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910A -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910A
KR20050026910A KR1020047006511A KR20047006511A KR20050026910A KR 20050026910 A KR20050026910 A KR 20050026910A KR 1020047006511 A KR1020047006511 A KR 1020047006511A KR 20047006511 A KR20047006511 A KR 20047006511A KR 20050026910 A KR20050026910 A KR 2005002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ylinder
synthetic resin
inlet
resin bottle
escap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5666B1 (ko
Inventor
도모유키 오자와
도시마사 다나카
다카오 이이즈카
마코토 다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4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540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4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202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05002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6Local reinforcements, e.g. adjacent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8Venting occurring during initial closing or opening of the container,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e.g. 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6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29C2949/0768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 B29C2949/07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specific parts of preform characterised by the neck
    • B29C2949/0772Closure retaining means
    • B29C2949/0773Threads
    • B29C2949/0774Interrupted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73Auxiliary operations after the blow-moulding oper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49/4283Deforming the finished article
    • B29C49/42832Moving or inverting sections, e.g. inverting bottom as vacuum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4Heating or cooling preforms, parisons or blown articles
    • B29C49/6409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 B29C49/6436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 B29C49/6445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length
    • B29C49/6452Thermal conditioning of preforms characterised by temperature differential through the preform length by heating the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6Non-flammable or 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1Crystalline
    • B29K2995/0043Crystalline non-uni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5/00Bottles and jars
    • Y10S215/902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3Ventilated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입구통부의 통벽 바깥둘레에 부설된 나사산에, 상하방향으로의 가스 통로가 되는 가스빠짐홈을, 이 나사산의 일부를 남기고 형성하고, 입구통부 전체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키는 것에 의해, 수지유동상태의 불균일성에 관한 부정변형의 억제된 상태에서 입구통부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켜, 이로써 안정성이 높은 내열용기, 내압용기, 내열압용기 등의 분야에 폭 넓게 대응할 수 있는 입구통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MOUTH TUBE PORTION OF SYNTHETIC RESIN BOTTLE BODY}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등에 의해 연신블로우성형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허공개 평10-58527호 공보에는, 고온에서의 충전 혹은 열처리공정이 있는 제품 예를 들면 차, 과즙음료용 등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제 2축연신 블로우성형용기체(이하 PET병이라고 한다.)에 대해서 기재가 있지만, 차, 과즙음료, 액체조미료 등과 같이 고온에서의 충전 혹은 열처리공정이 있는 제품용의 PET병에서는 열결정화처리에 의해 열변형 강도가 강화된 소위 내열 입구통부가 사용된다.
도 10에 상기 차, 과즙음료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PET병의 전체형상, 또한 도 11 및 도 12에는 내열입구통부(20)의 대표예를 나타내지만, 열결정화처리에 의해 입구통부 전체가 백화된 상태에 있고, 나사산(22)의 하부에는 부정조작 혹은 오조작에 의한 마개의 열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필퍼프루프캡용의 비드링(24)과 함께, 네크링(25)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의 내열입구통부(20)에 실시한 메쉬에 의한 해칭은 열결정화에 의한 백화상태를 나타낸다(도 10에서는 이 해칭을 생략하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평07-267235호 공보에는, 탄산음료용의 PET 병에 대한 기재가 있지만, 도 7에는 탄산음료용의 용도에 사용되는 PET 병의 대표적인 전체형상, 또한 도 8 및 도 9에는 도 7의 PET병에 사용되고 있는 소위 내압입구통부(10)의 대표예를 나타낸다.
