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903A - 공압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공압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903A
KR20050023903A KR1020030061466A KR20030061466A KR20050023903A KR 20050023903 A KR20050023903 A KR 20050023903A KR 1020030061466 A KR1020030061466 A KR 1020030061466A KR 20030061466 A KR20030061466 A KR 20030061466A KR 20050023903 A KR20050023903 A KR 20050023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air
shock
pneumatic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7732B1 (ko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1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732B1/ko
Priority to JP2003418302A priority patent/JP2005076881A/ja
Priority to DE10359887A priority patent/DE10359887B4/de
Priority to CNA2003101230799A priority patent/CN1590800A/zh
Priority to US10/749,221 priority patent/US20050046097A1/en
Publication of KR20050023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48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with the regulating means inside the flui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209Telescopic
    • F16F9/0245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or for locking, the spring or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3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 F16F9/435Filling or drainage arrangements, e.g. for supply of gas via opening in cylinder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6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resulting in the damping effects during contraction being different from the damping effects during extension, i.e. respons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 F16F9/585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within the cylinder, in contact with work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압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축측 또는 차체측에 연결되는 실린더(12)와, 차량의 진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4)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피스톤 로드(16)를 구비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된 주 스프링(18)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20)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엑튜에이터에 연결된 공기 노즐(32)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실린더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34)와, 상기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를 포함하므로, 공기 압력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함으로써 충격없이 댐퍼역활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프링을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압 현가장치{air suspension}
본 발명은 공압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크게 좌우의 바퀴를 차축으로 연결한 일체식과 좌우 바퀴가 따로 작동하는 독립식으로 구분되며,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쇽 업쇼버(shock absorber) 및 바퀴의 작동을 제어하는 암이나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은 쇽 업쇼버에 결합되는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쇽 업소버(2)의 하측에는 로우 스프링 시트(4)가 쇽 업소버의 쉘의 외면에 결합되고, 쇽 업소버(2)의 상측에는 어퍼 브라켓(6)이 결합되며, 상기 로우 스프링 시트(4)와 어퍼 브라켓(6)의 사이에는 스프링(8)이 결합되어 있다.
쇽 업쇼버(2)는 자동차의 주행중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빨리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해 장치되며, 차축측과 차체측에 각각 연결되는 실린더 및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 내에는 오일이 채워진 구조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의하면, 비선형적인 운동구조로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어 승차감이 좋지 못하고, 둔턱이나 요철길을 지날 시에는 충격이 차체로 심하게 전달되며, 스프링이 쇽 업쇼버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압력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함으로써 충격없이 댐퍼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공압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을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압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압 현가장치는, 차축측 또는 차체측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차량의 진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된 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엑튜에이터에 연결된 공기 노즐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실린더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 마그네틱 띠와, 상기 마그네틱 띠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실린더의 내부 상측면 및 내부 하측면에 각각 밀착하는 보조 스프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거나 상기 실린더의 벽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2)는 차축측 또는 차체측에 연결되며, 실린더의 내부에는 차량의 진동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4)이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14)에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 외부로 돌출되는 피스톤 로드(16)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실린더(12)의 내부(피스톤의 상측공간)에는 주 스프링(18)이 장착되고, 상기 피스톤(14)의 위치 및 변화량을 감지하도록 마그네틱띠(22)와 센서(24)를 구비한 감지수단(20)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14)의 위치 및 변화량에 따라 상기 실린더(12)의 내부(피스톤의 상측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엑튜에이터(도7에 도시)에 연결된 공기 노즐(32)이 상기 실린더(12)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14)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실린더(12)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34)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로(34)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6)가 상기 실린더(1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2)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에는 상기 피스톤(14)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42, 44)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42, 44)는 실린더의 내부 상측면 및 내부 하측면에 각각 밀착하는 보조 스프링(46, 4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20)의 마그네틱 띠(22)는 상기 피스톤 로드(16)의 외주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부착되어 있고, 상기 센서(24)는 상기 마그네틱 띠(22)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실린더(12)의 내부 하측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공기 노즐(32)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50)에 의해 제어되는 엑튜에이터(5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 유로(34)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1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유로(34)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실린더(12)의 상측면 및 하측면을 통해 실린더(12)의 내부로 통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로(34)의 상단에는 도7의 CPU(5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36)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유로(134)는 실린더(112)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공기 유로는 실린더의 벽면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재(42, 44)는 원통형의 러버로 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공기 구멍(42a, 44a)이 형성되어 있다.
