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816Y1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816Y1
KR200497816Y1 KR2020230001490U KR20230001490U KR200497816Y1 KR 200497816 Y1 KR200497816 Y1 KR 200497816Y1 KR 2020230001490 U KR2020230001490 U KR 2020230001490U KR 20230001490 U KR20230001490 U KR 20230001490U KR 200497816 Y1 KR200497816 Y1 KR 2004978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juice
screw
protrusion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1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518U (ko
Inventor
김영기
예수희
정성하
김대일
안상민
한창호
함재홍
여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ublication of KR20230001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8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8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는 스크류 상부에서 회전에 의해 상기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심체 및 상기 심체와 다른 재질로 심체의 외부를 덮는 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나 과일 등을 압착 및 분쇄시켜 착즙 주스를 생성하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위하여 녹즙이나 주스를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단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기기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에 주스기는 재료를 투입구에 넣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에 의해 파쇄하여 원심분리방식으로 주스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스기는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서 재료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가 있고, 줄기나 잎으로 된 야채로는 녹즙을 만들기가 어려웠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 주스를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콩으로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에서는 망드럼과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사이에서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마치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하여 두유로 만들고 토마토, 키위, 딸기와 같이 점도가 높은 과일 등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작용효과가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 주스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스크류의 크기 및 스크류의 크기에 따라 적정 크기의 재료가 투입되도록 제작되는 투입구의 크기에 의해 투입구에 재료를 넣기 전에 사전에 미리 재료를 잘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즙 드럼의 상부에 결착되어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하는 호퍼를 포함하되, 호퍼의 하단면에서만 지지되어 스크류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절단부에 의해 통과일과 같은 크기가 큰 착즙 재료가 착즙 드럼에 투입되기 전에 미리 절삭될 수 있도록 하고, 호퍼 내 절단부의 상측에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개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서 호퍼 내 투입되는 착즙 재료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착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스크류 상부의 호퍼 내에서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회전 중심에서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찍는날; 및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는날을 포함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심체 및 상기 심체와 다른 재질로 심체의 외부를 덮는 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체는 상기 외피보다 더 강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체는 울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피는 POM(Polyoxymethylene 또는 Polyacetal) 재질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인서트 사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체에는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 또는 상기 심체를 관통하는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상기 홈의 내측면, 상기 관통공의 내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찍는날에 대응되는 부위에 심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는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며, 하단부에 상기 스크류의 상부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며, 상단부의 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절단부의 회전축 상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절단부 상부로 돌출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걸림부를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고정캡에 의해 상기 절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은, 그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개방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의 원주 방향 끝단의 바닥면에는 상기 걸림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의 저면에는 탄성재질의 탄성체가 고정되고, 상기 탄성체의 저면은 상기 고정캡의 저면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체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링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회전축 상에 상기 절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호퍼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면 아래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주에 고정되는 고정부에 의해 상기 절단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홀에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 돌출부가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개방되어 경로를 제공하는 상하 가이드부 및 상기 상하 가이드부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회전축 상에 상기 절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호퍼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된 고정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의 내주면에는 이격되어 돌출된 고정 단턱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 단턱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고정 돌출부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 돌출부가 상기 고정 단턱부 아래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는 상기 호퍼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에 형성되는 부싱부; 및 상기 부싱부의 내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의 상부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축공을 통해 삽입되어 상부로 관통하는 나사로 상기 절단부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싱부의 내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축공이 형성되며 외측면은 상기 부싱부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상기 부싱부의 상면 위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나사가 삽입되는 나사홀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돌출부는 각형의 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의 하단면에는 상기 상부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각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의 상부 회전축은 n 각형의 각형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공은 2*n 각형의 축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n은 3이상의 자연수이다.
여기서,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는 상기 호퍼 내에서 분쇄된 착즙 재료를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착즙 드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중앙에서 상기 배출홀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절단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서 폭이 점차로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가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스크류를 수용하는 착즙 드럼과 상기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착즙 재료로부터 생성된 즙을 외부로 배출시켜 즙과 찌꺼기를 분리시키는 유출공이 형성되는 즙분리 드럼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즙분리 드럼의 상단부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확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의 일측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내측을 향하는 곡면부인 재료 유입 가이드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재료 유입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배출홀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면에 상기 절단부가 장착되는 호퍼 하우징; 및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뚜껑부는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안전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가이드부는 뚜껑부의 저면이 상기 호퍼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착즙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와 상기 착즙 드럼이 결합할 때 실링을 하는 패킹링이 상기 호퍼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고정되는데, 상기 패킹링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링은 상기 호퍼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홈인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패킹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패킹부의 아래에 복수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착즙 드럼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결착돌기가 복수개 이격 형성되며, 상기 결착돌기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시킨 후 상기 결착돌기의 아래에 상기 결합돌기를 위치시켜 상기 호퍼와 상기 착즙 드럼을 결합시키는데, 상기 결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의 결합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결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상하방향 접촉 위치가 변경되며 상기 착즙 드럼의 상단이 상기 패킹 날개부를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저면과 상기 호퍼의 하단면 사이에는 원형의 링 형태의 요철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의 저면에는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된 원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는 상기 원형돌기가 삽입되도록 하는 원형의 홈인 원형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원형홈의 일단부에는 상기 원형홈과 연통되어 상기 원형홈에 위치하는 찌꺼기를 상기 원형홈 외부로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찌꺼기 배출부는 상기 원형홈의 일단부에서 내측으로 더 파여진 홈 및 상기 홈의 외측면을 포함하여 상기 원형홈의 외측면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착즙 드럼을 더 포함하고, 착즙 중 상기 호퍼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호퍼와 상기 착즙 드럼 사이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림 방지부는 상기 착즙 드럼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는 이동 결착부; 및 상기 호퍼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결착부가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착즙 드럼 상단 위로 돌출되는 상기 이동 결착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로 돌출된 구동축이 형성되며, 상기 착즙 드럼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본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림 방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착즙 드럼이 상기 본체부에 결착되었을 때, 상기 이동 결착부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 결착부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즙 드럼의 저면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결착부의 하단부는 상기 삽입홈 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결착부의 하단과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 결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 면을 포함하는 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착즙 드럼 바깥으로 연장되는 회전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는 호퍼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풀림 방지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하는 상기 손잡이부의 안쪽 측면에 탄성 결합하여 탄성 이동하는 탄성 결착부; 및 상기 착즙 드럼의 외측면을 향하여 굴곡된 상기 탄성 결착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상기 착즙 드럼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림 방지부는 상기 호퍼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는 이동 결착부; 및 상기 착즙 드럼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결착부가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호퍼 하단 아래로 돌출되는 상기 이동 결착부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결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퍼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단면에 상기 절단부가 장착되는 호퍼 하우징; 및 상기 호퍼 하우징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이동 결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뚜껑부의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부가 닫힐 때 상기 이동 결착부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 결착부를 하부로 탄성 이동시키는 탄성이동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결착부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고, 상기 이동 결착부의 상단과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이동 결착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 면을 포함하는 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부의 회전축으로부터 상기 호퍼 바깥으로 연장되는 회전 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림 방지부는 상기 호퍼와 상기 착즙 드럼 외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며 상기 호퍼와 상기 착즙 드럼을 결착시키는 슬라이딩 결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림 방지부는 상기 호퍼 또는 상기 착즙 드럼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 결착부; 및 상기 착즙 드럼 또는 상기 호퍼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결착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결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착즙기에 따르면 착즙 재료를 호퍼 내에서 절단 및 교반시켜 착즙 드럼에 제공하므로,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단부가 호퍼 내 하단면에서만 지지되어 회전하므로 호퍼 내 절단부 상측에 개방 공간을 확보할 수가 있어서 호퍼 내 투입되는 착즙 재료의 크기가 더 커질 수가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절단부를 심체 및 심체의 외부를 덮는 외피로 이종 재질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절단부의 강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심체의 표면에 돌출부, 홈 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심체와 외피 사이의 결합 단면적을 늘려서 이종 재질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절단부를 호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어서 절단부의 세척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착즙 드럼과 호퍼 사이의 결착 구조에 의해 착즙 중 호퍼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호퍼와 착즙 드럼 사이의 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본체와 착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착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뚜껑부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는 호퍼의 사시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호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의 (a)와 (b)는 찍는날과 베는날의 위치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호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내측돌기와 찍는날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호퍼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안전 가이드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호퍼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호퍼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5 도시된 호퍼의 저면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호퍼 바닥면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호퍼의 실링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호퍼와 착즙 드럼의 결합 전후의 실링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절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절단부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절단부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절단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따른 호퍼의 바닥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의 절단부가 도 22의 호퍼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이중 구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심체 및 절단부의 최종 형태를 비교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절단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7 내지 도 2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7 내지 도 28에서 고정캡의 저면에 탄성체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는 고정캡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7 내지 도 28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1 내지 도 32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1 내지 도 32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4 내지 도 3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4 내지 도 35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4에 도시된 스크류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측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에 도시된 스크류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스크류의 변형예이다.
