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203A -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203A
KR20050023203A KR10-2004-7003823A KR20047003823A KR20050023203A KR 20050023203 A KR20050023203 A KR 20050023203A KR 20047003823 A KR20047003823 A KR 20047003823A KR 20050023203 A KR20050023203 A KR 20050023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notch
casing
substrate
notch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680B1 (ko
Inventor
히데아끼 쇼지
요시끼 가나야마
마사또시 사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023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 H01Q5/385Two or more parasi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 장치는,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회로(22),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 및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가 설치되고, 무선 회로(22)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21)으로 구성된다. 노치 안테나(23)는, 기판(21)에 있어서, 무선 회로(22)가 설치된 위치와는 반대측의 에지(edge)로부터 λ/4의 길이의 직선의 슬릿으로 구성된다. 노치 안테나(24)는 노치 안테나(23)로부터 소정의 거리 d만큼 떨어진 위치에, 노치 안테나(23)와 동일한 에지로부터, 노치 안테나(23)와 평행하게 슬릿 형태로 된, λ/4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직선의 슬릿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ANTENNA DEVICE AN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노치 안테나는 슬롯 안테나의 에지를 개방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한 안테나로, 종래부터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이 노치 안테나는 반 무한의 기판 위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의 특성이 얻어진다.
그런데, 휴대 전화기는 소형화, 경량화에 따라, 사용되는 기판도 소형화되도록 되어 왔다. 그 결과,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로서 노치 안테나를 기판에 형성하였다고 해도, 반드시 충분히 넓은 주파수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것을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안테나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예에서는, 가로 길이가 0.27λr이고, 세로 길이가 0.5λr인 기판(1) 상에, 급전부(3)를 갖는 노치 안테나(2)가 형성된다. 이 노치 안테나(2)는, 전체적인 형상이 거의 L자 모양이 되도록, 기판(1)의 한쪽의(도면에서, 하측의) 에지로부터 0.04λr의 길이의 위치에서, 우측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된 위치로부터 0.13λr의 길이까지,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λr는 휴대 전화기가 송수신하는 전파의 파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를 휴대 전화기 상에서 이용한 경우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차트이고, 도 2B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을 나타내는 전압 정재파비(VSWR(Voltage Standing Wave Ratio))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에서는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궤적 m1이 중심 O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이 광대역성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도 2B에서 횡축은 주파수를 나타내고, 소정의 주파수 f0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높아지고(1.25 f0), 좌측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낮아진다(0.75 f0). 종축은 VSWR의 값을 나타내고, 위로 갈수록 VSWR의 값이 커진다. 또, 이 안테나 장치는 노치 안테나(2)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단공진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역 폭 BW(0.94 f0 내지 1.06 f0)에 있어서는, 대역단에서 VSWR=4.5가 된다. 이것은 적어도 무선 회로와의 임피던스의 부정합에 의한 손실에 의해 방사 효율이 36%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의해 이 안테나 장치에서는 충분한 대역이 취해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최근의 소형화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노치 안테나가 형성되는 기판이, 휴대 전화기가 처리하는 신호의 파장에 비하여 소형이 되므로, 종래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충분히 넓은 대역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도 3은 도 1의 안테나 장치에서의 기판 표면의 전기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예를 들면 고주파 전류가 그다지 분포되지 않은 범위 e1, 고주파 전류가 적절하게 분포되어 있는 범위 e2, 및 고주파 전류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범위 e3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전류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범위 e3에는, 노치 안테나(2)의 슬릿 부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노치 안테나(2)의 슬릿 부분에 고주파 전류가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안테나 장치에서, 고주파 전류가 집중되어 있는 노치 안테나(2)의 슬릿 부분에 인체 등이 근접한 경우, 단공진이므로,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저저항이 되어 무선 회로와의 부정합이 발생한다. 그 결과, 이 안테나 장치의 방사 효율이 저하되어, 안테나 특성이 현저하게 열화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안테나 장치는,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제1 노치 안테나와,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노치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슬릿 형태의 제2 노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노치 안테나는 제1 노치 안테나와 서로 다른 길이의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노치 안테나는 제1 노치 안테나와 주 편파가 동일하게 되도록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노치 안테나와 제2 노치 안테나의 슬릿 형태는 L자형, 지그재그형 또는 미앤더(meander)형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노치 안테나는 다른 길이의 슬릿 형태의 것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은, 공통 개방단과 접속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 사이에는, 금속, 유전체 또는 자성체가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노치 안테나와 제2 노치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는 집중 상수 소자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제2 노치 안테나는 임의의 리액턴스값을 제공하는 위상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안테나 장치는,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노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안테나와, 제1 안테나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1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되어, 제1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안테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안테나는 선형 안테나로서, 지그재그형, 헬리컬형, 미앤더형, 또는 루프형이도록 할 수 있다.
