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334A -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334A
KR20050017334A KR1020030055957A KR20030055957A KR20050017334A KR 20050017334 A KR20050017334 A KR 20050017334A KR 1020030055957 A KR1020030055957 A KR 1020030055957A KR 20030055957 A KR20030055957 A KR 20030055957A KR 20050017334 A KR20050017334 A KR 2005001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trunk
water discharge
discharge ho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473B1 (ko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4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22Water or 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과정 및 자연발생적으로 트렁크 및 머플러의 저부에 고이게 되는 물성분을 제거해내어 부품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의 보관을 위해 마련되는 타이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이 후방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언더 패널의 하측으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가 배관되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트렁크 내부에 유입되거나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타이어 수납공간의 하부면 도중에 형성되는 트렁크 물배출공과;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의 하단과 배기 파이프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한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이 개방작동되도록 형성되며, 부압소진시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프링으로써 탄력지지되는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와;
상기한 머플러의 하부면 일측에, 상기 머플러에 고이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머플러 물배출공과;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해 형성되는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와,
상기한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가 개방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의 하측과 배기 파이프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호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Drain apparatus of trunk and muffler}
본 발명은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차과정 및 자연발생적으로 트렁크 및 머플러의 저부에 고이게 되는 물성분을 제거해내어 부품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승용차량의 후방에는 트렁크가 마련되고, 상기 트렁크 내부의 하부 일측에는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된다. 스페어 타이어가 보관되기 위한 타이어 수납공간은 트렁크의 하부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타이어 수납공간에 타이어가 수납된 상태에서 별도의 커버를 씌워 트렁크의 적재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한편, 차량의 언더 패널 하측으로는 엔진의 운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안내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가 배관되며, 상기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촉매 컨버터 및 머플러 등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머플러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우천주행을 비롯하여 세차과정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트렁크의 내부에도 차량의 세차 및 청소과정에서 물이 유입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이 고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머플러의 내부 및 스페어 타이어가 보관되는 수납공간에는 물이 고이게 되므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부품들에 부식이 발생되어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세차과정 및 자연발생적으로 트렁크 및 머플러의 저부에 고이게 되는 물성분을 제거해내어 부품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의 보관을 위해 마련되는 타이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이 후방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언더 패널의 하측으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가 배관되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트렁크 내부에 유입되거나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타이어 수납공간의 하부면 도중에 형성되는 트렁크 물배출공과;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의 하단과 배기 파이프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관과;
상기한 연결관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이 개방작동되도록 형성되며, 부압소진시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프링으로써 탄력지지되는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와;
상기한 머플러의 하부면 일측에, 상기 머플러에 고이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머플러 물배출공과;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해 형성되는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와,
상기한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가 개방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의 하측과 배기 파이프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호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1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를 지시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머플러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트렁크(10)는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에서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한 트렁크(10)의 하부면 일측에는 스페어 타이어(11)를 보관하기 위한 타이어 수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타이어 수납공간(12)의 하부면 일측에는 상기 트렁크(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나, 운행 환경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물이 고이도록 하기 위한 물고임부(13)가 형성된다. 상기한 물고임부(13)의 하부에는 물의 배출을 위한 트렁크 물배출공(14)이 형성되는데,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14)은 차량의 언더 패널(미도시) 하부에 배관되는 배기 파이프(21)의 도중과 연결관(30)으로써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30)의 내부에는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14)을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40)의 밸브(41)가 스프링(42)에 의해서 탄력지지된 채로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40)를 지지하는 스프링(42)이 위치되는 연결관(30)의 도중은 배출 슬롯(44)을 통해서 머플러(20)의 상부 일측과 연결된다. 즉, 배기 파이프(2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에 의한 부압에 의해서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40)가 개방되므로서, 상기 트렁크(10)에 고이는 물은 상기 배출 슬롯(44)을 통하여 머플러(20) 내부로 유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머플러(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머플러(20)에 고이게 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머플러 물배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23)의 하부에는 상기 배기 파이프(2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에 의해 형성되는 부압을 전달받아 작동되는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가 형성된다.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는 머플러 물배출공(23)을 막기 위한 밸브(51)와, 상기 밸브(51)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52)이 위치되는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의 일측에는 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 슬롯(5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머플러(20) 내측으로 유입되는 배기 파이프(21)의 하부 도중에는 연결공(22)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연결공(22)의 하측에는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에 부압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부압연결장치(60)가 형성된다.
