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70B1 -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70B1
KR102048570B1 KR1020190053047A KR20190053047A KR102048570B1 KR 102048570 B1 KR102048570 B1 KR 102048570B1 KR 1020190053047 A KR1020190053047 A KR 1020190053047A KR 20190053047 A KR20190053047 A KR 20190053047A KR 102048570 B1 KR102048570 B1 KR 10204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feature
digital map
monitoring de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옥
Original Assignee
동국지리정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지리정보(주) filed Critical 동국지리정보(주)
Priority to KR102019005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로 그 지상데이터고공확보에 따른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 넓이를 기준으로 정해진 지형지물에 지형 변화 감시 및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의 현장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지형 변화가 감시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해 지형 변화 여부를 확인 후 적절한 시기에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여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은 동일한 넓이로써 연속적으로 구획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로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의 넓이를 기준으로 현장 감시 장치가 설치되는 지형지물이 결정되어 해당 지형지물에 현장 감시 장치가 설치되고, 이러한 현장 감시 장치를 통한 건설 작업자의 수동 신호 전송에 따라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 내 지형 변화가 있는 지를 감시 및 확인 후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작업 진행 및 그를 기반으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한 수치지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umerical map according to topography change}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로 그 지상데이터고공확보에 따른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에 의한 넓이를 기준으로 정해진 지형지물에 지형 변화 감시 및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의 현장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지형 변화가 감시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해 지형 변화 여부를 확인 후 적절한 시기에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여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 제작기술은 보다 정확하면서도 실사와 같은 지도를 활용하고픈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꾸준히 발전해 왔고, 지상데이터고공확보기술 및 영상이미지 편집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지금도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수치지도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정밀하게 이미지데이터확보되고 편집된 이미지데이터확 보이미지에 좌표정보인 수치정보와 각종 지형정보를 제 위치에 정확히 입력해 합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상데이터고공확보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에 설치한 기준점 타깃이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통하여 정확한 이미지데이터를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고,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에 상기 타깃이 이미지데이터를 확보하면 수치지도 제작과정에서 상기 타깃 이미지를 기준점으로 해서 해당 좌표정보인 수치정보가 입력되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비행체 등을 이용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지상데이터고공확보된 이미지만으로는 지형 내지 지형지물의 변화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측면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88721호(2009.03.17.공고.),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795011호(2017.11.07.공고.),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765866호(2017.08.10.공고.),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로 그 지상데이터고공확보에 따른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 넓이를 기준으로 정해진 지형지물에 지형 변화 감시 및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의 현장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지형 변화가 감시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해 지형 변화 여부를 확인한 후 적절한 시기에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여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 특정 지형지물에 설치된 후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 시 해당 공사의 작업자가 수동 조작하여 건설 공사 사실을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에 알리게 하는 현장 감시 장치가 그 설치된 지형지물의 건설 공사 시 동일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 내지 다른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의 다른 지형지물로 이전 설치되어 계속 사용이 가능한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은, (a)동일한 넓이로써 연속적으로 구획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제작용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되되, GPS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가 진행되어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와; (b)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 현장 감시 장치(100)가 개별 설치되는 지형지물(11)들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넓이가 상기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의 지형지물 넓이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사전에 설정되는 단계와; (c)기설정된 상기 임계 넓이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지형지물(11)들이 결정되는 단계와; (d) 상기 (c)단계를 통해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의 설치가 결정된 지형지물(11)에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되,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는 해당 지형지물(11)이 건축물인 경우 그 건축물을 허물게 될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1 감시정보를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해당 지형지물(11)이 토목 공사물인 경우 그 토목 공사물을 해체하거나 구조 변경할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2 감시정보를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며, 해당 지형지물이 자연 구조물인 경우 그 자연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건설 공사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3 감시정보를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해당 지형지물(11)의 주변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단계와; (e)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가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되되,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에는 해당 현장 감시 장치(100)별로 사전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단계와; (f)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의 수신에 따라 수신된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11)로 인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의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g) 상기 (f)단계에 따른 관리자의 확인 작업을 통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 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상기 (a)단계에서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을 다시 진행하는 단계와; (h) 상기 (g)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작업이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로 그 지상데이터고공확보에 따른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 넓이를 기준으로 정해진 지형지물에 지형 변화 감시 및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의 현장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 해당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지형 변화가 감시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해 지형 변화 여부를 확인 후 적절한 시기에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에 대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을 다시 진행하여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별 특정 지형지물에 설치된 후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 시 해당 공사의 작업자가 수동 조작하여 건설 공사 사실을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에 알리게 하는 현장 감시 장치가 그 설치된 지형지물의 건설 공사 시 동일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 내지 다른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의 다른 지형지물로 이전 설치되어 계속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이 진행되는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위한 현장 감시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현장 감시 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현장 감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이 진행되는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은 단계(S110)에서, 동일한 넓이로써 연속적으로 구획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제작용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되되, GPS좌표를 기준으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가 진행되어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된다.
