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6236B1 -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6236B1
KR102026236B1 KR1020190060143A KR20190060143A KR102026236B1 KR 102026236 B1 KR102026236 B1 KR 102026236B1 KR 1020190060143 A KR1020190060143 A KR 1020190060143A KR 20190060143 A KR20190060143 A KR 20190060143A KR 102026236 B1 KR102026236 B1 KR 10202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bus
route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옥
Original Assignee
천우항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우항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천우항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6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8G1/13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 후 그에 따른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한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버스 장착 유닛,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도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버스 장착 유닛은 정류장 신호 입력부, 하우징, 저장부, GPS모듈, 제어부, 무선통신모듈, 태양전지패널, 카메라모듈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본 발명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 후 그에 따른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한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지리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지형 및 지리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지리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지리 정보 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수집한 다양한 지리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수치 지도(Digital Map)로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 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GIS는 공공시설이나 상점의 입지 같은 공간적 의사 결정은 물론 시설물의 관리나 재난· 재해 관리,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는 교통 안내 시스템도 GIS 활용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GIS를 기반으로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의 업데이트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3023호(2014.11.19.공고.),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새로운 자료에 의한 영상 업데이트 공간영상 도화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210546호(2012.12.14.공고.),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224082호(2013.01.21.공고.),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노선버스(10)에 설치되되, 노선별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버스(10)들 중 한 대의 노선버스(10)에 설치되며,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명칭에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정류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연계된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 및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버스 장착 유닛(100)과: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210) 및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22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0)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상기 도화이미지 DB(2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 상기 입출력수단(3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320),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330),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340), 상기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50) 및 상기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360)을 포함하는 도화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은 상기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 상기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노선버스(10)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130);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140);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상기 GPS모듈(140)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GPS모듈(140)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상기 GPS모듈(140)의 GPS정보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도화기(3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60); 상기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170); 상기 태양전지패널(170)의 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노선버스(10)가 위치한 도로로부터 인도쪽을 향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180)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17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9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191)의 전원을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모듈(18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도화기(30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서 버스 장착 유닛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챠트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은 버스 장착 유닛(100),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및 도화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버스 장착 유닛(100)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10)에 설치된다. 여기서, 버스 장착 유닛(100)은 설치 비용 및 운용 비용의 절감을 위해 노선별로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버스(10)들 중 한 대의 노선버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 장착 유닛(100)은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명칭에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정류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연계된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 및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버스 장착 유닛(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에서 버스 장착 유닛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2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장착 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장착 유닛(100)은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 하우징(120), 저장부(130), GPS모듈(140), 제어부(150), 무선통신모듈(160), 태양전지패널(170), 카메라모듈(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는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20)은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안쪽 면에 결합된다.
저장부(13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저장부(130)는 노선버스(10)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GPS모듈(14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버스 장착 유닛(100)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5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가 불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GPS모듈(140)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PS모듈(140)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GPS모듈(140)의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통신모듈(160)은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태양전지패널(170)은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한다.
카메라모듈(180)은 태양전지패널(170)의 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카메라모듈(180)은 제어부(150)의 상술한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노선버스(10)가 위치한 도로로부터 인도쪽을 향해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카메라모듈(18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전원공급부(190)는 태양전지패널(17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91)를 포함하며, 충전지(191)의 전원을 버스 장착 유닛(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버스 장착 유닛(100)에서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의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전송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10)을 통해 전송된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30)을 통해 GPS모듈(140)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단계(14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30)을 통해 GPS모듈(140)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GPS모듈(140)의 GPS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5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40)을 통해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의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모듈(180)에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지형지물의 변화가 아니라 해당 노선버스(10)의 노선 변경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17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모듈(180)에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8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70)을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80)의 수행 후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데이터베이스 서버(200)는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210) 및 이러한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220)를 포함한다.
도화기(300)는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 DB(2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 입출력수단(3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320),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330), 버스 장착 유닛(10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340),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버스 장착 유닛(100)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50) 및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화기(300)의 입출력수단(310), 표정처리수단(320) 및 도화수단(330) 등 기본적인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 사용되는 것으로써,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948802호 등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948802호의 해당 구성 등을 통해 이해되면 될 것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노선버스 11 : 루프 패널
100 : 버스 장착 유닛 110 : 정류장 신호 입력부
111 : 기구식 접속부 120 : 하우징
130 : 저장부 140 : GPS모듈
150 : 제어부 160 : 무선통신모듈
170 : 태양전지패널 180 : 카메라모듈
190 : 전원공급부 191 : 충전지
200 : 데이터베이스 서버 210 : 항공촬영이미지 DB
220 : 도화이미지 DB 300 : 도화기
310 : 입출력수단 320 : 표정처리수단
330 : 도화수단 340 : 통신모듈
350 : 디스플레이 수단 360 : 표시 수단

Claims (1)

