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0787B1 - 머플러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머플러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0787B1
KR100520787B1 KR10-2003-0054859A KR20030054859A KR100520787B1 KR 100520787 B1 KR100520787 B1 KR 100520787B1 KR 20030054859 A KR20030054859 A KR 20030054859A KR 100520787 B1 KR100520787 B1 KR 100520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piston
cylinder
vacuum lin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7625A (ko
Inventor
주길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078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07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22Water or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 내부에 고이게 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머플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머플러의 저면 도중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한 배수구 양측에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에 지지된 채로, 상기 배수구의 상측을 향해 출몰가능하도록 피스톤이 돌출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한 피스톤의 하측 끝단에 로드로써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플레이트 밸브와;
일단은 상기한 실린더의 일측 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에 작동압을 가하고, 다른 일단은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과;
상기한 진공 라인의 도중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시동키 ON/OFF 작동에 따라 상기한 실린더에 가해지는 작동압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플러의 배수장치{Water drain apparatus on 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플러 내부에 고이게 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머플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머플러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언더 패널 하측으로는 엔진의 운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 가스가 차량의 후방측으로 안내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가 배관되며, 상기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촉매 컨버터 및 머플러 등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머플러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우천주행을 비롯하여 세차과정에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또한 내외부의 공기의 온도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상기 머플러의 내부에 고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트렁크의 내부에도 차량의 세차 및 청소과정에서 물이 유입되거나,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이 고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머플러의 내부에는 물이 고이게 되므로서,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머플러에는 부식이 발생되어 부품의 수명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경사길 운행시 중에 머플러 내에 고였던 물이 녹물이 되어 배기 파이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차량 메이커의 이미지까지 실추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머플러 내부에 고이게 되는 수분을 제거하여 머플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머플러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형성되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감쇄되도록 통형으로 형성되는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한 머플러의 저면 도중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상기한 배수구 양측에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에 지지된 채로, 상기 배수구의 상측을 향해 출몰가능하도록 피스톤이 돌출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한 피스톤의 하측 끝단에 로드로써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를 개폐하기 위한 플레이트 밸브와;
일단은 상기한 실린더의 일측 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에 작동압을 가하고, 다른 일단은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과;
상기한 진공 라인의 도중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시동키 ON/OFF 작동에 따라 상기한 실린더에 가해지는 작동압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머플러 배수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머플러 배수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머플러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머플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머플러(20)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측으로 유도하여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의 언더 패널 하측에 배관되는 배기 파이프(10)의 도중에 형성된다.
상기한 머플러(20)는 일반적인 종래의 머플러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내부 용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머플러(20)의 하부면 도중에는 상기 머플러(20)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구(22)가 소정크기로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수구(22)를 개폐하기 위한 플레이트 밸브(24)가 상기 배수구(22)의 상측에 위치되는데, 상기한 플레이트 밸브(24)는 배기가스가 배기 파이프(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리피스 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부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30)의 피스톤(31)에 로드(32)로써 연결된다.
상기한 실린더(30)를 배수구(22)의 상측에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머플러(20)의 내부에는 배수구(22)의 양측으로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브라켓(26)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6)의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판(27)이 형성된다. 이 지지판(27)에 실린더(30)가 세로방향으로 세워지고, 상기 실린더(30) 내부에 수용된 피스톤(31)의 일측과 연결되는 로드(32)가 실린더(3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로드(32)의 하단에 플레이트 밸브(24)가 장착된다. 상기 플레이트 밸브(24)의 하측면에는 상기 배수구(22)의 실링을 위한 패킹(2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실린더(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피스톤(31)의 하측에는 후설할 진공 라인(40)으로 가해지던 부압이 해제되었을 경우에 상기 피스톤(31)이 상향되어 플레이트 밸브(24)가 개방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33)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한 진공 라인(40)의 일단은 상기 스프링(33)이 수용되는 공간에 연결된다.
상기한 진공 라인(40)의 다른 일단은 배기 파이프(10)의 도중에 연결되는데, 상기 진공 라인(40)에는 배기 파이프(10)로 배기가스가 통과될 때에 오리피스 현상에 의해서 부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진공 라인(40)의 도중에는 엔진의 시동 OFF 시에는 상기 진공 라인(40)으로 대기압이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피스톤(31) 및 플레이트 밸브(24)가 상향되어 배수구(22)가 열리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50)가 형성된다.
제어 밸브(50)는 엔진의 시동키가 ON작동되었을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 밸브(50)의 전후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40)이 진공상태로 연결되도록 하고, 엔진의 시동키가 OFF작동되었을 경우에 솔레노이드 밸브(60)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 밸브(50)의 전후에 마련되는 진공 라인(40)으로는 대기압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어 밸브(50)의 케이스(51) 내부에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구(52)가 수용된다. 상기 작동구(52)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0)의 로드(62)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작동에 따라서 그 위치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작동구(52)의 내측홈 측에 전방 진공라인(40a)과 후방 진공 라인(40b)의 양측 연결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진공 라인(40)에 부압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그 케이스(51)의 일측에 마련되는 공기 유입구(53)와 후방 진공 라인(40b)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진공 라인(40)에 대기압이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전자석부(61)는 엔진의 시동 스위치(70)를 작동시켰을 경우에 전류가 인가될 수 있도록 배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엔진 시동을 위해서 운전자가 시동키를 ON작동시켜 시동 스위치(70)가 연결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전자석부(61)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어 밸브(50)의 작동구(52)를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밸브(50)의 전후방에 위치되는 진공 라인(40)이 연결되므로서, 엔진 운전시 발생되는 고온 고압의 배기 가스가 배기 파이프(10)를 통과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한 진공 라인(40)에는 오리피스 현상으로 인하여 부압이 발생되게 된다. 그리고 그 부압은 상기한 실린더(30)의 피스톤(31) 하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피스톤(31)을 하측방향으로 당기게 되고, 피스톤(31)과 로드(32)로써 연결된 플레이트 밸브(24)는 상기 배수구(22)를 막게 된다. 즉, 엔진이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머플러(20)의 배수구(22)를 통하여 배기소음이 방출되지 않도록 작동된다.
한편, 운전자게 엔진의 시동키를 OFF작동시키게 되어 시동 스위치(70)가 떨어진 상태가 되면, 엔진의 시동 OFF와 함께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전자석부(61)에 인가되던 전류가 끊어지게 되되므로서,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작동된다. 그와 함께 상기한 제어 밸브(50)의 작동구(52)는 제어 밸브(50)와 실린더(30) 간을 연결하는 진공 라인(40)이 대기압에 노출되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한 실린더(30)의 피스톤(31)은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향되고, 상기 피스톤(31)과 연결된 플레이트 밸브(24)가 배수구(22)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서, 머플러(20) 내부에 고인 물이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머플러 내부에 고이게 되는 물이 차량 운행 후에 자동적으로 배수되므로서, 머플러 내부에 고이는 수분으로 인하여 머플러(20)가 부식되는 것이 방지되므로서 머플러의 수명이 연장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의 시동키 ON/OFF 작동과 함께 머플러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배수구가 자동으로 개폐되므로서,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후에 자동적으로 머플러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어 수분으로 인한 머플러의 부식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머플러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머플러 배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머플러 배수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기 파이프 20 : 머플러
22 : 배수구 24 : 플레이트 밸브
25 : 패킹 26 : 브라켓
27 : 지지판 30 : 실린더
31 : 피스톤 32 : 로드
33 : 스프링 40 : 진공 라인
50 : 제어 밸브 52 : 작동구
60 : 솔레노이드 밸브 61 : 전자석부
70 : 시동 스위치