도7은 본 발명에서 공기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띠(22)의 위치 및 변화량를 감지하는 센서(24)의 입력신호에 따라 CPU(50)가 솔레노이드 밸브(36) 및 엑튜에이터(52)에 구동 신호를 보내어 솔레노이드 밸브(36) 및 엑튜에이터(52)를 작동시킴에 의해 공기 노즐(32)을 통하여 실린더(12)의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공기 유로(34)를 개폐하는데, 이하에서는 피스톤(14)의 이동에 따른 공기 흐름을 도4 내지 도6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다.
도4는 피스톤이 상승할 경우의 공기 흐름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4)이 상승하게 되면 주 스프링(18)이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솔레노이드 밸브(36)를 통해 피스톤(14)의 상측 공간에 있는 공기가 공기 유로(34)를 통해 피스톤의 하측 공간으로 서서히 이동하므로 피스톤에 가해지는 갑작스런 압력증가에 대한 충격을 완화한다.
그리고 피스톤(14)이 일정 레벨 이상 상승하게 되면 마그네틱 띠(22)를 감지하는 센서(24)에 의해 그 위치가 감지되어 도6의 CPU(5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엑튜에이터(52)가 작동되어 공기 노즐(32)을 통해 실린더(12)의 상측 공간에 공기를 유입시켜 압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 실린더(12)의 상측 공간의 공기 압력이 증가되면 공기 유로(34)를 통해 공기가 빠르게 이동하여 압력을 맞추므로 상기 공기 유로(34)는 댐퍼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공기 노즐(32)을 통한 공기의 유입량은 상기 마그네틱 띠(22)의 상승량을 센서(24)가 감지하여 CPU(50)가 결정한다. 즉, 피스톤(14)이 많이 상승하게 되면 공기 유입량을 증가시켜서 피스톤(14)의 상측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피스톤(14)의 상승을 저지시키게 된다.
도5는 피스톤이 하강할 경우의 공기 흐름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4)이 하강하게 되면 공기 노즐(32)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제어되고, 피스톤(14)의 하측 공간에 있는 공기가 공기 유로(34)를 통해 피스톤의 상측 공간으로 서서히 이동하므로 공기 유로(34)가 댐퍼 역할을 하게 되어 피스톤의 상측의 압력증가에 대한 충격이 완화된다.
도6은 피스톤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공기 노즐을 통한 공기 유입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큰 압력이 작용하여 피스톤(14)이 급격히 상승하게 되면, 마그네틱 띠(22)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센서(24)에서 감지신호가 CPU(50)에 입력되고, 상기 CPU(5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36) 및 엑츄에이터(52)가 작동되어 솔레노이드 밸브(36)가 닫히고 공기 노즐(32)을 통해 실린더(12)의 상측 공간에 공기를 갑자기 유입시켜 압력을 증가시킴에 의해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 노즐을 통한 공기 유입량을 제어함에 따라 실린더 내의 공기 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댐퍼 역할을 하게 할 뿐만 아니라, 미세하게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댐퍼 역할을 하게 하는데, 비선형적으로 작용하는 종래의 댐퍼에서는 큰 압력 충격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공압 현가장치에 의하면 압력의 변화가 선형적으로 일어나므로 충격없이 댐퍼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이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압 현가장치에 의하면, 공기 압력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정함으로써 충격없이 댐퍼역활을 수행할 수 있고, 스프링이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쇽 업소버에 스프링이 장착된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압 현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도2의 공기 유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은 본 발명에서 피스톤이 상승할 경우의 공기 흐름 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서 피스톤이 하강할 경우의 공기 흐름 상태도,
도6는 본 발명에서 피스톤이 급격히 상승할 경우 공기 노즐을 통한 공기 유입 상태도,
도7은 본 발명의 공기 흐름의 제어도,
도8은 본 발명에서 공기유로가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실린더 14 : 피스톤
16 : 피스톤 로드 18 : 주 스프링
20 : 감지수단 22 : 마그네틱 띠
24 : 센서 32 : 공기 노즐
34 : 공기 유로 36 : 솔레노이드 밸브
42, 44 : 충격 흡수부재 46, 48 : 보조 스프링

Claims (4)

  1. 차축측 또는 차체측에 연결되는 실린더와, 차량의 진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된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현가장치에 있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장착된 주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위치 및 변화량에 따라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엑튜에이터에 연결된 공기 노즐과,
    상기 피스톤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의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실린더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공기 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 마그네틱 띠와,
    상기 마그네틱 띠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상측과 내부 하측에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재는 실린더의 내부 상측면 및 내부 하측면에 각각 밀착하는 보조 스프링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 현가장치.