상기 부압연결장치(60)의 케이스(61)는 머플러(20)의 하부면에 고정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1)의 내부에는 스프링(62)으로써 탄력지지되는 컨넥팅 플런저(63)가 수용된다. 상기 컨넥팅 플런저(63)는 스프링(62)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2단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그 상측은 상기 케이스(61)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 파이프(21)의 연결공(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파이프(64)로 구성된다. 상기한 연결 파이프(64) 외측에는 운전자가 시동키를 ON하였을 경우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띄게 되는 전자석부(6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부압연결장치(6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니플(66)에는 연결 호스(7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 호스(70)의 다른 일단은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의 일단에 연결된다. 즉, 운전자가 시동키 스위치(67)를 온(ON)작동 하였을 경우에 상기한 전자석부(65)에 전류가 인가되어 상기 컨넥팅 플런저(63)가 상향되고, 상기 컨넥팅 플런저(63)의 상측에 마련된 연결 파이프(64)의 상단이 배기 파이프(21)의 연결공(22)에 연결되므로서,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에까지 배기가스의 흐름에 의한 부압이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일반적인 자동차의 경우에는 세차를 하게 된다든지 우천시에 차량을 운행하게 되면, 머플러의 내부 및 트렁크의 내부에는 물이 고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외부의 공기온도 차이에 의해서도 수분이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수분이 모이게 되어 물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트렁크(10)의 내부 및 머플러(20)의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은 엔진의 가동과 함께 배기 파이프(21)를 통과하게 되는 배기가스의 통과압력에 의한 부압에 의해서 트렁크 물배출공(14)을 막고 있는 밸브(41) 및 머플러 물배출공(23)을 막고 있는 밸브(51)가 개방되므로서, 상기 트렁크(10) 및 머플러(20) 내부에 고이는 물은 엔진의 운전과 함게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한 배기 파이프(21)로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통과하게 되므로서, 상기한 연결관(30) 및 연결 호스(70)에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 부압에 의해서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40) 및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의 밸브(41,51)가 하측으로 이동되므로서,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14) 및 머플러 물배출공(23)이 개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14)이 개방되며,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14)을 통해 배출되는 물은 배출 슬롯(44)을 통해서 상기 머플러(20)의 내부로 유이된다. 머플러(20) 내부로 유입된 물은 머플러(20) 내부에 먼저 고여 있는 물과 함께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23)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은 엔진의 시동이 OFF되었을 경우에 작동을 멈추게 되고, 스프링(42,52)의 탄성력에 의해서 탄발되어 각각의 밸브(41,51)가 트렁크 물배출공(14) 및 머플러 물배출공(23)을 막게 된다.
