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7615A -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 Google Patents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7615A
KR20050007615A KR10-2004-7021529A KR20047021529A KR20050007615A KR 20050007615 A KR20050007615 A KR 20050007615A KR 20047021529 A KR20047021529 A KR 20047021529A KR 20050007615 A KR20050007615 A KR 2005000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extract
agaricus
metastasis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5262B1 (ko
Inventor
리인수피터
오타토미히사
Original Assignee
교와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썬도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썬도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2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식품소재를 제공한다.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은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는 공정, 얻어진 추출액을 투석 처리하는 공정 및 얻어진 투석 외액을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진다. 분자량 100∼2,000의 크로마토그래피 주용출 획분으로 얻어진다. 또한 상기 성분은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는 공정, 얻어진 추출액에 에탄올을 첨가시켜 침전물을 얻는 공정 및 침전물을 물에 용해시켜 투석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진 투석 외액이다.

Description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Agaricus extract for preventing the induction or metastasis of cancer}
우레탄과 NNK는 각종의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레탄은 마우스에 있어서 용량 의존적으로 폐암 및 간암을 유발시키고 우레탄의 인간에 있어서 안전 용량(virtually safe dose, VSD)은 폐암에 있어서는 1.8 x 10-4㎎/㎏체중, 간암에 있어서는 7.2 x 10-5㎎/㎏체중으로 계산되고 있다. (K. Inai 등, Jpn. J. Cancer Res. 82, 380∼385쪽, 1991년 4월).
임신 또는 수유의 기간에 우레탄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자손은 태반 전이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된 엠브리오캔서(embryotic cancer), 폐암 및 태반을 통한 오바리언 시스타데노마(ovarian cystadenoma)를 유발시킨다. 또한 임신 중인 부모 마우스 역시 자궁 내막반 형성 및 자궁 혈관종을 발생시킨다.(T. Nomura, Cancer Research, 33, 1677-1683쪽, 1973년 7월).
경구 투여된 우레탄은 마우스에 있어서 폐암, 임파종, 간암, 위유두종, 지선선종(sebaceous gland tumor), 유방암, 폐선종증(lung ademoma), 편평상피세포종양, 백혈병, 메센키모마(mesenchymoma) 등을 유발한다(IARC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 OF CHEMICALS TO MAN, vol. 7, 111-131쪽, the views of two IARC Working Groups on the Evaluation of the Carcinogenic Risks of Chemicals to Man which met in Lyon, 1974년 2월 4일∼11일, 1974년 6월 18일∼24).
한편 우레탄은 알코올 발효되어 생성되고 와인 등의 양조 제품에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므로 캐나다에서는 규제 대상이 되고 있다(EthylCarbamate in Alcoholic Beverages and Fermented Foods, ACS Symposium Series No. 484, Food Safety Assessment, John W. Finley et al., 편집, 419∼428쪽, American Chemical Society, 1992; Identification of Volatile Constituents from Grapes, J. Agric. Food Chem., Vol. 24, No. 2, 329∼331쪽, 1976; RATIONALE FOR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TO LIMIT ETHYL CARBAMATE LEVELS IN ALCOHOLIC BEVERAGES, BUREAU OF CHEMICAL SAFETY FOOD DIRECTORATE HEALTH PROTECTION BRANCH, HEALTH & WELFARE CANADA, 1∼8쪽; Ethylcarbamate in Fermented Beverages and Foods, Cornelious S. Ough, J. Agric. Food Chem., Vol. 24, No. 2, 323∼327쪽).
NNK는 담배연기에 포함된 잠재적인 발암물질의 하나이다(Djorijevic, M.V.et al., A Comparison of selected components in the mainstream smoke of the leading U.S. and Japanese cigarettes. In: Proceedings of the CORESTA smoke and Technology Meeting, 220∼217쪽, 1996년 11월 3일∼8일). 남성, 여성간에도 폐암의 발생율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폐암의 발생 증가는 흡연 및 알코올 섭취와 높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국제암 연구소(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는 인간에 있어서 흡연양과 알코올 섭취량과의 상승적인 증가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 흡연 및 알코올 섭취에 따른 섭취된 NNK 및 우레탄이 폐암 발생 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폐암은 남성 암에 있어 사망원인 45%, 여성 암에 있어 사망원인 22.5%를 점하고 있고 최근 폐암은 심혈관질환보다도 미국에 있어 흡연자의 사망의 제1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흡연 또는 알코올 섭취에 따른 암의 유발을 예방하는 식이 성분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가리쿠스로 호칭되는 것은 그 학명을 아가리쿠스 블레자이 뮤릴로 통칭되며 가와리하다타케라 불리는 담자균류 하라타케과에 속하는 것이다. 아가리쿠스(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가와리하라타케, 또는 ABM 또는 아가리쿠스라 칭함)는 브라질의 상파울로 주에 위치한 피에다데 지방에 전통적인 의학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아가리쿠스는 각종 면역 부활 활성, 발암 예방효과, 종양 증식억제효과를 지니고 있고 현재 건강식품으로써 광범위하게 내복되고 있다.