도 41과 도 42는 도 4에 도시된 즙분리 드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3은 즙분리 드럼의 일부 절개된 결합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에 도시된 착즙 드럼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에서 즙마개부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는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즙마개부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4에 도시된 착즙 드럼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9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3에 도시된 개폐 센싱부의 사시도이다.
도 51 내지 도 56은 각각 호퍼의 풀림 방지 구조의 다른 변형례들을 도시한다.
도 57은 도 49에 도시된 유동 모터축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8은 유동 모터축의 동작을 설명하는 유동 모터축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착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본체와 착즙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착즙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본체(100)와 착즙부(200)로 크게 나뉠 수가 있다.
본체(100)는 착즙부(200)를 안착시켜 고정시키며, 본체(100) 하단부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102)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 받아 내부의 모터(1001)를 회전시켜 착즙부(200)를 구성하는 스크류(23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착즙부(2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210), 착즙 드럼(280), 즙분리 드럼(260) 및 스크류(230)를 포함하며 구성될 수가 있다.
착즙부(200)는 착즙 드럼(280) 내부에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로 구성되는 즙분리 드럼(260) 및 스크류(2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착즙 드럼(280)의 상부에 호퍼(210)를 체결시켜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하부의 착즙 드럼(280)과 상부의 호퍼(210)가 체결된 상태에서 착즙부(200)는 본체(100)에 안착될 수 있으며, 본체(100)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1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동작하게 된다. 즉, 구동축(13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착즙 드럼(280) 내부의 스크류(230) 및 호퍼(210) 내부의 절단부(225)를 회전시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절삭 및 압착시켜 즙을 생성시키고, 생성된 즙과 찌꺼기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착즙부(200)는 착즙 드럼(280)의 상부에 호퍼(210)가 체결된 상태에서만 도 1과 같이 본체(10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착즙 드럼(280) 만이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호퍼(210)를 착즙 드럼(280) 상부에 결착시킬 수가 없다. 착즙 드럼(280)만 본체(1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착즙기가 동작하게 되면, 사용자가 예기치 않은 부상을 입을 수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본체(100)에 착즙부(200)가 안착된 상태에서 호퍼(210)의 뚜껑부가 닫힌 상태에서만 착즙기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의도치 않은 착즙기의 동작으로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기구적으로도 착즙부(200)가 조립이 된 상태에서만 착즙부(200) 전체를 본체(100)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을 더욱 보장시키도록 한다. 이와 관련된 구조의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착즙부(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 및 본체(100)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36을 참조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2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호퍼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뚜껑부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는 호퍼의 사시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 5에 도시된 호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9의 (a)와 (b)는 찍는날과 베는날의 위치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호퍼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 1 내측돌기와 찍는날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호퍼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1은 안전 가이드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호퍼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호퍼의 수평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5 도시된 호퍼의 저면을 도시하는 저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호퍼 바닥면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는 호퍼의 실링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은 호퍼와 착즙 드럼의 결합 전후의 실링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절단부의 사시도이고, 도 18과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절단부의 측면도이고,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절단부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절단부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따른 호퍼의 바닥면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3은 도 21의 절단부가 도 22의 호퍼 바닥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이중 구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심체 및 절단부의 최종 형태를 비교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6은 절단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27 내지 도 2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7 내지 도 28에서 고정캡의 저면에 탄성체가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는 고정캡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7 내지 도 28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1 내지 도 32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3은 도 31 내지 도 32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4 내지 도 3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탈착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36은 도 34 내지 도 35의 결합 사시도이다.
호퍼(210)는 착즙 드럼(28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호퍼(210)는 투입된 착즙 재료(예를 들어, 과일, 야채, 곡물 등)를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호퍼(210) 내 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단부(225)는 스크류(2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착즙 재료를 절삭 및 교반시켜 하부의 착즙 드럼(280)으로 공급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호퍼(210) 내에서 착즙 재료의 절삭이 이루어지므로,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하여 투입시킬 필요가 없다.
호퍼(210)는 호퍼 하우징(215) 및 뚜껑부(220)로 크게 나뉠 수가 있고, 호퍼(210) 내부에는 절단부(225)가 장착될 수 있어서 절단부(225)를 포함하여 호퍼(210)라 칭할 수도 있다.
호퍼 하우징(215)은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으로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착즙 재료를 공급 받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은 상부의 원통형 몸체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가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 상부에는 절단부(2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가 있는데, 상기 절단부(225)는 착즙 드럼(280) 내부의 스크류(230)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스크류(23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호퍼 하우징(215)의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내측으로 돌출된 빗살돌기(215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잎 채소와 같은 가벼운 착즙 재료가 수분을 흡수하여 호퍼 하우징(215) 내측면에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고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호퍼 하우징(215)의 내측면 전면에 대하여 빗살돌기(21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퍼 하우징(215)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216)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통의 호퍼 하우징(215) 일측 상단부에서 링 형태로 연장되어 호퍼 하우징(215) 하단부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손잡이부(216)의 하단이 반드시 호퍼 하우징(215) 하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필요는 없다.
손잡이부(216)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 하우징(215)의 상단부에서 수평면이 소정 거리 연장된 후 수직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상단부의 상기 수평면에는 뚜껑부(220)의 후크 체결부(2221)가 삽입되어 결착되도록 하는 체결홀(2161)이 형성될 수 있다.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 중앙에는 관통하는 연결홀(2152)이 형성된다. 연결홀(2152)을 통해 호퍼(210) 아래에 위치하는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과 호퍼(210) 바닥면 상부에 위치하는 절단부(225)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가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하는 배출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호퍼(210) 내의 착즙 재료는 호퍼(210) 내의 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절단부(225)에 의해 절삭 및 교반되어 배출홀(217)을 통과하여 호퍼(210) 아래에 배치되는 착즙 드럼(28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출홀(217)이 호퍼(210) 바닥면의 일측에 하나 형성되어 있는데, 배출홀(217)의 개수 또는 배출홀(217)의 면적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많은 양(또는 크기가 큰)의 착즙 재료를 착즙 드럼(280)으로 공급시킬 수가 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양의 착즙 재료가 착즙 드럼(280) 내부로 공급되는 경우 스크류(230)에 부하가 걸릴 수가 있으므로, 적정량 및 적정 크기의 착즙 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배출홀(217)의 크기 및 개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배출홀(217)의 폭은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른 착즙 재료 또는 작게 분쇄된 착즙 재료는 회전 방향으로 배출홀(217)의 전단부인 폭이 좁은 부분을 통해 즉각적으로 스크류(230)로 유입되도록 하고, 단단한 착즙 재료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분쇄된 착즙 재료는 좀 더 호퍼(210) 내부에 머무르도록 하여 절단부(225)에 의해 추가로 분쇄되어 회전 방향으로 배출홀(217)의 후단부인 폭이 넓은 부분을 통해 배출될 수가 있다.
