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926A -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926A
KR20100041926A KR1020080100969A KR20080100969A KR20100041926A KR 20100041926 A KR20100041926 A KR 20100041926A KR 1020080100969 A KR1020080100969 A KR 1020080100969A KR 20080100969 A KR20080100969 A KR 20080100969A KR 20100041926 A KR20100041926 A KR 2010004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erminal device
location
photograph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1926A/ko
Publication of KR2010004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장치에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을 개시한다. 단말장치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는 위치확인 서버로 전송된다. 위치확인 서버는 수신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가장 일치율이 높은 구조물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해당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간의 3차원 벡터차 또는 이미지의 스케일을 비교하여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는 해당 단말장치 또는 제3자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촬영 영상을 전송한 단말장치의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GPS장비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또는 GPS 측위가 지원되지 않는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아울러, GPS장비를 구비한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GPS장비에 의한 위치정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위치확인, 단말, 이동통신

Description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Confirmation Service, and Method for Creating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본 발명은 위치 확인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장치에 대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주위 영상을 분석하여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GPS 측위가 지원되지 않는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GPS장비를 구비한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GPS장비에 의한 위치정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영상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과 위성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이동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이동체의 위치를 측정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산업의 규모가 계속하여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위치측정은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는바, 예컨대, 개인의 이동통신 단말기, 보행자가 소지하거나 또는 차량에 장착되는 네비게이터 등을 포함한 다수의 무선 단말기가 존재한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의 위치측정 방식의 예로서는 기지국 기반의 위치측정 방식,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한 위치측정 방식을 포함한 다양한 측정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측정방식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일예로서, GPS장비가 설치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GPS 측위를 사용할 수 없는 실내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가입자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동통신단말이 속해 있는 기지국 정보에 의존한 부정확한 위치 정보만을 제공하여 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기지국에 의한 위치 조회는 실제로 위치 확인 대상 이동통신단말이 존재하는 위치보다 몇 Km씩 이탈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조회되는 경우가 있어서, 위치 확인 서비스 이용자에게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GPS장비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의 경우에도, GPS장비의 성능이나 사용환경에 따라 위치측정의 정확도에 한계가 있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말장치에 대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주위 영상을 분석하여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GPS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GPS 측위가 지원되지 않는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GPS장비를 구비한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GPS장비에 의한 위치정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영상분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구조물의 이미지가 포함된 촬영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출된 촬영 영상 데이터를 위치확인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미리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 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확인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은, 단말장치가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a); 상기 무선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확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c);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미리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d); 및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버는,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소정 지역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 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위치확인 서버에서의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은, 소정 지역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단계(a);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수신한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c); 및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이미지 간의 중심축의 크기비율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좌표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주위 지도 정보에 표시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위치정보 생성 방법은,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상기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에 있어서 모서리의 길이 비율의 변화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좌표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주위 지도 정보에 표시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대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주위 영상을 분석하여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주므로, GPS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GPS 측위가 지원되지 않는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GPS장비를 구비한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GPS장비에 의한 위치정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 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 무선통신 장치(20), 통신망(30), 교환장치(40), 위치확인 서버(50) 및 데이터서비스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영상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모든 단말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영상데이터의 전송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 또는 중계기 등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무선통신 장치(20)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단말장치(10)가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에는 무선통신 장치(20)에 의해 형성되는 통화 권역 내에서 통신한다.
단말장치(1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위치를 확인해 줄 것을 요청하기 위한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무선통신 장치(20)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위치 확인에 사용하기 위해 단말장치(10) 주위의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무선통신 장치(20)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영상 분석에 의한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단말장치(1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무선통신 장치(20)는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와 무선 통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통신 장치(20)는 무선통신에 이용되는 모든 통신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는 바, 예컨대, 단말장치(10)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는 중계기,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데이터 서비스 노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있어서는 지그비, 블루투쓰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기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통신 장치(2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며,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 확인 정보를 단말장치(10)에 전송한다.
또한, 무선통신 장치(20)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을 할 때, 자신의 식별정보를 함께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망(30)은 무선통신 장치(20)와 함께, 단말장치(10)와 위치확인 서버(50) 간에 이미지 데이터 및 위치정보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개역할을 수행한다.