KR10-2003-0061466A 2003-09-03 2003-09-03 공압 현가장치 KR10052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466A KR100527732B1 (ko) 2003-09-03 2003-09-03 공압 현가장치
JP2003418302A JP2005076881A (ja) 2003-09-03 2003-12-16 空圧懸架装置
DE10359887A DE10359887B4 (de) 2003-09-03 2003-12-19 Pneumatische 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CNA2003101230799A CN1590800A (zh) 2003-09-03 2003-12-24 气压悬架装置
US10/749,221 US20050046097A1 (en) 2003-09-03 2003-12-30 Pneumatic suspen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466A KR100527732B1 (ko) 2003-09-03 2003-09-03 공압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903A true KR20050023903A (ko) 2005-03-10
KR100527732B1 KR100527732B1 (ko) 2005-11-09

Family

ID=3421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466A KR100527732B1 (ko) 2003-09-03 2003-09-03 공압 현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46097A1 (ko)
JP (1) JP2005076881A (ko)
KR (1) KR100527732B1 (ko)
CN (1) CN1590800A (ko)
DE (1) DE10359887B4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4190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4191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4188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지리정보와 지형정보의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6459B1 (ko) * 2019-04-11 2019-09-02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에스와 아이앤에스 수치정보를 적용한 수치지도 정보의 수정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17816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실측으로 확인된 지리정보를 적용하여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35045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정밀한 영상정보 데이터의 오류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035044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48570B1 (ko) * 2019-05-07 2019-11-26 동국지리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KR102108446B1 (ko) * 2019-04-11 2020-05-1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피에스 좌표의 기준점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5978B3 (de) * 2005-06-03 2006-11-23 Zf Friedrichshafen Ag Verstellbarer Schwingungsdämpfer mit gasförmigem Dämpfmedium
CN101109745B (zh) * 2007-09-04 2010-07-21 北京光华纺织集团有限公司 一种检测可燃气体爆燃状态的感应装置
US8196723B1 (en) 2008-11-14 2012-06-12 Robust Systems Solutions, LLC Pneumatic damper
KR100904530B1 (ko) * 2008-12-30 2009-06-25 태성이엔씨(주) 다중 감쇄형 유압실린더 방식을 응용한 충격 흡수 장치 및 이를 갖는 승강기
EP2436542A1 (en) * 2010-09-29 2012-04-04 S & T Daewoo Co., Ltd. Air spring type suspension
BR112015025554A2 (pt) * 2013-04-10 2017-07-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 Inc sistema de nivelamento para suspensão
CN104354556B (zh) * 2014-11-10 2016-12-28 青岛燕园海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改良型车辆悬架机构
CN107178431A (zh) * 2017-04-13 2017-09-19 安徽奥泰粉末冶金有限公司 一种减震活塞
CN108757805B (zh) * 2018-06-28 2020-04-24 福州云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快速自平衡空气弹簧及其操作方法
CN109274204A (zh) * 2018-10-19 2019-01-25 濮阳市华南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平衡支座
CN109245408A (zh) * 2018-10-19 2019-01-18 濮阳市华南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减振平衡支座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535A (en) * 1958-09-10 1961-07-18 Barragan Federico Hydraulic protector for brakes
US3720424A (en) * 1971-12-23 1973-03-13 Gen Motors Corp Vacuum servo vehicle leveling system
JPS5610844A (en) * 1979-07-02 1981-02-03 Toyota Motor Corp Feedback control system vibration absorbing suspension
JPS57121107U (ko) * 1981-01-23 1982-07-28
JPS6249004U (ko) * 1985-09-13 1987-03-26
DE3816821A1 (de) * 1988-05-18 1989-11-23 Lisega Kraftwerktech Gmbh Hydraulische stossbremse
JP2542735Y2 (ja) * 1989-07-31 1997-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可変減衰ダンパの可変絞り機構
JPH0456940U (ko) * 1990-09-26 1992-05-15
JP2846510B2 (ja) * 1991-06-24 1999-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油圧サーボユニットの作動制御装置