아가리쿠스에 포함된 다당류는 β-1, 6-글루코피라노실 잔기를 포함하고 사르코마 180에 대한 항종양 활성을 지닌다(Ebina T 등(1986), Jpn. J. Cancer Res 77:1034∼1042).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1→6)-β분지를 지니고, (1→4)-α-D-글루칸을 함유하며 내추럴 킬러 세포 활성화 및 아폽토시스를 경유하여 매개시키는 선택적 항종양 활성을 지닌다(Fujimiya Y 등(1998), Cancer Immunol Immunother 46:147∼159).
아가리쿠스를 포함하는 폴리사카라이드는 이중 이식 종양계에 있어서 Meth A 종양세포에 대해 직접적인 세포 상해성 작용을 지니고 따라서 종양을 지닌 마우스에 대해 간접적인 면역 증강 작용을 지닌다(Ebina T 등(1998), Biotherapy 11:259∼265).
아가리쿠스를 포함하는 다당류는 마우스에 있어서 T세포 서브세트 속에 비장 Thy 1, 2-, L3T4 양성세포의 퍼센티지를 변화시킨다(Mizuno M 등(1998), Biosci. Biotechnol. Biochem, 62:434∼437).
이상의 보고는 아가리쿠스에 포함된 다당류가 면역 조절 활성을 통해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 상해성 작용을 지니는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면역 증강 활성 및 항종양 활성에 관해서 다수의 보고가 있으나 이들은 인비트로에서 행해진 시험 또는 암에 걸린 동물을 대상으로 한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영향을 시험한 것뿐이며, 흡연 또는 음주와 같은 생활관습이 주원인이 되는 폐암, 대장암 등의 암이 유발되어 지는 과정 또는 암의 전이과정에 있어 영향을 시험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자가 인지하는 한, 암이 유발되어지는 과정 또는 암의 전이과정에 영향을 주는 식이 성분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암이 유발되어지는 과정 또는 암의 전이과정을 평가하는 신뢰성을 지닌 에세이 방법이 아직 고려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발명의 개시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잠재적으로 예방하는 약품소재 및 식품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암의 유발(발증)과 유발된 암의 그 후 암으로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여기에 포함된 식이 성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여기에 포함된 식이 성분이 발암물질, 우레탄 또는 NNK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 폐암이 유발되는 과정에 있어 A/J 마우스에 있어서 이상 발현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 및 발암물질 AOM을 투여하는 것에 의한 대장암이 유발되는 과정에 있어 레트에 있어서 애버런트 크립트 포시(aberrant crypt foci(ACF))의 형성을 현저히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특정의 논리에 구속되는 것을 원하지 않지만 아가리쿠스 추출물에는 발암물질의 활성화를 저지하는 것, 발암물질의 대사에 의해 생산되는 잠재적 프리 라디칼을 제공하는 것, 발암물질 중의 프리 라디칼 생산체를 제거하는 것, 또는 발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유효한 성분(단수 또는 복수)이 함유되어 있고 또는 이러한 성분의 상승적 작용에 의해,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암의 유발 및 그 후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아가리쿠스'는 일반적으로 학명을 아가리쿠스 블레자이 뮤릴(Agaricus blazei Murill)로 통칭되고 아가리쿠스는 담자균류 하라타케과에 속하는 것의 자실체, 균사체, 배양액 등을 포함하는 아가리쿠스 원료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용어 '아가리쿠스'는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의미한다. 한편 이후 본 명세서에는 '아가리쿠스 ABM' 및 '가와리하라타케'는 서로 교환 가능하게 사용하고 동일한 아가리쿠스 원료를 의미하는 용어로써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아가리쿠스를 열수 추출시켜 조제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은 아가리쿠스를 열수 추출하는 공정, 얻어진 추출액을 투석 처리하는 공정 및 얻어진 투석 외액을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진 것이고, 분자량 100∼2,000의 크로마토그래피 주용출 획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은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는 공정, 얻어진추출액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을 얻는 공정 및 상기 침전을 물에 용해시켜 투석 처리하는 공정에 의해 얻어진 투석 외액이다.
상기 암은 우레탄, (4-N-메틸-N-니트로아미노)-1-(3-피리딜)-1-부탄온 또는 아족시메탄으로 유발된 암에서 얻어진다. 대표적으로는 상기 암은 폐암 또는 대장암이다.
본 발명은 한편 암의 발생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그 조성물은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캐리어를 포함한다.
이 조성물은 분말, 액체, 정제, 캅셀 및 팰레트 등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형태를 지닌다.
본 발명은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발효식품 및 알코올 음료 중에 존재하는 (EC(에틸카바메이트)), 담배연기 중에 존재하는 물질 NNK[{(4-N-메틸-N-니트로아미노)-1-(3-피리딜)-1-부탄온}] 또는 AOM(아족시메탄)에 의해 암의 유발 또는 우레탄, NNK 또는 AOM에 의해 유발되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NNK에 의한 폐암 유발을 예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NNK에 의한 폐암 유발을 용량 의존적으로 예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NNK의 투여로 유발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NNK의 투여로 유발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을 용량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우레탄에 의한 폐암 유발을 예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우레탄의 투여로 유발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이 AOM에 의한 대장암 유발을 예방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아가리쿠스 원료를 용매 추출하여 제조하는것이다. 아가리쿠스 원료는 대표적으로는 천연 또는 재배된 아가리쿠스 자실체이다. 배양 탱크 등으로 배양시킨 아가리쿠스 균사체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통상 아가리쿠스는 세정시킨 후 건조하여 사용한다. 시판되고 있는 자실체의 건조물도 또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통상 건조된 아가리쿠스는 정법에 의해 분말화시켜 추출원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상기 자실체의 건조물 또는 그 분말을 각종의 용매를 첨가시켜 추출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매는 상기 건조 자실체 또는 그 분말의 중량에 대해 1∼20배의 중량으로 첨가하여 추출 조작을 행한다. 상기 용매로써는 물,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메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는 물을 사용하여 아가리쿠스 추출물을 제조한다.
