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544U -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544U
KR19980016544U KR2019960029866U KR19960029866U KR19980016544U KR 19980016544 U KR19980016544 U KR 19980016544U KR 2019960029866 U KR2019960029866 U KR 2019960029866U KR 19960029866 U KR19960029866 U KR 19960029866U KR 19980016544 U KR19980016544 U KR 199800165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condensate
main body
hol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진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29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544U/ko
Publication of KR199800165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544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플러의 하부에 머플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해 주는 응축수 자동 배출 수단을 구비한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는 배기 가스 유입관, 머플러 본체 및 배기 가스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 상기의 응축수 배출용 홀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의 패킹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Description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머플러 본체4 :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
5 : 패킹6 : 솔레노이드
7 : 하우징10 :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
본 고안은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플러의 하부에 머플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해 주는 응축수 자동 배출 수단을 구비한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할 때 발생되는 배기 가스를 배출하고 또한 엔진룸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작게 하기 위한 머플러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머플러 장치의 일부는 도면 제 1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입관(1), 머플러 본체(2) 및 배기 가스 배출관(3)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는 엔진룸에서 자동차의 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고온의 배기 가스가 배기 가스 유입관(1)을 통해 머플러 본체(2)에 유입되어 진 다음 배기 가스 배출관(3)을 통해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어 지게 된다.
이때, 고온의 배기 가스가 머플러 본체(2)에 유입되어지게 되면 온도의 차이에 따라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는 많은 양의 응축수가 형성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는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로 인해 머플러 본체 내부의 바닥면에 녹이 슬게 됨으로써 상기의 녹에 의한 부식으로 인해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바닥면에 구멍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가 지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플러 본체의 바닥면에 머플러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자동적으로 배출해 주는 응축수 자동 배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로 인해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녹 및 상기의 녹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는 배기 가스 유입관, 머플러 본체 및 배기 가스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 상기의 응축수 배출용 홀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의 패킹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자동차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는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유입관(1), 머플러 본체(2) 및 배기 가스 배출관(3)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머플러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4), 머플러 본체(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7), 하우징(7)의 측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10), 응축수 배출용 홀을 개폐하는 패킹(5), 패킹(5)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6), 상기의 솔레노이드(6)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8) 및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9)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의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9)를 온시키면 자동차의 엔진(도시되지 않음)이 구동됨과 동시에 배터리(8)의 전원이 솔레노이드(6)에 인가되어 솔레노이드(6)가 구동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6)가 구동됨에 따라서 패킹(5)이 상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패킹(5)에 의해 머플러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4)이 폐쇄된다.
그 후 자동차가 주행을 하게 되면 배기 가스는 머플러 본체(2)를 통해 배기 가스 배출관(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되고 이때, 고온의 배기 가스에 의해 응축수가 머플러 본체(2)의 하부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 다음 운전자가 자동차의 주행을 완료하여 자동차의 시동 스위치(9)를 오프시키면 배터리(8)에서 솔레노이드(6)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짐으로써 솔레노이드(6)가 다시 하방향으로 구동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패킹(5)이 하 방향으로 이동되어 짐으로써 머플러 본체(2)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4)이 개방된다.
이로 인해 머플러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4)과 패킹(5)의 상부면 및 하우징(7)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10)을 통해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에 의해서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자동적으로 자동차의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됨에 따라서 머플러 본체의 내부에서 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의 녹에 의해 머플러 본체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1)

  1. 배기 가스 유입관, 머플러 본체 및 배기 가스 배출관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머플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1 홀, 상기의 머플러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용 제 2 홀, 상기의 응축수 배출용 홀을 개폐하는 패킹 및 상기의 패킹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2019960029866U 1996-09-18 1996-09-18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KR199800165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866U KR1998001654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866U KR1998001654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544U true KR19980016544U (ko) 1998-06-25

Family

ID=5397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866U KR19980016544U (ko) 1996-09-18 1996-09-18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5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16544U (ko) 자동차 머플러의 응축수 자동 배출 장치
US11525377B1 (en) Condensed water drainage device and exhaust system of a vehicle having the same
KR100371204B1 (ko) 배기계의 응축수 제거장치
JPS6022555A (ja) 車両用エアドライヤ装置
JPH09192438A (ja) 排煙から煤煙を除去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513473B1 (ko) 승용차량의 트렁크와 머플러의 배수장치
KR0174236B1 (ko) 배기 장치의 소음기 부식 방지 구조
KR100356224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부식 방지장치
KR100361854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KR100290018B1 (ko) 보조 머플러
JPH10196348A (ja) エンジン排出ガス浄化装置
KR200246312Y1 (ko) 자동차의 머플러
KR100520787B1 (ko) 머플러의 배수장치
KR20020000056A (ko) 배수구가 형성된 머플러
KR100405438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890001406Y1 (ko) 디이젤자동차 배기관의 세척장치
KR100246006B1 (ko) 차량용 머플러의 응결수 배출장치
KR200435360Y1 (ko) 스프링 피스톤을 이용한 수분 배출장치를 구비한 차량의에어시스템
KR200228028Y1 (ko) 자동차의매연방지장치
KR200153388Y1 (ko)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KR100386963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SU108103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далени конденсата из главного тормозного резервуара локомотива
KR19980035204U (ko) 머플러의 응축수 제거장치
KR20000006740U (ko) 오수 유입 방지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용 배기 장치
KR19980049651U (ko) 엔진압을 이용한 트렁크 웨더 스트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