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903B1 -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903B1
KR102462903B1 KR1020220051258A KR20220051258A KR102462903B1 KR 102462903 B1 KR102462903 B1 KR 102462903B1 KR 1020220051258 A KR1020220051258 A KR 1020220051258A KR 20220051258 A KR20220051258 A KR 20220051258A KR 102462903 B1 KR102462903 B1 KR 10246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case
modu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
최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Priority to KR102022005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본 발명은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소프트웨어의 발전, 정밀 광학 기계 및 레이저 계측기기의 발달 등으로 수치지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기술들이 꾸준히 발전하여 종래 아날로그 방식의 지도 제작은 디지털 방식의 지도 제작으로 급속히 바뀌고 있다.
지도 제작에 있어서 도화란 지리정보를 근거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의 지도를 도시하는 작업을 지칭하는 것으로, 디지털 출력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근래에는 디지털 이미지 또는 3차원 그래픽 이미지로 도시할 수 있게 되면서 실사와 같다는 의미로 공간영상도화라고도 불린다.
이와 같이 공간영상도화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사실적이고 정밀한 지도제작이 가능해졌으며, 지형 및 지리정보의 변화에 따른 공간영상도화 정보의 갱신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발달에 따라 오늘날 지리정보는 대중적인 정보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정확성과 갱신효율이 크게 향상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신뢰도까지 높은 유용한 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한편, 지리 정보 체계(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수집한 다양한 지리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하여 수치 지도(Digital Map)로 작성하고, 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 및 종합하여 제공하는 정보 처리 체계를 말한다.
이러한 GIS는 공공시설이나 상점의 입지 같은 공간적 의사 결정은 물론 시설물의 관리나 재난· 재해 관리,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이용하는 교통 안내 시스템도 GIS 활용 분야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GIS를 기반으로 수치지도 제작을 위한 도화이미지의 업데이트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도화기는,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 입출력수단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 버스장착유닛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표정처리수단은,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는 이미지분석모듈;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보정모듈; 및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버스장착유닛은,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를 통해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신호입력부; 정류장신호입력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며, 노선버스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며, 충전지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정류장신호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GPS모듈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PS모듈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GPS모듈의 GP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탄성지지유닛부는,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클램프부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높낮이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에서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해당 노선버스의 노선을 중심으로 그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 촬영 작업 등을 통해 도화이미지 DB의 해당 도화이미지를 업데이트 후 도화기를 통한 도화 작업을 진행하여 해당 지형지물이 포함된 지역의 수치지도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업데이트하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정처리수단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을 예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영상도화시스템은 버스장착유닛(100), 데이터베이스서버(200) 및 도화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장착유닛(100)은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101)에 설치된다. 여기서, 버스장착유닛(100)은 설치 비용 및 운용 비용의 절감을 위해 노선별로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버스(101)들 중 한 대의 노선버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장착유닛(100)은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노선에 포함된 정류장의 명칭에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 시 해당 정류장을 중심으로 주변 지형지물의 변화 여부를 단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연계된 장치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장치로부터 획득되어 전송되는 영상정보 및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의 수신 대상, 다시 말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이러한 버스장착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210) 및 이러한 촬영이미지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220)를 포함한다.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된 이미지들로서, 위치와 배율 등에 대한 이미지정보를 링크해 저장한다. 도화이미지는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완성된 지상 이미지로서, 이웃하는 도화이미지 간의 경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이미지 간의 배율은 물론 상기 경계에 위한 지상물이미지의 형상을 일체화시킨다.
데이터베이스서버(200)는 도화기(3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도화기(300)는 촬영이미지DB(210)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220)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310), 입출력수단(310)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320),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330), 버스장착유닛(100)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340),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100)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350) 및 통신모듈(340)을 통해 수신된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수단(3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지점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수단(310)에 동시에 출력시키면서 도화 작업자가 도화 작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이미지는 상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310)에 출력하고,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작업한 도화이미지는 하부에 위치한 입출력수단(310)에 출력할 수 있는데, 이와는 반대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항공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모든 입출력수단(310)에 항공촬영이미지를 출력시키고, 이 중 한 곳에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이미지가 오버레이어(Over Layer) 형태로 도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화수단(330)은 표정처리된 항공촬영이미지를 대상으로 도화해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완성된 상기 도화이미지를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정처리수단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표정처리수단(320)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표정처리모듈(325)과, 이미지분석모듈(321)과, 경계확인모듈(322)과, 좌표확인모듈(323)과, 보정모듈(324)을 포함한다.
이미지분석모듈(321)은 표정처리 과정 중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전체 모양을 분석한다.
경계확인모듈(322)은 분석된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고, 더 나아가 상기 지상물이미지 내부의 경계를 확인한다.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는 색깔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경계확인모듈(322)은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경계확인모듈(322)은 지상물이미지(GI, 도 5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는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지상물이미지(GI', 도 6 참조)에서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되는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하는 종경계확인모듈(322b)과, 지상물이미지(GI,GI')의 그림자를 확인하는 그림자확인모듈(322c)과, 항공촬영이미지 내 지상에서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공간을 확인하는 구역설정모듈(322d)로 구성된다.
층경계확인모듈(322a), 종경계확인모듈(322b), 그림자확인모듈(322c) 및 구역설정모듈(322d)에 대한 구성은 후술한다.