교환장치(40)는, 예컨대, 단말장치(10)가 영상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영상통화 경로를 형성한다. 이 경우, 단말장치(10)와 위치확인 서버(50)간에 전송되는 영상 요청 메시지와 촬영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교환장치(40)에 의해 형성된 영상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는 영상통화가 가능한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영상통화를 수행하면서, 상기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단말장치(10)에 대한 위치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교환장치(40)에 의해 형성된 영상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위치확인에 필요한 데이터를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고, 상기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 역시 교환장치(40)에 의해 형성된 영상통화 경로를 이용하여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와 함께 주위 촬영 영상이 수신되었으면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자체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장치(1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단말장치(1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위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a, 10b)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만을 수신하였으면 해당 단말장치(10a, 10b)에 주위 촬영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서 단말장치(10a, 10b)로부터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받아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자체의 위치기반 3차원 영상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장치(10a, 10b)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여 단말장치(10a, 10b)에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위치확인을 요청하는 단말장치는 위치확인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위치확인의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의 사용자가 아닌 제3자의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단말장치(10)의 위치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자의 단말장치는 무선 단말장 치뿐만 아니라 유선 단말장치이라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위치확인 서버(50)의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부(52)는 통신망(30)을 통해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 또는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10)의 위치확인을 요청하는 위치확인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장치(10) 또는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2)를 통해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로부터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위치확인을 요청한 단말장치로 확인된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52)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 및 주위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영상 분석 위치 확인 서비스에 필요한 제반 데이터를 수신함과 아울러 영상 요청 메시지 및 위치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통신부(52)는 데이터서비스부(60)와 연동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단말장치(10)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과 아울러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영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전송하며, 위치 정보를 단말장치(10)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52)는 다른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b)의 위치 확인을 요청한 경우, 해당 단말장치(10)에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장치(10)로부터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가 영상 통화중이면 교환장치(40)에 의해 형성되는 영상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통해서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가 영상 통화중이 아니면 데이터서비스부(60)와 연동하여 데이터 전송 경로를 통해 다른 단말장치(10b)에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과 아울러 단말장치(10b)로부터의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4)는,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촬영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이미지 데이터로서, 소정 지역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4)는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구체적으로는, 건물 외형 및 건물 실외 부착물(간판, 부착글자를 포함) 등의 실외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영상데이터에 해당하는 실외 3차원 구조물 영상 데이터와, 건물 내의 내부구조물 및 건물 실내 부착물(간판, 부착글자를 포함) 등의 실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영상 데이터에 해당하는 실내 3차원 구조물 영상 데이터와, 실외 및 실내 구조물들에 대한 현실세계에서의 위치 좌표 정보에 해당하는 위치 좌표 데이터 등이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54)는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로서, 해당 구조물이 위치한 영역을 관리하는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즉, 각 무선통신 장치가 관리하고 있는 영역 내에 어느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 는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이로써, 특정 무선통신 장치의 관리영역에 위치한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검색대상이 되는 구조물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특정 무선통신 장치의 영역 내에 위치한 구조물에 대한 데이터로 한정할 수가 있다.
프로세서(56)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통신부(52)를 통해 수신한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와 일치율이 가장 높은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구조물에 대하여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위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56)는 통신부(52)를 통해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로부터의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로부터 검출한다.
이 경우에, 주위 촬영 영상과 함께 수신된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무선통신 장치(20) 주위의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수신된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와 연계된 것으로 저장되어 있는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만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신속한 검출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장치(10)가 GPS 수신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경우 에는, 단말장치(10)는 1차적으로 GPS 기반의 위치측정을 통해 단말장치(10)에 대해 일정 오차 범위를 갖는 GPS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단말장치(10)의 주위 촬영 영상과 함께 위치확인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확인서버(5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GPS 위치정보를 근거로 하여, 그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구조물로 검색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단말장치(10)가 관성측정장치(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구비한 경우,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과 비교할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선택함에 있어서, 관성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단말장치(10)의 이동 거리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건물 내에서 단말장치(1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단말장치(10)는, 위치정보가 파악된 건물의 출입구에서부터 관성측정장치를 통해 측정된 단말장치(10)의 이동거리 정보를 주위 촬영 영상과 함께 위치확인 서버(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위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단말장치(10)의 이동거리 정보를 근거로 하여, 그에 해당하는 영역 내에 위치한 구조물로 검색대상을 한정할 수 있다.한편,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로부터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 통신부(52)를 통해 재촬영 영상을 요구하기 위한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 재요청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단말장치(10)로부터 재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 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로부터 검출하는 처리를 재수행한다.
