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05B1 -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05B1
KR102043405B1 KR1020190073451A KR20190073451A KR102043405B1 KR 102043405 B1 KR102043405 B1 KR 102043405B1 KR 1020190073451 A KR1020190073451 A KR 1020190073451A KR 20190073451 A KR20190073451 A KR 20190073451A KR 102043405 B1 KR102043405 B1 KR 10204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information
drone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9007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4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변 지리 상황 및 그에 맞춰 건설된 도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교통신호등의 작동을 기준으로 교통신호등별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를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하면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은 신호등 장착 유닛,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 통합관리서버, 드론,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 도화기 및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은 신호등 신호 입력부, 하우징, GPS모듈, 제어부, 통신모듈, 태양전지패널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System of image processing and editing based on GIS}
본 발명은 영상처리 기술 분야 중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변 지리 상황 및 그에 맞춰 건설된 도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교통신호등의 작동을 기준으로 교통신호등별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를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하면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치지도는 공중에서 촬영된 사진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형도를 제작 후 제작된 지형도의 각 부분에 위치정보 또는 좌표정보를 대응 상태로 적용한 것이며, 수정도화방법, 해석도화방법 및 수치도화방법 등으로 제작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지형도에 대해 “도화이미지”란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술한 것처럼 도화이미지는 공중에서 촬영한 사진 또는 항공사진을 사용하므로 실제 지형지물의 수치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지상의 지형지물은 크고 작은 건설 공사 등에 의하여 부분적인 변경이 수시로 발생할 수 있는바 수치화된 도화이미지는 정기 또는 비정기적으로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그러나 항공사진은 고가의 항공기를 이용하여 촬영되며, 이렇게 촬영된 항공사진들은 국가정보원 등의 국가기관으로부터 일일이 전수 검수를 받게 되므로, 비용적인 측면 및 절차적인 측면 등에서 매우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지상의 지형지물은 각종 건설 공사 등에 의하여 수시로 변화가 생기며, 이러한 일부 지형지물의 변화를 수치지도에 반영하기 위해 수시로 고가의 항공 촬영을 반복하는 것은 매우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한편, 지리 정보 체계(지아이에스,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수집한 다양한 지리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수치 지도(Digital Map)로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 체계를 말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을 상술한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 영상처리 및 편집 기술로써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60133호(2012.07.03.공고.),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 데이터 업데이트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595273호(2016.02.18.공고.),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한 지형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197167호(2012.11.05.공고.),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전용 영상도화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변 지리 상황 및 그에 맞춰 건설된 도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교통신호등의 작동 여부를 중심으로 교통신호등별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를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하면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은,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된 교통신호등(10)을 대상으로 복수의 교통신호등(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교통신호 표시를 위한 작동신호 출력 시마다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 후 그 수신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등 작동정보로써 생성하여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신호등 장착 유닛(100):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이 설치된 교통신호등(10)별 GPS위치정보, GPS 기준의 드론 촬영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 정보가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와 접속되며,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 여부가 확인되게 하려는 임계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설치한 교통신호등(10)으로부터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상기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하고,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에 GPS위치정보를 전송 요청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으로부터 GPS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거나 전송된 GPS위치정보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해당 교통신호등(10)의 GPS위치정보 간 오차 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상기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400)에서 획득되는 드론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저장된 이전 드론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며, 지형지물의 변화로 판단 시 표시부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에는 해당 교통신호등의 상기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 상기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로 자율 비행하여 상기 드론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드론 영상 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제공하는 드론(400):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510) 및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520)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상기 통합관리서버(300) 및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와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상기 도화이미지 DB(5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610) 및 상기 입출력수단(6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620) 그리고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630)을 포함하는 도화기(600): 상기 도화기(600)에 장착되며,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사실을 외부에 표시하되, 수신된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화면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표시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와; 상기 기구식 접속부(111)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교통신호등(10)에 결합되는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실시간 전송하는 GPS모듈(130)과;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를 통한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입력 시마다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GPS모듈(130)을 제어하여 상기 GPS모듈(130)로부터 실시간 획득되는 GPS위치정보를 수신 후 출력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 및 GPS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GPS위치정보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150)과; 상기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을 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태양전지패널(160)과; 상기 태양전지패널(16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7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171)의 전원을 상기 GPS모듈(130), 제어부(140) 및 통신모듈(15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되는 동시에 주변 지리 상황 및 그에 맞춰 건설된 도로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교통신호등의 작동 여부를 중심으로 교통신호등별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를 보다 능동적이고 신속하게 확인하면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을 예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서 신호등 장착 유닛의 외형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서 신호등 장착 유닛이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 장착 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을 예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서 신호등 장착 유닛의 외형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에서 신호등 장착 유닛이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등 장착 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은 신호등 장착 유닛(100),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통합관리서버(300), 드론(400),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도화기(600) 및 표시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된 교통신호등(10)을 대상으로 복수의 교통신호등(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해당 교통신호등(10)의 교통신호 표시를 위한 작동신호 출력 시마다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 후 그 수신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등 작동정보로써 생성하여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여기서, 교통신호등(10)의 교통신호 표시를 위한 작동신호는 빨강, 노랑 및 녹색 신호의 표시를 위한 신호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 하우징(120), GPS모듈(130), 제어부(140), 통신모듈(150), 태양전지패널(160) 및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는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20)은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의 기구식 접속부(111)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교통신호등(10)에 결합된다.