제2 안테나는 제1 안테나가 형성된 기판과는 다른 기판에 형성된 노치 안테나이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는,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제1 노치 안테나와, 기판 위에 형성된, 제1 노치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슬릿 형태의 제2 노치 안테나와,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싱은 기판을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제1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제1 노치 안테나와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은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닫은 상태로 한 경우, 제1 케이싱의, 제2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는,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노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안테나와, 제1 안테나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1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되어, 제1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안테나와,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싱은 기판을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제1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제1 안테나의 개방단과 제2 안테나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닫은 상태로 한 경우, 제1 케이싱의, 제2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본 발명에서는 기판이 무선 회로와 고주파적으로 독립되고, 그 기판 위에,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제1 노치 안테나와, 제1 노치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슬릿 형태의 제2 노치 안테나가 형성된다.
제2 본 발명에서는 기판이 무선 회로와 고주파적으로 독립되고, 그 기판 위에,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노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안테나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안테나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제1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안테나가, 제1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B는 도 1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안테나 장치의 전류 분포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안테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안테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6B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7B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A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B는 도 5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안테나 장치의 전류 분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A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외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B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A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외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B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A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외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B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C는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를 접은 상태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21의 안테나 장치가 접힌 상태의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기판에는 마이크로폰, 스피커, 표시부, 제어부 등의 각종 회로가 형성되지만, 도 4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이 기판은 이들 각 회로가 기준 전위의 그라운드로서 접속된다.
도 4에서, 안테나 장치는 가장 가까운 기지국(도시 생략) 등으로부터의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회로(22), 노치 안테나(23) 및 노치 안테나(24)가 형성된 기판(21)으로 구성된다. 이 기판(21)은 무선 회로(22)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노치 안테나(23)는, 기판(21)에 있어서, 무선 회로(22)가 형성된 위치와는 반대측의 에지(도면에서 하측)로부터 λ/4의 길이의 소정의 폭의 직선의 슬릿(slit)에 의해 개방단(23a)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노치 안테나(23)는 급전부(25)를 갖고 있으며, 급전부(25)를 통한 무선 회로(22)로부터의 고주파 전류에 의해 동작한다.
노치 안테나(24)는, 노치 안테나(23)로부터 거리 d만큼 떨어진 위치에, 노치 안테나(23)와 동일한 에지로부터 노치 안테나(23)와 동일 방향으로 슬릿된, λ/4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직선의 슬릿에 의해 개방단(24a)을 갖도록 형성된다. 노치 안테나(24)는 노치 안테나(23)와 평행하게 형성되며, 그 폭은 동일하게 된다. 노치 안테나(24)는 급전부(25)를 갖지 않고,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한다.
노치 안테나(23)와 노치 안테나(24)는, 거리 d가 짧아지면(특히 개방단(23a)과 개방단(24a)의 거리 d가 짧아지면) 전자 결합이 강해지고, 길어지면 약해지는 경향이 있다. 실험에 따르면, 예를 들면 기준 주파수 f0에 대응하는 파장을 λ로 할 때, 거리 d의 길이는 λ/30 내지 λ/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 안테나(23) 및 노치 안테나(24)의 2개의 안테나의 길이에 다소 변화를 주어, 이 안테나 장치의 다공진화, 즉 광대역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2개의 안테나는 동일 방향으로 슬릿함으로써(평행하게 함으로써) 주 편파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안테나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5에서, 도 4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5에서, 기판(21)의 사이즈는 가로 길이가 0.27λr로 되고, 세로 길이가 0.5λr로 되어 있다. λr는 통신 전파의 파장이다. 