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57B1 -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57B1
KR101791957B1 KR1020170081866A KR20170081866A KR101791957B1 KR 101791957 B1 KR101791957 B1 KR 101791957B1 KR 1020170081866 A KR1020170081866 A KR 1020170081866A KR 20170081866 A KR20170081866 A KR 20170081866A KR 101791957 B1 KR101791957 B1 KR 10179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motor
information
digital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17008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6F17/30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상하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은 물론 좌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수평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A digital map correction device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digital map information based on GIS}
본 발명은 수치지도 기술 분야 중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상하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은 물론 좌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수평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는 항공촬영과 지상촬영을 통해 수집한 이미지로부터 제작되고, 이렇게 수집된 이미지는 이웃하는 이미지들 간의 상호 연결을 통해 완전한 일체의 이미지로 완성되어 온라인 전용 영상정보 수치지도로 완성되고, 이러한 수치지도에는 다양한 GIS정보가 저장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지상촬영에 있어, 한번 촬영 후에 해당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지물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여, 변화된 지형 지물을 촬영함으로써, 수정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을 시도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7398호(2011.02.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카메라 위치 조정을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어가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윤활유 공급, 관리, 유지 보수가 필요하여 관리상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7398호(2011.02.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카메라의 상하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은 물론 좌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수평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개선된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기(1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기(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부(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기(100)는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하는 구동장치부(123)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부(123)는 고정체인 수조(1110)와, 상기 수조(1110)의 중심에 고정되는 고정기둥(1120)과, 상기 고정기둥(1120)에 조립되는 유동기둥(1130)과,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에 조립되는 회전기둥(1140)과, 상기 회전기둥(1140)에 고정된 카메라고정박스(1150)와,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에 내장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1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내부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보스(1112)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1112)의 외주면과 상기 수조(1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저수공간(11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둥(11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보스(111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기둥(1120)의 내부에는 승강모터(120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모터(1200)의 모터축(1210)은 승강모터(1200)의 상하로 돌출되며, 모터축(1210)의 내부는 중공되어 볼스크류(BS)가 관통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승강모터(1200)의 양측면에는 모터고정구(12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승강모터(1200)를 고정기둥(1120) 속에 고정되며, 모터고정구(1220)가 구비되지 않은 양쪽 공간으로는 가이드바(GB)가 배열되고, 상기 고정기둥(1120)의 개방된 상단에는 마개(1122)가 조립되는데 상기 마개(1122)의 중앙에는 상기 볼스크류(BS)가 관통하는 중앙통공(1122a)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통공(1122a)과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공(1122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GB)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스크류(BS)의 상단은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 중심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인트되며, 상기 가이드바(GB)도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기둥(1120)의 외표면에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 가능한 제1컨트롤러(RC1)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면에는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에는 회전기둥(1140)의 하단면에서 돌출된 하부축(1142)이 끼워져 베어링(BA)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둥(11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기둥(114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종동기어(1144)를 구성하고, 상기 종동기어(1144)에는 구동기어(1146)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1146)는 회전모터(1148)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터(1148)는 상기 유동기둥(113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둥(1140)의 상단에는 카메라고정박스(1150)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면에는 일정크기로 개방된 카메라설치홈(1152)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설치홈(1152)에는 각도조절모터(1300)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에는 카메라(200)가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 외면에는 제어유닛(500)과 통신하는 카메라통신안테나(1154)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각도조절모터(1300)의 구동 및 카메라통신안테나(1154)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RC2)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200)의 하부 정점에는 상기 수조(1110)의 수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발진기(WS)가 더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초음파발진기(WS)까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의 상하위치에 따른 각도 조절은 물론 좌우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수평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촬영보조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장치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장치부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높이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는 카메라의 각도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는 수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치정보수집부(A)와,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치정보수집부(A)는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보조기(100)와,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300)와, 수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촬영보조기(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다.