GPS모듈(13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등 장착 유닛(100)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실시간 전송한다. 부연 설명하면, GPS모듈(130)은 제어부(1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신호등 장착 유닛(100)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이를 통해 신호등 장착 유닛(100)의 현재 위치 기준의 GPS위치정보가 통합관리서버(300)에 실시간 전송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4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를 통한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입력 시마다 상술한 신호등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GPS모듈(130)을 제어하여 GPS모듈(130)로부터 실시간 획득되는 GPS위치정보를 수신 후 출력한다.
통신모듈(15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이러한 통신모듈(150)은 제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 및 GPS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모듈(150)은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GPS위치정보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에 전송한다.
태양전지패널(160)은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을 하며, 이러한 태양전지패널(16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설치된다.
전원공급부(170)는 태양전지패널(16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71)를 포함하며, 충전지(171)의 전원을 상기 GPS모듈(130), 제어부(140) 및 통신모듈(150)에 공급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신호등 장착 유닛(100)이 설치된 교통신호등(10)별 GPS위치정보, GPS 기준의 드론 촬영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 정보가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술한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통합관리서버(300)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와 접속되며, 신호등 장착 유닛(100)으로부터의 상술한 신호등 작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 여부가 확인되게 하려는 임계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다. 이에 따라 통합관리서버(300)는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설치한 교통신호등(10)으로부터 신호등 작동정보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술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하고,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신호등 장착 유닛(100)에 GPS위치정보를 전송 요청한다.
그리고 통합관리서버(300)는 신호등 장착 유닛(100)으로부터 GPS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거나 전송된 GPS위치정보 및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해당 교통신호등(10)의 GPS위치정보 간 오차 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400)에서 획득되는 드론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저장된 이전 드론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며, 지형지물의 변화로 판단 시 표시부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표시부 제어신호에는 해당 교통신호등의 상술한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된다.
드론(400)은 통합관리서버(300)의 상술한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로 자율 비행하여 드론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드론 영상 정보는 통합관리서버(300)에 제공된다.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510) 및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520)를 포함한다.
도화기는 통합관리서버(300) 및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와 각각 접속되며,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 DB(5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610) 및 이러한 입출력수단(6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620) 그리고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6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도화기(600)의 입출력수단(610), 표정처리수단(620) 및 도화수단(630) 등 기본적인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 사용되는 것으로써,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948802호 등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948802호의 해당 구성 등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표시부(700)는 도화기(600)에 장착되며, 이러한 표시부(700)는 통합관리서버(300)의 상술한 표시부 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되어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사실을 외부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700)는 수신된 표시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화면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신호등 장착 유닛(100)이 설치된 다수의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교통신호등(10)별 그 작동신호의 통합관리서버(300)에 대한 전송 여부에 따라 해당 교통신호등(10)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교통신호등(10)은 도로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도로는 주변 지리 상황과 관계가 깊으므로, 교통신호등(10)으로부터 전송되는 작동신호의 지속 여부에 따라 해당 교통신호등(10) 주변의 도로 변동 내지 도로 변동의 원인이 되는 건설공사 등의 상황을 보다 능동적으로 확인하는 동시에 이를 토대로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를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확인하면서 수치지도에 표시되는 지형지물의 변형 편집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어느 한 교통신호등(10)으로부터 신호등 작동정보의 전송이 멈출 시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신호등 장착 유닛(100)에 GPS위치정보를 요청하여 그를 기준으로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설치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먼저 확인 후,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설치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교통신호등(100)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GPS 기준의 비행 위치로 드론(400)을 자율 비행시켜 촬영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촬영이미지를 분석하여 해당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지형지물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형지물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 시 항공기를 통한 항공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현장 촬영 등을 실시하여 변화된 지형지물을 수치지도에 반영하여 변형 편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교통신호등 100 : 신호등 장착 유닛
110 : 신호등 신호 입력부 111 : 기구식 접속부
120 : 하우징 130 : GPS모듈
140 : 제어부 150 : 통신모듈
160 : 태양전지패널 170 : 전원공급부
171 : 충전지 200 :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