아가리쿠스 분말과 상기 용매의 혼합물을 0℃∼1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실온∼80℃의 온도에서 10분에서 수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1∼24시간 마그네틱 스티러(100∼500rpm의 회전수) 등을 사용하여 교반 또는 진탕시켜 추출 조작을 행한다. 대표적으로는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아가리쿠스 분말에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70℃에서 24시간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것이다. 얻어진 용액으로부터 원심분리법, 여과 등의 방법에 의해 잔사를 제거한 후 동결 건조시킨다. 얻어진 분말을 아가리쿠스 추출물이라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가리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당업자에 공지된 HPLC(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얻어진 성분은 NMR법(핵자기 공명 분석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구조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하나의 예이다.
건조 자실체에 5∼10 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1∼3시간 가열 추출 또는 가열 환류 시킨다. 이 아가리쿠스 열수 추출은 필요에 따라 열수 추출 잔사에 있어서도 반복하여 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열수 추출액은 동결 건조, 스프레이 드라이 등의 당업자에 공지된 방법에 의한 건조물(이하 건조물 A라 칭함)이다. 건조물 A는 5∼20배 용량의 물에 현탁 또는 용해시킨 후 이것을 투석 튜브에 넣고 수배 용량의 증류수에 대해 10∼15시간 투석시킨다. 얻어진 투석 외액을 동결 건조시켜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지닌 건조물(이하 건조물 C라 칭함)을 얻는다.
연이어 투석 내액에 있어서도 더욱이 흐르는 물 중에서 20∼40시간 투석시키고 여기에 증류수로 2회 각 수시간 투석시킨 후 얻어진 투석 내액을 상기와 동일한방법으로 건조시킨 것도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포함하며 아가리쿠스 열수 추출물의 건조물(이항 건조물 D라 칭함)이 얻어진다.
연이어 얻어진 상기 건조물 C를 약 10배 중량의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증류수를 유출 용매로써 겔여과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하고 20㎖를 분취하고 다수의 획분을 얻는다. 얻어진 획분의 중간 정도의 주용출 획분으로 겔여과법에 의해 분자량 100∼2,000의 획분이 본 발명의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이다.
이와 같은 획분은 더욱이 ODS(octadecyl silanated silica gel)를 사용하여 역상크로마토그래피, DEAE-TOYOPEARL650을 이용한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면 아르기닌, 라이신, 만니톨 등의 여러 종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열수 추출액에 같은 양의 에탄올을 가하여 혼합하고 원심분리 처리시켜 침전과 상등액을 분리시킨다. 얻어진 상등액에 더욱이 그 1∼3배 용량의 에탄올을 가하여 혼합시키고, 더욱이 원심분리 처리시켜 얻어진 침전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투석 처리시켜 얻어진 투석 외액도 한편 본 발명의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그 자체로 또는 각종의 캐리어와 함께 의약조제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대표적으로는 생체 적합성의 약학적 캐리어(예를 들면 생리식염수, 완충화 생리식염수, 덱스트로즈 및 물 등)와 혼합시켜 경구적으로 섭취할 수 있는 조성물로 처방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캐리어는 당업자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다음의 것을 열거할 수 있다. 링거용액, 행크스 용액 또는 완충화 생리식염수 등의 완충액; 세사미 오일과 같은 지방산, 에틸올레이트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 락토오즈, 슈크로스, 만니톨, 솔비톨 등과 같은 사카라이드; 옥수수, 밀, 쌀 또는 감자와 같은 식물 유래의 전분;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아라비아검 또는 트라가칸트와 같은 고무; 젤라틴 또는 콜라겐과 같은 단백질;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이의 염 등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단독 또는 다른 약제로써는 식품소재와 조합하여 섭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를 함유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 및 이것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송달은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또는 비공내의 투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처방 및 투여의 상세는 예를 들면 해당분야에 있어서 교과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Maack Publishing Co., Easton, PA)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해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섭취에 적합한 형태로 해당분야에 주지의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캐리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써 처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는 얻어지는 조성물이 환자에 의해 섭취하는데 적합한 정제, 환제, 당의제, 캅셀,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물 등으로 처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가리쿠스 열수 추출물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시키기에 유효한 양을 함유한다. 당업자는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유효한 양'을 충분히 이해 및 인식한다.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유효한 양'은 또한 세포 배양에 의해 인비트로 에세이 또는 적절한 동물 모델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인간에 있어서 섭취에 유용한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유효한 양'은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암물질 NNK를 투여하는 것에 의해 폐암이 유발되는 A/J 마우스를 사용하는 에세이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실제에 섭취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양은 적용되는 개체의 건강상태에 의존하고 원하는 효과가 달성되게 하는 최적화된 것이다. 약학적 또는 배양학적으로 유효한 양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관용적인 수단이다.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선택될 1종 또는 그 이상의 식품소재와 혼합할 수 있다. 선택된 1종 또는 그 이상의 식품소재는 당업자에 공지된 형태 통상 분말 형태로 그 면역 부활 활성을 지니는 획분과 혼합시킨다. 그 후에 용도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식품으로써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하드캅셀, 소프트캅셀과 같은 캅셀제, 정제 또는 환제 또는 분말상, 과립상, 다상, 티백상 또는 캔디형태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의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은 NNK 또는 우레탄에 의해 유발된 폐암 및 그 전이를 저지한다. 본 발명은 발효식품 중에 존재하는 발암성 물질 및 담배연기 중에 존재하는 발암성 물질에 대한 각종의 투여제형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추출물 치료 연구에 근거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 또는 프로토콜을 지침으로 참조한다면 기타 발암물질로 유발되는 암에 대해서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그것을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의 유효성은 용이하게 실증할 수 있다.