그리고, 상기 촬영보조기(10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제어하는 구동장치부(1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부(123)는 통상적으로 유압구동방식과 달리 오로지 전동수단만을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유압회로는 물론 유압탱크를 탑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량의 경량화, 구조적 단순화를 도모하고, 제어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달성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장치부(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인 수조(1110)와, 상기 수조(1110)의 중심에 고정되는 고정기둥(1120)과, 상기 고정기둥(1120)에 조립되는 유동기둥(1130)과,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에 조립되는 회전기둥(1140)과, 상기 회전기둥(1140)에 고정된 카메라고정박스(1150)와,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에 내장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2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조(1110)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내부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보스(1112)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1112)의 외주면과 상기 수조(1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저수공간(1114)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저수공간(1114)에 물이 일정수위로 채워진 채 사용하게 되며, 이는 정확한 수준면, 즉 일종의 정반기능을 수행하며, 필요시에만 채워 쓰고 평상시에는 물을 배출하여 보관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11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보스(1112)에 나사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기둥(1120)의 내부에는 도 5와 같은 승강모터(120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모터(1200)의 모터축(1210)은 승강모터(1200)의 상하로 돌출되며, 모터축(1210)의 내부는 중공되어 볼스크류(BS)가 관통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된다.
특히, 상기 승강모터(1200)의 양측면에는 모터고정구(12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승강모터(1200)를 고정기둥(1120) 속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모터고정구(1220)가 구비되지 않은 양쪽 공간으로는 가이드바(GB)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고정기둥(1120)의 개방된 상단에는 마개(1122)가 조립되는데, 상기 마개(1122)의 중앙에는 상기 볼스크류(BS)가 관통하는 중앙통공(1122a)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통공(1122a)과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공(1122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GB)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볼스크류(BS)의 상단은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 중심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인트되고, 상기 가이드바(GB)도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기둥(1120)의 외표면에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한 제1컨트롤러(RC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컨트롤러(RC1)를 통해 상기 승강모터(1200)의 구동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신호는 제어유닛(500)으로부터 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트롤러(RC1)를 통해 상기 승강모터(1200)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동기둥(1130)을 상기 고정기둥(1120)에 대해 승하강시키면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면에는 축홈(도면번호 생략)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에는 회전기둥(1140)의 하단면에서 돌출된 하부축(1142)이 끼워져 베어링(BA)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전기둥(114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둥(114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종동기어(1144)를 구성하며, 상기 종동기어(1144)에는 구동기어(1146)가 치결합되고, 상기 구동기어(1146)는 회전모터(1148)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모터(1148)는 상기 유동기둥(113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회전모터(1148)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회전기둥(1140)의 수평방향에서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모터(1148)의 제어는 상기 제1컨트롤러(RC1)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동기둥(1130)이 승하강되지만 회전되는 구조는 아니기 때문에 상하로 신축가능하게 배선하면 되고, 전원은 배터리 또는 차량(110)으로부터 받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도시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기둥(1140)의 상단에는 카메라고정박스(1150)가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면에는 일정크기로 개방된 카메라설치홈(1152)이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설치홈(1152)에는 상하로 각도조절가능한 카메라(20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 외면에는 카메라통신안테나(1154)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제2컨트롤러(RC2)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200)의 외측면 일부에는 마커(MK)가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설치홈(1152)의 중앙, 정확하게는 카메라(200)를 수평하게 유지시키는 지점에는 마커검출센서(SN)이 설치되어 상기 제2컨트롤러(RC2)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커검출센서(SN)가 검출하면 제2컨트롤러(RC2)는 카메라(200)가 홈포지션에 위치한 것으로 판독하여 수평도 측정시 기준점으로 삼는다.