노치 안테나(23)는 기판(1)의 한쪽의 에지로부터 0.2λr의 길이로 직선 형상의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치 안테나(23)로부터 0.1λr의 거리만큼 우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가, 노치 안테나(23)와 평행하게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노치 안테나(24)의 슬릿은 노치 안테나(23)의 길이인 0.2λr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도 5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가,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와 동조하도록 치수 파라미터가 조정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차트이고, 도 6B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을 나타내는 전압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에서는,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궤적 m2가 스미스 차트의 중심 O에 집중하는 α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이 광대역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B에서, 횡축이 주파수를 나타내고, 소정의 주파수 f0(=1/λr)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높아지고(1.25 f0), 좌측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낮아진다(0.75 f0). 종축은 VSWR의 값을 나타내고, 위로 갈수록 VSWR의 값이 커진다. 이 VSWR은 그 값이 작을수록 임피던스 정합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도 6B의 예에서는 대역 폭 BW(0.94 f0 내지 1.06 f0)에 있어서 VSWR의 최대값이 3.0이 된다. 이것은 적어도 무선 회로(22)와의 임피던스 부정합에 따른 손실에 의해 방사 효율이 14% 저하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이 안테나 장치에 따르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안테나 장치의 방사 효율이 36%인 것에 대하여, 안테나 장치의 방사 효율을 22% 향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도 5의 안테나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를 손으로 가진 경우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을, 도 7A 및 도 7B 및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 도 8A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스미스 차트이고, 도 7B, 도 8B는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을 나타내는 전압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노치 안테나(23, 24)의 슬릿의 상측 절반을 손으로 덮은 경우의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A에서는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궤적 m3이 스미스 차트의 중심 O에 집중하는 α형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안테나 장치가 광대역 특성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는, 대역 폭 BW(0.94 f0 내지 1.06 f0)에 있어서 이 안테나 장치의 VSWR의 값이 1.8 이하로,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노치 안테나(23, 24)의 슬릿을 전부 완전히 손으로 덮은 경우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8A에서, 이 안테나 장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내는 궤적 m4가 스미스 차트의 중심 O의 근처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테나 장치의 광대역 특성이 아직 유지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B에서, 대역 폭 BW(0.94 f0 내지 1.06 f0)에 있어서 이 안테나 장치의 VSWR의 값이 2.2 이하로,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이 얻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외란인 손의 영향을 받아도,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가,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와 동조하도록 치수 파라미터를 조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광대역의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내부의 기판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의 다른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도 4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9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는, 기판(21)의 한쪽의 에지의 개방단(23a)으로부터 소정의 길이의 위치(점 P1)에서 도면 좌측으로 L자가 되도록 절곡되고, 그 점 P1로부터 소정의 위치(마지막 점)까지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는, 기판(21)의 한쪽의 에지의 개방단(24a)로부터 소정의 길이의 위치(점 P2)에서 도면 우측으로 L자가 되도록 절곡되고, 그 점 P2로부터 소정의 위치(마지막 점)까지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치 안테나(23)에 있어서, 기판(21)의 개방단(23a)으로부터 점 P1까지의 길이와, 그 점 P1로부터 마지막 점까지를 합친 길이가 λ/4로 된다. 노치 안테나(24)에 있어서, 기판(21)의 개방단(24a)으로부터 점 P2까지의 길이와, 그 점 P2로부터 마지막 점까지를 합친 길이가 λ/4보다 약간 짧은 길이가 된다. 따라서, 기판(21)의 길이 방향(기판(21)의 개방단(23a, 24a)으로부터 점 P1, P2까지)의 길이를 단축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도 9의 노치 안테나(23, 24)로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도 9에서, 노치 안테나(23, 24)의 슬릿 형태를 L자 모양으로 하였지만, 미앤더 모양 또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해도 된다.
도 10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가, 노치 안테나(24-1, 24-2)로서 기판(21)의 에지로부터 소정의 길이의 직선의 슬릿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노치 안테나(24-1)는, 노치 안테나(23)의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개방단(24-1a)으로부터 λ/4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노치 안테나(24-2)는, 노치 안테나(24-1)의 우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개방단(24-2a)으로부터 λ/4보다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노치 안테나(24-1, 24-2)는 노치 안테나(23)와 평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0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노치 안테나를 복수개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1개인 경우보다, 공진의 전체적인 대역이 넓어진다. 즉, 통상, 안테나는 (λ/4)×N(안테나의 개수)으로 공진하기 때문에, 노치 안테나(24-1, 24-2)에 의해,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와는 다른 임의의 주파수에서의 다공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10에서는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1, 24-2)는 2개 밖에 도시하지 않지만,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노치 안테나(23)를 좌측에 배치하고, 노치 안테나(24-1, 24-2)를 우측에 배치하도록 하였지만, 반대로 배치하도록 해도 되고, 그 배열은 상관없다.