단계(S120)에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 현장 감시 장치(100)가 개별 설치되는 지형지물(11)들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넓이가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의 지형지물 넓이를 기준으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사전에 설정된다.
단계(S130)에서, 기설정된 상기 임계 넓이를 기준으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지형지물(11)들이 결정된다. 부연 설명하면,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의 넓이가 비교적 넓은 지형지물(11)이 현장 감시 장치(100)의 설치 대상으로 결정되며, 이는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에서 상대적으로 넓이가 넓은 지형지물들이 통상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 내에서 인지도가 높은 지형지물에 해당되고, 이에 따라 수치지도의 해당 영역에서 주요한 거점 위치가 될 수 있는 데 따른 것이다.
단계(S140)에서, 상술한 단계(S130)을 통해 현장 감시 장치(100)의 설치가 결정된 지형지물(11)에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되, 현장 감시 장치(100)는 해당 지형지물(11)이 건축물인 경우 그 건축물을 허물게 될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1 감시정보를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해당 지형지물(11)이 토목 공사물인 경우 그 토목 공사물을 해체하거나 구조 변경할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2 감시정보를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며, 해당 지형지물이 자연 구조물인 경우 그 자연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건설 공사 시 해당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3 감시정보를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해당 지형지물(11)의 주변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현장 감시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키로 한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150)에서, 현장 감시 장치(100)로부터 상술한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가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되되,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에는 해당 현장 감시 장치(100)별로 사전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단계(S160)에서,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상술한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의 수신에 따라 수신된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로부터 상술한 고유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11)로 인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의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전송한다.
단계(S170)에서, 상술한 단계(S160)에 따른 관리자의 확인 작업을 통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 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상술한 (a)단계에서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한다.
단계(S180)에서, 상술한 단계(S170)을 통해 획득되는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작업이 진행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되는 동일 넓이의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그 지상데이터고공확보에 따른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 넓이를 기준으로 정해진 지형지물(11)에 지형 변화 감시 및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의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고, 이러한 현장 감시 장치(100)로부터 지형 변화가 감시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지형 변화 여부를 확인 후 적절한 시기에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여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반영된 수치지도가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미리 정해진 지형지물(11)에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고, 이렇게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 내지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을 포함한 그 주변의 지형지물들에 재건축 등의 건설 공사가 진행될 경우, 해당 건설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가 현장 감시 장치(100)를 조작하여 해당 지형에 변화가 발생됨을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알리고, 이에 따라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적정 시기에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여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방법에서 현장 감시 장치(100)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을 위한 현장 감시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현장 감시 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현장 감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감시 장치(100)는 하우징(110), 전원공급부(120),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 무선통신모듈(150), 제어부(160),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 턴테이블(180), 카메라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현장 감시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동시에 전원공급부(120),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 무선통신모듈(150), 제어부(160),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 턴테이블(180), 카메라모듈(190)이 설치되는 공간 및 설치 면을 그 내외부에 형성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상부에 투명커버(111)가 결합되며, 측면에 복수의 통기홀(112)이 형성된다.
전원공급부(120)는 태양전지패널(121)을 포함하여 이러한 태양전지패널(121)이 하우징(110)의 투명커버(111)를 통해 햇빛이 비쳐지는 상태로 하우징(110) 내측에 설치되며, 태양전지패널(121)의 태양광발전을 통해 생성되는 전기를 충전하여 무선통신모듈(150), 제어부(160),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 턴테이블(180) 및 카메라모듈(190)에 전원을 공급한다.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는 투명커버(111)의 상면에 부착되며, 이러한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는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그 표시 내용을 확인 후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는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의 표시 내용을 확인한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수동 조작하여 상술한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가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부연 설명하면,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의 온(ON) 조작에 따라 제어부(160)에 신호가 입력된다.
