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594B1 -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 Google Patents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0594B1
KR100830594B1 KR1020060111217A KR20060111217A KR100830594B1 KR 100830594 B1 KR100830594 B1 KR 100830594B1 KR 1020060111217 A KR1020060111217 A KR 1020060111217A KR 20060111217 A KR20060111217 A KR 20060111217A KR 100830594 B1 KR100830594 B1 KR 100830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valve
flow
flo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580A (ko
Inventor
장영철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05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F16K3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with the float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내의 내부 공기가 거의 배출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한 밸브의 압착이 이루어져 밸브 작동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잔류공기의 공기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유수의 이물질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커버(12)의 중앙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유동밸브 가이드(210)와;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동밸브 가이드(21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밸브(220)와; 상기 유동밸브(220)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로우트(230);로 구성됨으로써 유동밸브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에 유동밸브의 무게가 가벼워 발생하는 조기압착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배기 기능의 향상 및 통수시간의 감소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유동밸브 가이드, 유동밸브, 플로우트, 볼 챔버, 밸브몸체, 유입구

Description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Floating device for quick air valve }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소공기 배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폐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급속 공기밸브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폐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밸브몸체 2:플로우팅 장치
11:유입구 12:상부커버
13:배기구 14:통로
15:덮개 16:대공기구멍 밸브시이트
210:유동밸브 가이드 211:소공기 배출통로
212:파이프 212a:확관부
213:슬라이드 부시 213a:나선부
213b:상부턱
본 발명은 급속 공기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내의 내부 공기가 거의 배출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한 밸브의 압착이 이루어져 밸브 작동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잔류공기의 공기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유수의 이물질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속 공기밸브는 송수관 또는 수도관에 설치되어 관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통상 관의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게 되면 공기에 의해 관의 내부에 포켓(pocket)이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방해하게 됨으로써 물의 원활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종래의 급속 공기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으로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측으로 배기구(13)를 갖는 밸브몸체(1)의 내부에 플로우팅 장치(2)로써 플로우트(22) 및 유동밸브(21)가 구비되고, 상기 플로우트(22)와 유동밸브(21)는 유동밸브 가이드(23) 내부에서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3)는 덮개(15)에 의해서 밸브몸체(1)의 상부 내측의 단턱부에 걸려 고정되는 것이며, 유동밸브 가이드(23)와 덮개(15)의 사이에 대공기구멍 밸브시이트(1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밸브몸체(1)의 상부측에 상부커버(12)가 밸브몸체(1)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배기구(13)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며, 유동밸브 가이드(23)의 상부 둘레에 다수의 에어 통과공(23a)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3)의 하부 중앙부에 물유입공(23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함께 유동밸브(21)의 중앙부 장착홀(24a)에는 중공형 패킹(24b)과 중공형 나사조절구(24c)로 이루어진 소공기 배출부(24)가 구비되어 플로우트(22)가 접촉되거나 분리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패킹 및 나사조절구의 중공부 즉 소공기 배출공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급속 공기밸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의 하부측 유입구(11)를 통해서 관 내부의 공기가 밸브몸체(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유동밸브 가이드(23)의 에어 통과공(23a)과 밸브몸체(1)의 상부측 통로(14) 및 배기구(13)를 통하여 대공기가 외부로 빠져 나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몸체(1)의 내부에 물이 차 올라오기 시작하면, 유동밸브 가이드(23)의 하부측 물유입공(23b)을 통하여 밸브몸체(1)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고, 이 유입된 물의 수위에 의해서 플로우트(22)가 상부측 유동밸브(21)와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의 상부측 통로에 대한 유동밸브(21)의 차단에 의해서 밸브몸체(1)의 상부측이 폐쇄되고, 잔류공기는 소공기 배출부(2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플로우트(22)가 소공기 배출부(24)에 접촉됨으로써 소공기 배출부(24))에 대한 폐쇄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급속 공기밸브는 유동밸브의 무게가 가벼워 통수시 물을 포함한 공기의 불규칙한 분출로 관내 내부 공기가 아직도 남아 있는 상태에서 대공기 배출을 폐쇄하므로 부력에 의한 압착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뿐 아니라 남아 있는 관내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포켓에 의해서 통수의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통수의 지장은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자하여 강제로 관내의 내부 공기를 강제로 배출시켜야만 하므로 유지 보수의 비효율성 및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급속 공기밸브는 유동밸브와 유동밸브 