또한, 호퍼 하우징(215) 바닥면 내측면에는 배출홀(217)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171)이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로 경사지도록 경사면(217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면(2171)과 배출홀(217)이 접하는 부분의 높이가 호퍼 하우징(215)의 내측 바닥면의 높이보다 낮으므로 착즙 재료가 배출홀(217)을 향하여 효율적으로 안내될 수가 있다. 상기 경사면(2171)에 의해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 내측면과 절단부(225)의 베는날(227) 사이에 고착 또는 정체될 수 있는 착즙 재료가 원활하게 아래로 이동될 수가 있다.
나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 외측면(호퍼(210)의 저면)에도 경사면(2172)이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경사면(2172)은 배출홀(217)로부터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아래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배출홀(217)을 통해 원활하게 착즙 재료가 착즙 드럼(28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호퍼 하우징(215) 바닥면 내측면에 형성된 경사면(2171)과 호퍼 하우징(215) 바닥면 외측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172)은 각각 절단부(225)의 회전방향을 따라 배출홀(217)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경사 방향은 모두 절단부(225)의 회전방향을 따라 아래로 경사진다.
도 14는 호퍼(210)의 바닥면의 변형례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홀(217)의 폭은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된다. 이때, 호퍼(210)의 중앙에서 배출홀(217)을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아래로 경사지는 경사면(2173)이 형성된다. 배출홀(217)의 폭이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므로, 경사면(2173)의 반경 방향 폭은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상기 경사면(217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배출홀(217)의 크기는 점차로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배출홀(217)을 향하여 형성되는 경사면(2173)에 의해, 착즙 재료를 효율적으로 아래로 안내하며 착즙 재료가 배출홀(217) 내에서 조금 더 머무를 수 있도록 하여 착즙 재료를 추가로 절삭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호퍼 하우징(215)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174)가 소정 개수로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데, 이는 착즙 드럼(280) 상부의 내측 가장 자리에 형성되는 결착돌기(2801)와 함께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뚜껑부(220)는 호퍼 하우징(215)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뚜껑부(220)의 중앙에는 관통하는 홀인 추가 투입구(2201)가 형성될 수가 있다. 착즙 동작 중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착즙 재료를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경우에 추가 투입구(2201)를 통해 착즙 재료를 호퍼(210) 내부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추가 투입구(2201)를 통해 누름봉(290)을 삽입시켜 호퍼(210) 내부의 착즙 재료가 호퍼(210) 내 하부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추가 투입구(2201)를 막는 별도의 마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추가 투입구(2201)는 뚜껑부(220)의 중앙에 위치한다. 이때, 추가 투입구(2201)를 통해 누름봉(290)을 삽입하였을 때, 누름봉(290)의 하단이 호퍼(210)의 내측 하단면 상에 배치되는 절단부(225)의 중앙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추가 투입구(2201)가 형성되어, 절단부(225)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특히, 본 고안의 절단부(22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찍는날(226) 및 호퍼의 하단면 상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베는날(227)로 형성될 수 있는데, 찍는날(226)이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찍는날(226) 내측으로 누름봉(29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서 절단부(225)의 회전 중심 바로 위까지 누름봉(290)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제작할 수 있다.
뚜껑부(220)의 가장자리 일측, 보다 자세히는 호퍼 하우징(215)의 손잡이부(216)가 형성되는 반대쪽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홀(2203)이 형성되는 힌지 결합부가 형성된다. 호퍼 하우징(215)의 상단의 양측에 형성된 핀고정홀(2153) 사이에 힌지 결합부의 핀홀(2203)을 위치시키고 핀고정홀(2153) 및 핀홀(2203)에 핀(224)을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호퍼 하우징(215)의 상부에 뚜껑부(220)를 힌지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 뚜껑부(220)는 호퍼 하우징(215)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호퍼 하우징(215)과 분리 또는 일체로 형성된다.
자석 배치부(221)는 힌지 결합부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 형성된다. 자석 배치부(221)의 내부에는 뚜껑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제 1 자석(2211)이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 본체부(110) 내측에는 제 2 자석(1102)이 배치될 수 있는데, 뚜껑부(220)가 개폐될 때 자석 배치부(221)가 회동하여 그 위치가 바뀜에 따라서 제 1 자석(2211)과 제 2 자석(1102)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라서 자력이 변하게 되고, 자력의 변화에 따른 제 2 자석(1102)의 움직임으로 뚜껑부(2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가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9 내지 도 50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뚜껑부(220)가 열릴 때 힌지 결합부에서 수직 아래로 연장 형성되는 자석 배치부(221)는 호퍼 하우징(215)의 내측을 향하여 회동하게 되므로 호퍼 하우징(215)의 외측면과 간섭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석 배치부(221)가 위치하는 호퍼 하우징(215)의 외측면에는 자석 배치부(221)가 호퍼(210) 중심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호퍼 하우징(215) 내측으로 만입된 간섭방지홈(2154)이 형성될 수가 있다.
뚜껑 손잡이부(222)는 힌지 결합부의 반대쪽 일측에서 원통 형태의 호퍼 하우징(215) 개방된 상면을 덮는 뚜껑부(22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216) 상부에 위치한다. 뚜껑 손잡이부(222)는 손잡이부(216)의 상부에서 손잡이부(216)와 체결될 수가 있다. 뚜껑 손잡이부(22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수평면으로 호퍼 하우징(215)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뚜껑부(22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뚜껑 손잡이부(222)의 저면에는 후크 체결부(2221)가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후크 체결부(2221)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사용자측으로 눌러질 수 있도록 뚜껑 손잡이부(222)의 폭 방향으로 판면을 가지도록 수직 아래로 돌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6)의 상부 수평면에는 후크 체결부(2221)가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 체결부(2221)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폭 방향으로 길게 관통하는 체결홀(2161)이 형성된다.
또한, 체결홀(2161)의 하부 가장자리 측면에 후크 체결부(2221)가 걸려서 뚜껑부(220)가 열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후크 체결부(2221)의 외측면에는 고정단턱(2222)이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뚜껑부(220)의 후크 체결부(2221)가 체결홀(2161)에 삽입되어 후크 체결부(2221)의 고정단턱(2222)이 체결홀(2161)의 하부 가장자리 측면에 걸리게 되면, 뚜껑부(220)가 호퍼 하우징(215)의 상부 개방면을 덮은 상태에서 인위적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216)를 잡은 상태에서 검지 등의 손가락으로 후크 체결부(2221)를 사용자 측으로 눌러서 체결홀(2161) 가장자리 측면에 걸린 고정단턱(2222)을 해제시키고, 이 상태에서 엄지 등의 손가락으로 뚜껑 손잡이부(222)를 상부로 들어 올리는 힘을 가하는 방법으로 뚜껑부(220)를 열 수가 있다.