좌표확인모듈(323)은 상기 좌표점의 지상물이미지 내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서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해당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여부 또한 확인한다.
보정모듈(324)은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만 통일시켜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정모듈(32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표정처리모듈(325)은 통상적인 표정처리를 진행하는 모듈로서, 후술하는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 처리를 진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동작순서를 순차 도시한 예시적인 순서도이다.
S10 : 내부표정 단계
내부표정(Interior Orientation)은 항공촬영이미지 자체가 지니고 있는 왜곡을 보정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에서 지상을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는 카메라의 특성, 대기의 굴절, 지구의 곡률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왜곡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왜곡으로 항공촬영이미지상에서 왜곡이 없는 경우 (x'a,y'a)의 좌표이어야 할 지점이 왜곡으로 인해서 (xa,ya)의 좌표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왜곡을 갖는 항공사진의 각 좌표 (xa,ya)를 왜곡이 보정된 새로운 좌표 (x'a,y'a)로 재배열시키는 것이 내부표정이다.
아날로그 항공사진의 경우 내부표정을 위해서는 항공사진의 주점을 도화기의 출력 중심에 일치시키고 초점거리를 도화기의 눈금에 맞춘다.
즉, 도화기에서 스캐닝된 영상 좌표와 주점을 기준으로 하는 항공사진 좌표와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도화기(300)를 활용해서 디지털 항공사진에 대한 내부표정 작업은 좌표 정립과 이를 기초로 한 이미지 편집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은 입출력수단(310)에 출력된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표정처리를 디지털 편집처리로 진행한다.
S20: 상호표정 단계
내부표정이 카메라 내부의 광학적 환경을 재현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데 비해 외부표정(Exterior Orientation)은 카메라와 대상 물체 사이의 위치 관계를 규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외부 표정은 다시 그 목적에 따라 상호표정(Relative Orientation) 및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으로 구성된다.
상호표정은 내부표정이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호표정은 입체모델의 좌표를 취득함과 동시에 공액점에 대한 종시차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행된다.
상호표정을 통해 모든 종시차가 소거된 한 쌍의 사진은 완전한 입체모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입체모델은 한쪽 사진을 고정한 상태에서 두 사진의 상대적인 관계를 규정한 것이므로 축척과 수평이 제대로 맞지 않으며 실제의 지형과 정확한 상사 관계를 이루지 못한다.
따라서, 입체모델을 실제의 지형과 맞추기 위해서는 3차원 가상 좌표인 모델좌표를 대상좌표(object space coordinate system)로 변환하는 좌표 변환 과정이 필요하다.
참고로, 상호표정에 쓰이는 요소는 좌우투사기의 x,y,z 각 축 둘레의 회전 ω1,ω2,Ψ1,Ψ2,x1,x2 가운데서 독립된 5개를 취한다.
S30 : 절대표정 단계
상호표정 단계(S20)에서 맞추지 못한 실제 지형과 이미지 간의 축적, 수준치, 수평위치 등에 대한 상사 관계를 맞추기 위해서 절대표정(Absolute Orientation)을 진행한다.
절대표정 시에는 최소 3점의 지상기준점(예를 들어, 표정점의 좌표)을 알아야 하며, 소요되는 점수가 입체 모형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삼각측량을 사용하여 지상기준점 선정 및 측량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항공삼각측량은 지상기준점 측량을 통해 수행된다.
항공삼각측량은 항공사진상에서 무수한 좌표점들을 관측한 다음 소수의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관측된 무수한 좌표점들의 좌표값을 전자계산기를 통해 절대 혹은 측지좌표로 환산하는 방법이다.
이상 설명한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 상호표정 및 절대표정은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에 의해 진행되고, 이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는 균일화 및 규격화되어 실측에 상응하는 축척, 수준치 및 수평위치에 맞도록 처리된다.
도화를 위해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이 항공촬영이미지를 표정처리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의 공지, 공용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각 표정에서 적용되는 연산식과 법칙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화기(300)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모든 좌표점의 좌표값을 무조건 연산하지 않고 지상에서 지정된 위치의 좌표점 또는 지상물이미지 내에서도 지정된 좌표점의 좌표값만을 연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정처리수단(320)은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지상물이미지에서 유효한 좌표점만을 분류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보강된 기능을 통해 도화 과정에서 도화 작업자는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정밀하면서도 정확한 수치지도의 기초가 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할 수 있다.
S40 : 도화단계
표정처리수단(320)에 의해 표정처리가 완료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완성된 도화이미지는 도화이미지DB(22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화기(300)는 항공촬영이미지에 포함된 지상물이미지를 추출하고 절대표정 과정에서 좌표점을 보정하는데, 이에 대한 절대표정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의 절대표정 순서를 순차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1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의 절대표정 처리과정을 제2실시예에 따라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화기를 통해 항공촬영이미지에서 데이터 조정을 위해 지상물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보인 예시적인 이미지이다.
S31 : 이미지 모양 확인단계
표정처리수단(320)의 표정처리모듈(325)은 표정처리를 위한 대상 항공촬영이미지를 촬영이미지DB(210)에서 검색하고, 이미지분석모듈(321)은 검색한 상기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GI,GI')를 구분한다.