프로세서 (56)는 이와 같이 주위 촬영 영상을 재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와 비교하였음에도 불구 하고 일치하는 주위 촬영 영상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영상 분석에 의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기존의 GPS 방식이나 셀 기반 방식에 의거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여 단말장치(10)에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a,10b)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후에,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이미지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을 촬영한 해당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하고,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 크기와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 크기의 차이로부터 해당 쵤영 구조물과 단말장치(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에, 촬영 영상에 수록된 건물 실내외 부착물에 해당하는 촬영 구조물(예컨대, 간판)을 추출함으로써, 해당 추출된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거 리를 보다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구조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건물 내부나 외벽에 설치된 간판, 안내표지, 장식물, 조명장치 등과 같은 특징적인 장식물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6)는, 건물의 내부나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안내표지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간판이나 안내표지의 형태 자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또는 간판이나 안내표지에 기재된 텍스트의 문자열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한편, 예시적으로, 간판이나 안내표지의 형태 자체를 기준으로 구조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의 RGB 값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구조물 이미지의 RGB 값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구조물의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또한, 프로세서(56)는 데이터베이스(54)의 위치 좌표 데이터로부터 해당 촬영 구조물의 실제 위치 좌표를 검출하고, 해당 촬영 구조물의 실제 위치 좌표에 해당 측정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추정한 단말장치(10)가 존재하는 추정 위치 좌표와 해당 촬영 구조물의 주위 지도(map) 정보를 함께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함으로써 위치 확인 요청한 단말장치(10)에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알려준다.
한편,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을 함께 전송하지 않았으면, 위 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에 영상을 송부할 것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장치(10)는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위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의 카메라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확인서버(50)는 단말장치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단말장치(10)의 카메라 렌즈의 방향이나 촬영배율(zoom)이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지를 질의한다. 자동 조절이 가능한 경우, 위치확인서버(50)는 미리 설정된 촬영 기준에 따라, 단말장치(10)의 카메라 렌즈의 방향이나 촬영배율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여러 촬영각도 및 여러 촬영배율로 구조물을 촬영하도록 단말장치(10)를 제어한다.
자동 촬영시 미리 설정되는 촬영 기준으로서, 예컨대, 건물 외벽에 설치된 간판이나 장식물 등이 촬영이미지 전체에 포함되도록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간판 등에 기재된 텍스트가 정확하게 인식될 수 있도록 카메라 렌즈의 배율을 조절하는 등과 같은 기준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장치(10)의 자동촬영 기능은,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때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을 함께 전송하지 않은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단말장치(10)의 자동촬영 기능은,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 주위 촬영 영상의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을 위치확인 서버(50)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지 못 한 경우, 보다 정확한 주위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반면, 해당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단말장치의 화면에 주위 구조물 촬영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케 하여서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을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장치(10)는 위치 확인 요청하여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화면에 지도와 함께 해당 단말장치(10)가 존재하는 위치를 표시하여 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는 통신부(11), 저장부(12), 표시부(13), 키입력부(14), 제어부(15), 음성입출력처리부(16) 및 카메라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을 수행하되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 주위 촬영 영상 등의 데이터를 무선통신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고,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요청 메시지 및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통해 수신한다.
저장부(12)는 해당 단말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반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되,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함과 아울러 촬영한 주위 영상을 전송하여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3)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해당 단말장치(10)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되,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부(14)는 해당 단말장치(10)의 구동을 지시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버튼 키 또는 터치패널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입력부(14)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는 제어부(15)에 전달된다.
제어부(15)는 저장부(1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장치(10)의 구동을 제어하되, 위치확인 서버(50)에 위치 확인 요청함과 아울러 촬영한 주위 영상을 전송하여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반 처리를 제어한다.
