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284B1 -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284B1
KR101005284B1 KR1020100091756A KR20100091756A KR101005284B1 KR 101005284 B1 KR101005284 B1 KR 101005284B1 KR 1020100091756 A KR1020100091756 A KR 1020100091756A KR 20100091756 A KR20100091756 A KR 20100091756A KR 101005284 B1 KR101005284 B1 KR 10100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ubricant
screw shaft
lighting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김은경
Original Assignee
김은경
김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경, 김은미 filed Critical 김은경
Priority to KR102010009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제1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장치(123);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1)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제1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제1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기구본체(124a)와, 승강기구본체(124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노출된 선단에 카메라(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124b)를 갖춘 승강장치(120)와: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를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폐하도록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2b1)이 형성되도록 'ㄱ' 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제1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 긴 막대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기구(124)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어, 차량(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평바(161)와, 수평바(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스크류축(162)과, 수평바(161)에 설치되며 제2스크류축(16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168)와, 수평바(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스크류축(162)과 대향되는 제3스크류축(163)과, 수평바(161)에 설치되며 제3스크류축(16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169)와, 제2스크류축(162)의 선단에 설치되어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수직기어(164)와, 제3스크류축(163)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수직기어(162)와 대향되는 제2수직기어(165)와,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수직기어(164,165) 사이에 배치되어 제1,2수직기어(164,165)와 맞물리는 수평기어(166)와, 수평바(161)에 설치되어 수평기어(166)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167)를 구비한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를 갖추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스크류축(16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가이드(16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조명기구본체(710); 제1조명기구본체(7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조명등(720); 제1조명기구본체(7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조명등(720)을 회전시키는 제3구동장치(730)를 갖춘 제1조명기구(700)와,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스크류축(163)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가이드(16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조명기구본체(810); 제2조명기구본체(8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조명등(820); 제2조명기구본체(8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2조명등(820)을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830)를 갖춘 제2조명기구(800)와,
승강장치(120)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를 회전시키는 촬영각조절장치(900)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한 한편, 정밀한 수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Image Drawing System}
본 발명은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정보를 보정하기 위해, 차량에 카메라를 탑재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정보를 항공촬영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의 수치정보와 비교하여, 해당지역에 대한 수치정보를 보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야간 또는 주변이 어두운 환경에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이 어려웠으며, 조명이 필요한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밝게 하기가 힘들었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촬영위치가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위치에서 촬영을 시도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정확한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상기 카메라는 촬영각을 조절할 수 없어, 다양한 각도에서 지형지물을 촬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어두운 촬영영역을 선택적으로 밝게 함으로써, 어두운 환경에서도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위치 및 촬영각을 조절함으로써, 정확한 수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 촬영보조장치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촬영보조장치에 설치되어,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 촬영보조장치에 설치되어, 카메라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 촬영보조장치·카메라·GPS수신기·송신기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 제어유닛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와: 송신기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를 포함하는 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 상부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 상부로 돌출되는 제1스크류축; 차량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의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장치; 제1가이드의 윤활제수용공간에 수용된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제1가이드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제1스크류축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제1스크류축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기구본체와, 승강기구본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승강장치설치부의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노출된 선단에 카메라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를 갖춘 승강장치와: 승강장치의 제1가이드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제1가이드의 윤활제방출홀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치의 윤활제수용공간에 배치되는 이동판; 승강장치의 제1가이드에 내설되어 이동판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와: 승강장치의 제1가이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제1가이드의 윤활제방출홀를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윤활제방출홀를 개폐하도록 제1가이드에 내설되는 돌출부와, 일단이 돌출부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이 형성되도록 'ㄱ' 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제1가이드의 삽입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 스프링수용홈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와: 