이미지분석모듈(321)은 지상물이미지(GI,GI')가 항공촬영이미지의 다른 배경과 구분되도록 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310)으로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픽셀단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1차로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을 확인한다.
즉, 이미지분석모듈(321)은 항공촬영이미지를 색깔을 기준으로 모양을 구분하는 것이다.
S32 : 층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항공촬영이미지가 이루는 모양이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322)은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해서 배경으로부터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항공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지상물이미지(GI)는 평면이미지(10)뿐만 아니라 측면이미지(20)까지 노출된다.
한편, 건축물과 같은 일반적인 지상물은 지면과 접하는 하층경계선(21) 부분과, 평면과 측면이 접하는 상층경계선(11) 부분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이룬다.
한편,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물이미지(GI)의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는 명암 및 실제 색상 차이 등으로 인해서 명확한 경계 차이를 보인다.
결국, 경계확인모듈(322)의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의 배치 패턴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특정 지점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에 반복을 관측하게 되고, 이렇게 관측하게 된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GI)로 1차 추정한다.
따라서,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확인하기 위해서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의 경계라인이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한다.
여기서, 한 쌍의 경계라인 중 폐구간을 이루는 경계라인은 상층경계선(11)으로 보고, 남은 하나의 경계라인은 하층경계선(21)으로 본다.
S33 : 지상물 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322)을 구성하는 층경계확인모듈(322a)은 색깔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경계라인 중 한 쌍이 1차 기준비율 이상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한 쌍의 경계라인들로 둘러싸인 색깔 영역의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1차 추정하나 한 쌍이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하면서 그 중 하나가 폐구간을 이루는 것으로 확인되면, 경계확인모듈(322)을 구성하는 종경계확인모듈(322b)을 구동시켜서 해당 구역의 지상물이미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상물의 상층경계는 옥상에 해당하므로 항공촬영시 간섭없이 전체가 모두 촬영되나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면과 경계를 이루는 부분이므로 항공촬영시 이웃하는 다른 구조물(ex; 조경, 이웃 건물 등)에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지상물의 하층경계는 지상물 자체에 의해 가려져 촬영되지 못할 수 있고, 그림자 등에 의해 간섭될 수도 있다.
결국,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상층경계의 항공촬영이미지인 상층경계선(11) 대비 상기 하층경계의 촬영 이미지인 하층경계선(21)은 2차 기준비율 이하로 평행을 유지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 아닌 것으로 판독될 수 있는 것이다.
S34 : 종경계 확인을 통한 지상물 확인단계
항공촬영이미지내 해당 구역에서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 대비 하층경계선(21)의 평행비율이 지상물이미지의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확인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방향에 대한 모서리 이미지에 해당하는 경계라인인 종경계선(31,32,33)을 확인한다.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는 지상물이미지(GI')에서 측면이미지(20)에 해당하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참고로, 종경계선(31,32,33)의 확인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이 항공촬영이미지로부터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추출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종경계확인모듈(322b)이 항공촬영이미지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명암 및 실제 색상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GI')인 경우엔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은 상층경계선(11)의 꼭지점으로부터 인출되어질 것이다.
결국,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 사이에서 종경계선(31,32,33)을 추출하고, 더불어서 종경계선(31,32,33)이 상층경계선(11)으로부터 인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항공촬영이미지 내 해당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한다.
여기서,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이 서로 나란하면서 동일한 방향으로 인출된 것을 한정해 확인한다.
한편, 해당 구역이 지상물이미지로 2차 추정되면,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확인된 종경계선(31,32,33) 중 가장 긴 종경계선 또는 하층경계선(21)과 접하는 종경계선(31, 32)을 확인한다.
해당하는 종경계선이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의 하층경계의 위치를 상기 종경계선의 말단으로 결정한다.
S35 : 명암확인단계
경계확인모듈(322)의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에 색깔을 확인해서 그림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지상물은 햇빛에 의해 그림자를 자연 형성시키므로 항공촬영시 상기 그림자는 당연 촬영되고, 지상물이미지(GI,GI')에는 그림자이미지가 당연히 형성된다.
따라서, 경계확인모듈(322)의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종경계확인모듈(322b)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확인하고, 기준에 부합하는 그림자이미지가 확인되면 지상물이미지(GI,GI')로 최종 결정한다.
참고로, 항공촬영이미지에서 지상물이미지로 1,2차 추정된 구역을 중심으로 지정된 색상(ex; 암색)의 이미지가 균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었다면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상기 이미지를 그림자이미지로 간주한다.
동일 항공촬영이미지에서는 그림자이미지가 지상물이미지를 중심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밖에 없고, 색상 또한 암색 계열의 동일한 색상을 형성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림자확인모듈(322c)에는 그림자이미지를 구별하도록 그 기준이 입력된다.
결국, 그림자확인모듈(322c)은 입력된 기준에 따라 그림자이미지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림자이미지의 존재가 확인되면 1,2차 추정된 구역을 지상물이미지로 최종 결정한다.
S36 : 구역설정단계
구역설정모듈(322d)은 지상물이미지(GI,GI')로 확정된 상기 구역에서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21)을 기준으로 평면이미지(10)와 측면이미지(20)를 구분한다.