300 : 통합관리서버 400 : 드론
500 :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 510 : 항공촬영이미지 DB
520 : 도화이미지 DB 600 : 도화기
610 : 입출력수단 620 : 표정처리수단
630 : 도화수단 700 : 표시부

Claims (1)

  1. GIS 기반의 전자지도에 표시된 교통신호등(10)을 대상으로 복수의 교통신호등(1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교통신호 표시를 위한 작동신호 출력 시마다 해당 작동신호를 수신 후 그 수신 사실을 알리는 정보를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신호등 작동정보로써 생성하여 원거리의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는 신호등 장착 유닛(100):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이 설치된 교통신호등(10)별 GPS위치정보, GPS 기준의 드론 촬영 위치 정보 및 상기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에서 촬영된 드론 영상 정보가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와 접속되며,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중심으로 그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 여부가 확인되게 하려는 임계 시간이 사전에 설정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을 설치한 교통신호등(10)으로부터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가 기설정된 상기 임계 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상기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하고,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에 GPS위치정보를 전송 요청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으로부터 GPS위치정보가 전송되지 않거나 전송된 GPS위치정보 및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해당 교통신호등(10)의 GPS위치정보 간 오차 범위가 사전에 설정된 오차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로부터 검출된 상기 GPS위치정보 및 드론 촬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드론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상기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드론(400)에서 획득되는 드론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에 저장된 이전 드론 영상 정보와의 비교를 통해 해당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판단하며, 지형지물의 변화로 판단 시 표시부 제어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에는 해당 교통신호등의 상기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통합관리서버(300):
    상기 드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드론 촬영 위치 정보에 따른 촬영 위치로 자율 비행하여 상기 드론 영상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드론 영상 정보를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제공하는 드론(400):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510) 및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520)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상기 통합관리서버(300) 및 제2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와 각각 접속되며,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5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상기 도화이미지 DB(5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610) 및 상기 입출력수단(6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620) 그리고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630)을 포함하는 도화기(600):
    상기 도화기(600)에 장착되며,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어되어 상기 교통신호등(10)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에 변화가 발생한 사실을 외부에 표시하되, 수신된 상기 표시부 제어신호로부터 해당 교통신호등(10)의 상기 식별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정보를 검출하여 화면 표시하는 기능이 있는 표시부(70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은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
    상기 기구식 접속부(111)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교통신호등(10)에 결합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외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신호등 장착 유닛(100)의 GPS위치정보를 실시간 획득하여 외부의 수신 대상에 실시간 전송하는 GPS모듈(130);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신호등 신호 입력부(110)를 통한 상기 교통신호등(10)의 작동신호 입력 시마다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며,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의 GPS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GPS모듈(130)을 제어하여 상기 GPS모듈(130)로부터 실시간 획득되는 GPS위치정보를 수신 후 출력하는 제어부(140);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신호등 작동정보 및 GPS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합관리서버(300)에 전송하고, 상기 통합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GPS위치정보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140)에 전송하는 통신모듈(150);
    상기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태양광발전을 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태양전지패널(160);
    상기 태양전지패널(16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7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171)의 전원을 상기 GPS모듈(130), 제어부(140) 및 통신모듈(15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20190073451A 2019-06-20 2019-06-20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204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51A KR102043405B1 (ko) 2019-06-20 2019-06-20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451A KR102043405B1 (ko) 2019-06-20 2019-06-20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405B1 true KR102043405B1 (ko) 2019-11-12

Family

ID=6857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451A KR102043405B1 (ko) 2019-06-20 2019-06-20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220B1 (ko)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지아이에스(gis)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관리 수치지도 제작 보정 시스템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278A (ja) * 1999-02-01 2009-02-12 Snaptrack Inc 衛星測位システム(sps)信号の測定処理用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60133B1 (ko) 2012-02-08 2012-07-03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 데이터 업데이트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197167B1 (ko) 2012-05-09 2012-11-05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전용 영상도화시스템