때문에, 카메라(200)의 각도가 변하면 제2컨트롤러(RC2)는 기준점으로부터 얼마의 각도로 변했는지 산출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모터(1300, 도 6 참조)에 구비된 엔코더에 의해 회전수를 읽어들임으로써 기준점으로부터 변화된 거리를 통해 제2컨트롤러(RC2)에 탑재된 산술부가 계산하여 각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각도로 카메라(200)를 정확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특장점도 갖는다. 또한, 이러한 각도 제어는 제어유닛(500)으로부터 송신된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는 양측으로 돌출된 회전축에 결합된 감속기(1310)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기(1310)의 출력축(1320)은 축고정구(1330)에 고정되고, 상기 축고정구(1330)는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견고히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가 구동되면 상기 출력축(1320)은 상기 축고정구(133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각도조절모터(1300)가 회전되면서 카메라(2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축(1320)은 상기 축고정구(1330)에 스플라인 조립 방식으로 조립되면 출력축(1320)이 축고정구(1330)에 구속되기 때문에 출력축(1320)은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고, 반대로 각도조절모터(13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200)는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의 외부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에는 자체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모터배터리(BT)와, 상기 제2컨트롤러(RC2)와 근거리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NFC)이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카메라(200)의 외주면중 하부정점에는 초음파를 발진하고 수신할 수 있는 초음파 발수신기(WS)가 더 설치되며, 이는 상기 제2컨트롤러(RC2)와 연결되어 제어되게 구성된다.
이때, 초음파 발수신기(WS)는 상기 카메라(200)의 수평도, 즉 원점조절을 이중화시켜 정확한 수평도를 확인하여 오차없는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조(1110)의 저수공간(1114)에 일정수위의 물을 채우고, 초음파 발수신기(WS)를 이용하여 높이차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으로, 회전기둥(1140)을 회전시켜 적어도 3지점에서 초음파 발진 후 수신에 따른 시간차를 통한 높이를 측정하여 3지점에서 일치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200)의 수평도, 즉 영점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마커(MK)와 마커검출센서(SN)에 의해 정확한 영점 조절이 완료되기는 하지만, 사용중 틀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정확하게 하기 위해 초음파 발진을 이용한 영점조절 기능이 포함된다.
이것은 수면의 경우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이 원리를 이용하여 초음파 발수신기(WS)의 위치를 적어도 3지점으로 달리하여 측정하더라도 같은 값이 나오면 영점 조정이 된 것, 즉 수평도가 완전히 맞추어진 것이고, 각기 다른 값이 나오면 수평도가 불량이므로 이를 보정해야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GPS수신기(300)는 촬영보조기(100)의 차량(100)에 설치되어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다만,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때, GPS수신기(300)는 GPS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통해 촬영보조기(100)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400)도 차량(11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0)도 차량(110)에 설치되어, 구동장치부(123)·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며,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유닛(600)은 차량(10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유닛(500)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보정서버(B)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차량(110)의 운전석 쪽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따른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하고, 보정된 정보를 원격지에 구비된 관리서버(미도시)로 송신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보정서버(B)는 수치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상기 수조(1110)로의 물 공급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자동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유닛(500)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각각 갖춘 자동급수관(SWP)과 자동배수관(DWP)를 더 갖출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고정기둥(1120)과 유동기둥(1130)과 회전기둥(1140) 및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외표면에는 투명성, 방습성과 방오성 및 내스크래치성, 내크랙성 향상을 위해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코팅액을 스프레이 코팅하여 형성되며, 코팅액은 폴리아크릴 아마이드(Polyacrylamide) 4.5중량%와, 과탄산나트륨 2.5중량%와, 에피클로로히드린 1.5중량%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1.5중량%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1.5중량%와, 투명 알루미나 2.5중량%와, 콜로이드성 실리카 2.5중량%와, 세스키탄산나트륨(Na2CO3ㆍNaHCO3ㆍ2H2O) 1.5중량%와, 포졸란(Pozzolan) 1.5중량%와, 알킬렌 아마이드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아크릴 아마이드는 도막의 접착력과 무기물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과탄산나트륨은 항균성을 위해 첨가되고, 에피클로로히드린(epichlorohydrin)은 무색의 액체로서 표면보호층의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는 산화에 의한 산패를 막기 위해 첨가되고,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 stearate)는 계면에서의 활성도를 높여 도막의 평탄도를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투명 알루미나는 표면 경도를 증대시켜 내스크래치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5-50nm의 입경을 갖는 무정형의 실리카 졸이 바람직하며 오염물질의 표면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며, 세스키탄산나트륨(Na2CO3ㆍNaHCO3ㆍ2H2O)은 천연알카리제로서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투명성확보 및 내구성, 접착성 강화를 위해 첨가된다.