여기서, 하층경계선(21)은 일부만이 확인되는데 반해 상층경계선(11)은 경계라인 전체가 모두가 확인되므로 구역설정모듈(322d)은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 형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서 하층경계선(21)의 형태를 추정할 수 있으며, 더불어 하층경계선(2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항공촬영이미지는 2차원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지상물이미지(GI,GI')가 입체적으로 표현되므로 지상물이미지(GI,GI')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점유하지 않는 위치까지 점유하면서 표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입체적으로 표현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대상이 고층빌딩인 경우, 실제로 위치하지 않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좌표점까지 상기 고층빌딩의 위치로 입력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구역설정모듈(322d)은 층경계확인모듈(322a)에 의해 확인된 지상물이미지(GI,GI')의 평면이미지(10)를 이미지 편집 기술 등을 통해 하층경계선(12)의 해당 구간으로 이동시켜서 미완성 형태의 하층경계선(12)이 상층경계선(11)과 같이 폐구간을 이루는 특정 형상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역설정모듈(322d)은 상층경계선(11) 전체를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키되, 상층경계선(11)과 하층경계선(12) 중 서로 평행하는 부분이 만나도록 한다.
결국, 상층경계선(11)으로 둘러싸인 평면이미지(10)는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층경계선(12)이 위치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일지점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평면이미지(10)의 이미지 편집 방식을 통해서, 구역설정모듈(322d)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물이미지(GI,GI')가 점유하는 항공촬영이미지 내 구역 범위를 확인한다.
S37 : 좌표점 확인단계
좌표확인모듈(323)은 항공촬영이미지 내 구성되는 좌표점을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에 각각 2개의 좌표점(PP2,PP3)이 구성된 것으로 예시한다.
좌표확인모듈(323)의 좌표점 확인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좌표확인모듈(323)은 층경계확인모듈(322a)과 종경계확인모듈(322b)이 확인한 지상물이미지(GI,GI')의 전체 범위와, 구역설정모듈(322d)이 확인한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전체만의 범위에 위치한 각각의 좌표점(PP2,PP3)을 확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서 'PP2' 좌표점과 'PP3' 좌표점이 확인되었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에서 'PP3' 좌표점만이 확인되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PP2' 좌표점은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가 아니고 'PP3' 좌표점만이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임을 확인하였다.
좌표확인모듈(323)은 이러한 기준을 통해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을 'PP3'로 확인한다.
즉, 구역설정모듈(322d)에 의해 지상물이미지(GI,GI')의 하층경계 구역으로 확인된 범위 내에 있는 좌표점만을 해당 지상물이미지(GI,GI')의 유효한 좌표점인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S38 : 좌표점 보정단계
보정모듈(324)은 유효한 좌표점으로 결정된 'PP3' 좌표점을 제외하고, 지상물이미지(GI,GI')의 구역에 위치한 좌표점을 확인해서 삭제하는 보정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당 항공촬영이미지의 데이터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수치데이터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후 수작업 보정과정에서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
S39 : 항공삼각측량단계
표정처리모듈(325)은 항공삼각측량 기술을 기반으로 지상기준점을 이용해서 지상물이미지(GI,GI')의 좌표점(PP3)에 대한 좌표값을 연산하고, 이를 통해 해당하는 수치데이터를 항공촬영이미지에 입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이 노선버스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버스장착유닛에서 제어부의 제어 동작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장착유닛(100)은 정류장신호입력부(110), 하우징(120), 저장부(130), GPS모듈(140), 제어부(150), 무선통신모듈(160), 태양전지패널(170), 전원공급부(190), 탄성지지유닛(700), 회전부(600), 높이조절부(400), 카메라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류장신호입력부(110)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상기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111)를 통해 상기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우징(120)은 정류장신호입력부(110)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101)의 루프패널(102) 안쪽 면에 결합된다.
저장부(13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이러한 저장부(130)는 노선버스(101)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된다.
GPS모듈(140)은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100)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150)는 하우징(120)에 내장되며, 정류장신호입력부(110)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판별 결과가 불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GP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PS모듈(140)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GPS모듈(140)의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상술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한다.
무선통신모듈(160)은 제어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태양전지패널(170)은 노선버스(101)의 루프패널(102)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카메라부(8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전원공급부(190)는 태양전지패널(170)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191)를 포함하며, 충전지(191)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100)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버스장착유닛(100)에서 제어부(150)의 제어 동작의 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노선버스(101)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정류장신호입력부(110)를 통해 제어부(150)에 전송된다.
