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002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002B1
KR101308002B1 KR1020060124985A KR20060124985A KR101308002B1 KR 101308002 B1 KR101308002 B1 KR 101308002B1 KR 1020060124985 A KR1020060124985 A KR 1020060124985A KR 20060124985 A KR20060124985 A KR 20060124985A KR 101308002 B1 KR101308002 B1 KR 101308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liquid crystal
fastening
flexible printed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050A (ko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0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이 상부커버 내부 측면과의 마찰로 인해 기계적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외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메인서포트; 상기 액정패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홀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액정패널 상부의 테두리와 메인서포트 및 하부커버의 측면을 감싸며, 내측면이 상기 체결 돌기의 끝단과 맞닿는 상부커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5 :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
205a : 체결 홀
204 : 메인서포트
204a : 체결 돌기
206 : 하부커버
206a : 체결부
209 : 상부커버
207 : 데이터 드라이브 IC
208 : 게이트 드라이브 IC
203 : 인쇄회로기판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표시장치 유동시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이 상부커버 내부 측면과 마찰함으로 인해 기계적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는 상부기판인 컬러필터(color filter)기판과 하부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기판이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는 액정층이 충진된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주사신호 및 화상정보를 공급하여 액정패널을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정패널은 일정하게 이격되어 횡으로 배열되는 게이트라인과, 일정하게 이격되어 종으로 배열되는 데이터라인이 서로 교차하고,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구획되는 사각형 영역에 화소들이 형성된다. 상기 화소들에는 스위칭소자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에는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이 구비되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의 전압차에 의해서 액정이 구동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액정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와, 액정패널 상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 라이브 I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드라이브 IC를 실장하는 방법은 COG(chip on glass)방식과 TCP(tape carrier package)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COG는 액정패널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상에 드라이브 IC를 실장하는 방법이고, TCP는 별도의 필름에 드라이브 IC를 실장하는 방법이다.
과거에는 드라이브 IC를 실장하는 상기 방법 중에 접속성이 좋고 개량하기 쉬운 TCP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하지만, 미세 실장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에는 액정표시장치의 소형화가 쉽고 제조단가가 낮은 COG 방식으로 옮겨가는 추세이다.
상기 COG 방식에서는 드라이브 IC와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는 드라이브 IC의 실장 방식에 있어서 COG 방식을 이용하고, 드라이브 IC와 인쇄회로기판의 연결을 위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을 이용한 액정표시장치가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100); 상기 액정패널(100)에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103); 상기 액정패널(100)을 수납하는 메인서포트(104); 상기 액정패널(100)과 인쇄회로기판(103) 사이를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105); 상기 메인서포트(104)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배면에 인쇄회로기판(103)이 부착된 하부커버(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00)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과 컬러필터 기판(101)으로 이루어지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의 끝단에는 데이터 드라이브 IC(107) 및 게이트 드라이브 IC(미도시)가 실장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105)은 데이터 드라이브 IC(107)가 실장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102)의 상면 끝단에 부착된다. 이 후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105)은 메인서포트(104)의 상면을 거쳐서 메인서포트(104)의 측면으로 제 1 차 절곡되고, 하부커버(106)의 측면을 거쳐서 하부커버(106)의 배면으로 제 2 차 절곡되어 인쇄회로기판(103)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03)은 하부커버(106) 배면에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액정표시장치의 유동시에 상부커버(109)와 하부커버(106)의 유동으로 인해 상부커버(109)와 하부커버(106) 사이에 형성된 갭(G1)이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커버(109)의 내부 측면과 하부커버(106)의 외부 측면 사이에 위치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105)은 상부커버와(109)의 마찰로 인해 기계적 소음을 유발하게 되며, 이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사용자에게 스트레스를 준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의 유동시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105)은 상부커버(109)와의 마찰로 인해 파괴되어서 인쇄회로기판(1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브 IC(107) 및 게이트 드라이버 IC(미도시)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생긴다.