  1.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노선버스(10)에 설치되되, 노선별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버스(10)들 중 한 대의 노선버스(10)에 설치되며,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명칭에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정류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연계된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 및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에 전송하는 버스 장착 유닛(100):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항공촬영이미지 DB(210) 및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 DB(220)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200):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상기 도화이미지 DB(2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 상기 입출력수단(3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320),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330),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340), 상기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50) 및 상기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360)을 포함하는 도화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은
    상기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 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
    상기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상기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120);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노선버스(10)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130);
    상기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140);
    상기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상기 정류장 신호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노선버스(10)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상기 GPS모듈(140)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GPS모듈(140)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상기 GPS모듈(140)의 GPS정보 및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50);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도화기(300)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160);
    상기 노선버스(10)의 루프 패널(11)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170);
    상기 태양전지패널(170)의 측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50)의 상기 제2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노선버스(10)가 위치한 도로로부터 인도쪽을 향해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모듈(180);
    상기 태양전지패널(17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9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191)의 전원을 상기 버스 장착 유닛(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카메라모듈(18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상기 도화기(30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190060143A 2019-05-22 2019-05-22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6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43A KR102026236B1 (ko) 2019-05-22 2019-05-22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143A KR102026236B1 (ko) 2019-05-22 2019-05-22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6236B1 true KR102026236B1 (ko) 2019-09-27

Family

ID=6809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143A KR102026236B1 (ko) 2019-05-22 2019-05-22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623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8006A (zh) * 2019-10-08 2020-01-24 杭州阳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格的供电单元自动划分方法
KR102095226B1 (ko) * 2019-12-26 2020-04-01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촬영된 지형지물 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230343B1 (ko) * 2020-02-03 2021-03-22 재강전력(주) 어린이보호구역 cctv 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46220B1 (ko)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지아이에스(gis)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관리 수치지도 제작 보정 시스템
KR102462903B1 (ko) * 2022-04-26 2022-11-04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84133B1 (ko) * 2022-04-28 2023-01-06 (주)미도지리정보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494272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영상이미지의 도화를 위해 대상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46B1 (ko) 2012-05-10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224082B1 (ko)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1463023B1 (ko) 2014-09-01 2014-11-19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새로운 자료에 의한 영상 업데이트 공간영상 도화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795010B1 (ko) * 2017-04-14 2017-12-01 대한항업(주)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546B1 (ko) 2012-05-10 2012-12-14 (주)미도지리정보 수치지도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 영상도화 제작시스템
KR101224082B1 (ko) 2012-09-21 2013-01-21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 기반 신규데이터에 따른 영상 업데이트 도화시스템
KR101463023B1 (ko) 2014-09-01 2014-11-19 주식회사 고원항공정보 지아이에스(gis) 기반의 새로운 자료에 의한 영상 업데이트 공간영상 도화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1795010B1 (ko) * 2017-04-14 2017-12-01 대한항업(주) 지피에스(gps) 기준점별 수치지도의 세부정보 갱신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8006A (zh) * 2019-10-08 2020-01-24 杭州阳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格的供电单元自动划分方法
CN110728006B (zh) * 2019-10-08 2023-07-04 杭州阳斯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格的供电单元自动划分方法
KR102095226B1 (ko) * 2019-12-26 2020-04-01 한국항공촬영 주식회사 촬영된 지형지물 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KR102230343B1 (ko) * 2020-02-03 2021-03-22 재강전력(주) 어린이보호구역 cctv 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346220B1 (ko)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지아이에스(gis)를 이용한 실시간 시설물 관리 수치지도 제작 보정 시스템
KR102462903B1 (ko) * 2022-04-26 2022-11-04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84133B1 (ko) * 2022-04-28 2023-01-06 (주)미도지리정보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KR102494272B1 (ko) * 2022-07-22 2023-02-06 주식회사 베스트정보기술 영상이미지의 도화를 위해 대상 지형지물의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236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US20160300389A1 (en) Correlated immersive virtual simulation for indoor navigation
US9097530B2 (en) Method for ensuring continuity of service of a personal navigation device and device thereof
US7305149B2 (en) Image pickup information recognition system
CN112732858A (zh) 路径规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2732857A (zh) 路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05451329B (zh) 一种定位方法及电子设备
JP3830464B2 (ja) 簡易型ナビゲー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26731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방법
CN110455308B (zh) 导航方法、导航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79515A (ko)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안내 정보 제공 장치, 안내 정보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기억 매체
CN110716223A (zh) 车辆定位方法、服务器
KR20190020940A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43405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형지물 변형 편집용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KR20070098103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방법
KR102048570B1 (ko) 지형 변화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 방법
KR102484133B1 (ko) Gis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CN110969704A (zh) 一种基于ar导视的标记生成跟踪方法及装置
KR20010035392A (ko)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리정보 제공 방법
US20130120373A1 (en) Object distribution range setting device and object distribution range setting method
CN110990728A (zh) 兴趣点信息的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089561A (zh) 电子地图更新装置、系统以及方法
KR101839066B1 (ko) 휴대 단말기용 거리뷰 번역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20080107014A (ko)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의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112551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 분야 시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