단계(S12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10)을 통해 전송된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저장부(130)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30)을 통해 GP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20)의 판단 결과 저장부(130)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단계(14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30)을 통해 GPS모듈(140)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GPS모듈(140)의 GPS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5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40)을 통해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하여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의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지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부(800)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별 시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단계(S150)의 판별 결과 수신된 GPS정보 및 저장부(130)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지형지물의 변화가 아니라 해당 노선버스(101)의 노선 변경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단계(S17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60)을 통해 카메라부(800)에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데 따른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단계(S180)에서, 제어부(150)는 단계(S170)을 통해 수신된 영상정보를 무선통신모듈(160)을 통해 도화기(3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단계(S180)의 수행 후 단계(S110)의 이전 단계로 복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유닛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부의 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탄성지지유닛(700)은, 회전모터(610)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610)에 결합되는 클램프부(710)와, 일측부가 클램프부(710)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71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와,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730)와,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00)는 회전모터(610) 및 회전스크류(620)를 구비하며, 상부에 결합된 높이조절부(400) 및 카메라부(8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클램프부(710)는, 회전모터(610)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711a)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711)와, 회전모터(610)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712a)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712)와,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713)와,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를 회전모터(610)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7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클램프바디(711)에는 복수의 제1돌기(711b)가 마련되어 제1클램프바디(711)가 회전모터(610)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클램프바디(712)에도 복수의 제2돌기(712b)가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제2돌기(712b)는 복수의 제1돌기(711b)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클램프바디(711)와 제2클램프바디(712)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에 의해 지지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므로 긴급을 요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713) 없이도 회전모터(61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131)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클램프부(710)의 제1플랜지(711a)와 제2플랜지(712a)에 각각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결합되는 제1스프링(722)과, 한 쌍의 제1탄성지지바디(72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1자석부재(72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외부에서 수용바디(730)의 내부로 전달되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는 자력에 의해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탈착 결합되므로 탈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가 자석이 부착되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지 않는 경우 자석과 부착되는 금속 부재를 클램프부(710), 수용바디(730)에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714)와 제1자석부재(723)는, 알니코 분말 70 내지 89중량% 및 사마리움-코발트 분말 11 내지 30중량%를 혼합하여 자성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자성분말 80 내지 88중량%에 에폭시수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 혼합물인 바인더 12 내지 20중량%를 아세톤에 용해시켜 혼합한 후 건조, 분쇄, 압축 성형 및 경화하여 제조되며 그 두께가 4,000~5,000㎛인 알니코계 복합자석에, 용융염법으로 제조되며 두께가 600~700㎛인 스트론튬-페라이트 자석층이 접합된 이종접합형 복합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종접합형 복합자석을 적용하면, 희토류 자성체 사마리움-코발트 분말을 첨가시켜서 적정 잔류 자속밀도를 유지하면서 보자력을 높여 자기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스트론튬 페라이트 복합자석 층을 접합시킴으로써 더욱 더 높은 보자력을 얻을 수 있다.
수용바디(730)에는, 클램프부(710)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720)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7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는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73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일측부가 수용바디(730)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가 탄성케이스(750)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와,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742)과,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743)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741)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742)을 밀폐하여 제2스프링(742)을 보호하는 주름부(744)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수용바디(730)의 외부에 배치되어 탄성케이스(750)의 외부에서 수용바디(73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수용바디의 내부에서는 물론 수용바디의 외부에서 회전부(6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충시킬 수 있어 회전부(600)를 더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740)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7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745)는 각각의 제2탄성지지부(740)를 연결하므로 제2탄성지지부(74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의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커버부가 하부로 이동되어 결합바가 결합홈에 치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바디가 카메라바디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부(800)는 제어부의 제2제어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노선버스가 위치한 도로로부터 인도쪽을 향해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800)는, 카메라바디(810)와, 그 상부는 카메라바디(810)의 하부에 카메라바디(810)와 경사지게 탈착 결합되며 그 상부는 높이조절부(400)에 탈착 결합되는 탈착바디(820)와,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와 연결되어 카메라커버부(8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면에 마련되는 카메라렌즈(811)와, 카메라바디(810)의 측부에 마련되어 카메라커버부(830)와 카메라커버구동부(840)가 서로 접하는 영역을 덮는 보호커버(812)와, 카메라바디(810)의 하단에 마련되며 탈착바디(820)가 분리 시 카메라바디(810)를 높이조절부(400)에 결합시키는 제1결합플랜지(813)와, 보호커버(812)와 근접되게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결합홈(814)과, 카메라바디(810)의 일측부(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부)에 마련되며 카메라커버부(830)의 외벽과 접촉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지지기어(815)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카메라바디(810)는 탈착바디(820)와 분리될 수 있고, 카메라바디(810)만을 제1결합플랜지(813)를 이용하여 높이조절부(400)에 볼트 또는 용접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바디(810)의 하부면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별도의 구조없이도 카메라바디(810)를 높이조절부(400)에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촬영각을 사용자가 각도로 손쉽게 가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기어(815)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이와 기어 맞물림되어 카메라커버부(830)의 상하 이동할 때 카메라커버부의 궤적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탈착바디(820)는 탈착바디(820)의 하부에 마련되어 높이조절부(400)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되는 제2결합플랜지(821)와, 탈착바디(820)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탈착바디(820)를 상기 카메라바디(810)에 결합시키는 볼트 부재의 결합 장소로 제공되는 체결홀(822)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홀(822)의 상단부에는 볼트 부재의 헤드가 지지되는 단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커버부(830)는, 카메라바디(810)의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게 마련되며 카메라바디(810)의 상부를 덮어 카메라바디(810)로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킴과 아울러 외부 이물질이 카메라바디(8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메라커버바디(831)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부에 마련되는 투명부(832)와,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부에 마련되어 결합홈(814)에 결합되는 결합바(833)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카메라커버바디(831)는 카메라바디(810)의 외벽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카메라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카메라바디(8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바(833)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하 이동 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완전히 치합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카메라가 환경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 과다하게 흔들릴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투명부(832)는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카메라렌즈(811)의 촬상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물질이 카메라렌즈(8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커버구동부(840)는,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구동모터(841)와, 구동모터(841)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카메라커버바디(831)의 외벽에 마련된 기어와 기어 맞물림 되어 카메라커버바디(831)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어(842)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되는 제어모듈(미도시)에 의해 외부 환경이나 태양의 조도, 운행 등에 따라 카메라커버구동부(840)를 작동시켜 카메라렌즈(811)의 노출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조사되는 빛이 강한 경우 카메라커버부(830)가 카메라렌즈(811)를 더 덮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작업 환경이 좋지 못할 때에는 카메라커버부(8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카메라커버부(830)에 마련된 결합바(833)를 카메라바디(810)에 마련된 결합홈(814)에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급밸브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400)는 회전부(600)의 상부에 설치되며, 높이케이스(410), 높이로드(420), 높이조절판(430), 유압펌프(440) 및 공급밸브(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높이케이스(4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높이케이스(410)의 내부에는 유체(예를 들어, 오일 등)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로드(420)는 높이케이스(4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높이로드(420)의 상단에는 카메라부(800)가 결합된다. 높이로드(420)가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카메라부(800)도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높이조절판(430)은 높이로드(420)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420)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4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유압펌프(440)는 높이케이스(410)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44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440)가 높이조절판(43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43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430) 및 높이로드(420)는 상승되고, 유압펌프(440)가 높이조절판(430) 상부의 유체 압력이 높이조절판(43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더 높아질 수 있도록 작동되면, 높이조절판(430) 및 높이로드(420)는 하강된다.
