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289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2894A
KR20050002894A KR10-2004-7015184A KR20047015184A KR20050002894A KR 20050002894 A KR20050002894 A KR 20050002894A KR 20047015184 A KR20047015184 A KR 20047015184A KR 20050002894 A KR20050002894 A KR 20050002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ever
elevator
release leve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7539B1 (ko
Inventor
이시이도시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2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66B11/005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on the counter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4) 또는 균형추(10)에 권상기(11)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고장난 경우에, 권상기(11)의 브레이크 장치(20)를 기계적으로 개방시키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를 구비한 것이다. 이 브레이크 장치(20)의 개방은 각각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에 설치된 조작 로프(33, 43)를 지상으로부터 조작함으로써, 각각의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41)를 동작시켜서 실행된다. 또한,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4)내의 승차 인원수에 좌우되지 않고, 그 승차 상황에 따른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선택하여, 보다 안정된 브레이크 장치(20)의 개방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의 소요 공간을 가능한한 저감할 목적으로,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에 권상기를 배치한 엘리베이터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으며,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97-124259 호 공보에는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에 탑재하는 방식의 엘리베이터는 공간 절약이라는 점에서 장점이 크지만,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가 고장나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카내에 갇힌 경우의 구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 97-124259 호 공보에는 수동 권취 장치를 사용한 비상시의 승객 구출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 의한 구출은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전기적인 제어가 가능한 상태에서의 고장에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가 지상으로부터 실행할 수 없는고장에 있어서는 수동 권취 장치로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이 방식은 여전히 과제를 안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 93-147855 호 공보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의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을 협지하여,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를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승강로내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된 한쌍의 풀리 사이에 걸쳐서 고리 형상으로 팽팽하게 된 로프를 이용하여, 레버를 동작시켜서 가이드 레일의 협지를 해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브레이크 장치는 레버와 결합된 로프를 하방으로만 인출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측에 이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내의 승차 인원수의 상태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가 균형추보다 무거울 때에는, 레버를 동작시키자마자 가이드 레일의 협지가 해방된 엘리베이터 카가 하강을 개시한다. 즉, 레버에 힘을 거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움직임으로써, 레버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해제가 정상적으로 실행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바꿔 말하면, 카내의 승차 인원수의 증감에 좌우되어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해제를 잘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에 권상기와 함께 브레이크 장치가 탑재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고장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탑승장의 층간에 정지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전기적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보수원이 지상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후에 엘리베이터 카를 가장 가까운 층까지 움직여서 승객을 구출할 수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내의 승차 인원수에 좌우되지 않고, 보다 안정된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로내를 엘리베이터 카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를 구비하고,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 중 어느 하나에 권상기가 탑재된 것이다. 권상기의 구동 시브(drive sheave)에는,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main rope)가 감겨 있다. 권상기에는 제동 스프링에 의해 권상기를 제동시키는 동시에, 여자(勵磁)된 전자석에 의해 제동 스프링에 저항하여 권상기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에는,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기계적으로 제동 스프링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개방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제동 스프링을 후퇴시켜서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 중 어느 하나의 승강 구간보다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풀리에 감겨져, 이러한 풀리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걸려,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로프를 구비하고 있고,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조작 로프는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이하의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 한쌍의 풀리, 제 1 조작 로프 및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구비하고, 조작 로프가 상방으로 인상되어서(pulling up)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와; 제 2 한쌍의 풀리, 제 2 조작 로프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구비하고, 조작 로프가 하방으로 내려져서(pulling down)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발명에 의하면, 고장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타는곳의 층간에 정지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전기적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보수원이 지상으로부터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개방을 실시하며, 엘리베이터 카를 근처층까지 움직여서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내의 승차 인원수에 관계없이, 그 승차 상황에 따른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선택하고, 보다 안정된 브레이크 장치의 개방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car) 또는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상술하기 위해서,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이것을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해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고, 그 중복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배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수평 방향에서 본 입면도, (B)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로(1)내에는 한쌍의 엘리베이터 카용 가이드 레일(2)과 다른 한쌍의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3)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4)는 카용 가이드 레일(2)로 안내되어서 승강로(1)내를 승강하고, 균형추(10)는 균형추용 가이드 레일(3)로 안내되어서 카(4)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로(1)내를 승강한다.