즉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포함하는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의 농도를 변화시켜 함유하는 식이가 발암물질을 투여시킨 마우스의 폐조직 중의 사이클린 D1 유전자의 발현 레벨에 영향을 주어 조절하고 폐조직 중의 PCNA(증식세포의 항원)의 발현 레벨에 영향을 주어 조절하는 것으로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실증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이것을 함유하는 암의 유발 또는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의 농도를 변화시켜 함유하는 식이가 발암물질을 투여한 마우스의 폐암 발생을 저지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도 발암물질을 투여시킨 마우스의 폐조직 중의 사이클린 D1 유전자의 발현 레벨을 억제하는 것이 나타나고 따라서 폐조직 중의 PCNA(증식세포의 항원)의 발현 레벨을 억제하는 것도 나타난다. 따라서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의 유효량을 용이하게 실증할 수 있다.
이하 발암물질로써 우레탄 및 NNK를 사용하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제조
(1) 아가리쿠스 열수 추출물로써 상기 건조물 A를 사용한다. 이것은 아가리쿠스 건조 자실체(교와 엔지니어링 아가리쿠스 버섯)를 끓는 물로 추출하고 1800 x g로 10분간 원심분리시켜 잔사를 제거시킨 후 이것을 동결 건조시킨 것이다. 이것을 3.7㎎/㎖의 농도로 정제수에 용해시킨 것을 시료Ⅰ로 하고 8㎎/㎖의 농도로 정제수에 용해시킨 것을 시료Ⅱ라 한다.
(2) 300g의 교와 엔지니어링 아가리쿠스 버섯에 증류수 2L을 가하고 2시간 가열 환류를 행한다. 얻어진 액을 여과시킨 여액(열수 추출액)과 잔사를 분리시킨다. 잔사에는 다시 증류수 2L을 가하고 더욱이 2시간 가열 환류시켜 열수 추출을 행하여 여액을 얻는다. 더욱이 얻어진 잔사에 있어서도 한번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을 행한다. 얻어진 여액을 합쳐 동결 건조시켜 건조물 A(153g: 추출율 51%)를 얻는다.
50g의 건조물 A에 500㎖의 증류수를 가하고 투석튜브(Spectra/Por Membrane 50 x 31, 8㎜ 내경 x 30㎝ 길이, FE-0526-65)에 넣는다. 이것을 3L의 증류수에 대해 12시간 투석시킨다. 얻어진 투석 외액을 동결 건조시켜 건조물 C(27g: 추출율 53%)를 얻는다. 투석 내액에 있어서는 더욱이 흐르는 물 중에서 30시간 투석시켜 그 후 증류수로 2회(각 4시간, 합계 8시간) 투석시킨 후 투석 내액을 동결 건조시키고 건조물 B(11g: 추출율 22%)를 얻는다. 연이어 3g의 건조물 C를 30㎖의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TOYOPEARL HW40C(40㎜ 내경 x 420㎜ 길이)를 사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행한다. 유출용매로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각 프랙션에 대해 각각 20㎖를 분취시켜 획분 1∼30을 얻는다. 이와 같은 프랙션은 다층크로마토그래피를 참조하여 다음의 5군으로 나눈다. 건조중량은 다음과 같다. 획분 1∼11(75㎎, 2.5%), 획분 12∼15(920㎎, 30.7%), 획분 16∼17(1570㎎, 52.3%), 획분 18∼19(270㎎, 9%), 획분 20∼28(97㎎, 3.2%)이다.
획분 16(이후 1SY-16라 칭함)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IR)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획분 16: IR(KBr)3390, 3325, 3285, 2940, 2920, 1641, 1634, 1622, 1615, 1600, 1595, 1405, 1394, 1084, 1020:분자량(겔여과에 의해 측정된)100∼2,000
(3) 상기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 추출을 실시하고 합하여진 여액(열수추출액) 6L를 얻는다. 이 여액을 감압 농축시켜 1L로 하고 여기에 에탄올 1L를 가하여 혼합시키고 원심분리시켜 침전과 상등액을 얻는다. 이 상등액에 더욱이 에탄올 3L를 가하여 혼합시키고 원심분리시켜 얻어진 침전을 증류수에 용해시키고 투석처리 시킨다. 얻어진 투석 외액을 동결 건조시킨 분말을 얻는다(이후 ABMK 22라 칭함).
