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398B1 -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398B1
KR101017398B1 KR1020100091742A KR20100091742A KR101017398B1 KR 101017398 B1 KR101017398 B1 KR 101017398B1 KR 1020100091742 A KR1020100091742 A KR 1020100091742A KR 20100091742 A KR20100091742 A KR 20100091742A KR 101017398 B1 KR101017398 B1 KR 101017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camera
guide
discharge hol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김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김은미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00091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3);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 카메라승강장치(12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을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본 발명은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기 위해, 차량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정보를 기존의 촬영정보와 비교하여, 해당지역에 대한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을 시도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 촬영보조장치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 촬영보조장치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 촬영보조장치·카메라·GPS수신기·송신기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 제어유닛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와:
송신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축; 차량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의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가이드의 윤활제수용공간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가이드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스크류축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카메라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기구를 갖춘 카메라승강장치와: 카메라승강장치의 가이드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가이드의 윤활제방출홀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승강장치의 윤활제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이동판; 카메라승강장치의 가이드에 내설되어 이동판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와: 카메라승강장치의 가이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의 윤활제방출홀을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윤활제방출홀을 개폐하도록 가이드에 내설되는 돌출부와, 일단이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의 삽입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 스프링수용홈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와: 가이드의 윤활제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이드에 설치되는 밸브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보정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촬영보조장치의 전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W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4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Z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보정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보정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촬영보조장치의 전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W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4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4의 Z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5의 B-B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은 수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한다.
상기 수치정보수집장치(A)는,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보조장치(100)와,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300)와, 수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촬영장치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다.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하는 승강장치(12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윤활제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50)를 갖춘다.
상기 차량(110)은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적인 차량으로서, 전방에 승강장치설치부(111) 및 구동장치설치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는 전방에 수용공간(111a)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111a)은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11a1)과, 가이드홈(111a1)과 연통되어 후방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11a1)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수용홈(111a2)을 갖춘다.
상기 구동장치설치부(112)는,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이 형성되도록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는, 카메라설치기구(124)가 안내되며 윤활제가 수용되는 가이드(121)와,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구동력을 전달받는 스크류축(122)과, 스크류축(122)이 회전력을 제공받는 구동장치(123)와, 카메라(200)가 이동되며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다.
상기 가이드(121)는, 긴 바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되며,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121)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수용공간(121a)과, 스크류축(122)와 마주보도록 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윤활제방출홀(121b)과, 내부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하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홈(121c)과, 상부 측부에 형성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공급홀(121d)을 갖춘다. 이때 윤활제방출홀(121b)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윤활제는, 가이드(121) 및 스크류축(122)과 접촉하여,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가이드(121) 및 스크류축(12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크류축(122)은, 가이드(121)와 나란하게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된다. 이때 스크류축(122)은,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를 관통하여 구동장치설치부(112)의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으로 노출된다.
상기 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는 케이스(C)에 내설되며, 케이스(C)에 안착되는 스크류축(12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구동장치(123)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일단이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상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가 형성되며, 윤활제이동홈(124a)은 일측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고 타단이 스크류축(122)과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연결부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과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연결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는 윤활제를 떠받치는 이동판(131)과,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를 갖춘다.
상기 이동판(131)은,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된다.
상기 유지장치스프링(132)은, 가이드(121)에 내설되며,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여, 이동판(131)이 최초위치로 복원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는,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폐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와, 윤활제방출홀(141)을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는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꺽쇠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다.
상기 개폐장치스프링(142)은,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여,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이 윤활제공급홀(121d)을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150)는 가이드(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윤활제공급홀(121d)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150)는 제어유닛(1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자동식이 적용되지만, 수동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200)는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에 설치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 전방에 위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이때 카메라(200)는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200)는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된 설치보조기구(210)가 구비되며, 설치보조기구(210)는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에 설치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GPS수신기(300)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00)에 설치되어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GPS수신기(300)는 GPS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통해 촬영보조장치(100)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400)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차량(110)에 설치되어, 구동장치(123)·밸브(15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며,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유닛(600)은 차량(10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유닛(500)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보정서버(B)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따른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보정서버(B)는 수치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1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를 개방하고, 별도의 윤활제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윤활제를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주입되면서, 윤활제 주입압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가 잠겨지면, 도 11과 같이 윤활제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10)을 촬영이 필요한 작업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촬영보조장치(100)의 제어유닛(150)에 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구동장치(123)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스크류축(122)이 회전을 하고, 스크류축(122)의 회전력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로 전달되어, 카메라설치기구(124)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카메라설치기구(124)는 저면은 도 12와 같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의 선단과 맞닿고, 돌출부(141a)는 카메라설치기구(124)의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141a)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방하고,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윤활제방출홀(121b)을 통해 방출되어, 도 13과 같이 된다.
이때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외면과 카메라설치기구(124) 사이로 스며들어, 카메라설치기구(124)가 가이드(12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윤활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카메라설치기구(124)가 하강하면, 카메라설치기구(124)의 윤활제이동홈(124a)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과 연통되어, 윤활제방출홀(121b)로부터의 윤활제가 윤활제이동홈(124a)로 이동하여, 도 14와 같이 윤활제가 스크류축(122)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축(122)이 회전할 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의 위치는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윤활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윤활제의 위치가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윤활제는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로 방출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유지장치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윤활제 소비에 따라 생긴 공간만큼 윤활제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도 15와 같이 윤활제의 위치가 원래대로 항상 유지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구동장치(123)를 동작하여, 도 16과 같이 카메라(200)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200) 및 GPS수신기(3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을 시작하면, 제어유닛(500)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GPS수신기(300)로부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정서버(B)는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촬영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정보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존의 촬영정보를 새로 획득된 촬영정보로 보정한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촬영하여야 할 시, 차량(110)을 운행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길을 따라 이동하면서 촬영지역을 촬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은, 카메라(2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100)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100)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100)의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A; 수치정보수집장치 B; 보정서버
100; 촬영보조장치 200; 카메라
300; GPS수신기 400; 송신기
500; 제어유닛 600; 입력유닛