도 7, 8 및 도 9에 나타나는 PET병에서는, 내압입구통부(10)는 열결정화처리가 없는 투명한 상태이지만, 몸통부(17)를 원통형으로 하여, 복수의 다리(18a)를 돌출한 소위 페타로이드(꽃잎)형상의 바닥부(18)로 하는 것에 의해, 병체 자체의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마개를 열 때 탄산가스의 내압이 빠져나가는 것을 좋게 하는 가스빠짐홈의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하기 위해, 내압입구통부(10)의 나사산은, 절결부(12a)를 가지는 간헐나사산(12)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근년에는 PET병의 용도 범위가 넓어지는 가운데, 내열성, 혹은 내압성 단독이 아니라, 양자의 기능을 더불어 가지는 입구통부가 요구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내열입구통부를 가진 PET병에서는, 내용액의 고온충전 혹은 멸균을 위한 고온처리 후, 실온으로 되돌린 상태에서 병내부가 감압상태가 되어 병의 통벽이 내부에 오목형상으로 변형된 상태가 되는 경우[이 감압을 흡수하기 위해서, 병의 벽 일부에 변형하기 쉬운 감압흡수패널을 설치하는 경우{도 10중의 감압흡수패널(27a)참조}]가 많지만, 내열입구통부(20)의 간헐나사산(12)에 있어서의 절결부 (12a)와 같은 가스빠짐홈에 상당하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캡을 떼어 내었을 때에 외부공기가 단숨에 진입하여, 병이 감압상태로부터 복원하는 힘 등의 영향에 의해 내용액이 끓어 넘쳐, 의복 등을 더럽히는 등이 우려가 있었다.
또한, 탄산을 포함하지 않는 과즙음료 등과 같은 내용액이더라도,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해 가스가 발생하여 가압상태가 되는 케이스도 있어, 이 경우도 내열입구통부(20)에서는, 캡을 떼어낼 때에 내용액이 분출된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탄산음료용의 내압성의 PET병에 있어서도, 음료를 충전한 후 고온의 열샤워에 의한 멸균공정처리를 요하는 용도도 많아지고 있고, 전술한 내용액의 끓어 넘침, 분출 등의 문제도 포함하여 특히 내열성을 가지고 또한 내압입구통부와 같은 가스빠짐홈에 해당하는 기구를 가진 입구통부가 요구되고 있지만, 도 8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내압입구통부(10)의 나사산에 절결부(12a)를 형성한 입구통부에서는 열결정화에 따르는 변형이 부정하게 발생하여, 캡의 장착이 불량하게 됨과 동시에 시일성이 큰 폭으로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문제는 주로 사출성형시의 간헐나사산(12)과 절결부(12a)에 있어서의 수지유동 및 냉각고체화의 움직임 차이에 기인하여, 통벽(11)의 상단면의 절결부 (12a)에 대응하는 부분에 오목부, 즉 처짐이 발생하고, 또한 바깥둘레가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형상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간헐나사산(12)의 끝단부 근방에 대응하는 상단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처짐이 발생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내압입구통부(10)의 통벽(11) 두께도 상기 처짐 등의 부정변형의 크기에 관한 요인의 하나이고, 두께를 충분히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이 부정변형을 억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PET병의 생산성, 비용절감, 자원절약 등의 면으로부터도 현실적으로는 부정변형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는 두께를 부여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스빠짐홈 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또한 열결정화에 의한, 처짐, 변형 등의 억제 가능한 입구통부의 구조를 기술적 과제로 하여, 이로써 안정성이 높은 내열용기, 내압용기, 내열압용기 등의 분야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는 입구통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입구통부의 통벽 바깥둘레에 부설된 나사산에, 상하방향으로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빠짐홈을 이 나사산의 일부를 남기고 형성하는 것, 입구통부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키는 것에 있다.