(실시예 2)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NNK로 유발되는 폐암의 예방
50개의 A/J 마우스(웅, 7주령)를 실시예 1에 기재된 시료Ⅰ, 시료Ⅱ, ABMK-22 및 1SY16을 각각 투여한 군 및 대조군의 5개 군으로 10마리씩 나눈다. 각 군의 마우스에 단회위관영양법(gavage)에 의해 마우스 체중 1㎏ 당 4㎎을 NNK를 투여시킨다. 여기에 마우스에 투여시킨 NNK의 양은 인간으로 환산하면 담배 한갑을 100년간 흡연한 양에 상당한다(Djordijevic, M. V. 등, Comparison of selected components in the main stream smoke of the leading U.S. and Japanese cigarettes. In:Proceedings of the CORESTA smoke and Technology Meeting, 200∼217쪽, 1996년 11월 3일∼8일).
연이어 각 군의 마우스에는 다음의 기재에 의해 아가리쿠스 추출물을 투여시킨다.
대조군: 통상의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킨다.
시료Ⅰ군: 시료Ⅰ을 30%(v/v) 포함하는 음용수를 16주간 동안 자유 섭취시킨다.
시료Ⅱ군: 시료Ⅱ을 60%(v/v) 포함하는 음용수를 16주간 동안 자유 섭취시킨다. 또한 상기 군에 있어서 각 음용수의 평균 섭취량은 약 5㎖/마리/일이다.
ABMK22 군: ABMK22를 100㎎/㎏체중의 용량으로 7일간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한다.
1SY16 군: 1SY16을 100㎎/㎏체중의 용량으로 7일간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한다.
각 시험군의 마우스를 NNK 투여 16주 후에 피살시켜 해부하고 폐암의 발생율을 부검 현미경에 의해 조사한다. 결과를 도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그래프의 횡축은 각 시험군을 종축은 폐암의 발생율(대조군의 발생율을 100%로 한 경우에 각 군의 마우스에 대한 발암율)을 표시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암의 발생율을 유의적으로 저하시키고(대조군에 비해 시료Ⅰ에서는 P < 0.05 그리고 시료Ⅱ에서는 P < 0.01로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도 1 중에 * 및 **는 각각 그것을 나타낸다.), 또한 아가리쿠스 추출물 중의 성분 ABMK22 및 1SY16은 각각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비해서도 폐암의 발생율을 더욱 저하시킨다(대조군에 비해 ABMK22에서는 P < 0.01 그리고 1SY16에서는 P < 0.001로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도 1 중에 ** 및 ***는 각각 그것을 나타낸다.). 억제율(100-발생율)로 표시하면 시료Ⅰ, 시료Ⅱ, ABMK22 및 1SY16의 폐암 억제율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약 30%, 약 35%, 약 50%, 약 82% 등이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그것을 함유하는 성분의 섭취 또는 투여는 NNK로 유발되는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NNK로 유발되는 폐암의 예방
대조군과 상기 시료Ⅱ를 15%(v/v), 30%(v/v) 및 60%(v/v) 농도로 각각을 함유하는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킨 3개의 시험군을 설계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NNK를 투여시켜 폐암을 유발시킨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험군의 마우스를 NNK 투여 16주 후에 피살시켜 해부하고 폐암의 발생율을 부검 현미경에 의해 조사한다.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그래프의 횡축은 각 시험군을 종축은 폐암의 발생율(대조군의 발생율을 100%로 한 경우 각 군 마우스에 있어서의 발생율)을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암의발생율을 유의적으로 저하시키고(대조군에 비해 시료Ⅱ를 15%(v/v) 및 30%(v/v) 각각을 포함하는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킨 군에서는 P < 0.05 그리고 시료Ⅱ를 60%(v/v)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킨 군에서는 P < 0.01로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도 1 중에 * 및 **는 각각 그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분의 섭취가 NNK로 유발되는 암의 발생을 용량 의존적 방법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NNK 투여로 유도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의 억제
상기 시료Ⅱ를 투여한 군을 설계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계한 A/J 마우스 각 군에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시료Ⅰ, ABMK22 및 1SY16을 투여하였다. 각 군의 마우스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NNK 투여의 16주 후에 피살시켜 폐 조직에 있어서 사이클린 D1의 발현, 증식세포핵 항원(PCNA)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4(CDK4)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PCNA 및 CDK4는 제91회 암학회 발표 논문 No. 5313:I.P.Lee, Pulmonary cyclin D1-induction by Fumonisin B1 in Female A/J mice, 2000년 4월 15일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증식 중의 세포는 분열기(M기)와 간기(G1기, S기 및 G2기)의 세포주기를 지닌다. DNA 합성은 간기의 일부(S기)에 행하여진다. S기에 배가된 유전정보는 M기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세포에 복제된다.