음성입출력처리부(16)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통화시에 입출력되는 음성을 처리하며, 카메라부(17)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다. 카메라부(17)는 단말장치(10)에 반드시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평소에는 분리되어 있다가 촬영을 할 때에만 일시적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의 제어부(15)는 위치 확인 요청 이 있으면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이 때, 해당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의 전송 전에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카메라부(17)를 통해 주위 구조물을 촬영한 경우에는 해당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의 전 송과 함께 주위 촬영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의 전송 전에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 구조물을 촬영하지 않은 경우에는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영상을 보내줄 것을 요청하는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 구조물을 촬영하여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카메라부(17)에 의해 촬영한 주위 구조물의 영상을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는 경우, 무선통신 장치(20)와 통신하면서 획득한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번호를 함께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번호는 무선통신 장치(20)가 자체적으로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도록 구성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장치(10)가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카메라부(17)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표시부(13)의 화면에 주위 구조물 촬영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입력부(14)를 통해 카메라부(17)를 수동 조작함으로써 직접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케 하여서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을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한편,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에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 주위 촬 영 영상을 전송한 경우라도, 위치확인 서버(50)에서 일치하는 영상이 검색되지 않음에 기인하여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재촬영 영상을 요청하는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카메라부(17)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위치확인 서버(50)로 재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10)로서 이동통신단말 이외의 다른 단말장치를 적용할 수도 있는데,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과 무선통신 장치(20)와 통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단말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말장치(1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치 확인 요청하는 경우 해당 단말장치(10)는 통신부(11)를 통해 무선통신 장치(20)에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무선통신 장치(20)는 해당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단계 S111).
이때, 단말장치(10)가 사전에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위치 확인 요청한 경우에(단계 S113), 무선통신 장치(20) 및 데이터서비스부(60)를 경유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 식별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15).
그리고, 단말장치(10)가 사전에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 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확인 요청한 경우에(단계 S113), 위치확인 서버(50)는 해당 단말장치(10)로부터의 위치 확인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주위 촬영 영상을 전송할 것을 요청하기 위한 영상 요청 메시지를 단말장치(10)에 전송한다(S117).
이에, 단말장치(10)는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생성한 주위 촬영 영상을 무선통신 장치(20) 및 데이터서비스부(60)를 경유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되, 이 때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단계 S119).
이와 같이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의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카메라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고, 해당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단말장치의 화면에 주위 구조물 촬영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케 하여서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을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그리고,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되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해당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무선통신 장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무선통신 장치(20) 주위의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비교한다(단계 S121).
그리고, 상기 S121의 비교를 통해,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이 데이터베이스(54)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23).
상기 S123의 확인과정을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단말장치(10)에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였는지 여부, 즉 재촬영 요청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31).
만약, 단말장치(10)에 재촬영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10)에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재촬영 영상의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S133). 이에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재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서(단계 S135), 상술한 단계 S121, 즉,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영상과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을 비교하는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31에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치(10)에 재촬영 요청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재촬영 요청을 다시 하지 않고, 또한 영상 분석에 의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기존의 GPS 방식이나 셀 기반 방식에 의거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여 단말장치(10)에 해당 단말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137).
또한, 상술한 단계 S123에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 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영상 이미지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해당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한다(단계 S125).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61)에 수록되어 있는 건물 실내외 부착물에 해당하는 간판 구조물의 영상 프레임 이미지(63)을 추출하고, 해당 간판 구조물에 대한 촬영 영상 프레임 이미지(63)를 3차원 공간상으로 투영시킨다. 한편,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된 일치하는 간판 구조물의 영상(62)에 수록되어 있는 간판 구조물에 대한 기준 영상 프레임 이미지(64)를 상기 3차원 공간상의 x축에 투영시킨다. 이 때, 해당 촬영 영상 프레임 이미지(63)와 기준 영상 프레임 이미지(64) 간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벡터차이[도 6a에서 화살표(65)에 해당함]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차원 벡터차이를 산출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간판 구조물에 해당 3차원 벡터차이(화살표)를 적용하여 간판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 크기와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이 미지 크기의 차이로부터 해당 촬영 구조물과 단말장치(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단계 S127)
도 6c를 참조하여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건물 실내외 부착물에 해당하는 간판 구조물의 영상 프레임(63)의 중심축 길이와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된 일치하는 간판 구조물 기준 영상 프레임(64)의 중심축 길이의 감소 비율에 해당하는 이미지 크기의 차이로부터 해당 촬영된 간판 구조물과 단말장치(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프레임(63)의 촬영배율을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된 기준 영상 프레임(64)의 배율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각 중심축 길이를 상호 비교한다. 예컨대, 단말장치(10)는 위치확인 서버(50)에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를 전송할 때 촬영배율 정보를 함께 전송하고, 위치확인 서버(50)는 단말장치(10)가 전송한 촬영배율 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가 전송한 이미지의 촬영배율을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된 기준 이미지의 배율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각 중심축 길이를 상호 비교한다.그리고,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데이터베이스(54)의 위치 좌표 데이터로부터 해당 촬영 구조물의 실제 위치 좌표를 검출하고, 상술한 단계 S125에서 측정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상술한 단계 S127에서 측정한 촬영 구조물과 단말장치(10) 간의 거리에 의거하여, 촬영 구조물로부터 해당 방향 및 거리 만큼 떨어진 위치 좌표를 계산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을 촬영하여 전송한 단말장치(10)의 상대적인 방향 및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해당 촬영 구조물의 실제 위치 좌표에 해당 계산된 상대적인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추정한 단말장치(10)가 존재하는 추정 위치 좌표와 해당 촬영 구조물의 주위 지도(map) 정보를 함께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10)로 전송하여서, 위치 확인 요청한 단말장치(10)에 해당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위치 정보를 알려준다(단계 S129). 그에 따라, 단말장치(10)는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전송된 추정 위치 좌표와 촬영 구조물의 지도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표시부(13)의 화면상에 지도와 함께 해당 단말장치(10)가 존재하는 위치를 표시하여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가 자신의 위치 확인을 요청한 것에 비해,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3자의 단말장치가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의 위치확인을 요청하는 경우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의 위치 확인을 위치확인 서버(5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요청한다(단계 S211).
