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9522A -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9522A
KR20050009522A KR1020030048855A KR20030048855A KR20050009522A KR 20050009522 A KR20050009522 A KR 20050009522A KR 1020030048855 A KR1020030048855 A KR 1020030048855A KR 20030048855 A KR20030048855 A KR 20030048855A KR 20050009522 A KR20050009522 A KR 2005000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nitride layer
silicon nitride
forming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9522A/ko
Publication of KR2005000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52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EPROM 셀 형성 과정 중 컨트롤 게이트와 부유 게이트의 절연과 결합비 증가를 위해 부유 게이트의 측벽에 증착되어지는 산화막/질화막층이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 남게 되는데 이렇게 남겨진 것이 후속 고전압 습식각 이후에도 남겨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산화막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문턱전압을 증가시키고 험프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EEPROM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EEPROM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은 실리콘 기판에 제 1실리콘 질화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실리콘 질화막층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패터닝된 제 1실리콘 질화막층 상에 제 2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실리콘 질화막을 식각한 후, 실리콘 기판 내에 다수의 STI를 형성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의 셀 영역에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폴리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폴리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터널 산화막의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 상에 고전압 게이트용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HUMP IN EEPROM}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셀 형성 과정 중 부유 게이트 형성 후, 게이트 측벽에 증착되는 산화막/질화막층이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 남게 되는데 이렇게 남겨진 것이 후속 고전압 습식각 이후에도 남겨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산화막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문턱전압을 증가시키고 험프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EEPROM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티브 모서리에서 질화막의 제거 및 이어지는 화학물 사용 공정으로 인하여 산화막 침식 발생으로 험프, INWE(inverse narrow width effect) 등이 심화되어 진다.
험프는 얕은 트렌치 아이솔레이션(STI; shallow trench isolation)에서 주로 발생되어지는 현상으로 폭의 측면에서 해석이 가능하고 원인은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한 날카로운 액티브 코너에 전기장이 집중함으로 인해 문턱 전압(Vt; threshold voltage)가 감소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트랜지스터의 폭 감소에 따라 문턱 전압 Vt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소자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유발하여 수율 저하로 인한 생산성의 감소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주목적은 EEPROM 셀 형성 과정 중 컨트롤 게이트와 부유 게이트의 절연과 결합비 증가를 위해 부유 게이트의 측벽에 증착되어지는 산화막/질화막층이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 남게 되는데 이렇게 남겨진 것이 후속 고전압 습식각 이후에도 남겨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산화막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문턱전압을 증가시키고 험프를 사라지게 할 수 있는 EEPROM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서의 험프(hump) 발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리콘 기판 12 : 표면 산화막
14, 20 : 제 1 및 제 2 실리콘 질화막층
16 : 포토레지스트 마스크 24 : 트렌치
26 : 갭충진층 28 : STI
30 : 터널 산화막 32 : 부유 게이트
34 : 폴리 산화막 36 : 측벽 산화막/질화막층
38 : 고전압 게이트 산화막 40 : 컨트롤 게이트
42 : 고전안 게이트 44 : 논리 입출력 게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에 제 1의 실리콘 질화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1의 실리콘 질화막층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패터닝된 제 1의 실리콘 질화막층 상에 제 2의 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의 실리콘 질화막을 식각한 후, 실리콘 기판 내에 다수의 STI를 형성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의 셀 영역에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폴리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형성된 폴리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터널 산화막의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실리콘 기판 상에 고전압 게이트용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m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에서의 험프(hump) 발생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0) 상에 표면 산화막(12) 및 제 1실리콘 질화막층(14)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 1실리콘 질화막층(14)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다. 이어서, 포토레지스트를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여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6)을 형성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마스크(16)를 액티브 영역과 필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ISO 마스크로 사용하여 패터닝한 다음, 식각 공정으로 제 1실리콘 질화막층(14)을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턴닝된 제 1실리콘 질화막층(14)이 역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므로 이러한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 2실리콘 질화막층(20)을 증착한 다음, 도 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진행하여 실리콘 질화막의 경사면이 90°이상이 되도록 만든다.
계속하여, 도 1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터닝된 제 2실리콘 질화막층(22)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STI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트렌치(24)를 실리콘 기판(10) 내에 형성한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충진 산화막층(26)을 다수의 트렌치(24)가 충분히 덮힐 정도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도 1g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충진 산화막층(26)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와 같은 공정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10)의 상부면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를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STI(28)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본 공정 이후에 어닐링, 질화막 제거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후속하는 단계로, 도 1h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 영역에 웰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터널링 산화막층(30), 부유 게이트(32) 및 층간 폴리 산화막(inter poly oxide)(34)를 순차적으로 실리콘 기판(10)의 셀영역(CR) 상에 형성한다. 참조로, 도면에서 셀영역은 "CR", 기타의 논리 트랜지스터, 고전압 트랜지스터 및 입출력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은 "OR"로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도 1i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진 부유 게이트와 컨트롤 게이트와의 절연과 결합비(coupling ratio)를 증가시키기 위해 부유 게이트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36)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1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 질화막 식각을 진행하게 되면 부유 게이트의 측벽에만 산화막-질화막 층(36)이 남게된다. 이때, 산화막-질화막 층(36)은 액티브 영역의 모서리, 즉,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도 남게된다. 그리고 나서, 고전압 웰과 논리 웰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주입 공정이 진행되게 된다.
