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388Y1 -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388Y1
KR200153388Y1 KR2019960055110U KR19960055110U KR200153388Y1 KR 200153388 Y1 KR200153388 Y1 KR 200153388Y1 KR 2019960055110 U KR2019960055110 U KR 2019960055110U KR 19960055110 U KR19960055110 U KR 19960055110U KR 200153388 Y1 KR200153388 Y1 KR 2001533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tank
main body
vacuum
discharge hole
accum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014U (ko
Inventor
서영삼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55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388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3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3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탱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진공탱크 내부에 고인 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진공탱크에 관한 것으로,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크기를 갖고서 내부가 밀폐된 원형상의 본체(2)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탱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축적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0)에 부압 발생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를 폐쇠하고, 대기압시 자체 질량으로 하강하여 배출공(10)을 개방하도록 하는 밸브체(12)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진공탱크 내부에 고인 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진공탱크는 일기관으로부터 발생된 공기의 부압을 이용하여 진공을 형성하고, 상기 진공탱크에서 형성된 진공 상태는 관련 기관을 작동할 수 있도록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진공탱크는 보다 용이하게 진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수분등이 잔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탱크는 제3도와 같이 소정크기를 갖고서 내부가 밀폐된 원형상의 본체(102)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2)의 일측에 일기관으로부터 부압이 형성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104)과 진공탱크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106)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102)는 프레임에(108) 고정된다.
상기한 진공탱크는 외기조건이나 서지탱크의 환경등으로 인하여 수분이 발생되면 본체(102)의 하부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탱크는 그 본체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본체의 하부에 수분이 고이에 되더라고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시로 진공탱크의 내부에 고인 수준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만약 진공탱크의 내부에 수분이 고인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진공탱크에서 진공이 형성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본체의 배출관으로 수분이 배출되어 관련 기관의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탱크 내부에 고인 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로 진공탱크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는 진공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크기를 갖고서 내부가 밀폐된 원형상의 본체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탱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축적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에 부압 발생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를 폐쇠하고, 대기압시 자체 질량으로 하강하여 배출공을 개방하도록 하는 밸브체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체의 하단에 고여있는 수분은 내연기관의 시동이 꺼져 본체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되면 밸브체가 자체 질량으로 하강하여 배출공을 열어주면서 외부로 배출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로서, (a)는 드레인 장치가 닫힌 상태를 보인 도면, (b)는 드레인 장치가 열린 상태를 보인 도면.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진공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10 : 배출공
12 : 밸브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탱크의 드레인 밸브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진공탱크는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크기를 갖고서 내부가 밀폐된 원형상의 본체(2)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일기관으로부터 부압이 형성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4)과 진공탱크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관(6)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본체(2)는 프레임 (8)에 고정된다.
상기 본체(2)의 하단 소정위치에 수분이 배출되기 위한 소정크기의 배출공(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축적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0)에 부압 발생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를 폐쇠하고, 대기압시 자체 질량으로 하강하여 배출공(10)을 개방하도록 하는 밸브체(12)를 배치한다.
상기 밸브체(12)는 배출공(10)의 외측으로 소정크기의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에 안내되면서 승, 하강되는 가이드부(16)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6)의 하단에는 배출공(1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8)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진공탱크는 자동차의 시동이 켜져 본체(2)의 내부가 진공 상태로 되면, 밸브체(12)의 가이드부(16)가 가이드홈(14)에 안내되면서 본체(2)의 내측으로 상승하여 가이드홈(14)의 상단에 밀착된다.
상기 가이드부(16)와 함께 개폐부(18)가 상승하면서 배출공(10)을 닫아주게 되어 제2(a)도와 같이 본체(2)의 내부를 밀폐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2)의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하다가 외부의 환경등으로 인하여 수분이 발생되면 본체(2)의 하단에 고여있게 된다.
상기 본체(2)의 하단에 고여있는 수분은 자동차의 시동이 꺼져 본체(2)의 내부가 대기압 상태로 되면, 밸브체(10)의 가이드부(16)와 개폐부(18)가 자체 질량으로 가이드홈(14)을 따라 하강하여 배출공(10)을 열어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본체(2)의 내부에 고인 수분은 가이드부(16)와 가이드홈(14) 사이 공간으로 흘러내리고 배출공(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드레인 장치에 의하여 진공탱크 내부에 고인 물을 내부의 압력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진공탱크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수분이 관련 기관으로 배출하지 않게 되므로 관련 기관의 고장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크기를 갖고서 내부가 밀폐된 원형상의 본체(2)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탱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축적된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10)에 부압 발생시 상측으로 이동하여 이를 폐쇄하고, 대기압시 자체 질량으로 하강하여 배출공(10)을 개방하도록 하는 밸브체(12)를 배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2)는 배출공(10)의 외측으로 가이드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14)에 안내되면서 승, 하강되는 가이드부(16)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6)의 하단에는 배출공(10)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1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공탱크의 드레인 장치.
KR2019960055110U 1996-12-24 1996-12-24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KR2001533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10U KR200153388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110U KR200153388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14U KR19980042014U (ko) 1998-09-25
KR200153388Y1 true KR200153388Y1 (ko) 1999-08-02

Family

ID=1948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110U KR200153388Y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38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68711B (zh) * 2023-08-30 2024-02-20 十堰华利通液压系统有限公司 一种车载储罐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1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11154D1 (de) Entlüftungssystem für Flüssigkeitsbehälter
KR200153388Y1 (ko)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KR920004763A (ko) 개별적인 증기 및 응축수 유입구를 구비한 증기트랩
KR100402596B1 (ko) 배수배출장치
CN205617514U (zh) 一种利用液压控制开启的水箱排水阀
KR100830594B1 (ko)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GB2217986A (en) Whirlpool/spa bath drainage valve
JP3914005B2 (ja) 水抜き穴構造
CN101012886A (zh) 一种新型的自动排气阀
JP4141675B2 (ja) 偏心型空気弁
CN2403829Y (zh) 新颖防返溢地漏
JPH0849640A (ja) 内燃機関における点火コイルの取付け装置
KR800002312Y1 (ko) 하수구용 배수전
KR200388665Y1 (ko) 배수구
JP2000234674A (ja) 排気弁
JPS594825Y2 (ja) 燃料タンク
JP2002156095A (ja) ドレン排出装置
KR20030041477A (ko) 디젤자동차 연료필터의 자동 배수구조
KR910005044Y1 (ko) 세면기 배수관
CN2283164Y (zh) 水箱进水阀
KR0180884B1 (ko) 양변기용 세척수 배수구 개폐장치
JPS5716213A (en) Discharge device of blow-bye gas
KR960010610Y1 (ko) 양변기저수조의 급수제어장치
JPH07197502A (ja) 浴槽用排水栓
SU108411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крыти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 вакуумной плавильной пе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