Claims (1)

  1.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지도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수치지도 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123);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며,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카메라설치기구(124)를 갖춘 카메라승강장치(12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카메라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카메라승강장치(120)의 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을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1b1)이 형성되도록 'ㄱ'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정보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20100091742A 2010-09-17 2010-09-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017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42A KR101017398B1 (ko) 2010-09-17 2010-09-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42A KR101017398B1 (ko) 2010-09-17 2010-09-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398B1 true KR101017398B1 (ko) 2011-02-28

Family

ID=4377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742A KR101017398B1 (ko) 2010-09-17 2010-09-17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3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25B1 (ko) 2013-09-03 2014-02-13 박승철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KR101531027B1 (ko) * 2014-07-22 2015-06-23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아이에스(gis) 기반으로 정밀도를 높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710429B1 (ko) 2016-09-23 2017-02-28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52793B1 (ko) 2017-03-10 2017-07-0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준 측량정보에 따른 측지 측량장치
KR101791957B1 (ko)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2568099B1 (ko) 2023-03-27 2023-08-18 주식회사포앤텍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825B1 (ko) 2013-09-03 2014-02-13 박승철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KR101531027B1 (ko) * 2014-07-22 2015-06-23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지아이에스(gis) 기반으로 정밀도를 높인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710429B1 (ko) 2016-09-23 2017-02-28 (주)에스지원정보기술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752793B1 (ko) 2017-03-10 2017-07-03 대원항업 주식회사 수준 측량정보에 따른 측지 측량장치
KR101791957B1 (ko) 2017-06-28 2017-11-02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지아이에스(gis)를 기반으로 실행하는 수치지도 정보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2568099B1 (ko) 2023-03-27 2023-08-18 주식회사포앤텍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318B1 (ko)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KR101017398B1 (ko)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KR101041190B1 (ko) 지피에스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KR101005284B1 (ko)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2539675B1 (ko) 쇼벨
KR102389935B1 (ko) 쇼벨 및 그 제어방법
US11288827B2 (en) Measurement device of shovel
CN111417757A (zh) 挖土机及挖土机的管理系统
US11421396B2 (en) Shovel
US9988794B2 (en) Flow rate setting system of working machine
US11041289B2 (en) System for controlling work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CN110249203B (zh) 作业机械的测量系统、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测量方法
AU703679B2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laser measuring instrument
CN105335144A (zh) 一种车辆后备箱自动开启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462143B (zh) 挖土机、挖土机的显示装置及挖土机的显示方法
US20190078298A1 (en) System for controlling work vehicle, method for controlling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KR101710429B1 (ko) 지아이에스 기반으로 정밀도를 향상시킨 수치지도 보정장치
KR101008835B1 (ko) 지표면의 기준점 별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실시간 영상도화보정시스템
EP3591125B1 (en) Excavator
KR102559166B1 (ko) 쇼벨, 및 쇼벨과 협동하는 지원장치
US20200362541A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CN108884659B (zh) 作业车辆的控制系统、控制方法以及作业车辆
US11578473B2 (en)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method, and work vehicle
KR101041186B1 (ko) 지형정보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시스템
KR101362825B1 (ko) 지피에스 수신기의 동선에 의한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수치정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