엘리베이터 카(4)에는 출입구 도어(4a)가 카(4) 정면에 설치되어 있고, 출입구 도어(4a)에 대향하여 탑승측에 도어(5)가 설치되어 있다. 균형추(10)는 카(4) 배면과 승강로(1)의 벽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권상기(11)는 균형추(10)에 탑재되어 있다. 권상기(11)에는 권상기(11)의 제동의 개폐를 실행하는 브레이크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10)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6)는 양단이 함께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메인 로프(6)의 일단은, 승강로(1) 상부를 기점으로, 엘리베이터 카(4)의 하방에 설치된 한쌍의 카용 서스펜션 시브(suspension sheaves)(7)에 순차적으로 감겨,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된 방향 전환 풀리(8)에 이른다. 그리고, 방향 전환 풀리(8)에 감긴 후, 균형추(10)에 탑재된 권상기(11)의 구동 시브(12)에 감겨서, 다시 상승하여 메인 로프(6)의 타단은 승강로(1)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 1에서 사용하는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는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와, 균형추(10)의 승강 구간보다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제 1 풀리(32)와, 제 1 풀리(32)에 감기며, 제 1 풀리(32)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걸린 제 1 조작 로프(33)를 갖는다. 동일하게,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는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와, 제 2 풀리(42)와, 제 2 조작 로프(43)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균형추에 탑재된 권상기의 브레이크장치 및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A)는 권상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수평 방향에서 본 입면도, (B)는 브레이크 장치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권상기(11)를 탑재하는 균형추(10)는 프레임체(14)에 의해 외형이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체(14)내의 하부에 균형추용 추(15)가 탑재되어 있다. 권상기(11)는 메인 로프(6)가 걸친 구동 시브(12)와, 구동 시브(12)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electric motor)(13)를 갖는다.
다음에, 브레이크 장치(20)는 권상기(11)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권상기(11)의 구동 시브(12)와 동일 회전축상에 브레이크 드럼(21)이 배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드럼(21)의 원주면에 대향하여 한쌍의 브레이크 슈(shoes)(22)가 설치되어 있고, 브레이크 슈(22)는 각각 브레이크 아암(23)에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아암(23)은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의 측부 사이에 설치된 제동 스프링(24)의 힘을 받아, 브레이크 슈(22)를 브레이크 드럼(21)에 가압하여 브레이크 드럼(21)의 회전을 제지한다. 또한, 브레이크 아암(23)의 일단은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에 브레이크 아암 핀(23a)을 거쳐서 장착되어 있고, 브레이크 아암 핀(23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브레이크 아암(23)의 타단측에는 볼트(25)가 장착되어 있고, 이 볼트(25)를 거쳐서 브레이크 레버(26)와 결합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레버(26)는 브레이크 레버 핀(2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브레이크 장치(20)를 구동하는 전자석이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의 상부에 설치된 전자석의 하우징(27)내에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여자된 전자석에의해 구동되는 압동체(pushing body)로서 플런저(plunger)(28)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런저(28)의 선단부인 플런저 헤드(28a)는 브레이크 레버(26)와 접하고 있다.
