-19 2000-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223447B2 (ja) * 1998-05-21 2001-10-29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両面fpc/ffc用コネクタ
JP4151129B2 (ja) * 1998-09-25 2008-09-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CN1129205C (zh) * 2000-03-16 2003-11-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3677596B2 (ja) * 2000-10-25 2005-08-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2004095421A (ja) * 2002-09-02 2004-03-25 Taiko Denki Co Ltd 扁平導体用コネクタ
JP4139171B2 (ja) * 2002-09-11 2008-08-27 京セラ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4276881B2 (ja) * 2003-04-3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多層プリント配線板の接続構造
JP4587724B2 (ja) * 2003-10-16 2010-11-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Fpc用コネクタ
US7198519B2 (en) * 2004-07-07 2007-04-03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keying means for ensuring proper connection
JP4248555B2 (ja) * 2006-02-21 2009-04-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127B1 (ko) * 2008-05-09 2014-10-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7409B2 (en) 2008-08-05
JP2007157715A (ja) 2007-06-21
CN101017936B (zh) 2012-07-04
CN101017936A (zh) 2007-08-15
US20070128922A1 (en) 200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301A (ko)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772434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wer supply lines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6903717B2 (en) Display device having driving circuit
US2005016842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0024570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90164877A1 (en) Chip on fi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34067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28124A (ko) 액정 표시장치
CN103091900A (zh) 液晶显示装置
KR20110000471A (ko) 액정 표시장치
US2010031539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903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080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2174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02347A (ko)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20070093110A1 (en)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7441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57302A (ko) 연성 인쇄 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90110484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06077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40072768A (ko) 구동모듈 접속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0855494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20070063746A (ko) 커넥터와 이를 가지는 평판표시장치
KR20070063644A (ko) 구동 칩, 그 구동 칩이 실장된 인쇄 회로기판 및 이들을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001421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