제어부(160)는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의 온 조작에 따른 신호에 따라 상술한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 후 무선통신모듈(150)에 전송한다.
무선통신모듈(150)은 제어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상술한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카메라모듈(190)의 이미지데이터확보 작동을 위한 제어데이터가 사전에 설정되어 이렇게 기설된 제어데이터에 따라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 턴테이블(180) 및 카메라모듈(190)의 작동을 제어한다.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는 하우징(110)의 투명커버(111)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171)가 수직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턴테이블(180)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의 로드(171)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작동을 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170)의 로드(171) 선단에 대한 턴테이블(180)의 회전 가능한 결합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였다.
카메라모듈(190)은 턴테이블(180)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주변에 대한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을 한다.
상술한 현장 감시 장치(100)의 구성에 의해서,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의 표시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 후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를 수동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치지도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에서 그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를 통해 수신되는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 중심의 건설 공사 진행 정보를 확인하며, 이에 따라 사전 조사 작업을 거친 후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적정 시기에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실시 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한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장 감시 장치(100)는 설치된 지형지물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의 해당 지형지물(11)에 설치하여 재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 11 : 지형지물
100 : 현장 감시 장치 110 : 하우징
111 : 투명커버 112 : 통기홀
120 : 전원공급부 121 : 태양전지패널
130 :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 140 :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
150 : 무선통신모듈 160 : 제어부
170 :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171 : 로드
180 : 턴테이블 190 : 카메라모듈
200 :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

Claims (1)

  1. (a) 동일한 넓이로써 연속적으로 구획된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제작용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되되, GPS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마다 동일한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가 진행되어 해당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
    (b)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 현장 감시 장치(100)가 개별 설치되는 지형지물(11)들을 결정하기 위한 임계 넓이가 상기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상의 지형지물 넓이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사전에 설정되는 단계;
    (c) 기설정된 상기 임계 넓이를 기준으로 상기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별로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기 위한 지형지물(11)들이 결정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통해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의 설치가 결정된 지형지물(11)에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되되,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는 해당 지형지물(11)이 건축물인 경우 그 건축물을 허물게 될 시 해당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1 감시정보를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고, 해당 지형지물(11)이 토목 공사물인 경우 그 토목 공사물을 해체하거나 구조 변경할 시 해당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2 감시정보를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며, 해당 지형지물이 자연 구조물인 경우 그 자연 구조물을 대상으로 하는 건설 공사 시 해당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제3 감시정보를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해당 지형지물(11)의 주변을 대상으로 수치지도 업데이트를 위한 이미지데이터확보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단계;
    (e)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로부터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가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되되,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에는 해당 현장 감시 장치(100)별로 사전에 부여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되는 단계;
    (f)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서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의 수신에 따라 수신된 상기 제1 감시정보 내지 제3 감시정보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고유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11)로 인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의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단계;
    (g) 상기 (f)단계에 따른 관리자의 확인 작업을 통해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지형 변화가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 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에 대해 상기 (a)단계에서의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위치에서 지상데이터고공확보를 다시 진행하는 단계;