다음에,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에 있어서,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관통된 제 1 개방 레버 구멍(35)이 설치되어 있어, 이 제 1 개방 레버 구멍(35)에 플런저(28)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여기서, 플런저 헤드(28a)는 플런저(28)의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에 삽통되어 있는 부위에 비해 대직경화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런저 헤드(28a)와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의 일단이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에 있어서의 이 결합부를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34)라 칭한다. 또한,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는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34)에 근접하고 있는 전자석의 하우징(27)의 일부를 지점대(29)로서 사용하고,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의 지점이 지점대(2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의 다른 단은 제 1 조작 로프(33)에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 1은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가 제 1 조작 로프(33)에 상시 고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에 있어서,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 또한 중간부는 플런저 헤드(28a)를 둘러싸고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일단은,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와 같이, 전자석의 하우징(27)의 지점대(29)를 지점으로 하여 사용하고있고, 평상시에 있어서는, 일단은 지점대(29)에 접촉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중간부는 플런저 헤드(28a) 사이에 제 2 개방 레버 결합부(44)를 갖고, 플런저 헤드(28a)에 제 2 개방 레버 핀(45)을 거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다른 단은 제 2 조작 로프(43)에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와 같이, 제 2 조작 로프(43)에 상시 고정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의 측부에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각각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 레버용 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 승강시에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는 함께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의 측부에 고정끈(1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비상시에 있어서, 레버(31, 41)를 동작시킬 경우에는, 레버(31, 41)에 소정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고정끈(17)이 절단되고, 균형추(10)와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권상기(11)의 브레이크 장치(20)에 있어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브레이크 장치(20)가 작동하고, 권상기(11)가 제동 상태에 있을 경우, 즉 전자석의 하우징(27)내에 있는 전자석이 여자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아암(23)이 제동 스프링(24)의 힘을 받아서 브레이크 슈(22)를 브레이크 드럼(21)에 가압하여 브레이크 드럼(21)의 회전을 제지하고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시의 승강은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20)가 개방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3으로부터, 전자석의 하우징(27)내에 있는 전자석이 여자됨으로써, 플런저(28)가 하방으로 가압된다. 이로써, 플런저 헤드(28a)와 접하고 있는 브레이크 레버(26)가 플런저 헤드(28a)에 의해 가압되어서 브레이크 레버 핀(26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플런저(28)의 힘이 증폭되어서, 볼트(25)를 거쳐서 브레이크 아암(23)으로 전달된다. 브레이크 아암(23)은 브레이크 아암 핀(23a)을 중심으로 하여 제동 스프링(23)에 저항하여 회전하고, 브레이크 슈(22)를 브레이크 드럼(21)으로부터 격리해서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을 해제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 승강시에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는 균형추(10)의 승강과 동기하여 승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레버(31, 41)에 상시 고정되어 있는 조작 로프(33, 43)와 풀리(32, 42)는 레버(31, 41)의 승강과 동기하여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브레이크 장치(20)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에서는, 제 1 조작 로프(33)에 있어서의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가 고정되어 있는 측과 반대측의 로프부를하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동작시켜서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조작 로프(33)를 인출함으로써, 도 4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제 1 풀리(32)가 회전하고,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의 제 1 조작 로프(33)와의 연결부를 인상한다. 이로써,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는 전자석의 하우징(27)의 지점대(29)에 지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34)가 플런저 헤드(28a)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통상의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의 동작의 경우와 동일하고, 플런저(28)의 힘이 브레이크 레버(26)로부터 브레이크 아암(23)으로 전달되며, 제동 스프링(24)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의 해제를 실행한다. 또한, 이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동작할 때에, 제 1 조작 로프(33)를 끌어당김으로써,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와 균형추(1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끈(17)이 절단되고,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에서는, 제 2 조작 로프(43)에 있어서의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가 고정되어 있는 측의 로프부를 하방으로 인출함으로써,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동작시켜서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조작 로프(43)를 끌어당김으로써,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제 2 조작 로프(43)와의 연결부를 끌어내린다. 그것에 수반하여,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제 2 풀리(42)가 회전한다. 이로써, 제 2 브레이크 개방레버(41)는 전자석의 하우징(27)의 지점대(29)에 접촉된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선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 2 개방 레버 결합부(44)가 플런저 헤드(28a)를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그 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통상의 브레이크 장치(20) 및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에 의한 제동 해제의 동작의 경우와 동일하고, 플런저(28)의 힘이 브레이크 레버(26)로부터 브레이크 아암(23)으로 전달되고, 제동 스프링(24)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의 해제를 실행한다. 또한, 이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동작할 때에, 제 2 조작 로프(43)를 끌어당김으로써,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와 균형추(1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끈(17)이 절단되고,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동작되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를 실제 어느 경우에 분별하여 사용할지를 설명한다.