이때, 상기 높이로드(420)의 승강이 반복됨에 따라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온도가 점차 올라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밸브(500), 제1열교환기(450) 및 제2열교환기(460)를 추가로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급밸브(500)는 일측이 높이케이스(4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450)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45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450)와 연결된 제1열교환유로(451)와 접하는 높이케이스(410)의 내측에는 역류방지판(411)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판(411)은 높이케이스(410)의 내측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가 제1열교환기(450)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급밸브(500)는 밸브케이스(510), 공급유로(520), 제1이동부(530), 중간유로(540), 제2이동부(550), 제1배출유로(560) 및 제2배출유로(570)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18의 (a)는 제1개폐유닛(534)이 중간유로(540)를 폐쇄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의 (b)는 제1개폐유닛(534)이 중간유로(54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의 (c)는 제2개폐유닛(554)이 제2배출유로(570)를 개방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밸브케이스(510)는 내부가 온도감지실(511) 및 유체배출실(512)로 구획되어 있다. 온도감지실(511)의 하단에는 온도감지실(511)과 높이케이스(4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520)가 형성되고, 온도감지실(511)의 상단에는 온도감지실(511)과 유체배출실(512)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540)가 형성된다. 유체배출실(512)의 상단 좌측에는 유체배출실(512)과 제1열교환기(450)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560)가 형성되고, 유체배출실(512)의 상단 우측에는 유체배출실(512)과 제2열교환기(460)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57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530)는 온도감지실(511)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고, 제2이동부(550)는 유체배출실(512)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511)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1이동부(530)는, 온도감지실(511)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531), 제1이동케이스(53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532), 제1이동로드(5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540)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534) 및 제1이동케이스(531)와 제1개폐유닛(534)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53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감지실(5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하일 경우, 도 18(a)에 도시된 것처럼 제1개폐유닛(534)은 제1이동스프링(5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540)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되지 않고,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는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높이조절부(40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도감지실(511)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일 경우, 도 18(b)에 도시된 것처럼 제1이동케이스(53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1이동로드(532)를 우측으로 밀고, 제1개폐유닛(534)은 제1이동스프링(53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유로(540)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중간유로(540)를 통과한 유체는 제1배출유로(560)를 통과하여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된다.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1열교환유로(451)를 통해 높이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중간유로(540)와 제1배출유로(56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유체가 더욱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개폐유닛(554)은 제1배출유로(560)와 제2배출유로(570) 사이에 배치되어 유체가 제1배출유로(5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570)는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 제2이동부(550)는, 유체배출실(512)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551), 제2이동케이스(55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552), 제2이동로드(5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570)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554) 및 제2이동케이스(551)와 제2개폐유닛(5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553)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배출실(5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1온도(예를 들어, 40도) 이상이고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하일 경우, 도 18(b)에 도시된 것처럼 제2개폐유닛(554)은 제2이동스프링(5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배출유로(560)와 제2배출유로(570) 사이에 배치되고, 유체는 제1배출유로(560)는 통과할 수 있지만 제2배출유로(570)는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유체배출실(512) 내부로 유입된 유체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예를 들어, 80도) 이상일 경우, 도 18(c)에 도시된 것처럼 제2이동케이스(551) 내부의 왁스는 팽창하여 제2이동로드(552)를 우측으로 밀고, 제2개폐유닛(554)은 제2이동스프링(553)의 탄성복원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배출유로(570)를 개방한다.
즉, 상기 제1이동케이스(53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 팽창하고, 제2이동케이스(551) 내부의 왁스는 미리 설정된 제1온도 이상일 때에는 팽창하지 않으며 제2온도 이상일 때 팽창한다.