특히, 포졸란(Pozzolan)은 주로 콘크리트 혼화재로 많이 사용되지만, 이것은 인공 포졸란이고 본 발명에서는 내산성, 내부식성, 내구성 및 방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화산회, 화산암의 풍화물에서 채취된 천연 포졸란을 사용하며, 입도는 0.1-0.2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킬렌 아마이드는 윤활성 및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을 원활하게 하고, 혼합 후 부서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200) 촬영을 위해 상승을 제어한다.
물론, 그 전에 상기 작업자는 촬영보조기(100)의 차량(110)을 촬영이 필요한 작업위치에 위치시켜야 함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촬영보조기(100)의 제어유닛(150)에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장치부(123)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카메라(200)를 원하는 높이, 원하는 수평방향,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고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정확한 촬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200) 및 GPS수신기(3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을 시작하면, 제어유닛(500)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GPS수신기(300)로부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정서버(B)는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촬영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정보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존의 촬영정보를 새로 획득된 촬영정보로 보정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하여야 할 시, 차량(110)을 운행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길을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지역을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장치는, 카메라(2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기(100)가 전동수단에 의해서만 정밀하게 제어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A; 수치정보수집부 B; 보정서버
100; 촬영보조기 200; 카메라
300; GPS수신기 400; 송신기
500; 제어유닛 600; 입력유닛

Claims (1)

  1.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기(1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기(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기(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부(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기(100)는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하는 구동장치부(123)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부(123)는 고정체인 수조(1110)와, 상기 수조(1110)의 중심에 고정되는 고정기둥(1120)과, 상기 고정기둥(1120)에 조립되는 유동기둥(1130)과,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에 조립되는 회전기둥(1140)과, 상기 회전기둥(1140)에 고정된 카메라고정박스(1150)와,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에 내장되어 상하방향으로 각도조절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200)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111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며, 내부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보스(1112)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1112)의 외주면과 상기 수조(11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저수공간(1114)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둥(1120)은 상하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가 상기 보스(1112)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기둥(1120)의 내부에는 승강모터(1200)가 내장되고, 상기 승강모터(1200)의 모터축(1210)은 승강모터(1200)의 상하로 돌출되며, 모터축(1210)의 내부는 중공되어 볼스크류(BS)가 관통된 상태로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승강모터(1200)의 양측면에는 모터고정구(122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승강모터(1200)를 고정기둥(1120) 속에 고정되며, 모터고정구(1220)가 구비되지 않은 양쪽 공간으로는 가이드바(GB)가 배열되고, 상기 고정기둥(1120)의 개방된 상단에는 마개(1122)가 조립되는데 상기 마개(1122)의 중앙에는 상기 볼스크류(BS)가 관통하는 중앙통공(1122a)이 형성되며, 상기 중앙통공(1122a)과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대칭되게 한 쌍의 가이드공(1122b)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GB)가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볼스크류(BS)의 상단은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 중심에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조인트되며, 상기 가이드바(GB)도 상기 유동기둥(1130)의 하단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기둥(1120)의 외표면에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 가능한 제1컨트롤러(RC1)가 구비되며, 상기 유동기둥(1130)의 상단면에는 축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홈에는 회전기둥(1140)의 하단면에서 돌출된 하부축(1142)이 끼워져 베어링(BA) 결합되어 상기 회전기둥(114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기둥(1140)의 하단부 둘레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종동기어(1144)를 구성하고, 상기 종동기어(1144)에는 구동기어(1146)가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1146)는 회전모터(1148)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모터(1148)는 상기 유동기둥(113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기둥(1140)의 상단에는 카메라고정박스(1150)가 고정되고,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면에는 일정크기로 개방된 카메라설치홈(1152)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설치홈(1152)에는 