브레이크 장치(20)가 탑재된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30)를 선택하고,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를 실행한다. 또한, 역으로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가벼운 경우에는,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40)를 선택하고,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를 실행한다.
통상, 엘리베이터 카(4)내에 승강하는 승객의 인원수가 변화됨으로 인한 균형추(10)와 엘리베이터 카(4)의 사이에서의 중량의 불균형에 의해,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무거울 경우와, 그 역으로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가벼울 경우가 생긴다. 그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을 해제했을 때에, 승차 인원수의 상태에 따라 균형추(10)가 상방으로 작동하는 경우, 또는 하방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사용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무거운 경우, 즉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했을 때에 균형추(10)가 하방으로 작동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동작시키면, 레버(31)의 지점을 지지하는 지점대(29)에는, 레버(31)가 플런저 헤드(28a)를 가압하는 힘에 저항하는 상방향의 힘이 가해진다. 그 때문에,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가벼운 경우, 즉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했을 때에 균형추(10)가 상방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를 이용하면, 균형추(10)가 지점대(29)에 가해진 힘과 동일한 상방으로 작동하므로,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에 의해 플런저 헤드(28a)를 가압하는 힘이 없어지게 되어,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의 조작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이용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가벼운 경우, 즉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했을 때에 균형추(10)가 상방으로 작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와는 역으로,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했을 때에 균형추(10)가 하방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를 사용하면, 레버(41)는 지점대(29)에 접촉된 레버(41)의 선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레버(41)의 중간부에 결합된 플런저 헤드(28a)를 하방으로 밀어내리려고 하지만, 이 때에 균형추(10)가 하방으로 내려가면, 레버(41)가 플런저 헤드(28a)를 가압하는 힘이 없어져,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의 조작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엘리베이터 카(4)내의 승차 인원수의 상태에 따라서, 제 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 중 어느 쪽을 사용할지를 선택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 1에 의한 권상기(10)의 브레이크 장치(20)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에서 사용되는 제 1 풀리(32) 및 제 2 풀리(42)는 철제의 것이지만, 이것을 보다 경량의 합성 수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조작 로프(33), 제 2 조작 로프(43)에 대해서도 철제의 것으로 변경하여, 보다 경량의 합성 섬유제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풀리와 조작 로프의 관성 모멘트가 크면, 통상의 엘리베이터의 가감속시에 있어서, 균형추(10)와 동기하여 이동하는 브레이크 개방 레버에 조작 로프로부터 가해지는 힘도 커져,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의 외란(disturbance)으로 될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합성 수지제의 풀리 및 합성 섬유제의 조작 로프로 하고, 철제에 비해 경량화함으로써,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오동작의 가능성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균형추(10)에 권상기(11)와 함께 탑재된 브레이크 장치(20)에는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조작 로프와, 한쌍의 풀리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갖고 있기 때문에, 비상시에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하는 전기적인 제어를 실행할 수 없게 된 경우에도, 지상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을 해제할 수있게 되며, 보수원이 권상기(11)를 탑재한 균형추(10)가 정지된 장소로 가서 브레이크 장치(20)를 개방할 필요도 없고,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엘리베이터 카(4)를 근처층까지 움직여서 승객의 구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형추(10)가 엘리베이터 카(4)보다 무거운 경우, 혹은 엘리베이터 카(4)보다 가벼운 경우의 쌍방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에 적절한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균형추(10)와 엘리베이터 카(4)의 중량의 불균형에 좌우되지 않고, 안정된 브레이크 장치(20)의 제동 해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는 함께 전자석의 하우징(27)의 일부를 지점대(29)로서 사용하고, 지점의 역할을 갖게 하고 있지만, 지점대(29)는 작용점이 되는 플런저 헤드(28a)에 가깝고, 위치적으로 지점으로서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석의 하우징(27) 및 균형추(10)의 프레임체(14)는 원래 튼튼히 구성되어 있고, 강도적으로도 우수하므로 지점으로서 적합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 승강시에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는 각각 균형추(10)에 고정끈(17)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와 조작 로프의 관성 모멘트에 기인하는 외란에 의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입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31)와 제 1 조작 로프(33)의 연결부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41)와 제 2 조작 로프(43)의 연결부에는, 각각의 레버측에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관통 구멍내를 각각의 조작 로프가 통하고 있고, 레버와 조작 로프는 비접촉 상태이기 때문에, 실시 형태 1과는 달리,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 승강시에, 조작 로프는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는 동기하여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서는 고정끈(17)에 의해 균형추(10)와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고정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고정끈(17)은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의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조작 로프의 연결 수단으로, 제 1 조작 로프(33) 및 제 2 조작 로프(43)의 각각에 작동편(18)이 장착되어 있다. 