전술한 종래의 내압입구통부에 보이는 간헐나사구조에 있어서, 입구통부의 상단면의, 나사산의 절결부에 대응하는 둘레위치에서의, 열결정화에 의한 처짐(오목부) 발생의 이유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즉 2축연신 블로우성형에서는 사출성형에 의한 시험관형상의 프리폼을 사용하고, 이 사출성형에 있어서 수지는 프리폼의 바닥부로부터 사출되어 입구통부 상단면을 향해서 유동하지만, 나사산이 있는 부분과 절결부에서는 수지의 유동통로에 큰 차이가 있는 것, 유동의 말단근방이기 때문에 수지온도가 낮아져 있고 유동통로의 영향에 의한 분자배향의 차이가 커지는 것, 또한 유동의 최종 단계이기 때문에 직후에 형조임, 냉각공정이 이루어져 분자배향의 완화를 위한 시간이 짧고, 유동중에 발생한 분자배향상태의 차이가 성형품에 잔류해 버려, 이 잔류한 분자배향상태의 영향으로, 열결정화 움직임에 있어서의 수축량의 장소에 의한 차가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여기서, 입구통부의 두께를 충분히 크게 한 경우에는 나사산이 있는 부분과 절결부에서의 수지의 유동통로의 비가 작아지게 되고, 유동중에 발생하는 분자배향상태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PET병의 생산성, 비용절감, 자원절약 등의 면에서의 현실적인 두께의 범위내에서는 이 분자배향상태의 차이를 충분히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은 추정에 의거하여 창출한 것으로, 나사산에서의 가스빠짐홈을, 나사산의 일부를 남기고 형성함으로써 프리폼의 사출성형시의 나사산부분과, 가스빠짐홈의 형성부분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상태의 차이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열결정화처리에 의한 입구통부 상단면에 있어서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내압입구통부에 보이는 간헐나사산 구조의 절결부에 해당하는 둘레위치에서는, 열결정화처리에 의해 입구통부의 벽이 외부로 부푼형상의 변형을 하여, 전체로서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형상이 되는 경향이 보이고, 캡과의 나사맞춤성에도 문제가 발생하지만,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해, 이 변형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 의해 가스빠짐기능을 가지는 입구통부에, 열결정화에 의한 내열성을 부여한 입구통부를 제공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캡마개를 열 때 병의 감압상태로부터의 복원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내용액의 끓어 넘침, 혹은 감압상태로부터의 캡개방에 의한 내용액의 분출 등을 억제할 수 있어, 안전성에 뛰어난 입구통부, 나아가서는 병체형상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가스빠짐홈 형성부분에서 어느 정도의 높이 만큼 나사산을 남길 것인가는 처짐, 변형의 개량효과, 내용물에 의한 내압의 발생정도, 가스빠짐, 혹은 감압시에 있어서의 가스의 진입속도를 생각하여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나사산 높이의 1/4∼1/2를 남기고, 가스빠짐홈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처짐, 변형의 개량효과와 가스빠짐성의 균형이 잡힌 입구통부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나사산의 시작단부로부터 360°의 범위에, 적어도 1개소, 가스빠짐홈을 형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가스빠짐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입구통부 상단면에 있어서의 처짐 정도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캡과의 나사맞춤성도 안정하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또는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가스빠짐홈을, 다중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상하방향으로 거의 직선 형상으로 배열위치시켜 형성하는 것에 있다.
통상, 나사산은 2∼3중으로 형성되지만,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은 이와 같이 겹친 나사산에 상하방향으로 거의 직선형상으로 가스빠짐홈을 배치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가스빠짐을 보다 원활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또, 각 가스빠짐홈 조합의 직선형상 배열은, 수직방향으로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울어진 방향이 되더라도 지장이 없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가스빠짐홈의 모서리부를 곡률반지름 0.3mm 이상의 라운딩형상으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가스빠짐홈의 모서리부를 라운딩형상으로서, 나사산의 산꼭대기로부터 가스빠짐홈에 걸친 수지의 유동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할 수가 있고, 열결정화처리에 의한 입구통부에 있어서의 부정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이 라운딩형상의 곡률반지름은 0.3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또는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입구통부를 나사산의 아래쪽으로 비드링 및 네크링을 부설한 구조로 