제1가이드의 윤활제수용공간을 개폐하도록 가이드에 설치되는 밸브; 긴 막대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기구의 설치대에 설치되어, 차량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평바와, 수평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스크류축과, 수평바에 설치되며 제2스크류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와, 수평바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스크류축과 대향되는 제3스크류축과, 수평바에 설치되며 제3스크류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와, 제2스크류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수평바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수직기어와, 제3스크류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수직기어와 대향되는 제2수직기어와, 수평바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수직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제1,2수직기어와 맞물리는 수평기어와, 수평바에 설치되어 수평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를 구비한 조명등위치조정장치를 갖추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의 제2스크류축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의 제2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조명기구본체; 제1조명기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조명등; 제1조명기구본체에 내설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조명등을 회전시키는 제3구동장치를 갖춘 제1조명기구와,
조명등위치조정장치의 제3스크류축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의 제3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조명기구본체; 제2조명기구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조명등; 제2조명기구본체에 내설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2조명등을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를 갖춘 제2조명기구와,
승강장치의 설치대에 설치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촬영각조절장치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의 유지가 용이한 한편, 조명등 간의 간격조절을 통해 카메라의 전방을 밝히고, 카메라의 촬영각 및 제1,2조명등의 조명각을 조절함으로써, 정밀한 수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R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수평기어가 보이도록 도 3의 승강기구의 설치대를 수직으로 단면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S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T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촬영보조장치의 전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U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은 도 7의 V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는 도 7의 A-A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W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Z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보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R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수평기어가 보이도록 도 3의 승강기구의 설치대를 수직으로 단면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S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T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촬영보조장치의 전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U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9은 도 7의 V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는 도 7의 A-A선 부분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W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Y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1의 Z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은 수치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한다.
상기 수치정보수집장치(A)는, 촬영을 하기 위한 촬영보조장치(100)와,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와,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수신기(300)와, 수치정보를 송출하는 송신기(400)와, 촬영장치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과,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과, 카메라(200)의 전방을 밝히는 제1,2조명기구(700,800)와, 카메라(200)와 촬영각을 조절하는 촬영각조절장치(900)를 갖춘다.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차량(110)과, 카메라(200)를 승강하는 승강장치(12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승강장치(120)에 수용된 윤활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윤활제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150)와, 제1,2조명기구(700,800)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를 갖춘다.
상기 차량(110)은 도로를 주행하는 일반적인 차량으로서, 전방에 승강장치설치부(111) 및 구동장치설치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치설치부(111)는 전방에 수용공간(111a)가 형성된다. 이때 수용공간(111a)은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홈(111a1)과, 가이드홈(111a1)과 연통되어 후방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홈(111a1) 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수용홈(111a2)을 갖춘다.
상기 구동장치설치부(112)는,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이 형성되도록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장치(120)는, 승강기구(124)가 안내되며 윤활제가 수용되는 제1가이드(121)와, 승강기구(124)가 구동력을 전달받는 제1스크류축(122)과, 제1스크류축(122)이 회전력을 제공받는 제1구동장치(123)와, 카메라(200)가 이동되며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으로 이동되는 승강기구(124)를 갖춘다.
상기 제1가이드(121)는, 긴 바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되며,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121)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윤활제가 수용되는 윤활제수용공간(121a)과, 제1스크류축(122)와 마주보도록 측부에 형성되고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윤활제방출홀(121b)과, 내부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하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홈(121c)과, 상부 측부에 형성되며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으로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공급홀(121d)을 갖춘다. 이때 윤활제방출홀(121b)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윤활제는, 제1가이드(121) 및 제1스크류축(122)과 접촉하여, 승강기구(124)가 제1가이드(121) 및 제1스크류축(122)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스크류축(122)은, 제1가이드(121)와 나란하게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수용홈(111a2)에 배치된다. 이때 제1스크류축(122)은, 상단이 수용홈(111a2)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의 하부를 관통하여 구동장치설치부(112)의 구동장치설치공간(112a)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1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1구동장치(123)는 구동장치설치부(112)에 설치되는 케이스(C1)에 내설되며, 케이스(C)에 안착되는 제1스크류축(12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1구동장치(123)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구(124)는, 상하이동하는 승강기구본체(124a)와, 승강기구본체(124a)로부터 돌출되는 설치대(124b)를 갖춘다.