후속하여, 도 1k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게이트 산화막(38)을 증착한 다음, 도 1l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게이트 산화막(38) 형성을 필요로 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형성된 고전압 게이트 산화막(38)에 대하여 식각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전압 게이트 산화막(38)의 증착은 고전압 웰 및 논리 웰 형성 전후하여 나누어 진행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 실리콘 기판(10)의 고전압 트랜지스터가 형성될 영역은 "HV"로 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1m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논리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진행한 다음, 컨트롤 게이트 폴리를 증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후속 포토와 식각 공정으로 셀 영역(CR)의 컨트롤 게이트(40), 고전압 영역(HV)의 고전압 트랜지스터, 기타 지역(OR)의 논리 트랜지스터 및 입출력 트랜지스터 영역을 패터닝 한다.
본 발명을 본 명세서 내에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기술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 및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험프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액티브 모서리에서의 게이트 산화막이 가늘어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문턱전압(Vt)가 감소되는 현상이므로 이에 EEPROM 셀 형성 과정 중 부유 게이트 형성 후 게이트측벽에 증착되는 산화막 및 질화막 층이 액티브의 모서리, 즉,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도 남게되는데 이를 후속 고전압 습식각 후에도 남기게 되면 액티브의 모서리에서의 산화막의 두께를 증가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두께의 산화막과 질화막을 비교시 Cox가 Cnit의 3배 정도이므로 Vt는 질화막층이 3배 정도 높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Vt의 증가로 인하여 험프가 사라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폭 감소에 따라 Vt가 감소하는 현상으로 인한 소자의 비정상적 동작으로 인한 수율 저하와 생산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실리콘 기판에 제 1실리콘 질화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실리콘 질화막층을 소정의 형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와,
    상기 패터닝된 제 1실리콘 질화막층 상에 제 2실리콘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실리콘 질화막을 식각한 후, 상기 실리콘 기판 내에 다수의 STI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기판의 셀 영역에 터널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폴리 산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폴리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터널 산화막의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실리콘 기판 상에 고전압 게이트용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실리콘 질화막 층이 역삼각형의 모양을 가지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 2실리콘 질화막 층을 증착한 다음, 에치-백(etch-back)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각된 제 1실리콘 질화막 층의 경사면이 90°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폴리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터널 산화막의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벽에 형성된 산화막-질화막 층은 플로팅 게이트와 컨트롤 게이트와의 절연 및 결합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폴리 산화막, 부유 게이트 및 터널 산화막의 측벽에 산화막-질화막 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측벽에 형성된 산화막-질화막 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때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 남겨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남겨진 산화막-질화막 층이 후속하는 고전압 습식각을 진행하여도 제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논리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한 다음, 컨트롤 게이트 폴리를 증착한 후, 포토와 식각 공정으로 셀 영역의 컨트롤 게이트와 고전압 트랜지스터, 논리 트랜지스터 및 입출력 트랜지스터 영역을 패터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와 식각 공정으로 셀 영역의 컨트롤 게이트와 고전압 트랜지스터, 논리 트랜지스터 및 입출력 트랜지스터 영역을 패터닝하는 단계에서 액티브와 필드의 경계에 상기 산화막-질화막 층이 남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KR1020030048855A 2003-07-16 2003-07-16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KR2005000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55A KR20050009522A (ko) 2003-07-16 2003-07-16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855A KR20050009522A (ko) 2003-07-16 2003-07-16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522A true KR20050009522A (ko) 2005-01-25

Family

ID=37222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855A KR20050009522A (ko) 2003-07-16 2003-07-16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95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480B1 (ko) 자기 정렬된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 방법
KR100397176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평탄화 방법
KR20070000758A (ko) 수직 채널을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10381360B1 (en) Control gate dummy for word line uniform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460272B1 (ko) 고전압 듀얼 게이트 소자의 형성 방법
US70946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50006511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70053488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50009522A (ko) 이이피롬에서의 험프 발생 제어 방법
KR100511925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100691938B1 (ko)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제조방법
KR100958632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81987B1 (ko) 반도체 소자의 mos 커패시터 형성 방법
KR100590391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30001941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1060698B1 (ko)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50057788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122564A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113265A (ko) 리세스게이트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20050002060A (ko) 선택적 실리콘 리세스로 모우트를 방지한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KR20020061255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와 저전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35981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20050079551A (ko) 플래쉬 메모리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60066874A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9503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