하여, 이 비드링 및 네크링을 포함해서, 입구통부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킨 것에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서는, 입구통부에는 나사산의 아래쪽에 필요에 따라서 비드링 및 네크링이 부설되어, 이 비드링 및 네크링을 포함하여 입구통부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키지만, 이들 비드링 및 네크링에 의해 입구통부의 하부에 전체둘레에 걸쳐서 두께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리폼성형시의 수지유동에 의한 분자배향이 완화되는 등의 요인에 의해, 입구통부 상단면에 있어서의 처짐, 및 입구통부의 바깥둘레의 원형으로부터의 변형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1, 2, 3, 4, 5 또는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나사산의 시작단부 및 끝단부를, 폭 및 높이를 완만하게 축소한 시작단연장부(4a) 및 끝단연장부(4b)로 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패리슨(Parison)의 사출성형시에 있어서의, 나사산의 시작단부 및 끝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상태의 급격한 변화를 피할 수 있고, 시작단부 및 끝단부 근방위치에 대응하는 입구통부 상단면에서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수단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시작단연장부 및 끝단연장부를 30°∼150°의 중심각도범위에 걸쳐서 형성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상기 구성에 의해, 캡과의 나사맞춤성을 유지하면서, 끝단부근방위치에 대응하는 입구통부 상단면에서의 처짐을 충분히 억제할 수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실시한 병체의 전체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확대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사산부까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나사산의 전개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탄산음료용의 병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병체의 입구통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병체의 입구통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내열용 병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전체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병체의 입구통부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병체의 입구통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실시한 병체의 전체정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병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제의 2축연신 블로우성형 병체이고, 바닥을 가지는 사각통형상을 한 몸통부(7)의 상단에, 사각 추대(錐臺)통형상을 한 어깨부(8)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입구통부(1)를 세워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입구통부(1)는, 원통형상을 한 통벽(2)의 바깥둘레면 상반부분에, 나사산(3)을 약 2회반 감은 길이로 형성하고, 또한 통벽(2)의 바깥둘레면 하반부분에 비드링 (5) 및 네크링(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입구통부(1)는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한 것으로, 도 2, 3 및 도 4의 입구통부(1)에 실시한 메쉬에 의한 해칭은 이 백화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5에서는 이 해칭을 생략하였다). 또, 본 실시예는 입구통부(1)의 네크링(6) 하단 바로 아래까지의 부분을 백화한 것이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네크링 (6)의 하단으로부터 어깨부(8)의 상단부에 걸친 영역도 백화시키더라도 좋다. 또한, 부분적으로 약한 백화상태로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나사산(3)에는 그 일부를 남기고, 둘레방향에 4개소, 상하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배치하도록 가스빠짐홈(3a)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 높이(H1)에 대하여 잔존높이(H2)는 약 1/3의 높이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가스빠짐홈(3a)의 모서리부를 라운딩형상으로 하여, 나사산(3)의 산꼭대기로부터 가스빠짐홈(3a)에 걸쳐서, 수지의 유동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하고 있다(도 2, 3 및 도 6 참조). 이 라운딩형상의 곡률반지름은 0.3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한 가스빠짐홈(3a)의 형성장소, 개수, 또는 나사산(3)의 잔존높이 (H2) 등은, 처짐, 변형의 개량효과, 내용물에 의한 내압의 발생정도, 가스빠짐 효과를 생각하여,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가 있는 것이다.