나아가, 뚜껑 손잡이부(222) 저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뚜껑 손잡이부(222)의 돌출 방향으로 길게 아래로 돌출되는 회동방지 리브(2224)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방지 리브(2224)는 뚜껑부(220)가 닫혔을 때 손잡이부(216)의 상단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지지되도록 하여 힌지 결합부를 통해 호퍼 하우징(215)의 상부에 체결된 뚜껑부(220)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뚜껑부(220)의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 아래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호퍼 하우징(215)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안전 가이드부(223)가 형성될 수가 있다. 안전 가이드부(223)는 뚜껑부(220)가 일정 각도 열렸을 때 사용자의 손이 호퍼 하우징(215)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착즙기는 제 1 자석(2211)과 제 2 자석(1102)의 동작으로 뚜껑부(220)가 열렸을 때에는 착즙기가 동작하지 않는데, 안전 가이드부(223)는 뚜껑부(22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개폐 센싱부(115)의 센싱 오차에 의해 뚜껑부(220)가 일부 열리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예기치 않은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 가이드부(223)는 회동방지 리브(2224)와 함께 뚜껑부(220)가 수평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안전 가이드부(223)는 뚜껑부(220)의 하단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호퍼(20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힌지 결합부로부터 먼 쪽으로부터 힌지 결합부 측으로 점차적으로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하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안전 가이드부(223)의 변형례를 도시하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뚜껑부(220)의 저면이 호퍼 하우징(215) 내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뚜껑부(220)의 저면이 호퍼 하우징(215)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20)의 저면도 힌지 결합부로부터 먼쪽으로부터 힌지 결합부 측으로 점차적으로 돌출 높이가 작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가이드부(223)는 뚜껑부(220)의 일부가 호퍼 하우징(215)의 상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뚜껑부(220)가 일정 각도 열렸을 때 사용자의 손이 호퍼 하우징(215)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단부(225)는 호퍼(210) 내측 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즙 드럼(280)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호퍼(210) 내부에서 회전하며, 호퍼(210) 내부에 투입된 착즙 재료를 절삭 및 교반시켜 호퍼(210)의 하단면에 형성된 배출홀(217)을 통해 절삭된 착즙 재료를 호퍼(210) 아래에 위치하는 착즙 드럼(280) 내부로 공급한다.
본 고안에서 절단부(225)는 호퍼(210) 내부에서 호퍼(210)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며 착즙 재료를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호퍼(210)의 하단에서 일측 지지된 상태에서 착즙 재료를 절삭시키기 때문에, 호퍼(210) 내 절단부(225)의 상측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225)의 상측 전체가 개방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호퍼(210) 내에 통과일과 같이 크기가 큰 착즙 재료도 투입시켜 절삭시킬 수 있다.
다음, 호퍼 하우징(215) 바닥면 상에 절단부(225)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스크류(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절단부(225)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도 8, 도 9, 도 20 및 도 26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에 형성된 연결홀(2152)에는 부싱부(218)가 배치된다. 부싱부(218)의 반경 방향 내측면과 외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에는 원형의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단턱(2181)을 형성한다. 부싱부(218)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홀(2152)의 내측면은 원추 형태의 경사면 및 걸림턱(2158)이 형성된다. 이때, 부싱부(218)는 인서트 사출로 호퍼 하우징(215)의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홀(2152)과 부싱부(218) 사이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접하도록 하여 착즙 과정에서 부하에 의해 스크류(230)가 상승할 때 상부를 향하는 힘을 받더라도 호퍼 바닥면과 부싱부(218) 사이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스크류(230)의 부상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부싱부(218)의 내측에는 상하 개방된 형태로 홀이 형성되어 동력전달부(219)가 삽입된다. 동력전달부(219)에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이 삽입된 상태로 스크류(230)가 회전할 때 부싱부(218) 내측에 삽입되는 동력전달부(219)가 부싱부(218) 내부에서 회전을 하므로, 부싱부(218)는 동력전달부(219)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219)는 결합부(2191) 및 상부 돌출부(2195)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부싱부(218)의 내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부(2191)의 외측면도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형성된다. 결합부(2191)의 내부는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이 삽입되는 축공(2192)이 형성된다.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은 각형의 축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공(2192)은 각형의 축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은 6각의 각형 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축공(2192)은 2배수인 12각의 축공(219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19)에 형성되는 축공(2192)도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6각의 축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2배수인 12각으로 축공(2192)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류(230) 상부 회전축(233)과 동력전달부(219) 사이의 결합이 더 용이해질 수가 있다. 나아가, 상기 12각의 축공(2192) 입구에 축공의 크기가 확장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두 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을 n 각형의 각형 축으로 형성하는 경우, 동력전달부(219)의 결합부(2191)에 형성되는 축공은 2*n 각형의 축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부싱부(218)에 동력전달부(219)가 체결되었을 때 동력전달부(219)의 저면은 호퍼(210)의 바닥면 저면보다 위에 위치하게 되어 축공(2192)의 하단면은 단턱(2181)의 하단면보다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축공(2192)의 하단면은 호퍼(210)의 바닥면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호퍼(210)의 바닥면을 돌출하지 않는다(도 9의 부분 확대도 참조). 따라서 불필요한 돌출로 인해 간섭이 발생하지도 않고 재료비도 절감되는 효과를 얻는다.
결합부(2191)의 상부에는 상부 돌출부(2195)가 형성되는데, 동력전달부(219)가 호퍼 하우징(215)의 저면에서 부싱부(218)에 삽입되었을 때 상부 돌출부(2195)는 부싱부(218)의 홀을 관통하여 부싱부(218)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호퍼(2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돌출부(2195)는 4각의 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단부(225)의 저면에 각형의 홈(2251)을 형성하여 상부 돌출부(2195)에 절단부(225)를 결합시킬 수가 있다. 상부 돌출부(2195)의 형상 및 이에 대응하는 절단부(225) 저면의 홈(225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십자 형태, 스플라인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가 있다.
상부 돌출부(2195)와 절단부(225) 저면의 홈(2251)(도 20 및 도 26 참조)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2191)의 축공(2192)을 통해 나사(2199)를 삽입해 상부 돌출부(2195)를 관통하는 나사홀(2196) 및 절단부(225) 저면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 나사홈(2252)(도 20 및 도 26 참조)에 나사 결합시켜, 상부 돌출부(2195)에 절단부(22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부(2191)의 내측면에 형성된 축공(2192)의 상단에는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나사(2199) 머리가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부(218)의 내측면과 동력전달부(219)의 외측면을 각각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상호 접함에 따라서, 스크류(230)가 부상하는 힘을 받을 때 스크류(230)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나아가, 동력전달부(219)가 상부로 향하도록 하는 힘을 받을수록 동력전달부(219)와 부싱부(218)가 보다 더 동심의 위치에 있게 되므로, 기계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에서는 호퍼(210)에 형성된 실링 구조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210)는 착즙 드럼(280) 상부에 결착되는데, 상기 실링 구조는 두 부재(210, 280) 사이를 실링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21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패킹링(211)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패킹링(211)은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킹링(211)이 상하 대칭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서 패킹링(211)을 양방향으로 조립시킬 수가 있으며, 조립 시 상하 방향이 바뀌어 패킹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참고로, 도 15는 호퍼(210)의 하단부를 도시한다.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는 패킹링(211)은 호퍼(210)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홈인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부(2111) 및 고정부(211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반경 방향으로 날개 형태로 돌출되는 패킹 날개부(2112)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 하우징(215)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174)와 착즙 드럼(280) 상부의 내측 가장 자리에 형성되는 결착돌기(2801)에 의해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은 결착될 수 있다. 결착돌기(2801)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결합돌기(2174)를 삽입시키고 회전시켜 결합돌기(2174)를 결착돌기(2801) 아래에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두 부재(210, 288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돌기(2174)의 결착면에 경사면을 형성하면,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을 결합시킬 때 결착돌기(2801)와 결합돌기(2174) 사이의 상대 위치에 따라서 착즙 드럼(280)에 대한 호퍼(210)의 상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결합돌기(2174)와 결착돌기(2801)에 의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결착돌기(2801)의 결착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결착돌기(2801)와 결합돌기(2174)의 상하 방향 접촉 위치가 변경된다. 이때,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상기 경사면의 방향에 의해 호퍼(210)가 착즙 드럼(280)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착즙 드럼(280)의 의 상단면이 패킹 날개부(2112)의 아래 측면과 접촉을 하며 패킹 날개부(2112)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결합돌기(2174)의 결착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나,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 사이의 결합이 진행됨에 따라서 착즙 드럼(280)의 상단면이 패킹 날개부(2112)를 가압할 수 있다면, 결착돌기(2801)의 결착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고 결착돌기(2801)와 결합돌기(2174)의 결착면에 모두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의 (a)와 (b)는 각각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가 결합되기 전과 후의 패킹링(211)의 형상을 도시하는데, 결착돌기(2801)가 상승하여 패킹 날개부(2112)의 아래 측면을 가압하여 상승시키며 실링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착면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압착력을 증가시켜 실링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때, 도 16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상하부에 위치하는 패킹 날개부(2112)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마찰력 감소로 호퍼의 체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부(225)는 호퍼(210)의 바닥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동력전달부(219)를 통하여 스크류(2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며 착즙 재료를 절삭 및 교반시키도록 한다.