평상시에는 제 1 조작 로프(33)측에 장착된 작동편(18)은 승강로(1)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풀리(32) 부근에 배치되고, 제 2 조작 로프(43)측에 장착된 작동편(18)은 승강로(1)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풀리(42)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실제로 작동시켰을 경우에, 각각의 조작 로프를 각각의 레버를 동작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레버와 작동편(18)이 결합하여, 레버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구성 및 그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2에서는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조작 로프가 상시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 로프에 작동편(18)이 필요하게 되지만, 엘리베이터 카(4)의 통상 승강시에 있어서, 브레이크 개방 레버가 조작 로프와 비접촉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풀리와 조작 로프로부터의 관성 모멘트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그 밖에, 실시 형태 1에서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권상기(11)가 균형추(10)에 탑재된 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권상기(11)가 엘리베이터 카(4)에 탑재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고장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탑승장의 층간에 정지하여, 브레이크 장치의 개폐의 전기적인 제어가 불가능하게 된 경우에도, 보수원이 지상으로부터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브레이크 장치의 개방을 실시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근처층까지 작동하여 승객을 구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내의 승차 인원수에 좌우되지 않고, 그 승차 상황에 따른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선택하여, 보다 안정된 브레이크 장치의 개방 조작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균형추에 권상기가 탑재된 공간 절약을 목적으로 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상시의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 엘리베이터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와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균형추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균형추 중 어느 하나에 탑재된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의 구동 시브(drive sheave)에 감겨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 및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메인 로프(main rope)와,
    상기 권상기에 설치되고, 제동 스프링에 의해 상기 권상기를 제동시키는 동시에, 여자(勵磁)된 전자석에 의해 상기 제동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기 권상기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장치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와는 별도로 설치되고, 기계적으로 상기 제동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상기 제동 스프링을 후퇴시켜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균형추 중 어느 하나의 승강 구간보다 상방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풀리에 감겨서, 상기 풀리 사이에 고리 형상으로 걸치고,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로프와,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와 상기 조작 로프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는 그 지점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균형추의 프레임체에 장착된 전자석의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개방 기구는 제 1 및 제 2 두쌍의 브레이크 개방 기구로 구성되고,
    제 1 한쌍의 풀리, 제 1 조작 로프 및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조작 로프가 상방으로 인상되어서(pulling up)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제 1 브레이크 개방 기구와,
    제 2 한쌍의 풀리, 제 2 조작 로프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조작 로프가 하방으로 내려져서(pulling down)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는 제 2 브레이크 개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는 모두 상기 전자석의 하우징을 지점으로서 이용하고 있고,
    상기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는 그의 제 1 개방 레버용 지점이 상기 전자석의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는 그의 제 2 개방 레버용 지점이 상기 전자석의 하우징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여자된 전자석이 압동체(pushing body)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동 스프링에 저항하여 상기 권상기의 제동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브레이크 개방 레버는 각각이 상기 압동체에 결합하는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 및 제 2 개방 레버 결합부를 갖고,