나사산(3)의 상단부인 시작단부 및 하단부인 끝단부를, 본 실시예에서는 90°의 중심각도범위에 걸쳐서 폭 및 높이를 완만하게 축소하도록 한, 시작단연장부 (4a) 및 끝단연장부(4b)로 하고 있다(도 2, 3 및 6 참조). 또, 시작단연장부(4a) 및 끝단연장부(4b)의 형성범위는 9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처짐의 개량효과, 캡과의 나사맞춤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 30°∼150°의 범위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종래의 내압입구통부(10)를 열결정화하여 백화시킨 경우에는, 입구통부(10) 상단면의, 간헐나사산(12)의 절결부(12a) 및 나사산의 끝단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처짐(오목부)이 발생하여, 캡나사맞춤시의 시일성이 불량하게 이루어졌지만, 본 실시예의 입구통부(1)는, 캡나사맞춤시의 시일성이 확실히 확보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가스빠짐홈(3a)의 형상 및 시작단연장부(4a), 끝단연장부(4b)의 효과가 확인되어, 종래의 내압입구통부와 대략 같은 형상의 입구통부에 내열성을 부여하여 사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간헐나사산형의 형상을 가진 입구통부에서, 일반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드링, 네크링이 없는 입구통부이더라도, 가스빠짐홈(3a)에 있어서, 잔부높이(H2)를 적당하게 설정함으로써, 입구통부의 상단면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입구통부의 바깥둘레의 원형으로부터의 부정한 변형을 작게 억제할 수가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나타낸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산의 일부를 남기고, 가스빠짐홈을 형성함으로써 나사산 부분과, 가스빠짐홈의 형성부분에 있어서의 수지 유동상태의 차이를 작게 할 수가 있어, 열결정화 처리에 의한 입구통부 상단면에서의 처짐, 및 입구통부의 원형으로부터의 변형 등의 부정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상기에 의해 가스빠짐기능을 가진 입구통부에, 열결정화에 의한 내열성을 부여한 입구통부를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캡을 떼어낼 때에 있어서의 병의 감압상태로부터의 복원력 등의 영향에 의한 내용액의 끓어 넘침, 혹은 감압상태로부터의 캡개방에 의한 내용액의 분출 등을 억제할 수가 있어, 안전성에 뛰어난 입구통부, 나아가서는 병체형상용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산 높이의 1/4∼1/2를 남기고, 가스빠짐홈을 형성함으로서 처짐, 변형의 개량효과와 가스빠짐성의 균형이 잡힌 입구통부를 제공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나사산의, 시작단부로부터 360°의 범위에, 적어도 1개소, 가스빠짐홈을 형성함으로써, 가스빠짐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입구통부의 부정변형을 작게 할 수가 있고, 또한 캡과의 나사맞춤성도 안정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빠짐홈을, 다중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상하방향으로 거의 직선형상으로 배열 위치시켜서 형성함으로서 가스빠짐을 보다 원활하게 달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가스빠짐홈의 모서리부를 라운딩형상으로 하여, 나사산의 산꼭대기로부터 가스빠짐홈에 걸친 수지의 유동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할 수 있어, 열결정화처리에 의한 입구통부에 있어서의 부정변형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비드링 및 네크링에 의해 입구통부의 하부에 전체둘레에 걸쳐 두께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리폼성형시의 수지유동에 의한 분자배향이 완화되는 등의 요인에 의해, 입구통부 상단면에 있어서의 처짐, 및 입구통부의 바깥둘레의 원형으로부터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폭 및 높이를 완만하게 축소하여 형성한 시작단연장부 및 끝단연장부를 설치함으로써, 나사산의 끝단부 근방에 있어서의 수지의 유동상태의 급격한 변화를 피할 수 있어, 입구통부의 부정변형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시작단연장부 및 종단연장부를 30°∼150°의 중심각도범위에 걸쳐서 형성함으로써 캡과의 나사맞춤성을 유지하면서, 입구통부의 부정변형을 억제할 수가 있다.