상기 승강기구본체(124a)는 일단이 제1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제1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기구본체(124a)는 상면에 하방으로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1)가 형성되며, 윤활제이동홈(124a1)은 일측이 윤활제수용공간(121a)와 연통되고 타단이 제1스크류축(122)과 승강기구본체(124a)의 연결부와 연통되어,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과 승강기구본체(124a)의 연결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설치대(124b)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져 승강기구본체(124a)로부터 돌출되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을 관통하여 노출되고,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는 윤활제를 떠받치는 이동판(131)과,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를 갖춘다.
상기 이동판(131)은, 제1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된다.
상기 유지장치스프링(132)은,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며,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여, 이동판(131)이 최초위치로 복원하도록 한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는,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폐하는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와, 윤활제방출홀(141)을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다.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는 제1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2b1)이 형성되도록 꺽쇠형상을 이뤄 타단이 제1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다.
상기 개폐장치스프링(142)은,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여,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제1가이드(121)이 윤활제공급홀(121d)을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밸브(150)는 제1가이드(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윤활제공급홀(121d)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밸브(150)는 제어유닛(15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자동식이 적용되지만, 수동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는 수평바(161)와, 제1조명등(700)을 이동시키는 제2스크류축(162)과, 제1조명등(700)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168)와, 제2조명등(800)을 이동시키는 제3스크류축(163)과, 제2조명등(800)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169)와, 제2스크류축(162)을 회전시키는 제1수직기어(164)와, 제3스크류축(163)을 회전시키는 제2수직기어(165)와, 제1,2수직기어(164,165)를 회전시키는 수평기어(166)와, 수평기어(166)를 회전시키는 수평기어구동장치(167)를 갖춘다.
상기 수평바(161)는 긴 막대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기구(124)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어, 차량(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때 수평바(161)의 양측부에 제1,2지지대(161a,161b)가 각각 형성되고,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상호 대향되는 제3,4지지대(161c,161d)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스크류축(162)은, 일단이 수평바(161)의 제1지지대(16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평바(161)의 제3지지대(161c)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상기 제2가이드(168)는, 일단이 수평바(161)의 제1지지대(161a)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바(161)의 제3지지대(161c)에 고정되어, 제2스크류축(16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3스크류축(163)은, 일단이 수평바(161)의 제2지지대(16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이 수평바(161)의 제4지지대(161d)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되 제1스크류축(162)과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3가이드(169)는, 일단이 수평바(161)의 제2지지대(161b)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평바(161)의 제4지지대(161d)에 고정되어, 제3스크류축(163)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가이드(168)와 대향된다.
상기 제1수직기어(164)는 제2스크류축(162)의 선단에 설치되며,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제2스크류축(162)와 연동된다.
상기 제2수직기어(165)는 제3스크류축(163)의 선단에 설치되고,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제1수직기어(164)와 상호 대향되며, 제3스크류축(163)과 연동된다.
상기 수평기어(166)는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수직기어(164,165) 사이에 배치되며, 제1,2수직기어(164,165)와 맞물려 제1,2수직기어(164,165)가 상호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2수직기어(164,165) 및 수평기어(166)는 통상의 베벨기어 타입이 적용된다.
상기 제2구동장치(166)는, 수평바(161)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수평기어(16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구동장치(166)는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케이스(C2)에 내설되며, 케이스(C2)에 안착되는 수평기어(166)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2구동장치(166)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200)는 승강기구 설치대(124b)의 선단에 설치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 수평기어(166)의 전방에 설치되어, 전방을 주시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된다. 이때 카메라(200)는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GPS수신기(300)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00)에 설치되어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GPS수신기(300)는 GPS인공위성(미도시)으로부터의 위치정보를 통해 촬영보조장치(100)의 현재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400)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차량(110)에 설치되어, 제1구동장치(123)·제2구동장치(167)·밸브(15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제1조명등(720)·제2조명등(820)·촬영각조절장치(900)를 작동제어하며, 카메라(200)로부터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유닛(600)은 차량(100)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유닛(500)이 각각의 전기적 구성요소를 작동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기구(700)는 제1조명등(710)을 이동시키는 제1조명기구본체(710)와, 카메라(200)의 전방을 밝히는 제1조명등(720)과, 제1조명등(720)을 회전시키는 제3구동장치(730)을 갖춘다.