    (h) 상기 (g)단계를 통해 획득되는 지상데이터고공확보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당 단위 이미지데이터확보 지역(10)을 대상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작업이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 내지 (f)단계에서,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상부에 투명커버(111)가 결합되며 측면에 복수의 통기홀(112)이 형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투명커버(111)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그 표시 내용을 확인 후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 상기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의 표시 내용을 확인한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되게 하기 위해 온(ON) 상태로 수동 조작하는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 상기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의 온 조작에 따른 신호에 따라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생성 후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제어부(160), 상기 제어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해당 지형지물을 중심으로 건설 공사가 진행됨을 알리는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50)이 포함되어, 상기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을 중심으로 시행되는 건설 공사의 작업자가 상기 감시정보 전송요청 표시부(130)의 표시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 후 신호 전송용 수동스위치(140)를 수동 조작함에 따라, 수치지도를 통합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의 상기 수치지도 통합관리서버(200)를 통해 현장 감시 장치(100)가 설치된 지형지물(11) 중심의 건설 공사 진행 정보가 수신되어 상기 통합관제센서에서 확인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KR1020190053047A 2019-05-07 2019-05-07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KR10204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47A KR102048570B1 (ko) 2019-05-07 2019-05-07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047A KR102048570B1 (ko) 2019-05-07 2019-05-07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70B1 true KR102048570B1 (ko) 2019-11-26

Family

ID=6873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047A KR102048570B1 (ko) 2019-05-07 2019-05-07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133B1 (ko) * 2022-04-28 2023-01-06 (주)미도지리정보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491313B1 (ko) * 2022-09-16 2023-01-27 대한항업(주) Gis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903A (ko) * 2003-09-0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압 현가장치
KR100587472B1 (ko) * 2005-10-04 2006-06-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Ufid를 이용한 공간 db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1217602B1 (ko) * 2012-06-13 2013-01-03 대한항업(주)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319041B1 (ko) * 2013-02-27 2013-10-17 김은경 지피에스 정보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765866B1 (ko) 2017-05-04 2017-08-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795011B1 (ko) 2017-04-14 2017-11-07 대한항업(주)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KR101940799B1 (ko) * 2018-05-21 2019-01-22 동아항업 주식회사 지형정보 변화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903A (ko) * 2003-09-03 2005-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압 현가장치
KR100587472B1 (ko) * 2005-10-04 2006-06-0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Ufid를 이용한 공간 db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1217602B1 (ko) * 2012-06-13 2013-01-03 대한항업(주) 지하시설의 지도제작을 위한 지피에스 기반 측지측량 시스템
KR101319041B1 (ko) * 2013-02-27 2013-10-17 김은경 지피에스 정보 및 기준점 위치정보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795011B1 (ko) 2017-04-14 2017-11-07 대한항업(주) 지형변화에 따른 정위치의 세부정보를 보정처리하는 수치지도 편집시스템
KR101765866B1 (ko) 2017-05-04 2017-08-10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940799B1 (ko) * 2018-05-21 2019-01-22 동아항업 주식회사 지형정보 변화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133B1 (ko) * 2022-04-28 2023-01-06 (주)미도지리정보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491313B1 (ko) * 2022-09-16 2023-01-27 대한항업(주) Gis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편집이 가능한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7078B2 (en) Device for measuring and marking space points along horizontally running contour lines
KR102048570B1 (ko)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CN103808312B (zh) 机器人化激光指示器设备和方法
CN109033592B (zh) 一种异形饰面板的bim放样方法
JP2005331499A (ja) 単又は複数不安定ゾーンを有するサイトにおける地上ベース測量方法および装置
US11508091B2 (en) Calibration device for imaging device, monitoring device, work machine and calibration method
CN111006646B (zh) 基于无人机倾斜摄影测量技术实现施工进度监测的方法
CN106940187B (zh) 用于矿井地面快速巡查的导航方法及系统
US9413537B2 (en) Information update system and method, vehicle, charger and server apparatus
CN112924955B (zh) 一种路侧激光雷达点云坐标动态修正方法
KR102056752B1 (ko) 수준측량을 위한 측지 측량시스템
KR101905011B1 (ko) 정밀한 실사 지상물의 높이 정보를 이용하여 지피에스 기반 실사 지상물을 게시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1009359B1 (ko) 지형구조물에 대한 항공 및 지상촬영이미지의 부분별 정보추출 및 합성을 통한 3차원 수치지도 작성용 3차원 영상도화시스템
CN115098934A (zh) 一种基于gis+bim的水泥搅拌桩管理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214085B1 (ko) 측지용 현장 관측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보정처리하는 측지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KR102104653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측량 보정 시스템 및 방법
CN107514022A (zh) 一种推土机引导系统
KR102385677B1 (ko) 3차원 기반의 cctv 관제영상 시스템
KR102341114B1 (ko) 지하시설물의 3차원 모델링 데이터 영상처리 시스템
CN111719603B (zh) 一种基于无人机的基坑监测方法
JP2004109084A (ja) 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方法並びにケーブル位置情報管理プログラム
US20200340214A1 (en) Measuring Arrangement for Measuring Three Dimensional Location and Orientation of The Center Axis of First Axle in Relation to The Center Axis of Second Axle
KR102043405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Neto et al. Alignment Verification and Monitoring Strategies for the Sirius Light Source
JP2021018071A (ja) 地形情報生成装置、地形情報生成システム、情報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