CDK4는 세포주기의 진행을 컨트롤하는 단백질, 인산화효소 패밀리의 멤버이다. 따라서 세포주기 진행의 엔진이라 불린다. 사이클린 D1은 CDK4와 결합하고 G1기에 있어 세포를 S기에 향하여 진행시키는 역할을 지닌다. 즉 사이클린 D1은 CDK4의 조절인자로써 악셀레이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PCNA는 S기를 진행시키는 DNA 중합효소의 서브유니트인 것이다. 이것은 세포주기 진행의 엔진인 것이다. 이와 같은 단백질의 이상발현은 암의 유발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이와 같은 단백질을 컨트롤하는 암 유전자이다. 이와 같은 유전자 산물을 분석한다면 암의 진행에 있어 영향을 주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도 3은 각 군의 A/J 마우스의 폐 조직에 있어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우측은 각 군의 폐 조직 시료를 전기영동시킨 경우의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밴드를 나타낸다. 밴드의 농도의 정도, 발현 레벨의 강약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우측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에는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농도의 밴드를 나타내고 이것은 단백질이 높은 레벨로 이상 발현되어 발암이 유도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료Ⅰ, ABMK22 및 1SY16을 투여시킨 군에서는 PCNA 및 사이클린 D1의 밴드는 희미하고 이는 단백질의 이상 발현이 나타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의 왼편은 각 군의 측정결과를 정량시켜 막대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종축은 대조군에 있어서 발현량을 100%로 한 경우의 발현량을 또한 횡축은 측정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를 표시하고 각 측정항목에 있어서 4개의 막대그래프는 왼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조군, 시료Ⅰ군, ABMK22 군 및 1SY16 군을 각각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Ⅰ군, ABMK22 군 및 1SY16군에 있어서 PCNA 및 사이클린 D1의 발현 레벨은 대조군의 발현 레벨의 약 10% 이하이었다(통계학적으로는 P < 0.01의 유의차이를 지녔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성분의 섭취 또는 투여는 NNK로 유도된 발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시예 5)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NNK의 투여로 유도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의 억제
상기 시료Ⅱ를 15, 30 및 60%(v/v)로 각각 혼합한 음용수를 자유 섭취시킨 군을 사용하여 시험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폐 조직에 있어서 사이클린 D1의 발현, 증식세포핵 항원(PCNA)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4(CDK4)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도 4는 각 군의 마우스에 있어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측정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우측은 각 군의 폐 조직 시료를 전기영동시킨 경우의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밴드의 농도는 발현 레벨의 강약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오른쪽에 표시된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밴드는 짙고 이것은 단백질이 높은 수준으로 이상 발현하여 발암이 유도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료Ⅱ의 15, 30 및 60%를 각각 포함하는 음용수를 섭취시킨 군에서는 시료Ⅱ의 농도가 높을수록 발현 단백질의 밴드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나타내며 시료Ⅱ는 농도 의존적으로 이러한 단백질의 이상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4의 좌측은 각 군의 측정결과를 정량시킨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종축은 대조군에 있어서의 발현량을 100%로 할 경우의 발현량을 나타내며 횡축은 측정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를 표시하고 각 측정항목에 있어서 4개의 막대그래프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조군, 시료Ⅱ를 15, 30 및 60% 함유한 음용수를 섭취시킨 군의 마우스에 있어서 측정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Ⅱ는 농도 의존적으로 그것의 단백질 이상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시료Ⅱ를 15, 30 및 60% 포함하는 음용수를 섭취시는 군에서는 사이클린 D1 및 PCNA 발현이 대조군의 사이클린 D1 및 PCNA 발현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P < 0.01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분의 섭취 또는 투여는 NNK로 유도되는 발암 유전자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6)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우레탄으로 유발된 폐암의 예방
상기 시료Ⅰ을 30%(v/v), 및 상기 시료Ⅱ를 30%(v/v) 포함하는 음용수를 각각 자유 섭취시킨 군, 그리고 ABMK22를 실시예 2의 경우와 같이 투여시킨 군을 설계하고 각 군의 마우스에 NNK에 대체시켜 인간의 우레탄 노출 수준을 약 20,000배에 해당하는 우레탄(250㎎/㎏마우스체중)을 단회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시험군의 마우스를 우레탄 투여 16주 후에 피살시켜 해부하고 폐암의 발생율을 부검 현미경에 의해 조사한다.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그래프의 횡축은 각 시험군을 종축은 폐암의 발생율(대조군의 발암율을 100%로 할 경우 각 군 마우스에 있어서 발암율)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폐암의 발생율을 유의적으로 저하시키고(대조군과 비교하여 시료Ⅰ에서는 P < 0.05 또한 시료Ⅱ에서는 P < 0.01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낸다. 도 5중의 * 및 **는 각각 이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아가리쿠스 추출물 중의 성분 ABMK22는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비해서도 폐암의 발생율을 더욱 저하시킨다(대조군과 비교하여 P < 0.001의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도 5중 ***로 이것을 나타낸다). 억제율(100-발생율)로표시하면 시료Ⅰ, 시료Ⅱ 및 ABMK22의 폐암 억제율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약 30%, 약 60% 및 약 82%이었다.