Claims (8)

  1. 입구통부(1)의 통벽(2)의 바깥둘레에 부설된 나사산(3)에, 상하방향으로의 가스 통로가 되는 가스빠짐홈(3a)을, 이 나사산의 일부를 남기고 형성하여, 입구통부(1)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킨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2. 제 1 항에 있어서, 나사산(3) 높이의 1/4∼1/2를 남기고, 가스빠짐홈(3a)을 형성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나사산(3)의, 시작단부로부터 360°의 범위에, 적어도 1개소, 가스빠짐홈(3a)을 형성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가스빠짐홈(3a)을, 다중으로 형성된 나사산(3)에, 상하방향으로 거의 직선형상으로 배열위치시켜 형성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가스빠짐홈(3a)의 모서리부를 곡률반지름 0.3mm 이상의 라운딩형상으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입구통부(1)를 나사산(3)의 아래쪽에 비드링(5) 및 네크링(6)을 부설한 구조로 하여, 이 비드링 (5) 및 네크링(6)을 포함해서, 입구통부(1)를 열결정화에 의해 백화시킨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7.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나사산(3)의 시작단부 및 끝단부를, 폭 및 높이를 완만하게 축소한 시작단연장부(4a) 및 끝단연장부(4b)로 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시작단연장부(4a) 및 끝단연장부(4b)를 30°∼150°의 중심각도범위에 걸쳐서 형성한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KR1020047006511A 2002-08-09 2003-08-11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KR10098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34092 2002-08-09
JP2002234093 2002-08-09
JPJP-P-2002-00234093 2002-08-09
JPJP-P-2002-00234092 2002-08-09
JPJP-P-2003-00054821 2003-02-28
JP2003054821A JP4415407B2 (ja) 2002-08-09 2003-02-28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JP2003054694A JP4432021B2 (ja) 2002-08-09 2003-02-28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JPJP-P-2003-00054694 2003-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910A true KR20050026910A (ko) 2005-03-16
KR100985666B1 KR100985666B1 (ko) 2010-10-05

Family

ID=317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6511A KR100985666B1 (ko) 2002-08-09 2003-08-11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97056B2 (ko)
EP (1) EP1528000B1 (ko)
KR (1) KR100985666B1 (ko)
CN (1) CN100333973C (ko)
AU (1) AU2003254923A1 (ko)
DE (1) DE60331150D1 (ko)
TW (1) TWI268895B (ko)
WO (1) WO20040147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14887B1 (en) * 2004-01-30 2011-08-24 Yoshino Kogyosho Co., Ltd. Mouth cylindrical part of synthetic resin bottle body
GB2445934B (en) * 2007-01-23 2011-08-03 Lrc Products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584876B2 (en) * 2007-07-05 2013-11-19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Food containers adapted for accommodating pressure changes using skip sea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7866496B2 (en) 2007-09-21 2011-01-11 Stokely-Van Camp, Inc. Lightweight finish for hot-fill container
ITRM20070552A1 (it) * 2007-10-23 2009-04-24 Acqua Minerale S Benedetto S P Contenitore in materiale plastico
EP2307280B1 (en) * 2008-06-30 2020-03-18 Saban Ventures Pty Limited A container with a frangible sealed access and a vapour permeable vent
JP4437833B2 (ja) * 2008-07-23 2010-03-24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樹脂成形方法および樹脂容器
WO2011148879A1 (ja) 2010-05-28 2011-12-01 日精エー・エス・ビー機械株式会社 プリフォームの口部結晶化方法
US20120111821A1 (en) * 2010-09-15 2012-05-10 Wilton Industries, Inc. Container
JP5946239B2 (ja) * 2010-10-29 2016-07-06 ホーユー株式会社 蓋付き容器
DE102010052768A1 (de) * 2010-11-30 2012-05-31 Krones Aktiengesellschaft Probenahmebehältnis und dess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Probenahme
FR2988077B1 (fr) * 2012-03-15 2015-09-04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Emballage metallique avec partie tubulaire
EP2687450A1 (en) * 2012-07-16 2014-01-22 Obrist Closures Switzerland GmbH Container finish and combination of a container finish and a closure cap
US20160130042A1 (en) * 2014-11-11 2016-05-12 Source Designs Ltd. Container for storage and transfer of powdered substances
AU2016251726B2 (en) * 2015-04-21 2020-05-28 Carlsberg Breweries A/S A container assembly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a preform assembly for producing a container assembly and a method of producing a container assembly
IT201800006392A1 (it) * 2018-06-18 2019-12-18 Imboccatura e gruppo di chiusura per bottiglie e contenitori di bevande gassate.