도 11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기판(21) 상에 있어서,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과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의 근방에, 기판(21)에 접속된 금속 도체(31a, 31b)가 상호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금속 도체(31a, 31b)의 부분은 기판(21)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에 의해, 다른 부품과의 위치 관계로부터, 노치 안테나(23, 24)의 거리 d를 짧게 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약해져 있는 전자 결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은 금속 도체(31a, 31b)를 개방단(31c)을 개재하여 대향시키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지만, 개방단(23a)과 개방단(23b)을, 공통 개방단으로서의 개방단(31c)과 접속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1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기판(21), 또는 기판(21)에 접속된 금속 도체(31)를 근접시켜 전자 결합을 강하게 하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21) 상에 있어서, 다른 부품(도시 생략)과의 관계에 의해 노치 안테나(23, 24)를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할 수 없어, 2개의 노치 안테나 사이의 전자 결합이 약해지는 것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도 11의 안테나 장치에서의 기판 표면의 전기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예를 들면 고주파 전류가 거의 분포되지 않은 범위 e0, 고주파 전류가 그다지 분포되지 않은 범위 e1, 고주파 전류가 적절하게 분포되어 있는 범위 e2, 및 고주파 전류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범위 e3으로 나눌 수 있다. 고주파 전류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범위 e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1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이,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과 함께, 공통 개방단으로서의 개방단(31c)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안테나(노치 안테나(23, 24))로 고주파 전류가 분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한쪽의 노치 안테나(23)가 인체가 닿는 등의 외란의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다른 한쪽의 노치 안테나(24)가 있기 때문에,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변화되기 어려워, 그 결과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이 얻어진다.
한편, 도 13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기판(21) 상에 있어서,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 및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 측에서, 노치 안테나(23)와 노치 안테나(24)의 사이에, 금속(41)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11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와는 반대로, 노치 안테나(23, 24)의 거리 d가 지나치게 근접되어 있다는 등의 이유에 의해 지나치게 강해져 있는 전자 결합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금속(41)은 전계를 약하게 하는 부재이면, 금속뿐만 아니라, 유전체 또는 자성체 등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3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노치 안테나(23, 24)의 사이에, 금속 등을 배치하여 전자 결합을 약하게 하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21) 상에 있어서, 다른 부품(도시 생략)과의 관계에 의해 노치 안테나(23, 24)를 이상적인 위치에 배치할 수 없어, 전자 결합이 강해지는 것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다.
도 14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도 11의 안테나 장치와 마찬가지로,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 및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 측에서, 기판(21)의 일부가 기판(21a, 21b)으로서 연장되고, 기판(21a, 21b)이 상호 근접되어 있다. 그 근접된 기판(21a, 21b) 상에, 캐패시터 또는 컨덕터 등으로 구성되는 집중 상수 소자(51a, 51b, 51c)가 배치되어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예를 들면 이 집중 상수 소자(51a, 51b, 51c) 중, 중앙에 배치되는 집중 상수 소자(51b)를 캐패시터로 하고, 그 이외의 집중 상수 소자(51a, 51c)를 컨택트로 하여, 그 캐패시터인 집중 상수 소자(51b)의 용량 C를 변경함으로써, 전자 결합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4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기판(21)의 일부에 집중 상수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노치 안테나의 슬릿 형태의 치수 또는 노치 안테나끼리의 거리 이외에, 안테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도 4의 안테나 장치에서,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 상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리액턴스 성분을 갖는 위상기(61)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의 안테나 장치는, 이 위상기(61)에 의해 적응적으로 전자 결합의 강약이 바뀌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 안테나 장치가 이용되는 휴대 단말기를 손으로 가질지, 갖지 않을지에 따라 전자 결합의 강약의 최적값이 변화하는 경우 등, 각각의 경우에, 최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5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24)에 접속된 위상기(61)에 의해, 임피던스 및 방사 패턴 등의 안테나 특성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상기(61)에 의해 위상량을 임의로 변화시키도록 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따라 유동적으로 안테나 특성이 조정된다.
이상과 같이 급전부를 가진 노치 안테나와 동일 기판 위에,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를, 동일 주 편파를 발생하도록 형성하고, 그 노치 안테나의 슬릿의 형상, 그 거리 등의 관계를 조정하거나, 또는 금속, 집중 상수 소자, 위상기 등을 포함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의 광대역화, 즉 다공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안테나가, 노치 안테나(23)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21) 이외에 배치되는 안테나 장치의 예를 설명한다.
도 16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안테나로서, 선형 안테나(71)가 이용된다. 선형 안테나(71)는,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λ/2의 길이의 안테나로,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의 근방에 배치된다. 또한, 선형 안테나(71)는 노치 안테나(23)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노치 안테나(23)의 슬릿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 안테나(23)의 주 편파 방향은 그 슬릿의 폭 방향(도면에서, 좌우 방향)이므로, 선형 안테나(71)의 주 편파 방향인 주 편파 방향 h(길이 방향)를, 노치 안테나(23)의 주 편파 방향과 동일(평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수평 방향으로 약간 기울여 통화하는(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통화 시에는 이 선형 안테나(71)의 주 편파 방향 h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에 가까워져, 결과적으로 휴대 전화기의 기지국의 수직 편파와 동일 방향이 되므로, 이득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도 16의 예에서는 선형 안테나(71)를 직선형 안테나로 하고 있지만, 미앤더형, 지그재그형 또는 헬리컬형으로 해도 된다.