이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성분의 섭취 또는 투여는 NNK로 유발되는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7)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우레탄 투여로 유도된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의 억제
상기 시료Ⅰ을 30%(v/v) 및 상기 시료Ⅱ를 30%(v/v) 포함하는 음용수를 각각 자유 섭취시킨 군, 여기에 ABMK22를 실시예 2와 같이 투여시킨 군을 설계하고 여기 각 군의 마우스에 NNK에 대체하여 인간의 우레탄 노출 수준보다 약 20,000배의 우레탄(250㎎/㎏마우스체중)을 단회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하였다.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군의 폐 조직에 있어서 사이클린 D1의 발현, 증식세포핵 항원(PCNA) 및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4(CDK4)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도 6은 각 군 A/J 마우스에 있어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측정결과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우측은 각 군의 폐 조직 시료를 전기영동시킨 경우의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밴드를 나타낸 것이다. 밴드의 농도가 발현 레벨의 강약을 표시하고 있다. 도 6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의 각각 밴드가 모두 짙으며 따라서 단백질이 높은 수준으로 이상 발현되어 발암이 유도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시료Ⅰ, 시료Ⅱ를 포함하는 음용수를 섭취시킨 군 및 ABMK22를 투여시킨 군에서는 각각의 밴드는 대조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옅으며 이것으로부터 유전자의 이상 발현이 억제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의 좌측은 각 군의 측정결과를 정량시켜 막대그래프로 표시한 것이다. 종축은 대조군에 있어서 발현량을 100%로 할 경우의 발현량을 또한 횡축은 측정된 PCNA, 사이클린 D1 및 CDK4를 나타내고, 각 측정항목에 있어서 4개의 막대그래프는 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대조군, 시료Ⅱ 투여군, 시료Ⅰ 투여군 및 ABMK22 투여군의 마우스에 있어서 측정결과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ABMK22가 이러한 유전자의 이상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통계학적으로 P < 0.05로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이와 같이 아기리쿠스 추출물의 섭취 또는 투여는 우레탄으로 유발된 발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이 시사된다.
(실시예 8)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의한 AOM으로 유도된 레트 결장암의 예방
아족시메탄(AOM)은 대장암을 유발시키고 애버런트 크립트 포시(ACF)를 형성하는 발암물질인 것이 알려져 있다(Carcinogenesis 21(6):1149∼1155, 2000). 마우스 및 레트의 AOM으로 유도된 결장암에는 β-카테닌 유전자가 종종 변이되고 있다(Takahashi M. et. al., Carcinogenesis, 21:1117∼1120, 2000). 형성 이상 ACF에는 β-카테닌의 개변된 세포 국소화 및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효소(iNOS)의 증가된 발현의 모두가 검출되고 있지만 과형성 ACF에는 이것이 나타나지 않는다(Takahashi M. et. al., Carcinogenesis, 21:1319∼1327, 2000). 따라서 마우스 또는 레트에 있어서 AOM으로 유도된 ACF는 암이 유발되는 과정 또는 암 전이의 과정을 평가하는 에세이로써 사용될 수 있다.
AOM으로 유도된 ACF를 에세이하여 사용함으로써 아가리쿠스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이 암의 유발을 예방하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30마리의 레트(웅 8∼9주령)를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1SY16을 투여한 군(120㎎/㎏체중 및 60㎎/㎏체중) 및 대조군의 3군으로 나누어 10마리씩 그룹핑하였다. 각 군의 레트에 레트 체중 1㎏에 있어 15㎎의 AOM을 1주일간 2회 피하 투여하였다.
이어서 각 군의 레트에는 다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을 투여하였다. 1SY16은 0.1%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용액에 용해시키고 체중의 0.5%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투여횟수는 주 2회의 빈도로 4주간 연속하여 투여하였다.
120 1SY16 군: 1SY16을 120㎎/㎏체중의 용량으로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였다.
60 1SY16 군: 1SY16을 60㎎/㎏체중의 용량으로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였다.
대조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체중의 0.5% 용량으로 위관영양법에 의해 투여하였다.
각 시험군의 레트를 AOM 투여 13주 후에 피살시켜 해부하고 ACF의 개수를 부검 현미경에 의해 조사한다.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그래프의 횡축은 각 시험군을 종축은 한 마리의 마우스에 대해 발생되는 ACF의 개수의 평균치이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SY16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생된 ACF의 수를 유의적으로 저감시킨다(P < 0.05의 유의적 차이를 지닌다. 도 7중 *로 표시한다). 억제율로 표시하면 60㎎/㎏체중 및 120㎎/㎏체중의 1SY16을 투여시킨 군에 있어서 대장암 발생은 대조군에 비해 각각 72% 및 82.5% 억제된 것이 확인되었다. 1SY16의 섭취 또는 투여가 AOM으로 유발되는 암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나타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아가리쿠스 추출물 또는 그것에 함유된 성분의 섭취 또는 투여는 NNK 및 우레탄 투여에 의해 증가되는 유전자 또는 유전자 산물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기 때문에 아가리쿠스 추출물에는 발암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발암상태를 억제하는 성분(단수 또는 복수)이 함유된 것으로 여겨진다.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잠재적으로 예방하는 약품소재 및 식품소재가 제공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를 표적으로 하는 발암물질에 의해 폐암의 발증 및 그 결과로써 야기되는 암 전이를 예방하는 약품소재 및 식품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성분을 포함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가리쿠스 추출물은 용매 추출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열수 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물을 투석 처리하는 단계; 및 얻어진 투석 외액을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하는 공정으로 얻어지는 분자량 100∼2,000의 크로마토그래피 주용출 획분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아가리쿠스 자실체를 열수 추출하는 단계; 얻어진 추출물에 에탄올을 첨가시켜 침전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침전을 물에용해시켜 투석 처리하는 단계에 의해 얻어지는 투석 외액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우레탄, (4-N-메틸-N-니트로아미노)-1-(3-피리딜)-1-부탄온 또는 아족시메탄에 의해 유발됨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폐암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대장암임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9.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아가리쿠스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액체, 정체, 캅셀 및 펠렛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아가리쿠스 추출물의 사용