DE4402319A1 (de) * 1993-01-30 1994-08-04 Bosch Gmbh Robert Bewegungsmeßsystem für eine Einrichtung mit zwei gegenseitig verschiebbaren Körpern
JP3729283B2 (ja) * 1995-06-16 2005-12-21 ナブテスコ株式会社 義足における遊脚相コントロール方法およびエアシリンダ装置
US5888237A (en) * 1997-10-16 1999-03-30 Nabco Limited Artificial limb including air cylinder device
JPH11291735A (ja) * 1998-04-06 1999-10-26 Toshihisa Suga 自動車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DE19932717C2 (de) * 1999-07-16 2001-11-15 Pnp Luftfedersysteme Gmbh Feder-Dämpf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US6659240B2 (en) * 1999-08-10 2003-12-09 Lars Dernebo Arrangement for a piston and cylinder device
DE10121918B4 (de) * 2001-05-05 2004-10-07 Daimlerchrysler Ag Feder-Dämpfer-System mit federndem Anschlag
US7422092B2 (en) * 2003-07-07 2008-09-09 Gregory Hitchcock Controllable compressible fluid damper
KR100569072B1 (ko) * 2003-10-01 2006-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쇽업소버 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46B1 (ko) * 2019-04-11 2020-05-1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피에스 좌표의 기준점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6459B1 (ko) * 2019-04-11 2019-09-02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따른 지피에스와 아이앤에스 수치정보를 적용한 수치지도 정보의 수정시스템
KR102048570B1 (ko) * 2019-05-07 2019-11-26 동국지리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KR102014190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좌표정보와 지형정보를 합성하여 정밀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4191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디지털 항공이미지를 이용한 정밀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4188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지리정보와 지형정보의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14192B1 (ko)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기준점의 위치를 확인하여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17818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지상물이미지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정밀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17816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실측으로 확인된 지리정보를 적용하여 오류를 보완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035045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정밀한 영상정보 데이터의 오류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035044B1 (ko) * 2019-06-25 2019-10-22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왜곡 영상의 정밀한 보정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16390B1 (ko) * 2019-06-26 2019-08-30 주식회사 동운 도화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46097A1 (en) 2005-03-03
JP2005076881A (ja) 2005-03-24
KR100527732B1 (ko) 2005-11-09
DE10359887B4 (de) 2007-03-22
CN1590800A (zh) 2005-03-09
DE10359887A1 (de)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7732B1 (ko) 공압 현가장치
JP2012517925A (ja) アクティブ懸架システム及び該アクティブ懸架システムに使用する流体圧駆動ラム
KR100766854B1 (ko) 쇽업소버
JPH03172639A (ja) 油圧緩衝器
KR101239914B1 (ko) 쇽업소버의 선회 감응밸브 조립체
JP2004314707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50018107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2579566B1 (ko) 쇽 업소버
CN220668223U (zh) 列车连续阻尼控制减振装置
KR100260306B1 (ko) 차량용 현가 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
JPH0210971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42933B1 (ko) 전기장을 이용한 자동차의 쇽 업소버 설치구조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TWM640934U (zh) 具單向閥式阻尼之避震器
KR100410748B1 (ko) 차량의 쇽업소버
KR100482143B1 (ko) 감쇠력 제어수단을 갖춘 차량용 쇽업소버
KR200371795Y1 (ko) 쇼크 업소버용 피스톤
KR101263455B1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100559895B1 (ko) 차량용 가변 스트로크 쇽업소버
KR100581496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JPS61113509A (ja) 緩衝器の制御装置
KR19990050310A (ko) 자동차 쇽 업소버 구조
KR1002351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감쇠력 가변형 쇽 업소버
KR100527706B1 (ko) 댐퍼 겸용 액티브 앤티롤 장치
KR20100010785A (ko) 롤 제어용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