이로써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으로 전달되는 신호에 오류를 발생시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품질을 저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이 위치하는 상부커버의 내부 측면과 하부커버의 외부 측면 사이의 갭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상부 커버 간의 마찰로 인한 기계적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외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메인서포트; 상기 액정패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홀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배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이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체결하여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하부커버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액정패널 상부의 테두리와 메인서포트 및 하부커버의 측면을 감싸며, 내측면이 상기 체결 돌기의 끝단과 맞닿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서포트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는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의 체결홀에삽입된 후 하부커버의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메인서포트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서포트 내의 액정패널 하부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 돌기의 두께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하부커버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하부커버의 측부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요철 형태로 파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 돌기는 체결부와 먼저 체결된 후 남은 부분이 체결홀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기판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연결되는 드라이브 I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입력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패널(200); 상기 액정패널(200)에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203); 상기 액정패널(200)을 수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03)과 인접하는 외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204a)가 형성된 메인서포트(204); 상기 액정패널(200)과 인쇄회로기판(203)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돌기(204a)와 체결되는 체결 홀(205a)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 상기 메인서포트(204)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 돌기(204a)와 체결되는 체결부(206a)가 형성된 하부커버(206); 상기 액정패널(200) 상부의 테두리와 메인서포트(204) 및 하부커버(206)의 측면을 감싸며, 내측면이 상기 체결 돌기(204a)와 맞닿는 상부커버(20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서포트(204) 내의 액정패널(200) 하부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10)가 구비된다.
상기 액정패널(200)은 상부 기판인 컬러 필터 기판(201)과 하부 기판인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으로 이루어지며, 두 기판 사이에는 액정층(미도시)이 주입되어 있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라인(미도시)과, 상기 데이터 라인에 수직 교차되어 각 화소를 정의하고 스캐닝 신호를 전달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상기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의 교차 지점에 각각 형성되는 박막트랜지스터(TFT, 미도시)와, 각 화소에 형성되는 화소전극(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은 컬러필터 기판(20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과 컬러필터 기판(201)을 합착할 때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은 컬러필터 기판(201)으로 덮이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이 부분에 드라이브 IC, 즉 데이터 드라이브 IC(207)와 게이트 드라이브 IC(208)를 실장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브 IC(207)는 데이터 라인(미도시)에, 게이트 드라이브 IC(208)는 게이트 라인(미도시)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액정패널(200)에 직접 드라이브 IC(207, 208)를 실장하는 방법을 COG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브 IC(208)는 LOG(Line on glass)방식으로 실장된 LOG라인에 의해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연결되고, 데이터 드라이브 IC(207)는 직접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연결되어 인쇄회로기판(203)에 연결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에는 액정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하여 각종 제어신 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와, 외부전원을 이용하여 화면표시에 필요로 하는 구동전압들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203a)가 형성되며, 이 커넥터(203a)를 통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연결된 인쇄회로기판(203)은 하부커버(206)의 배면에 스크류(미도시)의 체결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안착 된다.
상기 메인서포트(204)는 사각테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단턱부가 형성되며, 액정패널(20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10)를 수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단턱부가 있는 것을 그 예로 하였으며, 아래에 위치한 두 개의 단턱부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10)가 적층 되며, 이들 위에 위치한 하나의 단턱부에는 액정패널(200)이 적층 된다.
상기 메인서포트(204)의 외부 측면 중에 상기 인쇄회로기판(203)과 인접한 외부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204a)가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 돌기(204a)는 메인서포트(204)의 외부 측면 중에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과 인쇄회로기판(203)을 연결하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이 위치하게 되는 곳에 하나 이상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돌기(204a)는 액정패널(200)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의 상면에 드라이브 IC(207, 208)가 정렬되듯이 메인서포트(204)의 외부의 측면에 측면의 가로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된 것을 그 예로 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및 응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돌기(204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의 것을 그 예로 하였으며, 이 형상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및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 돌기(204a)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길이만큼 메인서포트(20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204a)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하부커버(206)의 두께를 더한 것보다 더 두꺼운 길이만큼 메인서포트(204)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 돌기(204a)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형성된 체결 홀(205a) 및 하부커버(206)에 형성된 체결부(206a)와 체결된 후, 하부커버(206)와 상부커버(209) 사이에 형성된 갭(G2)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이 상부커버(209)내부 측면과 접촉하여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는 아래에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은 드라이브 IC(207, 208)와 인쇄회로기판(20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이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내부에는 배선이 형성되어 있어 인쇄회로기판(203)의 출력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브 IC(207) 및 게이트 드라이브 IC(208)로 전달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일측은 데이터 드라이브 IC(207)가 실장된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의 상면에 접착되며, 타측은 인쇄회로기 판(20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은 인쇄회로기판(203)과 데이터 드라이브 IC(207) 및 게이트 드라이브 IC(208)를 연결하므로, 이는 데이터 라인 및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는 인쇄회로기판(203)의 커넥터(203a)와 연결하기 위하여 입력부(205b)가 형성되며, 이는 인쇄회로기판(203)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포트(204)에 형성된 체결 돌기(204a)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 홀(205a)이 형성되는데, 이는 액정표시장치 조립시에 상기 체결 돌기(204a)에 체결된다.