Claims (2)

  1. 차량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형성되며, 배기 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감쇄되도록 통형으로 형성되는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한 머플러(20)의 저면 도중에 형성되는 배수구(22)와;
    상기한 배수구(22) 양측에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브라켓(26)에 지지된 채로, 상기 배수구(22)의 상측을 향해 출몰가능하도록 피스톤(31)이 돌출형성되는 실린더(30)와;
    상기한 피스톤(31)의 하측 끝단에 로드(32)로써 연결되어, 상기 배수구(22)를 개폐하기 위한 플레이트 밸브(24)와;
    일단은 상기한 실린더(30)의 일측 공간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31)에 작동압을 가하고, 다른 일단은 배기 파이프(10)의 도중에 연결되는 진공 라인(40)과;
    상기한 진공 라인(40)의 도중에 연결되어, 운전자의 시동키 ON/OFF 작동에 따라 상기한 실린더(30)에 가해지는 작동압의 단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밸브(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 밸브(50)의 케이스(51) 내부에 상기 진공 라인(40)의 연결을 단속하기 위해 마련되는 '' 자형의 작동구(52)는, 엔진의 시동 스위치(70)와 연계작동되는 솔레노이드 밸브(60)의 로드(6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0-2003-0054859A 2003-08-08 2003-08-08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0052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859A KR100520787B1 (ko) 2003-08-08 2003-08-08 머플러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4859A KR100520787B1 (ko) 2003-08-08 2003-08-08 머플러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625A KR20050017625A (ko) 2005-02-22
KR100520787B1 true KR100520787B1 (ko) 2005-10-12

Family

ID=3722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4859A KR100520787B1 (ko) 2003-08-08 2003-08-08 머플러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07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625A (ko) 200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0787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JP4257175B2 (ja) エアドライヤ
US4678441A (en) System for discharging water from crank chamber
JP2592875Y2 (ja) エアドライヤ装置
KR101234627B1 (ko)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용 에어탱크의 드레인 밸브
KR200435728Y1 (ko) 타이머를 이용한 차량 수분 배출장치
KR101509813B1 (ko) 디젤 연료필터의 공기빼기장치
KR200435360Y1 (ko) 스프링 피스톤을 이용한 수분 배출장치를 구비한 차량의에어시스템
KR100513473B1 (ko)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00371204B1 (ko) 배기계의 응축수 제거장치
KR100246006B1 (ko) 차량용 머플러의 응결수 배출장치
KR100361854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KR20020000056A (ko) 배수구가 형성된 머플러
JPS5847292Y2 (ja) 開閉装置の操作シリンダ
JP4450229B2 (ja) 連絡通路残留液除去装置及び連絡通路残留液除去方法
KR100535585B1 (ko) 연료탱크의 부압해소장치
KR20060058269A (ko) 에어 콤프레서 서지탱크의 수분배출장치
KR19980016544U (ko)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20060065933A (ko) 차량용 자동 드레인 밸브 시스템
KR20070104214A (ko) 스프링 피스톤을 이용한 수분 배출장치를 구비한 차량의에어시스템
JPH07293589A (ja) 半自動クラッチ操作装置
KR100521199B1 (ko) 디젤 엔진 차량의 스로틀밸브 개폐장치
KR20000008001U (ko) 자동차의 오일 회수장치
KR100482884B1 (ko) 머플러의 응축수 배출장치
KR100569404B1 (ko) 브레이크 니플의 막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