상기 제1조명기구본체(710)는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스크류축(162)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가이드(16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수평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조명등(720)은 제1조명기구본체(7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상기 제1조명구동장치(730)는 제1조명기구본체(7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조명등(720)을 수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1조명구동장치(730)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명기구(800)는 제2조명등(810)을 이동시키는 제2조명기구본체(810)와, 카메라(200)의 전방을 밝히는 제2조명등(820)과, 제2조명등(820)을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830)을 갖춘다.
상기 제2조명기구본체(810)는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스크류축(163)에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가이드(16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수평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조명등(820)은 제2조명기구본체(8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점등 또는 소등된다.
상기 제2조명구동장치(830)는 제2조명기구본체(8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2조명등(820)을 수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제2조명구동장치(830)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촬영각조절장치(900)는 승강장치(120)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어,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수평바(161) 전방에 배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를 회전시킨다. 이때 촬영각조절장치(900)는 승강장치(120)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는 케이스(C3)에 내설되며, 케이스(C3)에 안착되는 카메라(200)를 수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촬영각조절장치(900)는 통상의 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다.
상기 보정서버(B)는 차량(110)에 설치되며,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따른 획득된 촬영정보와 항공촬영정보를 포함하는 기존의 수치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한다. 이때 보정서버(B)는 수치정보를 수신하여 기존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통상의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7 내지 도 2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를 개방하고, 별도의 윤활제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윤활제를 주입한다.
그러면 상기 윤활제는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주입되면서, 윤활제 주입압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후 촬영보조장치(100)의 밸브(150)가 잠겨지면, 도 17과 같이 윤활제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촬영보조장치(100)의 차량(110)을 촬영이 필요한 작업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촬영보조장치(100)의 제어유닛(150)에 신호를 입력하여 승강장치(120)의 제1구동장치(123)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승강장치(120)의 제1스크류축(122)이 회전을 하고, 제1스크류축(122)의 회전력은 승강장치(120)의 승강기구(124)로 전달되어, 승강기구(124)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120)의 승강기구(124)는 저면은 도 18과 같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의 선단과 맞닿고, 돌출부(141a)는 승강기구(124)의 가압력에 의해 제1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의 돌출부(141a)가 제1가이드(121)의 내측으로 이동하면, 돌출부(141a)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방하고,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윤활제방출홀(121b)을 통해 방출되어, 도 19와 같이 된다.
이때 상기 윤활제는 제1가이드(121)의 외면과 승강기구(124) 사이로 스며들어, 승강기구(124)가 제1가이드(121)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윤활기능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승강기구(124)가 하강하면, 승강기구(124)의 윤활제이동홈(124a1)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과 연통되어, 윤활제방출홀(121b)로부터의 윤활제가 윤활제이동홈(124a1)로 이동하여, 도 20과 같이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크류축(122)이 회전할 시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의 위치는 하방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이때 윤활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윤활제의 위치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윤활제는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로 방출될 수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윤활제가 소비되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유지장치스프링(132)의 복원력에 의해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의 이동판(131)이 윤활제 소비에 따라 생긴 공간만큼 윤활제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도 21과 같이 윤활제의 위치가 원래대로 항상 유지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1구동장치(123)를 동작하여, 도 22와 같이 카메라(200)를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카메라(200) 및 GPS수신기(300)를 작동시킨다.