    상기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 또는 상기 제 2 개방 레버 결합부가 각각 상기 압동체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제동을 해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 레버 결합부는 상기 제 1 브레이크 개방 레버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상기 압동체가 삽입 통과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개방 레버 결합부는 상기 압동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를 합성 수지제로 하고, 상기 조작 로프를 합성 섬유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통상 승강시에는,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상기 균형추의 프레임체에 고정시킨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조작 로프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를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로프에 소정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개방 레버의 고정을 해제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15184A 2003-01-28 2003-01-28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27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3/000775 WO2004067428A1 (ja) 2003-01-28 2003-01-28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94A true KR20050002894A (ko) 2005-01-10
KR100627539B1 KR100627539B1 (ko) 2006-09-21

Family

ID=32800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84A KR100627539B1 (ko) 2003-01-28 2003-01-28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88974A4 (ko)
JP (1) JPWO2004067428A1 (ko)
KR (1) KR100627539B1 (ko)
CN (1) CN100357168C (ko)
WO (1) WO2004067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6126C2 (ru) * 2011-08-05 2013-06-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о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Рудничная скиповая подъемная установка
EP3240752A1 (en) 2014-12-31 2017-11-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roping arrangement
CN110844736B (zh) 2018-08-20 2022-08-23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平衡载救援装置、电梯及电梯平衡载救援方法
CN109238678B (zh) * 2018-09-29 2020-09-11 沈阳聚德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电梯制动弹簧同步检测智能视觉系统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673B2 (ja) * 1994-05-23 2000-10-16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US5713433A (en) * 1995-09-21 1998-02-03 Wang Chiou N Auxiliary escape of elevator
JP3225811B2 (ja) * 1995-11-06 2001-11-0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6179090B1 (en) * 1996-11-21 2001-01-30 Alan V. Casas Elevator hoist brake release apparatus
US6021872A (en) * 1997-05-28 2000-02-08 Otis Elevator Company Remote brake release mechanism for an elevator machine
US6068087A (en) * 1998-09-30 2000-05-30 Otis Elevator Company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and common drive and suspension rope
KR100430113B1 (ko) * 1998-12-11 2004-05-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엘리베이터 장치
US6374953B1 (en) * 1999-11-30 2002-04-23 Alan V. Casas Vertical plunger brak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4067428A1 (ja) 2006-05-18
KR100627539B1 (ko) 2006-09-21
EP1588974A4 (en) 2011-06-01
CN1620399A (zh) 2005-05-25
EP1588974A1 (en) 2005-10-26
CN100357168C (zh) 2007-12-26
WO2004067428A1 (ja)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1724B1 (en) Elevator brake with shoes actuated by springs
JP5472311B2 (ja) エレベータ用非常止め装置
WO2018030155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86850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73703B2 (ja) エレベーター
KR20100094594A (ko)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시험방법
KR10049285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KR10062753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25546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の非常停止装置
JP2011111283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方法
JP5548524B2 (ja) 非常止め装置を備えた昇降装置
JPH01236188A (ja) エレベータ
CN108584637B (zh) 电梯装置
WO2011132294A1 (ja)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JP2001233563A (ja) トラクション式エレベーターの救出運転装置及びその救出運転方法
JP7323032B1 (ja) エレベータ用かご枠、およびエレベータの足場なし工法
WO2018179182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3233462A1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109720959B (zh) 调速器和电梯
KR100429303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KR100665345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JP2001247271A (ja)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引揚げ装置。
KR200219245Y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JPH0832491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