이에, 위치확인 서버(50)는 주위 촬영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10)에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S213).
이때, 해당 단말장치(10)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만약 영상 통화 중에 있으면 교환장치(40)에 의해 단말장치(10)에 설정되어 있는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통해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해당 단말장치(10)가 영상 통화중이 아니면 데이터서비스부(60)를 통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경유하여 단말장치(10)에 영상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장치(10)는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카메라부(17)에 의해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한다(단계 S215).
그러고 나서, 단말장치(10)는 해당 주위 구조물의 촬영에 의해 생성한 주위 촬영 영상을 통신부(11)를 통해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되, 이 때 단말장치(10)가 위치한 영역을 관리하고 있는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를 함께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17). 이 때, 해당 단말장치(10)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 만약 영상 통화 중에 있으면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통해 촬영 영상 및 무선통신 장치(20)의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장치(10b)가 영상 통화중이 아니면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경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장치(10)가 위치확인 서버(50)로부터의 영상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서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해당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카메라의 방향을 자동으로 조절하면서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하여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하고, 해당 단말장치(10)가 카메라 방향 자동 조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면 해당 단말장치의 화면에 주위 구조물 촬영 요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주위의 구조물을 촬영케 하여서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을 위치확인 서버(50)에 전송한다.
그리고,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로부터 전송된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함에 따라,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를 비교하되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해당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무선통신 장치 식별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단말장치(10)가 속해 있는 해당 무선통신 장치(20) 주위의 영상 데이터들을 비교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과 비교하여서(단계 S219), 해당 수신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이 데이터베이스(54)에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21). 이때,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 단말장치(10)에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재촬영 요청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29).
만약, 단말장치(10)에 재촬영 요청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부(52)를 통해 단말장치(10)에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재촬영 영상의 전송을 요청하며(단계 S231), 이에 단말장치(10)로부터 재촬영한 주위 촬영 영상과 무선통신 장치 식별번호를 수신하여서(단계 S215, S217), 상술한 단계 S219 및 단계 S221의 처리를 재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229에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 치(10)에 영상 재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재촬영 요청하였던 것으로 판단되면, 재촬영 요청을 다시 하지 않고, 나아가 영상 분석에 의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지 아니하고 기존의 GPS 방식이나 셀 기반 방식에 의거한 위치 정보 제공 처리를 수행하여 단말장치(10a)에 단말장치(1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단계 S233).
그리고, 상술한 단계 S221에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한 주위 촬영 영상에 수록된 촬영 구조물과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영상 이미지와 단말장치(10)로부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을 촬영한 해당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한다(단계 S223).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방향을 측정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은 앞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단말장치(10)에 의해 촬영된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 크기와 데이터베이스(54)에 저장된 일치하는 촬영 구조물의 이미지 크기의 차이로부터 해당 촬영 구조물과 단말장치(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단계 S225).
촬영 구조물에 대한 단말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은 앞서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그리고, 상술한 단계 S223에서 측정한 단말장치(10)의 방향 및 상술한 단계 S225에서 측정한 촬영 구조물과 단말장치(10) 간의 거리에 의거하여, 해당 촬영 구조물의 실제 위치 좌표에 해당 계산된 상대적인 방향 및 거리 를 반영하여 추정한 단말장치(10)가 존재하는 추정 위치 좌표와 해당 촬영 구조물의 주위 지도(map) 정보를 함께 통신부(52)를 통해 위치확인을 요청한 제32자의 단말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한다(단계 S227).