절단부(225)는 찍는날(226) 및 베는날(22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은 같은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은 같은 속도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찍는날(226)은 회전 중심에서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으로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찍는날(226)의 상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져 뾰족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찍는날(226)은 판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며 나선으로 휘어지며 상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마치 소뿔의 형태로 형성된다.
갈고리 형태로 상측을 향하는 찍는날(226)은 상부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찍어서 파쇄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또한, 찍는날(226)이 판상이 아니라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미나리와 같은 줄기 채소가 찍는날(226)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뿔 형상으로 나선으로 연장된 형상은 절삭된 착즙 재료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찍는날(226)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 곡면(2261)이 형성되어, 찍는날(226)이 회전하며 찍는날(226)에 의해 파쇄된 착즙 재료가 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찍는날(226)의 상단 높이는 높을수록 파쇄 효과가 높아지는데, 적어도 베는날(227)의 상단면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찍는날(226)의 반경 방향 길이는 호퍼(210)의 내측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는날(227)은 호퍼(210)의 하단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는날(227)은 수직 방향으로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는날(227)의 회전 방향 전면과 후면의 경사면이 만나는 상단에는 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는날(227)의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는날(227)은 상단에 형성된 날에 의해 찍는날(226)에서 파쇄되어 아래로 이동한 착즙 재료를 2차적으로 파쇄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베는날(227)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호퍼(21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밀어서 배출홀(217)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는날(227)의 두께가 얇으면 호퍼(210) 바닥면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밀지 못하고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는날(227)은 절단부(225)의 회전 중심에서 찍는날(226)이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180도 반대 방향의 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베는날(227)은 절단부(225)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은 회전 중심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존재하되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의 날 끝은 서로를 향하도록 휘어지기 때문에, 절단부(225)의 전체적인 형상은 초승달 모습과 유사하다.
또한, 찍는날(226)과 베는날(227)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찍는날(226)이 나선으로 휘어지며 상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절단부(225)의 전체적인 형상은 초승달 모습과 유사하되 공간상에서 서로 뒤틀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베는날(227)도 찍는날(226)과 마찬가지로 호퍼(210)의 내측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부(225) 저면의 회전 중심에는 사각의 각형으로 형성된 동력전달부(219)의 상부 돌출부(2195) 형상에 대응되도록 각형의 홈(2251)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각형의 홈(2251) 위에는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홈(2252)이 형성된다. 동력전달부(219)의 상부 돌출부(2195)에 각형의 홈(2251)이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2199)를 이용하여 절단부(225)를 체결시킴으로써, 호퍼 하우징(215)의 내측 바닥면 상에 절단부(225)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도 21은 절단부(225)의 변형례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부(225)의 저면에 원형의 링 형태로 돌출된 원형돌기(2250)가 형성된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원형돌기(2250)에 대응되도록 호퍼(210)의 하단면에는 원형돌기(2250)가 삽입되는 원형의 홈인 원형홈(2150)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형돌기(2250)가 원형홈(2150)에 삽입된 상태로 절단부(225)가 회전하므로, 호퍼(210) 내의 찌꺼기가 절단부(225)의 회전축을 향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나아가, 줄기 채소와 같이 긴 채소 또는 섬유질이 절단부(225)의 회전축에 감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부(225)의 저면에 원형돌기(2250)가 형성되고 호퍼(210)의 하단면에 원형홈(2150)이 형성되는 요철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절단부(225)의 저면에 원형홈이 형성되고 호퍼(210)의 하단면에 원형돌기가 형성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호퍼(210)의 하단면의 원형홈(2150)에는 원형홈(2150)과 연통되어 원형홈(2150)에 끼인 찌꺼기들을 원형홈(2150) 외부로 배출시키는 찌꺼기 배출부(2150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찌꺼기 배출부(21501)는 원형홈(2150)의 소정의 위치에 하측으로 더 파여진 홈 및 상기 홈의 외측면을 포함하여 원형홈(2150)의 외측면 일측이 개방된 개방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원형홈(2150)에 끼인 찌꺼기들을 절단부(225)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홈으로 밀려 이동하여 외측의 개방면을 통해 배출되거나 원형홈 외측의 개방면을 통해 직접 배출시킬 수가 있다. 이때, 상기 개방면을 통해 호퍼(2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홀(217)을 향하여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25)는 심체(2255) 및 심체(2255)와 서로 다른 재질로 심체(2255)의 외부를 덮는 외피(2259)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피(2259)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심체(2255)가 절단부(225)의 내부를 형성하고, 심체(2255)의 외측면을 덮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외피(2259)가 형성된다.
절단부(225)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이고, 강도가 높고, 가공이 용이하며, 가벼운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특히, 찍는날(226)의 경우 회전할 때 호퍼(210)에 최초 투입되어 절삭되지 않은 착즙 재료와의 접촉으로 강한 부하가 작용하고, 갈고리 형태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강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쉽게 파손될 수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절단부(225)의 내부는 강도가 강한 재질의 심체(2255)를 형성하고 심체(2255)와는 다른 재질로 심체(2255) 외부를 덮는 외피(2259)의 이중 구조로 절단부(225)를 형성하여, 강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절단부(225)에 요구되는 나머지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심체(2255)는 울템 재질로 형성될 수가 있고, 외피(2259)는 POM(Polyoxymethylene 또는 Polyacetal) 재질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두 재질을 가지는 심체(2255)와 외피(2259)는 인서트 사출로 강력하게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심체(2255)의 전체적인 형상은 절단부(225) 전체 형상과 유사하게 찍는날(226) 및 베는날(226)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심체(2255)에는 심체(225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256), 심체(2255)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2257), 또는 심체(2255)를 관통하는 관통공(2258)이 형성되어 심체(2255)와 외피(2259)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2256)의 외측면, 홈(2257)의 내측면, 관통공(2258)의 내측면은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심체(2255)와 외피(2259) 사이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골곡면에 의해 다 방향으로 접촉하도록 하여 심체(2255)와 외피(2259)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가 있다. 나아가, 돌출부(2256)의 외측면, 홈(2257)의 내측면, 관통공(2258)의 내측면을 굴곡면으로 형성하여 결합 면적을 더욱 증가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절단부(225)의 회전 중심 부위에는 돌출부(2256)와 홈(2257)이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는 및 소정 형상의 돌출부(2256)가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도록 하고, 강한 부하가 작용하는 찍는날(226)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관통공(2258)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하도록 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동력 전달부(219)와 절단부(225) 사이를 결합시키는 절단부(225) 저면에 형성되는 각형의 홈(2251) 및 나사홈(2252)이 형성된 결합부재(2254)를 별도로 준비하고, 결합부재(2254), 심체(2255) 및 외피(2259)를 인서트 사출로 결합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절단부(225)는 호퍼(210)의 하단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절단부(225)는 착즙 재료에 의해 오염될 수가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절단부(225)를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절단부(225)를 호퍼(210)로부터 분리시켜 용이하게 세척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 27 내지 도 36을 참조로, 절단부(225)의 탈착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7 내지 도 30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25)의 탈착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홀(2152)에 부싱부(218)가 배치되고, 부싱부(218) 내부에 동력전달부(219)가 삽입된다. 