이에 따라, 제1배출유로(560)를 통과한 유체는 제1열교환기(450)로 전달되고, 제2배출유로(570)를 통과한 유체는 제2열교환기(460)로 전달되며, 제2열교환기(460)로 전달된 유체는 외부와 열교환을 통해 온도가 낮아지고, 다시 제2열교환유로(461)를 통해 높이케이스(410)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높이케이스(410) 내부의 유체가 미리 설정된 제2온도 이상으로 고온일 경우 제1열교환기(450)와 제2열교환기(460)를 통해 열교환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더 빨리 냉각된 유체를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버스장착유닛 101 : 노선버스 102 : 루프패널
110 : 정류장신호입력부 120 : 하우징 130 : 저장부
140 : GPS모듈 150 : 제어부 160 : 무선통신모듈
170 : 태양전지패널 190 : 전원공급부 200 : 데이터베이스서버
210 : 촬영이미지DB 220 : 도화이미지DB 300 : 도화기
310 : 입출력수단 320 : 표정처리수단 321 : 이미지분석모듈
322 : 경계확인모듈 322a : 층경계확인모듈 322b : 종경계확인모듈
322c : 그림자확인모듈 322d : 구역설정모듈 323 : 좌표확인모듈
324 : 보정모듈 325 : 표정처리모듈 330 : 도화수단
340 : 통신모듈 350 : 디스플레이수단 360 : 표시수단
400 : 높이조절부 410 : 높이케이스 411 : 역류방지판
420 : 높이로드 430 : 높이조절판 440 : 유압펌프
450 : 제1열교환기 451 : 제1열교환유로 460 : 제2열교환기
461 : 제2열교환유로 500 : 공급밸브 510 : 밸브케이스
511 : 온도감지실 512 : 유체배출실 520 : 공급유로
530 : 제1이동부 531 : 제1이동케이스 532 : 제1이동로드
533 : 제1이동스프링 534 : 제1개폐유닛 540 : 중간유로
550 : 제2이동부 551 : 제2이동케이스 552 : 제2이동로드
553 : 제2이동스프링 554 : 제2개폐유닛 560 : 제1배출유로
570 : 제2배출유로 600 : 회전부 610 : 회전모터
620 : 회전스크류 700 : 탄성지지유닛 710 : 클램프부
711 : 제1클램프바디 711a : 제1플랜지 711b : 제1돌기
712 : 제2클램프바디 712a : 제2플랜지 712b : 제2돌기
713 : 체결부 714 : 클램프자석부재 720 : 제1탄성지지부
721 : 제1탄성지지바디 722 : 제1스프링 723 : 제1자석부재
730 : 수용바디 740 : 제2탄성지지부 741 : 제2탄성지지바디
742 : 제2스프링 743 : 제2자석부재 744 : 주름부
745 : 연결부재 750 : 탄성케이스 800 : 카메라부
810 : 카메라바디 811 : 카메라렌즈 812 : 보호커버
813 : 제1결합플랜지 814 : 결합홈 815 : 지지기어
820 : 탈착바디 821 : 제2결합플랜지 822 : 체결홀
830 : 카메라커버부 831 : 카메라커버바디 832 : 투명부
833 : 결합바 840 : 카메라커버구동부 841 : 구동모터
842 : 구동기어

Claims (1)

  1.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노선버스에 설치되는 버스장착유닛; 항공촬영이미지가 저장되는 촬영이미지DB 및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화이미지가 저장되는 도화이미지DB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및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여 도화 작업을 수행하는 도화기; 를 포함하되,
    상기 도화기는,
    촬영이미지DB의 항공촬영이미지와 도화이미지DB의 도화이미지를 입출력하는 입출력수단; 입출력수단과 연동하여 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수단; 도화작업을 진행하는 도화수단; 버스장착유닛을 통해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모듈;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버스장착유닛의 영상정보를 화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 및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표정처리수단은,
    항공촬영이미지 내에서 지상물이미지를 구분하는 이미지분석모듈; 항공촬영이미지의 색깔을 분석해서 이를 기준으로 지상물이미지와 그 경계를 확인하는 경계확인모듈; 좌표점이 지상물이미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동일 지상물이미지 내에 좌표점들이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좌표확인모듈; 지상물이미지 내 2개 이상의 좌표점을 지정된 좌표점으로 통일시켜 항공촬영이미지의 수치데이터가 표정처리 과정에서 일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보정모듈; 및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내부표정과 외부표정을 처리하는 표정처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장착유닛은,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에 병렬 접속되어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출력단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구식접속부를 통해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류장신호입력부; 정류장신호입력부를 외부에 노출하는 상태로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안쪽 면에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에 내장되며, 노선버스의 노선에 포함되는 정류장들의 정보가 그 명칭 정보 및 GPS좌표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방식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버스장착유닛의 GPS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GPS모듈; 하우징에 내장되는 제어부; 제어부를 통해 출력되는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도화기에 전송하는 무선통신모듈;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바깥쪽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태양전지패널; 태양전지패널에서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며, 충전지의 전원을 버스장착유닛의 전기적 구성들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노선버스의 루프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탄성지지유닛; 하부가 탄성지지유닛에 수용되어 탄성 지지되며, 회전모터 및 회전스크류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부; 및 높이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카메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정류장신호입력부로부터 전송되는 노선버스의 정류장 안내방송 신호의 수신 시마다 저장부에 저장된 정류장의 명칭 정보와 비교하여 저장부의 노선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인지 판별하고, 불일치하는 정보로 판별 시 GPS모듈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여 GPS모듈로부터 제공되는 GP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PS좌표정보를 비교 후 GPS모듈의 GPS정보 및 저장부에 저장된 GPS좌표정보가 사전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있을 시 해당 정류장 주변의 지형지물 변화로 판단하여 제2제어신호를 출력함과 함께 지형지물 확인 요청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탄성지지유닛은,
    회전모터의 외벽을 감싸도록 회전모터에 결합되는 클램프부; 일측부가 클램프부에 탈착 결합되어 클램프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 클램프부와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가 내부에 수용되며, 복수의 제1탄성지지부의 타측부가 탈착 결합되고 탄성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용바디; 및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어 수용바디를 탄성지지하는 복수의 제2탄성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회전모터의 일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1플랜지가 마련된 제1클램프바디; 회전모터의 타측부를 둘러싸며 양단부에 제2플랜지가 마련된 제2클램프바디; 서로 마주보는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에 결합되어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에 마련되어 자력으로 제1클램프바디와 제2클램프바디를 회전모터에 부착시키는 복수의 클램프자석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탄성지지부는,