KR101200523B1 (ko) * 2012-05-10 2012-11-1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주기적인 지형지물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210543B1 (ko) * 2012-05-09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기존 지리정보 및 갱신 지리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1225724B1 (ko) * 2012-05-08 2013-01-2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지물의 변화 확인을 통한 원격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350930B1 (ko) * 2013-08-19 2014-01-15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 및 합성처리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441461B1 (ko) * 2014-07-30 2014-11-0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Ins 정보와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한 수치지도 통합 갱신 시스템
KR20140128008A (ko) * 2013-04-26 2014-11-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시설물 감시 시스템
KR101492926B1 (ko) * 2014-11-25 2015-02-12 (주)케이지에스테크 지형정보 비교에 의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589928B1 (ko) * 2015-11-09 2016-02-01 (주)대지이엔지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595273B1 (ko) 2015-10-26 2016-02-18 아이씨티웨이(주)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한 지형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1791957B1 (ko) *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91956B1 (ko) * 2017-06-28 2017-11-21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수치지도 업그레이드 장치
JP2018508418A (ja) * 2015-01-20 2018-03-29 ソルフィス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モートセンシング及び車両制御のための実時間マシンビジョン並びに点群分析
KR20190080009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국토정보공사 차선 정보를 이용한 자동 도화 방법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1278A (ja) * 1999-02-01 2009-02-12 Snaptrack Inc 衛星測位システム(sps)信号の測定処理用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160133B1 (ko) 2012-02-08 2012-07-03 뉴비전엔지니어링(주)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 데이터 업데이트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1225724B1 (ko) * 2012-05-08 2013-01-24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지형지물의 변화 확인을 통한 원격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197167B1 (ko) 2012-05-09 2012-11-05 주식회사 유삼씨앤씨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전용 영상도화시스템
KR101210543B1 (ko) * 2012-05-09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기존 지리정보 및 갱신 지리정보의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1200523B1 (ko) * 2012-05-10 2012-11-1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주기적인 지형지물 확인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20140128008A (ko) * 2013-04-26 2014-11-05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카메라를 이용한 원격 시설물 감시 시스템
KR101350930B1 (ko) * 2013-08-19 2014-01-15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형지물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촬영 및 합성처리하는 항공촬영시스템
KR101441461B1 (ko) * 2014-07-30 2014-11-0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Ins 정보와 좌표정보의 속성을 이용한 수치지도 통합 갱신 시스템
KR101492926B1 (ko) * 2014-11-25 2015-02-12 (주)케이지에스테크 지형정보 비교에 의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JP2018508418A (ja) * 2015-01-20 2018-03-29 ソルフィス リサーチ、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リモートセンシング及び車両制御のための実時間マシンビジョン並びに点群分析
KR101595273B1 (ko) 2015-10-26 2016-02-18 아이씨티웨이(주)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한 지형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1589928B1 (ko) * 2015-11-09 2016-02-01 (주)대지이엔지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KR101791957B1 (ko) *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91956B1 (ko) * 2017-06-28 2017-11-21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수치지도 업그레이드 장치
KR20190080009A (ko) * 2017-12-28 2019-07-08 한국국토정보공사 차선 정보를 이용한 자동 도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220B1 (ko)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지아이에스(gis)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관리 수치지도 제작 보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236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5388B1 (ko) 무인항공기와 지상용 3d라이다스캐너를 활용한 정사영상 3차원 포인트클라우드 db 구축기반 가상현실 공간 맵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769718B1 (ko) 송전선로 전자계 및 순시 점검 영상 취득 장치 및 방법
WO2018176376A1 (zh) 一种环境信息采集方法、地面站及飞行器
JP6802599B1 (ja) 検査システム
KR20100041926A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RU2713637C2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плана освещения
CN111272172A (zh) 无人机室内导航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5167529B (zh) 监控方法及系统、无人机、移动终端和存储介质
WO2019230604A1 (ja) 検査システム
CN110537197A (zh) 图像处理装置、生长调查图像创建系统以及程序
KR102043405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JP2020140726A (ja) 無人飛行体のフライト管理サーバ及びフライト管理システム
US10509819B2 (en) Comparative geolocation system
TWI573104B (zh) 室內監控系統及其方法
KR102132415B1 (ko) 드론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N212254095U (zh) 一种国土规划用土地测绘装置
JP7109395B2 (ja) 作業支援システム、作業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方法
KR102484133B1 (ko)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JP7097207B2 (ja) 建造物管理システム、学習装置、位置判定装置、及び位置判定方法
CN107238920B (zh) 一种基于望远镜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10245855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 분야 시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471147B1 (ko) 농업용 집단 드론 제공 시스템
CN114972829A (zh) 车辆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947623A (zh) 一种根据surf-scan快速得到现场地图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