가이드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상기 유동밸브가 통로 폐쇄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누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공기 배출부에 플로우트가 접촉하거나 분리되는 것에 의해 소공기 배출부의 소공기 배출공에 대한 개폐가 이루어지므로 상기 소공기 배출공의 직경이 극히 작아질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소공기 배출공을 통한 잔류공기의 배출시간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이물질이 끼이게 되는 경우에는 소공기 배출부에 플로우트가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됨으로써 이 역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관내의 내부 공기가 거의 배출된 상태에서 부력에 의한 밸브의 압착이 이루어져 밸브 작동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잔류공기의 공기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유수의 이물질 끼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밸브몸체와 상부커버의 사이에 배 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내부에는 플로우팅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플로우팅 장치에 의해서 밸브몸체의 상부측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급속 공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의 중앙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유동밸브 가이드와;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동밸브 가이드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유동밸브와; 상기 유동밸브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로우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로우트는 유동밸브의 둘레를 따라 인서트 된 너트에, 상부측이 볼트로 체결되어 유동밸브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의 중앙부에 소공기 배출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소공기 배출통로 내부의 유동밸브 중앙부 흡입공 상부에 중공형 나사조절구 및 중공형 패킹이 형성되며, 상기 흡입공의 하부측에는 플로우트 볼이 내장되고 둘레에 다수의 물유입공 및 배수공이 형성된 볼 챔버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볼 챔버는 하면에, 중앙부에서 바깥쪽 하부 배수공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는 하부측에 확관부를 갖는 중공의 수직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에 로크너트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턱을 갖는 슬라이드 부시와; 상기 슬라이드 부시의 상부턱 위에 걸쳐지도록 파이프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급속 공기밸브는 통상에서와 같이 밸브몸체(1)와 상부커버(12)의 사이에 배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1)의 내부에는 플로우팅 장치(2)가 구비되어 상기 플로우팅 장치(2)에 의해서 밸브몸체(1)의 상부측 통로(1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급속 공기밸브에 있어, 본 발명은 유동밸브 가이드(210)와 유동밸브(220) 및 플로우트(230)를 일체로 형성하여 플로우팅 장치(2)를 구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는 상부커버(12)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파이프(212)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212)는 상부커버(12)의 중앙부에 로크너트(214)에 의해서 고정되고 상부턱(213b)을 갖는 슬라이드 부시(21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파이프(212)는 상단부 외측으로 고정턱(215)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후술되어질 유동밸브(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관부(212a)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밸브(220)는 파이프(212)의 확관부(212a)가 인서트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서, 유동밸브(220)의 중앙부에는 흡입공(220a)이 형성되고, 상 기 흡입공(220a)의 상부에는 중공형 나사조절구(223) 및 중공형 패킹(224)이 구비되어 소공기 배출통로(211)를 형성한다.
그리고, 플로우트(230)는 유동밸브(220)의 둘레를 따라 인서트 된 너트(221)에, 상부측이 볼트(222)로 체결되어 유동밸브(220)에 결합되는 것이며, 플로우트(230)의 상부측에는 플로우트 볼(241)이 내장되고 둘레에 다수의 물유입공(242) 및 배수공(244)이 형성된 볼 챔버(2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볼 챔버(240)는 내부의 물이 배수공(244)을 통하여 보다 용이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볼 챔버(240)의 저면 중앙부에서 바깥쪽 하부 배수공(244)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3)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는 소공기 배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폐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의 상태에서 대공기가 밸브몸체(1)의 통로(14) 및 배기구(1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밸브몸체(1)의 유입구(11)를 통하여 상기 밸브몸체(1)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밸브(220)와 볼 챔버(240) 및 플로우트(230)가 일체로 형성된 플로우팅 장치(2)가 상승하면서 밸브몸체(1)의 통로(14)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밸브몸체(1)의 내부에 잔류하는 소공기는 볼 챔버(240)의 물유입공(242) 및 배수공(244)을 통해 볼 챔버(240)의 내부로 유입된 뒤, 유동밸브 가이드(210)의 소공기 배출통로(21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볼 챔버(240)의 물유입공(242) 및 배수공(244)을 통하여 볼 챔 버(24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이 유입된 물에 의해서 볼 챔버(240) 내부의 플로우트 볼(241)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밸브(220)의 흡입공(220a)을 폐쇄하게 됨으로써 상기 흡입공(220a)을 통한 누수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밸브몸체(1) 내부의 물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플로우팅 장치(2)도 함께 하부로 이동하면서 밸브몸체(1)의 통로(14)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며, 볼 챔버(240) 내부의 물도 볼 챔버(240)의 배수공(244)을 통하여 빠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볼 챔버(240) 내부의 플로우트 볼(241)은 물과 함께 볼 챔버(240) 내의 하부측으로 이동하면서 유동밸브(220)의 흡입공(220a)을 다시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며, 볼 챔버(240)의 저면에 경사면(243)이 형성되어 있어 배수공(244)을 통한 볼 챔버(240) 내부의 물 배출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해 밸브몸체의 통로를 폐쇄시키는 유동밸브와 물 위로 뜨는 플로우트를 일체화함으로써 유동밸브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어 기존에 유동밸브의 무게가 가벼워 발생하는 