상기 하부커버(206)는 메인서포트(204)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커버(206)의 측부에는 메인서포트(204)에 형성된 체결 돌기(204a)와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부(206a)가 형성되며, 이 체결부(206a)는 하부커버(206)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요철 형태로 파낸 형상을 갖는다.
즉, 상기 체결부(206a)는 체결 돌기(204a)와 체결되는 영역을 하부커버(206)의 상면으로부터 요철 형태로 파낸 형상이며, 하부커버(206) 측부의 내면에서 시작하여 측부의 외면까지 뚫린 형상을 갖는다.
상기 체결부(206a)는 액정표시장치의 조립시에, 메인서포트(204)의 하부에서 하부커버(206)를 체결함으로써 자연스레 상기 체결 돌기(204a)에 체결된다.
또한, 하부커버(206)의 배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3)이 하나 이상 부착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고 액정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203) 하나만 도시하였다.
하부커버(206)의 배면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203)은 스크류 체결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되어 안착된다.
메인서포트(204)에 형성된 체결 돌기(204a)에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를 체결하고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체결 홀(205a)을 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메인서포트(204)에 백라이트 어셈블리(210) 및 액정패널(200)을 수납하며 하부커버(206) 또한 체결한다. 여기서, 메인서포트(204)에 하부커버(206)를 체결할 때 메인서포트(204)의 체결 돌기(204a)에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가 자연스레 체결된다. 이는 메인서포트(204) 및 하부커버(206)를 제작할 때 상기 체결 돌기(204a)에 체결부(206a)가 체결되도록 위치를 맞추어 설계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후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을 메인서포트(204)의 측면으로 제 1 차 절곡하여 메인서포트(204)의 체결 돌기(204a)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체결 홀(205a)을 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돌기(204a)에는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가 먼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체결 돌기(204a) 중에서 상기 체결부(206a)가 체결되고 남은 부분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체결 홀(205a)이 체결된다. 이 후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 름(205)을 하부커버(206) 배면으로 제 2 차 절곡하여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이 하부커버(206) 배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을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연결하는 순서는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고려하여 적절히 정해진다.
즉, 상기 인쇄회로기판(203)을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연결하는 순서는 하부커버(206)의 배면에 인쇄회로기판(203)을 미리 부착한 후,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으로부터 제 1 차 및 제 2 차 절곡하여서 하부커버(206)에 미리 부착된 인쇄회로기판(203)의 커넥터(203a)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입력부(205b)를 체결하는 방법,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입력부(205b)를 인쇄회로기판(203)의 커넥터(203b)에 연결한 후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을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으로부터 제 1 차 및 제 2 차 절곡하여 하부커버(206)의 배면에 인쇄회로기판(203)을 부착하는 방법의 순서로 연결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체결 돌기(204a)가 형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조를 명확히 하겠다.
도 3을 참조로 하면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202)에 부착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이 메인서포트(204)의 측면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에 형성된 체결 홀(205a)이 메인서포트(204) 외부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돌기(204a)에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앞서, 메인서포트(204)에 하부커버(206)가 체결되는데 이 과정에서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가 메인서포트(204)의 체결 돌기(204a)에 먼저 체결된다.