도 17의 예의 안테나 장치인 경우, 도 16의 선형 안테나(71) 대신에, λ의 길이의 안테나를 1주(루프)시킨 접이식 안테나(81)가 사용되고 있다. 선형 안테나(71)와 마찬가지로, 접이식 안테나(81)도 주 편파 방향 h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의 선형 안테나(71)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 이 경우, 접이식 안테나(81)의 주 편파 방향 h에 직교하는 방향의 접히는 거리 e는, 미소한 거리로 된다.
이상의 예에서는 급전부(25)를 갖는 노치 안테나(23)의 근방에,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안테나를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안테나 장치를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도 18A 및 도 18B, 도 19A 및 도 19B, 및 도 20A 내지 도 20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안테나 장치가 휴대 전화기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8A 및 도 19A에서, 휴대 전화기(201)는 표시부(214) 및 스피커(215)를 구비한 상부 케이싱(211), 조작부(216) 및 마이크로폰(217)을 구비한 하부 케이싱(212), 및 상부 케이싱(211)과 하부 케이싱(212)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213)로 구성된다. 또, 도 18A 및 도 19A에서 힌지(213)는 간략화되어 있지만, 상부 케이싱(211) 및 하부 케이싱(212)은 힌지(21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8B 및 도 19B는, 도 18A 및 도 19A의 휴대 전화기(201)의 내부의 기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8B 및 도 19B에서, 도 4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8B의 예의 경우,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21a)은, 휴대 전화기(201)의 최하부에 노치 안테나(23, 24)가 배치되도록 하부 케이싱(212)에 수용되고, 휴대 전화기(201)의 상부 케이싱(211)에는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21b)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치 안테나(23, 24)(특히,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과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가 두부(頭部)의 하방에 배치되므로 안테나 특성에 대한 두부로부터 영향받을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9B의 예의 경우,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21a)은, 휴대 전화기(201)의 최상부에 노치 안테나(23, 24)가 배치되도록 상부 케이싱(211)에 수용되고, 휴대 전화기(201)의 하부 케이싱(212)에는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21b)이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테나 특성에 대한 휴대 전화기(201)를 유지하는 손잡이로부터 영향받을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부 케이싱(211) 및 하부 케이싱(212)의 양방에 안테나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상부 케이싱(211)의 안테나 장치 및 하부 케이싱(212)의 안테나 장치를 전환하도록 하거나, 또는 양방의 안테나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의 합성을 행함으로써, 통신 환경에 따라 최적의 안테나 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상부 케이싱(211) 및 하부 케이싱(212)이 회전 이동 가능한 접이식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접이식이 아닌, 소위 스트레이트형 휴대 전화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0A는 도 18A의 휴대 전화기(201)의 상부 케이싱(211) 및 하부 케이싱(212)을, 각각 상부 케이싱(221) 및 하부 케이싱(222)으로 치환한 예를 나타낸다.
도 20A에서는 하부 케이싱(222)보다 상부 케이싱(221)이 소정의 길이 r만큼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221)에 수용되는,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기판(21c)도, 하부 케이싱(222)에 수용되는, 안테나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21a)보다 소정의 길이 r만큼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201)의 상부 케이싱(211)이 힌지(21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고, 하부 케이싱(212)과 정합하도록 접힌 경우에, 하부 케이싱(222)의 하방의 부분(231)은 상부 케이싱(221)과는 중첩되지 않고,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도 20B의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과 노치 안테나(24)의 개방단(24a)이 다른 한쪽의 기판(21c)과는 중첩되지 않고(대향하지 않고), 하방으로 돌출된 구성이 된다.