AU2019312561A1 (en) * 2018-07-30 2021-03-04 Niagara Bottling, Llc Container preform with threaded tamper evidence finish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6770A (en) * 1931-01-02 1932-07-12 Carr Lowrey Glass Co Glass container
US4007848A (en) * 1975-05-09 1977-02-15 Zapata Industries, Inc. Anti-missiling bottle structure
US5261545A (en) * 1978-06-29 1993-11-16 Yoshino Kogyosho Co., Ltd. Polyester container
CA1184717A (en) * 1981-08-20 1985-04-02 Yoshiaki Hayashi Blow-molded bottle-shaped container of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US4620640A (en) * 1985-12-16 1986-11-04 Owens-Illinois, Inc. Lined child-resistant closure for widemouth liquid container
US4747502A (en) * 1986-10-07 1988-05-31 Ethyl Molded Products Company Vented beverage closure
JPH0670932B2 (ja) 1987-02-05 1994-09-07 東北金属工業株式会社 永久磁石の製造方法
JPS63192216U (ko) 1987-05-29 1988-12-12
US5484072A (en) * 1994-03-10 1996-01-16 Hoover Universal, Inc. Self-standing polyester containers for carbonated beverages
US5431291A (en) * 1994-03-28 1995-07-11 Hoover Universal, Inc. Heat set neck finish with segmented threads
US5462186A (en) * 1994-08-02 1995-10-31 The Coca Cola Company Cam follower closure on container with cam track finish
US5673808A (en) * 1995-02-06 1997-10-07 Ev Family Limited Partnership Heat treated plastic closure
US5553727C1 (en) * 1995-04-27 2001-09-04 Rical Sa Tamper-evident cap and neck finish
JPH0929824A (ja) 1995-07-18 1997-02-04 Denki Kagaku Kogyo Kk 飽和ポリエステル樹脂製自立容器
WO1997028057A1 (de) * 1996-01-30 1997-08-07 Crown Cork Ag Behälterfinish und verschlusskappe mit 2-gängigem gewinde
JPH1058527A (ja) * 1996-08-23 1998-03-03 Toyo Seikan Kaisha Ltd 二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JPH10157752A (ja) 1996-11-28 1998-06-16 Dainippon Printing Co Ltd 合成樹脂容器、その予備成形体、それらの口部構造、及び合成樹脂容器の口部洗浄方法
FR2770494B1 (fr) * 1997-10-31 2000-01-21 Schmalbach Lubeca Pet Centre T Paraison dont le col est a base d'un polyester aromatique, et notamment en pet, et comporte un filetage presentant en section longitudinale un profil asymetrique
JP2002053117A (ja) * 2000-08-11 2002-02-1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壜体の耐熱用口筒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05877A (en) 2004-04-16
WO2004014744A1 (ja) 2004-02-19
DE60331150D1 (de) 2010-03-18
EP1528000A1 (en) 2005-05-04
EP1528000A4 (en) 2008-05-21
AU2003254923A1 (en) 2004-02-25
US20050150856A1 (en) 2005-07-14
CN100333973C (zh) 2007-08-29
US7097056B2 (en) 2006-08-29
TWI268895B (en) 2006-12-21
CN1578745A (zh) 2005-02-09
EP1528000B1 (en) 2010-01-27
KR100985666B1 (ko) 201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666B1 (ko) 합성수지제 병체의 입구통부
US7891513B2 (en) Container base with feet
JP3053120B2 (ja) 加圧流体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容器
US10793313B2 (en) Assembly comprising a wide-mouth plastic preform or container having a reinforced neck finish and a screwable closure
WO2005073096A1 (ja)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EP3369668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498355B1 (en) Biaxially oriented blow-molded bottles and preform thereof
KR100951806B1 (ko) 합성수지제 보틀
EP3290345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4432021B2 (ja)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EP3521189B1 (en) Synthetic resin container
JP4730716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2004131176A (ja)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WO2010109775A1 (ja)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プリフォーム成形型
JP4984864B2 (ja) 合成樹脂製ビンの口筒部構造
JP2005212872A (ja) 合成樹脂製壜体の口筒部
JP5882578B2 (ja) 樹脂製ボトル
JPH11171157A (ja) 合成樹脂製ボトル
CN109153166B (zh) 用于制备聚合材料的瓶的方法
JP2024005759A (ja) 合成樹脂製容器
WO2018055872A1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18079574A (ja) 合成樹脂製耐熱容器の二軸延伸ブロー成形用プリフォーム
JP2019217745A (ja) プリフォーム、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32452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系樹脂製壜体
JP2018070168A (ja) 合成樹脂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