KR1020047021529A 2002-07-02 2003-06-26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KR101035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93943 2002-07-02
JP2002193943 2002-07-02
JP2002321864 2002-11-05
JPJP-P-2002-00321864 2002-11-05
PCT/JP2003/008157 WO2004004748A1 (ja) 2002-07-02 2003-06-26 癌の誘発または癌の転移を予防するカワリハラタケ抽出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615A true KR20050007615A (ko) 2005-01-19
KR101035262B1 KR101035262B1 (ko) 2011-05-18

Family

ID=3011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529A KR101035262B1 (ko) 2002-07-02 2003-06-26 암의 유발 또는 암의 전이를 예방하는 아가리쿠스 추출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60093618A1 (ko)
EP (1) EP1535621A4 (ko)
JP (1) JP4823519B2 (ko)
KR (1) KR101035262B1 (ko)
CN (1) CN1678335A (ko)
WO (1) WO2004004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30750A1 (ja) * 2004-09-17 2006-03-23 Ssi Co., Ltd. 乳癌を抑制するカワリハラタケ抽出物
BRPI1002067A8 (pt) * 2010-05-11 2017-10-31 Coop Dos Produtores De Cogumelos Da Regiao Metropolitana De Belohorizonte – Minasfungi Do Brasil Formulação leishmanicida e seu uso
CN105658227B (zh) * 2013-08-30 2020-04-03 绿十字生命健康有限公司 含有人参皂苷成分得到增加的加工人参粉末或加工人参提取物的用于预防及治疗癌因性疲乏的组合物
CN105963351A (zh) * 2016-05-11 2016-09-28 张士舜 一种治疗肺鳞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19194168A (ja) * 2018-05-02 2019-11-07 鈴木 昇 ヒト癌型Kras遺伝子発現型癌に有効な抗腫瘍剤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145B2 (ja) * 1994-03-17 2004-05-10 均 伊藤 エイズ症状改善用経口投与剤
JPH10298099A (ja) * 1997-04-23 1998-11-10 Kozo Niwa 細胞賦活組成物
JPH11113531A (ja) * 1997-10-17 1999-04-27 Hudson Shoji Kk 健康食品
JP2000038347A (ja) 1998-07-23 2000-02-08 Maruzen Pharmaceut Co Ltd 発癌プロモーション抑制剤および飲食品
JP4480204B2 (ja) 1999-07-01 2010-06-16 富久 太田 カワリハラタケの抗腫瘍性画分
US20020110564A1 (en) * 1999-12-10 2002-08-15 Mark Itokawa Nutri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US20020119164A1 (en) * 2000-08-18 2002-08-29 Shoji Uchiyama Use of agaricus blazei murill to prevent or treat skin and other disorders
JP4032372B2 (ja) * 2000-11-09 2008-01-16 株式会社日健総本社 抗癌性物質
JP2002308777A (ja) * 2001-04-09 2002-10-23 Fujibio Co Ltd 血管新生阻害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03128561A (ja) * 2001-10-23 2003-05-08 Ishikawa Tennen Yakko Busshitsu Kenkyu Center アガリクス及び/又はプロポリスを含む癌の予防剤及び治療剤
US7977379B2 (en) * 2002-05-15 2011-07-12 Bhn Co., Ltd. Method for angiogenesis inhibition or immuno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04748A1 (ja) 2005-11-04
JP4823519B2 (ja) 2011-11-24
KR101035262B1 (ko) 2011-05-18
EP1535621A4 (en) 2006-08-30
US20070184066A1 (en) 2007-08-09
WO2004004748A1 (ja) 2004-01-15
EP1535621A1 (en) 2005-06-01
US7611715B2 (en) 2009-11-03
CN1678335A (zh) 2005-10-05
US20060093618A1 (en)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687B1 (ko)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방사무늬김 추출물의 스테롤 분획물의 제조방법
KR101158856B1 (ko) 콩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당뇨 또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abtain et al. A narrative review on the phytochemistry, nutritional profile and properties of prickly pear fruit
US7611715B2 (en) Agaricus extract for preventing the induction or metastasis of cancer
EP2805722B1 (en) Desrhamnosylacteoside-containing olive extract
JP2002053484A (ja) 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む飲食品
US8034386B2 (en)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capable of suppressing breast cancer
KR101717057B1 (ko)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7228539A (ja) バナバ葉抽出物と抗糖尿病剤
KR101644607B1 (ko)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
KR101791830B1 (ko) 밀배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암 억제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82568A (ko) 열수추출용 옻 조성물 및 그 옻 조성물을 이용한 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1794080B1 (ko) 삼백초, 황금 등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폐암에 대한 항암제 조성물
KR101398737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2053475A (ja) 糖質分解酵素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飲食品
US20070224214A1 (en) Composition Exerting Physiological Activity Via Biological Immune Mechanism
KR102155713B1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656277B2 (ja) 馬鈴薯アントシアニンに含まれるアポトーシス誘導物質、馬鈴薯食材及び加工品
JP2006298853A (ja) 抗腫瘍性飲食品及び抗腫瘍剤
JP2005073502A (ja) アポトーシス誘導能を有する食品又は食品素材
JP5016200B2 (ja)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腫瘍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KR101348965B1 (ko) 자색고구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04262836A (ja) 大腸癌の抗腫瘍剤
JP2014101286A (ja) ビワ茶の抗腫瘍作用と肝機能改善作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