이에 의해, 특히 하부 케이싱(222)과 상부 케이싱(221)이 닫혀진 대기 상태에서, 노치 안테나(23, 24)가 다른 한쪽의 기판(21c)이 대향 배치됨으로써 영향을 받아,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21을 참조하여 상부 케이싱(211) 및 하부 케이싱(212)이 회전 이동 가능한 접이식 휴대 전화기(201)에 이용되는 다른 안테나 장치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또, 도 21에서, 도 4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대응하는 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그 설명은 반복되므로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21의 예의 안테나 장치에서는, 기판(21)이 휴대 전화기(201)의 상부 케이싱(211)에 수용되고, 기판(301)은 휴대 전화기(201)의 하부 케이싱(212)에 수용된다. 또, 도 21에서는 휴대 전화기(201)의 상부 케이싱(211)과 하부 케이싱(212)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기판(301) 상에는 노치 안테나(23)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노치 안테나(302)가, 기판(21)측의 에지의 개방단(302a)으로부터 λ/4보다 약간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21)의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의 근방에, 기판(301)의 노치 안테나(302)의 개방단(302a)이 배치된다. 또한, 이 2개의 안테나는 동일 방향으로 슬릿(평행한 슬릿)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주 편파를 동일(평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2는 도 21의 안테나 장치를 이용한 휴대 전화기(201)에 있어서, 기판(21)과 기판(301)을 힌지(213)(도 19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이동하고, 기판(301)이 설치된 하부 케이싱(212)을 화살표 P와 같이 안쪽으로 접히도록, 기판(21)이 설치된 상부 케이싱(211)을 정합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싱(211)과 하부 케이싱(212)이 접힌 상태의 경우에도, 노치 안테나(23)의 개방단(23a)의 근방에, 노치 안테나(302)의 개방단(302a)이 배치되므로, 휴대 전화기가 접힌 상태의 경우에도, 개방 상태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넓은 대역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다른 기판에 형성된 노치 안테나라도, 급전부를 가진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동일 주 편파를 발생하도록 안테나를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도 16의 안테나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급전부를 가진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동일 주 편파를 발생하도록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안테나를 설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안테나 장치의 입력 임피던스 특성의 광대역화, 다공진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안테나 장치를 갖는, 그 밖의 휴대형 무선 통신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된 임피던스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대역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제1 노치 안테나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슬릿 형태의 제2 노치 안테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 안테나는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서로 다른 길이의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 안테나는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주 편파가 동일하게 되도록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상기 제2 노치 안테나의 슬릿 형태는, L형, 지그재그형 또는 미앤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 안테나는 다른 길이의 슬릿 형태의 것이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 상기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은, 공통 개방단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 상기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 사이에는, 금속, 유전체 또는 자성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 상기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과의 사이에는,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집중 상수 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노치 안테나는 임의의 리액턴스값을 제공하는 위상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노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안테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선형 안테나로, 지그재그형, 헬리컬형, 미앤더형, 또는 루프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가 형성된 상기 기판과는 다른 기판에 설치된 노치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제1 노치 안테나와,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슬릿 형태의 제2 노치 안테나와,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노치 안테나와 상기 제2 노치 안테나의 개방단은,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을 닫은 상태로 한 경우, 상기 제1 케이싱의, 상기 제2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15. 무선 회로와는 고주파적으로 독립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급전부를 갖는 슬릿 형태의 노치 안테나로 구성되는 제1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와 주 편파 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의 개방단 부근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안테나와 전자 결합에 의해 동작하는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와 상기 제2 안테나를 수용하는 케이싱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기판을 수용하는 제1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에 대하여 개폐 가능한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안테나의 개방단과 상기 제2 안테나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상기 제2 케이싱을 닫은 상태로 한 경우, 상기 제1 케이싱의, 상기 제2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치 안테나는 개방단에 컨덕터로 구성되는 제1 집중 상수 소자를 갖고,
    상기 제2 노치 안테나는 개방단에 컨덕터로 구성되는 제2 집중 상수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047003823A 2002-07-19 2003-07-09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KR1010256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0557 2002-07-19
JP2002210557A JP3844717B2 (ja) 2002-07-19 2002-07-19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203A true KR20050023203A (ko) 2005-03-09