결합부(2191) 및 상부 돌출부(2195) 및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이 삽입되는 축공(2192)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219)의 구성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돌출부(2195)의 상부로 돌출된 기둥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2197)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2197)는 180도 대칭으로 양쪽에 두 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19)를 호퍼(210)의 하단면 아래에서 연결홀(2152)에 삽입시킨 다음, 상부 돌출부(2195)의 형상에 따라서 중심축에 사각형의 관통홀(2253)이 형성된 절단부(225)를 상부 돌출부(2195)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면, 상기 걸림부(2197)는 절단부(225)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절단부(225)의 상부에서 걸림부(2197)를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고정캡(228)에 의해 절단부(225)를 회전 가능하게 호퍼(210)의 하단면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고정캡(228)은 절단부(225) 상부로 돌출된 걸림부(2197)를 덮어 고정시키는 부재로, 걸림부(2197)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고정캡(228)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개방되어 경로를 제공하는 상하 가이드부(2281) 및 상하 가이드부(2281)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2197)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삽입부(2282)가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2197)가 대칭으로 두 개 돌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하 가이드부(2281) 및 삽입부(2282)의 구성도 대칭으로 각각 두 개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걸림부(2197)의 위치에 상하 가이드부(2281)의 하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고정캡(228)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걸림부(2197)가 상하 가이드부(2281)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고정캡(228)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부(2197)가 삽입부(2282)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력전달부(219)와 고정캡(228) 사이에 절단부(22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동력전달부(219)에 고정캡(228)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호퍼(210)로부터 절단부(225)를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고정캡(228)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때, 고정캡(228)의 저면에는 탄성재질의 탄성체(2284)가 고정될 수가 있다. 상기 탄성체(2284)는 일 예로 고무로 형성될 수가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탄성체(2284)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캡(228)의 저면에는 상기 탄성체(228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태로 파여진 고정홈(2285)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284)의 저면은 고정캡(228)의 저면보다 아래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단부(225)의 상부에서 고정캡(228)을 아래로 가압하는 힘을 가하여 탄성체(2284)가 압축된 상태에서만 고정캡(228)을 회전시켜 걸림부(2197)를 삽입부(2282)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캡(228)에 의한 고정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가 있다.
또한, 삽입부(2282)의 원주 방향 끝단의 바닥면에는 걸림부(2197)가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파여진 안착홈(228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97)가 안착홈(2283)의 상부에 위치할 때 탄성체(228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캡(228)이 위로 이동하게 되면서 걸림부(2197)가 안착홈(2283)에 안착될 수가 있다. 따라서, 걸림부(2197)가 안착홈(2283)에 걸려 고정캡(228)의 결합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고정캡(228)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걸림부(2197)가 안착홈(2283)에 걸려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고정캡(228)을 아래로 가압하여 탄성체(2284)를 압축시켜 걸림부(2197)가 안착홈(2283) 상부에 이격 위치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캡(228)을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캡(228)의 고정 결합을 해제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31 내지 도 33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25)의 탈착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부(225)의 회전축 상에 절단부(2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229)가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지지부(229)에 대하여 절단부(225)가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축뭉치가 형성된다. 회전지지부(229)는 전술한 부싱부(218)의 기능을 하면서 탈착을 위해 호퍼(210)에 삽입되었을 때 연결홀(2152) 바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회전지지부(229)를 포함하는 상기 축뭉치를 호퍼(210)의 내부에서 호퍼(2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2152)에 삽입시키면, 상기 회전지지부(229)는 호퍼(210)의 하단면 아래로 돌출된다. 이때, 호퍼(210)의 하단면 아래로 돌출된 회전지지부(229)의 외주에 고정부(2295)를 고정시켜 축뭉치를 포함하는 절단부(225)를 호퍼(210)의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반대로, 고정부(2295)와 회전지지부(229)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면 축뭉치를 포함하는 절단부(225)를 호퍼(210)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고정부(2295)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출부(2296)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등 간격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세 개의 고정 돌출부(229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295)에 대응되도록, 회전지지부(229)의 외주면에는 고정부(2295)의 고정 돌출부(2296)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회전지지부(229)의 하단으로부터 상부로 개방된 경로를 제공하는 홈이 형성된 상하 가이드부(2292) 및 상하 가이드부(2292)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고정 돌출부(2296)가 삽입되는 홈인 삽입부(229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지지부(229)가 호퍼(210)의 하단면 아래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부(2295)의 고정 돌출부(2296)가 상하 가이드부(2292)의 하단 아래에 위치한 후 고정부(2295)를 상승시켜 고정 돌출부(2296)가 상하 가이드부(2292)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부(2295)를 회전시켜 고정부(2295)의 고정 돌출부(2296)가 삽입부(2293)에 위치하도록 하여 회전지지부(229)의 외주면에 고정부(2295)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고정부(2295)를 회전지지부(229)의 외주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부(2295)의 상면은 호퍼(210)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축뭉치를 포함하는 절단부(225)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다.
고정부(2295)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부(2297)가 형성되어, 파지부(2297)를 잡아 힘을 가하도록 하여 결합 또는 해제 시에 고정부(2295)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가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229)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출부(2291)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출부(2291)에 대응하도록 연결홀(2152)의 내측면에는 가이드돌출부(2291)가 삽입되는 가이드홈부(21521)가 형성될 수 있다. 축뭉치를 포함하는 절단부(225)를 연결홀(2152)을 통해 삽입 시, 가이드돌출부(2291)가 가이드홈부(21521)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축뭉치의 삽입 위치를 가이드할 수가 있다.
다음, 도 34 내지 도 36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225)의 탈착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부(225)의 회전축 상에 절단부(2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229)가 형성되어 축뭉치를 형성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210)의 하단면 아래에서 고정부(2295)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지지부(229)를 포함하는 축뭉치가 호퍼(210)의 하단면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2152)에 직접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지지부(229)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출부(2294)가 형성되고, 연결홀(2152)의 내주면에는 고정 돌출부(2296)가 삽입되는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 고정부(2295)의 고정 돌출부(2296)가 회전지지부(229)의 외주에 형성된 삽입부(229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회전지지부(229)의 외주면에 돌출된 고정 돌출부(2294)가 연결홀(215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삽입부(미도시)에 삽입되는 형태의 구성으로 회전지지부(229)를 포함하는 축뭉치를 연결홀(2152)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결홀(2152)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단턱부(21522)가 형성되고, 고정 단턱부(21522)의 이격 공간 사이로 고정 돌출부(2296)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회전지지부(229)를 포함하는 축뭉치를 회전시켜, 고정 돌출부(2296)가 고정 단턱부(21522)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축뭉치를 포함하는 절단부(225)를 호퍼(210)의 하단면에 고정시킬 수가 있다.
다시, 호퍼(21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을 하면, 호퍼(210)의 내측면에는 찍는날(226)과 상호 작용 하는 제 1 내측돌기(2155)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내측돌기(2155)는 호퍼(210)의 내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내측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측돌기(2155)는 찍는날(226)과 상호 작용을 하는데, 호퍼(210) 내부에 투입된 착즙 재료가 제 1 내측돌기(2155)에 걸려서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찍는날(226)에 의한 파쇄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만약, 제 1 내측돌기(2155)가 없다면 착즙 재료가 찍는날(226)과 함께 회전하며 절삭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가 있다. 하지만, 제 1 내측돌기(2155)에 의해 착즙 재료가 회전 방향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찍는날(226)을 회전시키면 착즙 재료를 용이하게 파쇄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내측돌기(2155)는 착즙 재료를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제 2 내측돌기(2157)와 비교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간섭방지홈(2154)에 의해 호퍼(210)의 외주면 일측은 내부로 만입되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간섭방지홈(2154)과 함께 제 1 내측돌기(2155)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는 찍는날(226)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가 있는데, 도 9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에는 양측을 관통하는 관통홈(215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홈(2156)을 통해 찍는날(226)의 상단부가 통과할 수 있다. 찍는날(226)의 상단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에 관통홈(2156)을 형성함에 따라서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와 찍는날(226)의 상단부가 상호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가 있다. 동시에, 찍는날(226)의 반경 방향 길이를 더 크게 형성할 수가 있어서 절삭 효율을 높이 수가 있다.