조기압착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배기 기능의 향상 및 통수시간의 감소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동밸브와 플로우트를 일체화하고 상기 유동밸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외부에 형성함으로써 기존에 유동밸브와 가이드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이물질로 인한 누수의 사고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밸브와 플로우트의 사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볼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볼 챔버의 내부로 유입된 잔류공기를 유동밸브 가이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소공기 배출공의 직경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잔류공기의 배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공기 배출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Claims (5)

  1. 밸브몸체(1)와 상부커버(12)의 사이에 배기구(13)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몸체(1)의 상부측에 통로(14)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14)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12)의 중앙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부에 소공기 배출통로(211)가 형성된 유동밸브 가이드(210)와;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밸브몸체(1)의 통로(14)를 개폐시키며, 중앙부에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의 소공기 배출통로(211)와 연통하는 흡입공(220a)이 형성된 유동밸브(220)와;
    상기 유동밸브(220)의 하부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부력에 의해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 및 유동밸브(2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플로우트(230)와;
    상기 플로우트(230)와 유동밸브(220)의 사이에 일체로 구비되어 유동밸브(220)의 흡입공(220a) 및 유동밸브 가이드(210)의 소공기 배출통로(211)를 개폐하는 볼 챔버(2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트(230)는 유동밸브(220)의 둘레를 따라 인서트 된 너트(221)에, 상부측이 볼트(222)로 체결되어 유동밸브(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챔버(240)는 플로우트 볼(241)이 내장되고, 둘레에 다수의 물유입공(242) 및 배수공(244)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밸브(220)는 흡입공(220a)의 상부에 중공형 나사조절구(223) 및 중공형 패킹(2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 챔버(240)는 하면에, 중앙부에서 바깥쪽 하부 배수공(244) 측으로 경사진 경사면(24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밸브 가이드(210)는 하부측에 확관부(212a)를 갖는 중공의 수직 파이프(212)와;
    상기 파이프(212)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커버(12)에 로크너트(214)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턱(213b)을 갖는 슬라이드 부시(213)와;
    상기 슬라이드 부시(213)의 상부턱(213b) 위에 걸쳐지도록 파이프(212)의 상단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턱(21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장치.
KR1020060111217A 2006-11-10 2006-11-10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KR100830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217A KR100830594B1 (ko) 2006-11-10 2006-11-10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217A KR100830594B1 (ko) 2006-11-10 2006-11-10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580A KR20080042580A (ko) 2008-05-15
KR100830594B1 true KR100830594B1 (ko) 2008-05-22

Family

ID=3964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217A KR100830594B1 (ko) 2006-11-10 2006-11-10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0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0847A (zh) * 2013-09-18 2013-12-25 武汉大禹阀门股份有限公司 虹吸进排气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971A (en) 1980-01-28 1981-08-31 Sadayoshi Yamazaki Air valve
US4742843A (en) 1987-08-19 1988-05-10 Rain Bird Sprinkler Mfg. Corp. Air and vacuum relief valve
JPH074598A (ja) * 1993-06-15 1995-01-10 Tlv Co Ltd フロ―ト弁
KR960004550Y1 (ko) * 1993-11-05 1996-06-03 안계순 수직형 자동수위 조절밸브
KR200342643Y1 (ko) 2003-12-05 2004-02-21 손석진 급속공기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9971A (en) 1980-01-28 1981-08-31 Sadayoshi Yamazaki Air valve
US4742843A (en) 1987-08-19 1988-05-10 Rain Bird Sprinkler Mfg. Corp. Air and vacuum relief valve
JPH074598A (ja) * 1993-06-15 1995-01-10 Tlv Co Ltd フロ―ト弁
KR960004550Y1 (ko) * 1993-11-05 1996-06-03 안계순 수직형 자동수위 조절밸브
KR200342643Y1 (ko) 2003-12-05 2004-02-21 손석진 급속공기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70847A (zh) * 2013-09-18 2013-12-25 武汉大禹阀门股份有限公司 虹吸进排气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580A (ko)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579B1 (ko) 상수용 다기능 공기빼기밸브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100830594B1 (ko) 급속 공기밸브의 플로우팅 장치
JP2007177913A (ja) 空気弁
CN110117978B (zh) 一种马桶水箱进水阀
KR100872520B1 (ko) 급속 공기 밸브
CN111188390A (zh) 一种提高溢流能力及加快排水阀排速的溢流装置
KR200310493Y1 (ko) 부력식 역지밸브
KR200390712Y1 (ko) 저수압용 급속공기밸브
JP2004068959A (ja) 空気弁
JP2006316939A (ja) 排気弁
JP7092640B2 (ja) フロート式逆止弁
CN221121149U (zh) 一种防气堵整体式空气阀结构
KR920000500Y1 (ko) 급속 배기밸브
JP3444564B2 (ja) フロ―ト式トラップ
KR101010900B1 (ko) 방류밸브용 공기밸브
JP2589815Y2 (ja) 空気弁
KR200362643Y1 (ko) 급속공기밸브
CN106088272A (zh) 无水箱马桶的防污水倒流装置
JP2573606Y2 (ja) 不凍結形空気弁
KR200194307Y1 (ko) 변기용 세척 밸브
JP4166514B2 (ja) フロート式ドレントラップ
JPH0932949A (ja) 空気弁
KR200153388Y1 (ko) 자동차 진공 탱크의 드레인 장치
KR200240283Y1 (ko) 상하 여과망을 구성한 공기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