각도조절모터(1300)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모터(1300)에는 카메라(200)가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고정박스(1150)의 일측 외면에는 제어유닛(500)과 통신하는 카메라통신안테나(1154)가 설치되고, 그 하측에는 각도조절모터(1300)의 구동 및 카메라통신안테나(1154)를 통한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제2컨트롤러(RC2)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200)의 하부 정점에는 상기 수조(1110)의 수면을 향해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초음파발진기(WS)가 더 설치되어 수면으로부터 초음파발진기(WS)까지의 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20170081866A 2017-06-28 2017-06-28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9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66A KR101791957B1 (ko) 2017-06-28 2017-06-28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866A KR101791957B1 (ko) 2017-06-28 2017-06-28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57B1 true KR101791957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866A KR101791957B1 (ko) 2017-06-28 2017-06-28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5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87B1 (ko)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43405B1 (ko) * 2019-06-20 2019-11-1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2043415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638131B1 (ko) * 2023-07-17 2024-02-20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형식의 기준점이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2650403B1 (ko) * 2023-07-17 2024-03-25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측정값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50402B1 (ko) * 2023-07-17 2024-03-25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98B1 (ko) 2010-09-17 2011-02-28 김은경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398B1 (ko) 2010-09-17 2011-02-28 김은경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487B1 (ko) 2017-10-16 2018-02-09 (주)우주공간정보 항공 영상 데이터와 이미지를 정밀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017817B1 (ko) * 2019-06-12 2019-09-03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
KR102027932B1 (ko) * 2019-06-18 2019-10-04 주식회사 엔지엘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43405B1 (ko) * 2019-06-20 2019-11-1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102043415B1 (ko) * 2019-07-04 2019-12-03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미확인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정밀하게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2027370B1 (ko)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지형 변화에 따라 수치지도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수치지도제작시스템
KR102638131B1 (ko) * 2023-07-17 2024-02-20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형식의 기준점이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2650403B1 (ko) * 2023-07-17 2024-03-25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측정값을 이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2650402B1 (ko) * 2023-07-17 2024-03-25 (주)아세아항측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957B1 (ko)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678105B1 (ko) 무선 조정 비행장치를 이용한 하천 측량 시스템
EP2902744B1 (en) Measuring system
CN101887037B (zh) 轮式x射线探伤机器人装置
KR100888716B1 (ko)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782039B1 (ko) 드론을 이용한 하천 및 하천시설물 측량장치 및 위치측정방법
US10800344B2 (en) Aerial photogrammetric device and aerial photogrammetric method
KR20030023872A (ko) 위성위치측정시스템
KR100892441B1 (ko)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업그레이드 시스템
US6690978B1 (en) GPS signal driven sensor positioning system
KR101540993B1 (ko) 지상 구조물 변경에 따른 지형지물의 변화 감시 및 측지정보 변화율 측지시스템
CN106323342B (zh) 航空扫描仪回转轴线的高精度引出方法
KR10134911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WO2020124508A1 (en)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ose data
KR100892442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적용을 통한 삼차원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US11536857B2 (en) Surface tracking on a survey pole
KR101791956B1 (ko) 지아이에스(gis) 정보를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의 구성 데이터 실시간 수치지도 업그레이드 장치
CN201673130U (zh) 轮式x射线探伤机器人装置
KR101130681B1 (ko) 지하매설물의 측지데이터 갱신시스템
CN202340283U (zh) 全球导航卫星系统的手持终端
KR101319039B1 (ko)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업그레이드 시스템
KR101223243B1 (ko) 기준점 및 수준점 확인을 통한 지표면의 지리정보 측지데이터 관리시스템
CN106949905B (zh) 一种重力垂线偏差测量装置
CN215217491U (zh) 一种可远程追踪目标的高精度三坐标测量装备
US11175134B2 (en) Surface tracking with multiple cameras on a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