이상과 같이 트렁크(10) 및 머플러(20) 내부에 고이는 물이 엔진의 시동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지므로서, 종래기술의 문제에서 문제시되었던 부품의 부식에 의한 마모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과 함께 고온고압의 상태로 배기 파이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한 부압에 의해서 트렁크 및 머플러의 하부에 마련된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 및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가 개방되어 트렁크 및 머플러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이 자동으로 배출되므로서, 물의 고임으로 인한 트렁크 및 머플러의 부식이 방지되는 커다란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렁크 11 : 스페어 타이어
13 : 물고임부 14 : 트렁크 물배출공
20 : 머플러 22 : 연결공
30 : 연결관 40 :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
41 : 밸브 42 : 스프링
44 : 배출 슬롯 50 :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
51 : 밸브 52 : 스프링
54 : 배출 슬롯 60 : 부압연결장치
61 : 케이스 63 : 컨넥팅 플런저
64 : 연결 파이프 65 : 전자석부
67 : 시동키 스위치 70 : 연결 호스

Claims (3)

  1.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의 보관을 위해 마련되는 타이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차량이 후방측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언더 패널의 하측으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가 배관되는 차량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트렁크(10) 내부에 유입되거나 발생되는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타이어 수납공간(12)의 하부면 도중에 형성되는 트렁크 물배출공(14)과;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14)의 하단과 배기 파이프(21)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관(30)과;
    상기한 연결관(30)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배기 파이프(2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트렁크 물배출공(14)이 개방작동되도록 형성되며, 부압소진시 닫힘상태가 유지되도록 밸브(41)가 스프링(42)으로써 탄력지지되는 트렁크 물배출공 밸브(40)와;
    상기한 머플러(20)의 하부면 일측에, 상기 머플러(20)에 고이는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머플러 물배출공(23)과;
    상기한 머플러 물배출공(23)을 개폐하기 위해, 배기 파이프(21) 측에서 전달되는 부압에 의해 상하작동되는 밸브(51)가 스프링(52)으로써 탄력지지되는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와,
    상기한 배기 파이프(2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부압을 전달받아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가 개방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머플러 물배출공 밸브(50)의 하측과 배기 파이프(21)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호스(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머플러와 트렁크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호스(70)와 배기 파이프(21)의 도중에 연결되는 사이에는, 엔진의 시동시에만 연결호스(70)가 배기 파이프(21)의 도중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압연결장치(6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부압연결장치(60)의 케이스(61)는 머플러(2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그 케이스(61)의 내부에는 스프링(62)으로써 컨넥팅 플런저(63)가 탄력지지되고, 시동키 스위치(67)의 ON작동시에 상기 컨넥팅 플러저(63)가 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컨넥팅 플런저(63)의 외측에 전자석부(65)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머플러와 트렁크의 배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트렁크 물배출공(14)과 배기 파이프(21)의 도중을 연결하는 연결관(30)의 도중은 배출 슬롯(44)을 통해 머플러(20)의 상부 일측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량의 머플러와 트렁크의 배수장치.
KR10-2003-0055957A 2003-08-13 2003-08-13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00513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957A KR100513473B1 (ko) 2003-08-13 2003-08-13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957A KR100513473B1 (ko) 2003-08-13 2003-08-13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334A true KR20050017334A (ko) 2005-02-22
KR100513473B1 KR100513473B1 (ko) 2005-09-07

Family

ID=3722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957A KR100513473B1 (ko) 2003-08-13 2003-08-13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4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473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95754A1 (ja) 圧縮空気供給システム、車両用圧縮空気供給装置、及び、空気圧縮機の制御方法
KR100513473B1 (ko)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JP4257175B2 (ja) エアドライヤ
KR100521203B1 (ko) 압축 공기의 재생 장치
KR100371204B1 (ko) 배기계의 응축수 제거장치
CN116234622A (zh) 具有过滤除尘功能的用于收集废气中的粉末的设备和设置有该设备的废气处理装备
KR100361854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KR20050029467A (ko) 디젤연료필터의 공기/물 배출장치
KR100520787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9980016544U (ko)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101509813B1 (ko) 디젤 연료필터의 공기빼기장치
KR100290018B1 (ko) 보조 머플러
KR101234627B1 (ko)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에어탱크의 드레인 밸브
KR20020000056A (ko) 배수구가 형성된 머플러
JPH09192438A (ja) 排煙から煤煙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246006B1 (ko) 차량용 머플러의 응결수 배출장치
KR200258844Y1 (ko) Lpg 자동차의 lpg 공급장치
KR200417933Y1 (ko) 자동차의 연료 회수장치
KR100685276B1 (ko) 탱크로리용 적재물 입출장치
KR100201892B1 (ko) 브레이크의 오일 세퍼레이트 탱크
KR100521507B1 (ko)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장치
KR0112386Y1 (ko) 에어탱크의 드레인(drain) 장치
KR20000020002U (ko) 머플러의 수분 배출장치
KR100461108B1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장치
KR100461455B1 (ko) 응축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