    일측부는 수용바디의 외벽에 탈착 결합되고 타측부는 탄성케이스의 내벽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 양단부가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제2스프링;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제2자석부재; 및 한 쌍의 제2탄성지지바디에 양단부가 결합되어 제2스프링을 밀폐하는 주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회전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높이케이스; 높이케이스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높이로드; 높이로드의 측부에 결합되어 높이로드의 외측면과 높이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조절판; 높이케이스와 연결되어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및 일측이 높이케이스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열교환기와 연결되며, 높이케이스 내부의 유체를 선택적으로 제1열교환기에 공급할 수 있는 공급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밸브는,
    내부가 온도감지실 및 유체배출실로 구획되어 있는 밸브케이스; 온도감지실과 높이케이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유로;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어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이동부; 온도감지실과 유체배출실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유로;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어 온도감지실로부터 공급된 유체의 온도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2이동부; 유체배출실과 제1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1배출유로; 및 유체배출실과 제2열교환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배출유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는,
    온도감지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1이동케이스; 제1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1이동로드; 제1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간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유닛; 및 제1이동케이스와 제1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이동부는,
    유체배출실 내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왁스가 봉입된 제2이동케이스; 제2이동케이스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2이동로드; 제2이동로드의 단부에 결합되어 제2배출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유닛; 및 제2이동케이스와 제2개폐유닛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0220051258A 2022-04-26 2022-04-26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46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58A KR102462903B1 (ko) 2022-04-26 2022-04-26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58A KR102462903B1 (ko) 2022-04-26 2022-04-26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903B1 true KR102462903B1 (ko) 2022-11-04

Family

ID=8404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58A KR102462903B1 (ko) 2022-04-26 2022-04-26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여 신규 데이터를 갱신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6236B1 (ko) * 2019-05-22 2019-09-27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06009B1 (ko) * 2020-05-11 2021-01-21 (주)스페이스 공간영상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도화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802B1 (ko) * 2018-11-02 2019-02-18 제일항업(주)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026236B1 (ko) * 2019-05-22 2019-09-27 천우항측 주식회사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신규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06009B1 (ko) * 2020-05-11 2021-01-21 (주)스페이스 공간영상도화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도화시스템
KR102333010B1 (ko) * 2021-07-02 2021-12-01 주식회사 지오앤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010B1 (ko) Gis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4330074B (zh) 一种智能测绘平台及其实现方法
KR102027932B1 (ko) 초정밀 영상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과 분석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101347260B1 (ko) 촬영이미지별 수치데이터 합성을 처리하는 영상도화이미지 제작시스템
US7187401B2 (en) System and a method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and restitution of an object
US7773799B2 (en) Method for automatic stereo measurement of a point of interest in a scene
KR102408570B1 (ko) 3차원으로 건물의 입체 외곽선을 자동 도화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1347248B1 (ko) 수치지도 수정제작 정확도 확보를 위한 기준점 조정 및 gps 정보 기반을 활용한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948802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합성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KR102259752B1 (ko) 고해상도의 촬영이미지를 구현하는 항공촬영 운용시스템
KR102260074B1 (ko) 영상이미지로부터 도화이미지를 쉽고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KR102527648B1 (ko) Gis의 정보를 기반으로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CN106204656A (zh) 基于视频和三维空间信息的目标定位和跟踪系统及方法
CN106097300A (zh) 一种基于高精度运动平台的多相机标定方法
KR101804937B1 (ko) 고정밀 항공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RU220414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ртографии источников излучения
CN104704424A (zh) 基础设施测绘系统和方法
CN110487253A (zh) 一种基于多旋翼无人机高精度不动产测量方法
KR101813205B1 (ko) 기준점과 항공 촬영 이미지를 합성한 공간영상도화 제작시스템
CN109903382B (zh) 点云数据的融合方法及装置
CN108053474A (zh) 一种新型城市三维建模控制系统及方法
CN105953777A (zh) 一种基于深度图的大比例尺倾斜影像测图方法
Cappelletti et al. Forensic engineering surveys with UAV photogrammetry and laser scanning techniques
CN116883604A (zh) 一种基于天、空、地影像的三维建模技术方法
KR102124841B1 (ko) 항공촬영된 영상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공간영상도화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