상기 카메라(200)가 촬영을 시작하면, 제어유닛(500)은 카메라(200)로부터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GPS수신기(300)로부터 촬영지역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송신기(400)를 매개로 보정서버(B)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보정서버(B)는 촬영지역에 대한 촬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촬영지역으로부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정보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존의 촬영정보를 새로 획득된 촬영정보로 보정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주변이 어두운 환경에서는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없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1조명등 및 제2조명등 점등신호를 제어유닛(500)에 입력하면, 제어유닛(500)은 제1조명등(700) 및 제2조명등(800)을 점등되어, 카메라(200)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한 사물을 밝게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카메라(200)로부터 근거리를 밝게 하기 위해,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2구동장치 구동신호를 제어유닛(500)에 입력하면, 제어유닛(500)은 제2구동장치(167)를 작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구동장치(167)에 의해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수평기어(166)가 도 23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1수직기어(16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스크류축(16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수직기어(16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스크류축(16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조명기구(700) 및 제2조명기구(800)는 카메라(200)를 향해 이동하고, 작업자가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구동장치(167)의 구동을 멈추면 도 24와 같이 제1조명기구(700) 및 제2조명기구(800)의 상호 위치가 가까워지면서, 카메라(200)의 근거리 위치가 밝게 된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제1조명기구(700) 및 제2조명기구(800)의 상호 위치를 멀어지도록 조정하려면,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구동장치(167)를 구동시켜 수평기어(16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수평기어(166)와 연동하는 제2스크류축(162)·제3스크류축(163)·제1수직기어(164)·제2수직기어(165)는 상기 제1조명기구(700) 및 제2조명기구(800)가 가까워질 때와 반대로 동작하여, 제1조명기구(700) 및 제2조명기구(800)의 상호 위치가 멀어진다.
한편 상기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카메라(200)의 촬영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촬영각조절장치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유닛(500)은 촬영각조절장치(9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촬영각조절장치(900)는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따라 도 25와 같이 카메라(200)을 수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카메라(200)의 촬영각을 조절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촬영하고자 하는 구역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제1,2조명등(720,820)의 조명각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작업자는 입력유닛(600)을 매개로 제어유닛(500)에 제1조명등구동장치 구동신호 또는 제2조명등구동장치 구동신호를 입력하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유닛(500)은 제3구동장치(730) 또는 제2조명등구동장(83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3구동장치(730) 또는 제4구동장치(830)는 제어유닛(500)의 제어에 따라 도 26과 같이 제1조명등(720) 또는 제2조명등(820)을 수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조명등(720) 또는 제2조명등(820)의 조명각을 조절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촬영하고자 하는 구역을 보다 정밀하게 밝게 함으로써 정밀한 수치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시스템은, 카메라(200)의 상하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수치지도정보를 획득하기가 용이하며, 촬영작업시 촬영보조장치(100)에 윤활제를 용이하게 공급함으로써, 촬영보조장치(100)가 원활히 작동하도록 하고, 촬영보조장치(100)의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200)의 주변환경을 밝게 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수치지도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1조명등(700) 및 제2조명등(800)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주변환경의 밝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200)의 촬영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수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조명기구(720,820)의 조명각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수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 수치정보수집장치 B; 보정서버
100; 촬영보조장치 200; 카메라
300; GPS수신기 400; 송신기
500; 제어유닛 600; 입력유닛
700; 제1조명등 800; 제2조명등
900; 촬영각조절장치

Claims (1)

  1. 카메라(200)가 설치되는 촬영보조장치(1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지형지물을 촬영하는 카메라(2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는 GPS수신기(300); 촬영보조장치(100)에 설치되어, 카메라(200)의 촬영정보 및 GPS수신기(300)의 위치정보를 출력하는 송신기(400); 촬영보조장치(100)·카메라(200)·GPS수신기(300)·송신기(40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500); 제어유닛(500)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유닛(600)을 갖춘 수치정보수집장치(A)와:
    송신기(400)로부터 촬영정보 및 촬영지역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획득된 촬영정보와 기존의 촬영정보를 비교하여, 촬영지역의 수치정보를 보정하는 보정서버(B)를 포함하는 영상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영보조장치(100)는,
    상방 및 전방으로 개구된 가이드홈(111a1)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장치설치부(111)가 전면에 구비된 차량(110); 내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이 형성되고, 측부에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구하는 윤활제방출홀(121b)이 구비되며, 윤활제방출홀(121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홀(121c)이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121); 일단이 승강장치설치부(111)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고 타단이 차량(110) 상부로 돌출되는 제1스크류축(122); 차량(110)에 내설되며, 수치정보수집장치(A)의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장치(123);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수용된 윤활제가 제1스크류축(122)으로 이동하도록 경사진 윤활제이동홈(124a1)이 상면에 형성되는 한편, 일단이 제1가이드(121)를 상하이동가능하게 감싸고, 타단이 제1스크류축(1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제1스크류축(122)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승강기구본체(124a)와, 승강기구본체(124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며 승강장치설치부(111)의 가이드홈(111a1)을 관통하여 노출되며 노출된 선단에 카메라(20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대(124b)를 갖춘 승강장치(120)와: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내설되며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 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승강장치(120)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에 배치되는 이동판(131);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어 이동판(131)을 상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유지장치스프링(132)을 갖춘 윤활제위치유지장치(130)와: 승강장치(120)의 제1가이드(121)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이 라운드지고,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방출홀(121b)를 관통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윤활제방출홀(121b)를 개폐하도록 제1가이드(121)에 내설되는 돌출부(141a)와, 일단이 돌출부(141a)로부터 연장되며 스프링수용홈(142b1)이 형성되도록 'ㄱ' 자 형상을 이뤄 타단이 제1가이드(121)의 삽입홈(121c)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41b)를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 스프링수용홈(141b1)에 수용되어 윤활제방출홀개폐기구(141)를 외측으로 탄발지지하는 개폐장치스프링(142)을 갖춘 윤활제방출홀개폐장치(140)와: 제1가이드(121)의 윤활제수용공간(121a)을 개폐하도록 가이드(121)에 설치되는 밸브(150); 긴 막대 형상을 가지고서 승강기구(124)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어, 차량(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수평바(161)와, 수평바(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평바(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스크류축(162)과, 수평바(161)에 설치되며 제2스크류축(16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168)와, 수평바(16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스크류축(162)과 대향되는 제3스크류축(163)과, 수평바(161)에 설치되며 제3스크류축(16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가이드(169)와, 제2스크류축(162)의 선단에 설치되어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제1수직기어(164)와, 제3스크류축(163)의 선단에 설치되어 제1수직기어(162)와 대향되는 제2수직기어(165)와, 수평바(161)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수직기어(164,165) 사이에 배치되어 제1,2수직기어(164,165)와 맞물리는 수평기어(166)와, 수평바(161)에 설치되어 수평기어(166)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장치(167)를 구비한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를 갖추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스크류축(162)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2가이드(168)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조명기구본체(710); 제1조명기구본체(7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1조명등(720); 제1조명기구본체(7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1조명등(720)을 회전시키는 제3구동장치(730)를 갖춘 제1조명기구(700)와,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스크류축(163)에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며, 조명등위치조정장치(160)의 제3가이드(169)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조명기구본체(810); 제2조명기구본체(8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제2조명등(820); 제2조명기구본체(810)에 내설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제2조명등(820)을 회전시키는 제4구동장치(830)를 갖춘 제2조명기구(800)와,