한편 상술한 단계 S125와 단계 S223에서,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가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경우에, 데이터베이스(54)에서 검출한 촬영 구조물의 영상 이미지와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구조물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을 촬영한 해당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수록되어 있는 촬영 구조물의 좌우측 모서리의 길이를 비교하여 방향각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구조물을 촬영한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분석에 의한 위치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치확인 서버(50)의 프로세서(5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에 의해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71)에 수록된 간판 구조물과 일치하는 간판 구조물의 기준영상(72)을 데이터베이스(54)로부터 검출한 상태에서, 단말장치에 의해 촬영된 주위 촬영 영상(71)에 수록되어 있는 간판 구조물의 영상 프레임(73)에 대한 좌측 모서리(L)와 우측 모서리(R)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구조물을 촬영한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서 기준영상(30)의 영상프레임의 우측모서리와 좌측모서리의 길이가 동일한 것에 비해, 촬영 구조물의 영상 프레임(73)의 우측모서리(R)와 좌측모서리(L)의 길이는 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준영상(30)의 영상프레임의 양측 모서리의 비율이 1대 1로 동일한 것에 비해, 촬영 구조물의 영상 프레임(73)의 비율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써, 구조물을 촬영한 단말장치가 구조물에 대해 어느 방향에서 촬영하였는지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영상 프레임(73)의 좌측 모서리(L)의 길이가 우측 모서리(R)의 길이 보다 큰 경우에는 L/R의 크기에 비례하여 산정한 각도 a를 단말장치의 방향으로서 측정하고, 좌측 모서리(L)의 길이가 우측 모서리(R)의 길이 보다 작은 경우에는 R/L의 크기에 비례하여 산정한 각도 b를 단말장치의 방향으로서 측정하되, 각도 a는 기준영상(7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좌측 방향의 각도이고, 각도 b는 기준영상의 기준영상(72)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우측 방향의 각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그러한 변경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들에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대하여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카메라로 촬영한 주위 영상을 분석하여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여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위치 정보를 제공 하여 줌으로써, GPS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GPS 측위가 지원되지 않는 실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에 대해서도 정확한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장치가 GPS장비를 구비한 경우라도, GPS장비에 의한 위치정보에 비해 더욱 정확한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을 위한 위치확인 서버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하기 위한 단말장치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서 위치확인 서버가 촬영 구조물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방향 및 거리를 측정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위치확인 서버가 촬영 구조물을 기준으로 하는 위치 확인 대상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단말장치 20; 무선통신 장치
30; 통신망 40; 교환장치
50; 위치확인 서버

Claims (20)

  1.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구조물의 이미지가 포함된 촬영 영상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말장치;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송출된 촬영 영상 데이터를 위치확인 서버에 전송하는 무선통신 장치; 및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미리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위치확인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이면, 영상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교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는 상기 영상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3. 단말장치가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a);
    상기 무선통신 장치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촬영 이미지 데이터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확인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b);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c);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미리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하는 단계(d); 및
    상기 위치확인 서버가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는, 상기 단말장치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이면, 교환장치에 의해 설정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영상 통화 경로의 제어채널을 통해 상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무선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5.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
    소정 지역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저장 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전송한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위치에 대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 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GPS 데이터의 위치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위치에 대한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IMU 데이터의 위치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설정된 촬영기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촬영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이미지 간의 중심축의 크기비율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버.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에 있어서 모서리의 길이 비율의 변화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이미지 간의 중심축의 크기비율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버.
  12.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측정된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좌표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주위 지도 정보에 표시하여, 위치정보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버.
  13. 위치확인 서버에서의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소정 지역의 구조물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및 각 구조물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단계(a);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b);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수신한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는 단계(c); 및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의 영상프레임과 상기 검출된 구조물의 이미지의 영상프레임의 차이값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촬영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위치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무선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촬영 이미지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무선통신 장치의 식별정보와 연계되어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 으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위치에 대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GPS 데이터의 위치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위치에 대한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상기 촬영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구조물과 일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조물의 이미지 중에서 상기 IMU 데이터의 위치영역 내에 위치하는 구조물의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미리 설정된 촬영기준에 따라 상기 단말장치의 카메라 렌즈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촬영배율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 서비스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 간의 3차원 벡터차이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이미지 간의 중심축의 크기비율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의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의 이미지에 있어서 모서리의 길이 비율의 변화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방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한 구조물 이미지와 상기 수신된 촬영 이미지에 포함된 구조물 이미지 간의 중심축의 크기비율로부터 촬영 구조물에 대한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장치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방향 및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좌표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좌표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를 상기 구조물 이미지의 주위 지도 정보에 표시하여 위치정보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확인 서비스 방법.