도 10의 (a)는 제 1 내측돌기(2155)와 찍는날(226) 사이의 위치 관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와 찍는날(226) 사이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호 이격된다. 즉, 찍는날(226)의 상단은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도 제 1 내측돌기(2155)의 하단부 양측을 관통하며 상부로 만입되는 관통홈(2156)(도 9 (b)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홈(2156)은 제 1 내측돌기(2155)와 찍는날(226)에 의해 파쇄된 재료가 원주 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당근과 같이 딱딱한 채소나 과일이 제 1 내측돌기(2155)에 끼이게 되면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관통홈(2156)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에 의해 제 1 내측돌기(2155)와 찍는날(226)에 의해 파쇄된 재료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의 (b)는 제 1 내측돌기(2155)와 찍는날(226) 사이의 위치 관계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 1 내측돌기(2155)의 내측단의 끝선에 연장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찍는날(226)의 상단 외측 끝선이 같거나 반경방향으로 더 내측에 위치한다. 이렇게 함으로 더 큰 구경의 재료를 찍는날(226)를 이용하여 더 원할하게 파쇄하여 착즙 드럼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호퍼(210)의 내측면에는 베는날(227)과 상호 작용 하는 제 2 내측돌기(2157)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 2 내측돌기(2157)는 호퍼(210)의 내측면에 베는날(227)의 끝단부가 회전하는 위치에 상응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가 있다. 제 2 내측돌기(2157)는 베는날(227)과 상호 작용하는 데, 착즙 재료가 베는날(227)의 상부에서 함께 헛도는 것을 막아 착즙 재료를 배출홀(217)로 원할하게 유입되도록 한다. 호퍼(210) 바닥면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 중 일부는 베는날(227)이 회전함에 따라 밀려서 배출홀(217)로 유입되고 다른 일부는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되는데, 제 2 내측돌기(2157)가 없다면 베는날(227)의 상부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는 배출홀(217)로 유입되지 않고 베는날(227)의 상부에서 함께 헛도는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이때, 원심력에 의해 베는날(227)의 상부 바깥으로 밀린 착즙 재료는 제 2 내측돌기(2157)와 충돌하여 베는날(227)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내측돌기(2157)는 제 1 내측돌기(2155)의 아래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내측돌기(2155)와 제 2 내측돌기(2157)의 수직 아래에 배출홀(217)을 형성하여, 제 1 내측돌기(2155)와 제 2 내측돌기(2157)를 통해 절삭되고 이탈되는 착즙 재료가 수직 아래로 떨어져 배출홀(217)을 통해 직접 착즙 드럼(28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착즙부(200)를 구성하며 호퍼(210) 아래에 위치하는 스크류(230), 즙분리 드럼(260), 착즙 드럼(28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7 내지 도 40을 참조로 스크류(230)에 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37은 도 4에 도시된 스크류의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측면도이고, 도 39는 도 37에 도시된 스크류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7 내지 도 39에 도시된 스크류의 변형예이다.
스크류(230)는 즙분리 드럼(260) 내부에 장착되어 본체(100)의 구동축(1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하며 즙분리 드럼(260)과 함께 착즙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킨다.
스크류(230)는 스크류 몸체(231)와 스크류 몸체(231)의 외측면에 나선의 형태로 돌출되는 스크류 나사산(2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스크류 몸체(231)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231)의 반경이 가장 큰 부분 부근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질 수가 있다. 이때, 상부는 호퍼(210)로부터 투입되는 착즙 재료를 추가로 절삭하는 절삭구간을 형성하며, 하부는 절삭구간의 아래에서 본격적으로 착즙 재료를 압착하여 즙을 생성하는 착즙구간을 형성하게 된다.
스크류 몸체(231)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아래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도록 하여 착즙에 의해 분리된 찌꺼기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가 있다. 하지만, 스크류 몸체(231)의 하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반경의 변화 없이 아래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데,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스크류 몸체(231)의 하부에 비해서 높이 변화에 따른 반경의 변화 폭이 크다. 스크류 몸체(231)의 최선단은 반경이 가장 작고 아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형상에 따라 크기가 큰 재료가 압착 및 분쇄에 의해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서 이송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의 직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커지므로 스크류 나사산(232)과 함께 스크류 몸체(231)가 형성하는 재료가 이송하는 공간의 크기는 재료의 이송 방향을 따라서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즉, 스크류(230)의 회전에 의해 재료는 압착 및 분쇄되어 그 크기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면서 아래 방향으로 형성된 스크류 나사산(232)을 따라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이송 공간을 따라 스크류(230) 아래로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스크류 나사산(232)은 스크류 몸체(231)의 외주면에 나선의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데, 이 스크류 나사산(232)에 의해 스크류(230)와 즙분리 드럼(260) 사이의 좁은 틈새로 착즙 대상이 압착되며 아래로 이송을 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 나사산(232)은 즙분리 드럼(260)과 접촉 또는 근접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는 위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므로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로 갈수록 스크류 나사산(232)의 돌출 높이는 커지게 형성된다.
스크류 나사산(232)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복수의 스크류 나사산(2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크류 나사산(제 1 스크류 나사산(232-1))이 스크류 몸체(231)의 상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스크류 몸체(231)의 상단에서 외날(2321)을 형성하는 외날 스크류(230)를 사용할 수 있다. 스크류 몸체(231)의 상단으로 두 개의 스크류 나사산이 대칭으로 연장 형성되는 양날 스크류를 사용하는 경우 부하가 많이 걸리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외날 스크류(230)를 사용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고안에 있어서 스크류 몸체(231) 상단의 외날(2321)의 반경은 스크류 몸체(231)의 최장 반경보다 더 크게 바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 몸체(231)의 크기를 기존과 같이 유지한 상태에서 외날(2321)의 반경 크기를 스크류 몸체(231)의 최장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에서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이는, 상부의 호퍼(210)에서 소분된 착즙 재료를 스크류(230) 내부로 더 원활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착즙 구간인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나선으로 형성되는 제 2 스크류 나사산(232-2)이 형성될 수가 있으며, 스크류 몸체(231)의 하부의 제 1 스크류 나사산(232-1)과 제 2 스크류 나사산(232-2) 사이에는 또 다른 복수의 제 3 스크류 나사산(232-3)이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스크류 몸체(231)에 형성되는 이웃하는 스크류 나사산(232) 사이의 폭은 스크류 몸체(231)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스크류 몸체(231)의 하부에서는 다수 개의 스크류 나사산(232)에 의해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스크류(230)의 상부인 절삭구간에서는 크기가 큰 착즙 대상을 분쇄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고, 스크류(230)의 하부인 착즙구간에서는 스크류(230)의 회전에 의한 분쇄 및 압착으로 착즙 기능을 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몸체(231)의 하단부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찌꺼기 안내턱(235)이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가 있다. 찌꺼기 안내턱(235)은 스크류(230)가 회전할 때 착즙에 의해 분리되어 즙분리 드럼(260)의 아래로 이송된 찌꺼기들을 하측으로 쓸어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스크류(230) 하단부 반경 외주면에 형성된 찌꺼기 안내턱(235)에 의해 즙분리 드럼(260)의 아래에 걸린 찌꺼기를 원활하게 제거하여 착즙 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스크류 몸체(231) 상단 위로 돌출된 스크류(230)의 상부 회전축(233)은 각형의 축으로 형성되어 동력전달부(219)의 각형의 축공(2192)에 결합되어 절단부(225)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스크류 몸체(231)의 중공으로 비워진 내부에서 아래로 돌출된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은 각형의 축공으로 형성되어 본체(100)의 상부에 돌출된 각형의 구동축(130)에 삽입되어 모터(100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스크류(230) 상부 회전축(233)과 동력전달부(219) 사이의 결합구조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동축(130)을 n각의 각형 축으로 형성하고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을 2n 각의 각형 축공으로 형성하여 두 부재 사이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동축(130)을 6각의 각형 축으로 형성하는 경우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은 12각의 각형 축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스크류 몸체(231) 상단에는 파지부(236)가 형성될 수가 있다. 파지부(236)는 스크류 몸체(231) 상단에서 외날(2321)과 소정의 수평 방향 각도를 가지며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세척 등을 이유로 착즙 드럼(280) 내에 장착된 스크류(230)를 사용자가 외날(2321)과 함께 잡아서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0에서는 전술한 스크류(23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절삭구간과 착즙구간의 사이, 스크류(230) 상부와 하부의 경계 지점에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띠(belt) 형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스크류 몸체(231)로부터 소정의 두께로 돌출된 과투입 방지리브(239)가 형성된다.