    승강장치(120)의 설치대(124b)에 설치되며, 제어유닛(5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카메라(200)를 회전시키는 촬영각조절장치(900)가 보강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20100091756A 2010-09-17 2010-09-17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100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56A KR101005284B1 (ko) 2010-09-17 2010-09-17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756A KR101005284B1 (ko) 2010-09-17 2010-09-17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284B1 true KR101005284B1 (ko) 2011-01-04

Family

ID=4361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756A KR101005284B1 (ko) 2010-09-17 2010-09-17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2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6B1 (ko) 2011-11-18 2012-01-3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장애물 회피가 가능한 영상촬영부가 구비된 항공이미지 영상처리시스템
KR101109649B1 (ko) 2011-11-18 2012-01-3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측면 장애물에 대한 영상촬영부 방호가 가능한 항공이미지 편집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372281B1 (ko) * 2014-02-04 2014-03-11 (주)올포랜드 항공측량정보를 기초로 하고 영상도화를 이용한 수치데이터의 영상처리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464164B1 (ko) * 2014-08-20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1464162B1 (ko) 2014-08-20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상이미지에 적용된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KR101495735B1 (ko) * 2014-06-27 2015-03-02 (주)올포랜드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CN113479146A (zh) * 2021-07-01 2021-10-08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343B1 (ko) 2005-07-29 2005-12-21 제일항업(주) 무선인터넷을 통하여 하천 유역 시설물 정보를 수치지도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하천정보 gis의 구축방법
KR100888721B1 (ko) 2008-04-24 2009-03-17 신명유아이주식회사 지형변화에 대한 자가오류수정이 가능한 수치지도 시스템
KR100887361B1 (ko) 2008-05-13 2009-03-06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KR100960337B1 (ko) 2009-06-15 2010-05-28 주식회사 동서지엔아이 수치정보확인 및 지피에스측정 정보를 이용한 수치지도 업그레이드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6B1 (ko) 2011-11-18 2012-01-3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장애물 회피가 가능한 영상촬영부가 구비된 항공이미지 영상처리시스템
KR101109649B1 (ko) 2011-11-18 2012-01-3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측면 장애물에 대한 영상촬영부 방호가 가능한 항공이미지 편집용 영상처리시스템
KR101372281B1 (ko) * 2014-02-04 2014-03-11 (주)올포랜드 항공측량정보를 기초로 하고 영상도화를 이용한 수치데이터의 영상처리 모니터링 방법이 적용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495735B1 (ko) * 2014-06-27 2015-03-02 (주)올포랜드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응용한 공간영상 도화용 보정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464164B1 (ko) * 2014-08-20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1464162B1 (ko) 2014-08-20 2014-11-24 주식회사 지오스토리 지상이미지에 적용된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CN113479146A (zh) * 2021-07-01 2021-10-08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CN113479146B (zh) * 2021-07-01 2023-09-15 上海市市政公路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建筑近景摄影测量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284B1 (ko) 항공촬영이미지와 수치정보를 합성 처리하는 영상도화시스템
KR101010318B1 (ko) 지리정보를 기준으로 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영상도화용 합성시스템
KR101041190B1 (ko) 지피에스측량을 이용한 중요 지형의 수치지도 정보 보정시스템
KR101008835B1 (ko) 지표면의 기준점 별 지형정보 변화에 따른 실시간 영상도화보정시스템
CN105008179B (zh) 灯光控制装置
US9610891B2 (en) In-vehicle illuminat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ing system
KR101017398B1 (ko) 지형, 지물의 지피에스 좌표가 적용된 수치지도 보정시스템
EP3667614B1 (en) Monitor device and trolley-type vehicle
US8480270B2 (en) Headlamp aiming system
US10227032B2 (en) Vehicle headlamp alignment system and method
WO2020137752A1 (ja) 作業車両
JP2018072686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80019758A (ko)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10242320A1 (en) Image generation apparatus
US20150156389A1 (en) Strobe device, photography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JP2014167552A (ja) 車両用映像表示システム
KR101041186B1 (ko) 지형정보 비교를 통한 수치지도 정보 관리시스템
JP2010018217A (ja)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光軸調整システム
CN109910732B (zh) 移动体用显示装置
JP2013119268A (ja) 車両用表示システム
KR101207471B1 (ko)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 보정용 지아이에스 정보 영상도화처리시스템
KR101298239B1 (ko) 수치지도의 좌표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처리하는 수치지도시스템
CN111376841A (zh) 车道偏离系统的标定方法和装置、及存储介质
JP2014036399A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
JP6159665B2 (ja) 自動車の番号標等の照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