KR101025680B1 KR101025680B1 (ko) 2011-03-30

Family

ID=3076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823A KR101025680B1 (ko) 2002-07-19 2003-07-09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053848B2 (ko)
EP (1) EP1524723B1 (ko)
JP (1) JP3844717B2 (ko)
KR (1) KR101025680B1 (ko)
CN (1) CN100375335C (ko)
DE (1) DE60313326T2 (ko)
ES (1) ES2283793T3 (ko)
WO (1) WO200401053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485B2 (en) 2013-02-25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54279A1 (en) * 2004-05-27 2007-02-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comprising an antenna for exchanging radio frequency signals
JP4268585B2 (ja) * 2004-12-20 2009-05-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2006325133A (ja) * 2005-05-20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JP5088689B2 (ja) 2005-11-18 2012-12-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携帯無線端末
US7518564B2 (en) * 2006-05-24 2009-04-14 Twisthink, L.L.C. Slot antenna
US7456798B2 (en) 2006-06-28 2008-11-2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tacked loop antenna
US8125392B2 (en) 2006-09-01 2012-02-28 Fujikura Ltd. Antenna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1197464B (zh) * 2006-12-05 2012-11-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天线装置和无线通信装置
JP4904197B2 (ja) * 2007-05-08 2012-03-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不平衡給電広帯域スロットアンテナ
JP5359867B2 (ja) * 2007-05-16 2013-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ロットアンテナ及び携帯無線端末
US20090051614A1 (en) * 2007-08-20 2009-02-26 Hang Wong Folded dipole antenna
CN101689701B (zh) * 2008-05-22 2013-10-0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Mimo天线装置及无线通信装置
JP2010062976A (ja) 2008-09-05 2010-03-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ノッチアンテナおよび無線装置
TWI411159B (zh) * 2009-03-11 2013-10-01 Acer Inc 一種具有降低接地面效應之行動通訊天線
TWI393291B (zh) * 2009-03-27 2013-04-11 Acer Inc 一種單極槽孔天線
CN102349196B (zh) 2009-03-30 2014-10-22 日本电气株式会社 缝隙天线、电子装置和缝隙天线的制造方法
CN101610310B (zh) * 2009-07-07 2013-05-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移动通讯终端
GB0921811D0 (en) * 2009-12-14 2010-01-27 Aerial Res Technology Ltd Notch antenna
JP5314610B2 (ja) * 2010-02-01 2013-10-16 日立電線株式会社 複合アンテナ装置
US8570225B2 (en) * 2010-03-25 2013-10-29 Sony Corporation Antenna device and mobile device
US8872702B2 (en) * 2010-04-23 2014-10-28 Psion Inc. Tuneable PCB antenna
JP5699820B2 (ja) * 2010-09-16 2015-04-15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JP5644397B2 (ja) * 2010-11-11 2014-12-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JP2012205171A (ja) * 2011-03-28 2012-10-22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JP2012227850A (ja) * 2011-04-22 2012-11-15 Panasonic Corp 携帯無線端末
US8779999B2 (en) 2011-09-30 2014-07-15 Google Inc. Antennas for computers with conductive chassis
US9036358B2 (en) * 2011-12-27 2015-05-19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transparent substrate
JP2013138296A (ja) * 2011-12-28 2013-07-11 Mitsumi Electric Co Ltd アンテナ装置
US9472855B2 (en) 2012-02-23 2016-10-18 Nec Corporation Antenna device
US9716307B2 (en) * 2012-11-08 2017-07-25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9077087B2 (en) 2013-02-22 2015-07-07 Hong Kong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Antennas using over-coupling for wide-band operation
JP6282653B2 (ja) * 2013-08-09 2018-02-21 華為終端(東莞)有限公司 印刷回路基板アンテナ及び端末
KR102094754B1 (ko) 2013-12-03 2020-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79445B2 (en) 2014-02-14 2016-06-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atellite navigation system slot antennas
US9559425B2 (en) * 2014-03-20 2017-01-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slot antenna and proximity sensor
US9583838B2 (en) 2014-03-20 2017-02-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indirectly fed slot antennas
US9728858B2 (en) 2014-04-24 2017-08-0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hybrid antennas
EP3016201B1 (de) * 2014-10-29 2021-09-08 Gigaset Communications GmbH Antennenvorrichtung
US10103440B2 (en) 2014-11-06 2018-10-16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Stripline coupled antenna with periodic slots for wireless electronic devices
US10218052B2 (en) 2015-05-12 2019-02-2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tunable hybrid antennas
US10811780B2 (en) * 2015-05-28 2020-10-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lot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WO2017035730A1 (zh) * 2015-08-31 2017-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缝隙天线和终端设备
US10490881B2 (en) 2016-03-10 2019-11-26 Apple Inc. Tuning circuits for hybrid electronic device antennas
WO2018028486A1 (en) * 2016-08-08 2018-02-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housing
WO2018028372A1 (en) 2016-08-08 2018-02-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method for manufacturing housing, and mobile terminal having housing