KR1020080100969A 2008-10-15 2008-10-15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KR20100041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69A KR20100041926A (ko) 2008-10-15 2008-10-15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0969A KR20100041926A (ko) 2008-10-15 2008-10-15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926A true KR20100041926A (ko) 2010-04-23

Family

ID=4221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0969A KR20100041926A (ko) 2008-10-15 2008-10-15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1926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939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393842B1 (ko) * 2012-11-13 2014-05-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421710B1 (ko) * 2011-10-31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59522B1 (ko) * 2013-02-15 2014-11-07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의 부가정보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
WO2015016579A1 (en) * 2013-07-30 2015-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83573A (ko) * 2014-01-10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도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898665B1 (ko) * 2017-05-17 2018-09-13 이주형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
US10198828B2 (en) 2016-10-07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018532B1 (ko) * 2018-05-21 2019-09-05 정승혁 위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05266A (ko)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싸인랩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KR102144431B1 (ko) * 2020-04-21 2020-08-13 헬리오센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실내 위치측위 시스템
WO2020235740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다비오 이미지 기반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303848B1 (ko) * 2021-03-31 2021-09-17 주식회사 젠티 이미지 분석을 통한 위치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10B1 (ko) * 2011-10-31 2014-07-30 주식회사 케이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019939A (ko) * 2012-08-07 2014-02-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영상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
KR101393842B1 (ko) * 2012-11-13 2014-05-1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459522B1 (ko) * 2013-02-15 2014-11-07 브이앤아이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의 부가정보를 이용한 위치 보정 방법
WO2015016579A1 (en) * 2013-07-30 2015-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9826365B2 (en) 2013-07-30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eciding location of targe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50083573A (ko) * 2014-01-10 2015-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구조도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198828B2 (en) 2016-10-07 2019-0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1898665B1 (ko) * 2017-05-17 2018-09-13 이주형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
KR102018532B1 (ko) * 2018-05-21 2019-09-05 정승혁 위치 측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05266A (ko)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싸인랩 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WO2020235740A1 (ko) * 2019-05-23 2020-11-26 주식회사 다비오 이미지 기반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45944A1 (en) * 2019-05-23 2022-08-04 Dabeeo Inc. Image-based indoor positio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2144431B1 (ko) * 2020-04-21 2020-08-13 헬리오센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실내 위치측위 시스템
KR102303848B1 (ko) * 2021-03-31 2021-09-17 주식회사 젠티 이미지 분석을 통한 위치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3851B1 (ko) * 2021-03-31 2021-09-17 주식회사 젠티 이미지 분석을 통한 위치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926A (ko) 위치 확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위치정보 생성 방법
US103730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amera
KR100906974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WO2013139100A1 (zh) 基于云服务的智能摄影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921894B (zh) 对象定位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302117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door navigation service
EP3287745B1 (en) Information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JP2003111128A (ja) 現在位置特定方法、現在位置情報提供方法、移動経路案内方法、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通信端末
CN102647450A (zh) 基于云服务的智能摄影方法及系统
CN103968824A (zh) 一种发现增强现实目标的方法及终端
KR102197704B1 (ko) 실내주차장에서 증강현실기반 주차 안내시스템
CN109916408A (zh) 机器人室内定位和导航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8903957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80077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ssisted camera orientation
CN113870274A (zh) 图像处理方法、图像处理装置及存储介质
US201800821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ssisted user-orientation
JP4464780B2 (ja) 案内情報表示装置
KR20100060472A (ko)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2011113245A (ja) 位置認識装置
WO2019085945A1 (zh) 探测装置、探测系统和探测方法
CN111425183B (zh) 一种地质勘探孔位定位方法及定位机器人
CN115407355B (zh) 库位地图的验证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20050058810A (ko) 전자지도를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6912722A (zh) 一种基于ar设备的设备巡检过程的远程沟通方法、系统
JP2010171664A (ja) 携帯情報端末、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