즉,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가 메인서포트(204)의 체결 돌기(204a)에 체결되고, 이 후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체결 홀(205a)이 하부커버(206)의 체결부(206a)가 먼저 체결되고 남아 있는 메인서포트(204)의 체결 돌기(204a)의 일부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메인서포트(204)에 백라이트 어셈블리(210) 및 액정패널(200)이 수납되고 하부커버(206)가 체결된 후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을 배면으로 절곡하고 인쇄회로기판(203)을 하부커버(206) 배면에 고정한 후에, 액정패널(200)의 상부의 테두리와 메인서포트(204) 및 하부커버(206)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커버(209)가 체결된다.
도 3에 나타낸 G2는 상부커버(209)와 하부커버(206) 사이에 형성된 갭을 나타내는 부호이다. 상기 체결 돌기(204a)의 끝단이 상부커버(209)의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하부커버(206)와 상부커버(209) 사이의 갭(G2)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상기 갭(G2)은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유동시에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과 상부커버(209)의 마찰로 인해 소음이 유발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체결 돌기(204a)의 끝단이 상부커버(209)의 내부와 맞닿아서 상기 갭(G2)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이 상부커버(209), 하부커버(206) 및 메인서포트(204)와 강하게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205)의 파괴가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서포트에 형성한 체결 돌기의 끝단이 상부커버 내부 측면과 맞닿음으로써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일정 갭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가 유동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상부커버의 마찰로 인해 기계적 소음이 발생되는 현상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가 유동할 때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이 상부커버, 하부커버, 및 메인서포트와 강하게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액정표시장치 화면의 고품질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신호를 공급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액정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인접하는 외부 측면에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가 형성된 메인서포트;
    상기 액정패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 홀이 형성된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
    상기 메인서포트의 측면과 배면을 감싸며, 상기 체결 돌기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의 배면에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이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체결하여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하부커버의 배면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액정패널 상부의 테두리와 메인서포트 및 하부커버의 측면을 감싸며, 내측면이 상기 체결 돌기의 끝단과 맞닿는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서포트 측면에 형성된 체결돌기는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의 체결홀에삽입된 후 하부커버의 체결부와 체결되어,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필름을 메인서포트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포트 내의 액정패널 하부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의 두께는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하부커버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하부커버의 측부 상면으로부터 오목한 요철 형태로 파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기는 체결부와 먼저 체결된 후 남은 부분이 체결홀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기판에는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과 연결되는 드라이브 I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인쇄회로 필름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연결하기 위한 입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상기 입력부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124985A 2006-12-08 2006-12-08 액정표시장치 KR101308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985A KR101308002B1 (ko) 2006-12-08 2006-12-08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985A KR101308002B1 (ko) 2006-12-08 2006-12-08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050A KR20080053050A (ko) 2008-06-12
KR101308002B1 true KR101308002B1 (ko) 2013-09-13

Family

ID=39807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985A KR101308002B1 (ko) 2006-12-08 2006-12-08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80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350B1 (ko) * 2009-11-02 2011-05-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브라켓 일체형 방열 pcb와 그 제조방법
KR101939232B1 (ko) * 2012-03-29 2019-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039362B1 (ko) * 2013-03-19 2019-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102252077B1 (ko) * 2014-10-20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29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29A (ko) * 2004-08-18 200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050A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0528B2 (en) Electro 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743955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3822037B2 (ja) 液晶表示装置
US8382361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70057301A (ko) 연성 인쇄 회로용 커넥터와, 그에 삽입되는 연성 인쇄 회로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3795445B2 (ja) 画像表示装置
US70884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0800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92569B1 (ko) 액정표시소자
JP2011203706A (ja) モールド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JP4297021B2 (ja)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2523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00249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13649B1 (ko) 액정표시소자
KR20080001510A (ko) 액정표시소자
KR101137881B1 (ko) 액정표시장치
US78524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heat dissipatio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0261975B1 (ko) 액정표시장치의 에프피씨 접합구조
JP2006038900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744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59222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60070343A (ko) 일체형 섀시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KR20050009365A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0989340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80054503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