CN108650818B (zh) * 2016-08-16 2020-08-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壳体的加工方法、壳体和移动终端
US10290946B2 (en) 2016-09-23 2019-05-14 Apple Inc. Hybrid electronic device antennas having parasitic resonating elements
KR102508922B1 (ko) 2016-11-07 2023-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52268B2 (en) 2019-11-14 202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102394616B1 (ko) * 2019-11-29 2022-05-06 주식회사 아모센스 안테나 모듈
CN113839200A (zh) * 2021-10-09 2021-12-24 北京悦米科技有限公司 一种克服手握影响、受环境影响小的天线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151A (en) * 1883-05-22 Geoege s
US2781512A (en) 1951-12-05 1957-02-12 Jr Ralph O Robinson Cylindrical notch antenna
GB2220303A (en) * 1988-06-29 1990-01-0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Dual polarised phased array antenna
JPH02218203A (ja) * 1989-02-20 1990-08-30 Rajiaru Antenna Kenkyusho:Kk 移動体通信用平面型アンテナ
JP3283046B2 (ja) * 1991-10-04 2002-05-20 尚久 後藤 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US5220330A (en) * 1991-11-04 1993-06-15 Hughes Aircraft Company Broadband conformal inclined slotline antenna array
SE500477C2 (sv) 1992-11-20 1994-07-04 Jan Peter Edward Cassel Y-antenn
JP3203443B2 (ja) 1992-12-08 2001-08-27 北陽製紙株式会社 ハニカムコアを用いたパネルの製造方法
JP2618584B2 (ja) * 1993-04-28 1997-06-11 明星電気株式会社 サブノッチ付円偏波クロスノッチアンテナ
JP2592128Y2 (ja) * 1993-06-16 1999-03-17 京セラ株式会社 平型アンテナ
JPH07111418A (ja) 1993-10-12 1995-04-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偏波ダイバーシティ用平面アンテナ
JPH0865368A (ja) * 1994-08-26 1996-03-08 Hitachi Ltd 携帯用無線電話機
JPH0897760A (ja) 1994-09-27 1996-04-1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装置
JP3286882B2 (ja) * 1995-06-22 200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EP0777295B1 (en) * 1995-11-29 2003-05-28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ntenna device having two resonance frequencies
JPH09270618A (ja) * 1996-03-29 1997-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ンテナ装置
SE511295C2 (sv) * 1997-04-30 1999-09-06 Moteco Ab Antenn för radiokommunikationsapparat
US6043786A (en) 1997-05-09 2000-03-28 Motorola, Inc. Multi-band slot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US6343208B1 (en) * 1998-12-16 2002-01-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inted multi-band patch antenna
JP2000196344A (ja) * 1998-12-25 2000-07-14 Toshiba Corp アンテナ装置
WO2001082408A1 (fr) * 2000-04-20 2001-11-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positif radio portable
US6424300B1 (en) * 2000-10-27 2002-07-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Notch antennas and wireless communicators incorporating same
US6448933B1 (en) * 2001-04-11 2002-09-10 Tyco Electronics Logisitics Ag Polarization and spatial diversity antenna assembl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3069441A (ja) * 2001-08-23 2003-03-07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US6879849B2 (en) * 2002-02-21 2005-04-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built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5485B2 (en) 2013-02-25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US11431076B2 (en) 2013-02-25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with antenna device for display element or display assembly including flexible functional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57037A (zh) 2004-12-22
EP1524723B1 (en) 2007-04-18
DE60313326T2 (de) 2008-03-06
US7053848B2 (en) 2006-05-30
JP3844717B2 (ja) 2006-11-15
US20040239575A1 (en) 2004-12-02
EP1524723A1 (en) 2005-04-20
EP1524723A4 (en) 2005-08-24
CN100375335C (zh) 2008-03-12
KR101025680B1 (ko) 2011-03-30
DE60313326D1 (de) 2007-05-31
ES2283793T3 (es) 2007-11-01
WO2004010533A1 (ja) 2004-01-29
JP2004056421A (ja) 200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80B1 (ko) 안테나 장치 및 휴대 무선 통신 단말기
US7760150B2 (en) Antenna assembly and wireless unit employing it
US6664931B1 (en) Multi-frequency slot antenna apparatus
US7042402B2 (en) Planar antenna
US7405697B2 (en) Compact diversity antenna
KR100790941B1 (ko) 이동 통신 장치용 내부 안테나
WO2001024316A1 (fr) Antenne a montage en surfac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avec antenne a montage en surface
JP2006174095A (ja) 偏波切り替えアンテナ装置
KR20020040591A (ko) 안테나와 이를 이용한 무선장치
KR20040108759A (ko) 안테나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
KR20030007718A (ko) 이동 통신용 내장형 다중 대역 안테나
JP3661432B2 (ja)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機
KR19990068163A (ko) 무선 통신 단말용 내장 안테나
EP1460713B1 (en) Compact diversity antenna
EP1296407A1 (en) Portable radio unit
JP2005303721A (ja) 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無線機
JP4148126B2 (ja)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通信機器
JP2008294635A (ja) アンテナ装置及び携帯無線機
EP1643588B1 (en) Portable radio
EP1280226A1 (en) Portable radio device
JP4388435B2 (ja) 携帯無線端末
JPH09232854A (ja)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CN113659334A (zh) 可重构圆极化介质谐振器天线及终端
JPH09232856A (ja) 平面アンテナ
JP2000114860A (ja) 板状逆fアンテナおよび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