과투입 방지리브(239)는 절삭구간에 있는 착즙 재료가 착즙구간으로 한꺼번에 많은 양이 공급되는 경우 착즙구간에서 스크류(230)의 압력으로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과투입 방지리브(239)에 의해 스크류(230)와 즙분리 드럼(26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따라서 사이의 공간으로 한꺼번에 많은 양의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과투입 방지리브(239)를 제외한 나머지 스크류(230)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때문에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41 내지 도 43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즙분리 드럼(260)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1과 도 42는 도 4에 도시된 즙분리 드럼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3은 즙분리 드럼의 일부 절개된 결합사시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즙분리 드럼(260)은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모듈(240) 및 외측 모듈(250)은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 모듈(24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모듈(240)은 복수 개의 내측 판부(241)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내측 판부(241)에 의하여 복수 개의 슬릿(242)이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여기서 판부(241)는 고안의 설명을 위하여 편의상 명명한 것으로서, 원통형 모듈에서 슬릿(242)이 형성된 구멍 부분과 슬릿(242)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으로 구분할 때, 슬릿(242)이 형성되지 않은 판 부분을 "판부(241)"라고 정의한다.
이때, 상기 슬릿(242)은 상부 측의 슬릿(242)의 폭이 하부 측의 슬릿(24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슬릿(242)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질 수 있다.
또한, 내측 모듈(240)의 내주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는 제 1 리브턱(244)이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브턱(244)은 스크류(23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나사산(232)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재료를 압착 또는 분쇄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 1 리브턱(244)이 없다면 착즙 대상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정체되거나, 압착력 또는 분쇄력이 낮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리브턱(244)을 내측모듈의 슬릿(242)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모듈(240)의 내측면에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는 제 2 리브턱(243)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리브턱(243)은 즙분리 드럼(260)의 내부로 투입되는 착즙 재료를 하부로 이송하고 착즙 대상을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리브턱(243)은 내측 모듈(24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착즙 대상을 즙분리 드럼(260) 내부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턱(243)은 스크류(230)의 위치를 조정하고 착즙 공간을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리브턱(243)의 돌출 높이는 내측 모듈(24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측 모듈(24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리브턱(243)은 내측 모듈(24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그 중간 부위에 스크류(230)를 향해 돌출되어 단차진 단턱부(24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2431)는 스크류(230)의 형상과 스크류 나사산(232)의 설계조건에 따라 그 위치나 개수 또는 돌출되는 높이를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리브턱(243)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설계 조건 및 착즙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 2 리브턱(243)의 형성 방향은 내측 모듈(240)의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 1 리브턱(244)은 내측 판부(241)의 하부 내측면(보다 자세히는 슬릿(242)의 일측)에 형성되고, 제 2 리브턱(243)은 내측 판부(241)의 내측면 상부에서 하부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내측 모듈(240)의 상단부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커지도록 확장되는 확장부(245)가 형성된다. 나팔 형상으로 내측 모듈(240)의 상단부가 확장되기 때문에 확장부(245) 내측에 스크류(230) 상단의 외날(2321)이 간섭을 받지 않고 회전할 수가 있다.
또한, 확장부(245)의 일측에는 스크류(23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내측을 향하는 곡면부인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가 형성될 수 있다.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가 없다면 착즙 재료가 아래로 유입되지 않고 확장부(245) 상에서 외날(2321)과 함께 헛도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착즙 재료가 외날(2321)과 함께 회전할 때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와의 접촉으로 외날(2321)로부터 이탈하여 아래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나아가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함에 따라서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에 재료가 끼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의 상면은 외날(2321)의 저면과 간섭을 받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때,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는 제 2 리브턱(243)의 상단부에 제 2 리브턱(24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리브턱(243)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의 적어도 하나는 호퍼(210)의 배출홀(217)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홀(217) 아래에 위치하는 재료 유입 가이드부(246)는 단단한 착즙 재료 또는 상대적으로 크게 분쇄된 착즙 재료가 호퍼(210) 내부에 정체되도록 하여 절단부(225)에 의해 충분히 절삭되도록 한다.
내측 모듈(240)의 하단면에는 소정의 개수로 돌출된 끼움 돌출부(247)가 형성되는데,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 사이를 결합시킬 때 끼움 돌출부(247)는 외측 모듈(25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 홈부(258)에 삽입되어, 두 부재(240, 250) 사이를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외측 모듈(2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측 모듈(250)은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서 상하측이 개방된 외측 판부(251)와 외측 판부(251)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리브(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측 판부(251)는 내측 모듈(240)을 내부로 수용하여 외측 모듈(250)과 내측 모듈(240) 사이는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외측 모듈(250)은 내측 모듈(240)과 결합 시 내측 모듈(240)을 내부로 수용하여 둘러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외측 모듈(250)은 내측 모듈(240)을 감싸 지지할 수 있다.
외측 모듈(250)과 내측 모듈(240)이 상하 이동하며 결착될 때, 상기 리브(252)는 내측 모듈(240)의 슬릿(242) 아래에서 슬릿(24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슬릿(242)과 리브(252)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는데, 상기 틈을 통해 즙분리 드럼(260) 내부에서 생성된 즙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모듈(240)의 슬릿(242)과 외측 모듈(250)의 리브(252)가 결합하여 슬릿(242)과 리브(252) 사이의 틈을 통해 즙을 배출하는 유출공을 형성하므로,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을 분리시켜 세척이 아주 용이하다.
이때, 리브(252)는 전술한 슬릿(24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가 있는데, 리브(252)의 폭은 상측으로 갈수록 더 좁아지도록, 상부측의 리브(252)의 폭이 하부측의 리브(252)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리브(252)와 슬릿(242)의 형상에 의해 외측 모듈(250)과 내측 모듈(240)을 상하 이동시키며 결합시킬 때, 상대적으로 폭이 큰 슬릿(242)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리브(252)의 상부를 삽입시켜 외측 모듈(250)과 내측 모듈(240)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판부(251)에는 하단부 쪽에 복수 개의 즙 배출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즙분리 드럼(260) 내부에 형성된 즙은 내측 모듈(240)의 슬릿(242)과 외측 모듈(250)의 리브(252)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인 슬릿공과 외측 모듈(250)에 형성된 즙 배출홀(253)을 통과하여 즙분리 드럼(260)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다.
이때, 슬릿(242)과 리브(252) 사이에 형성되는 틈은 반경 방향으로는 틈의 폭이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형성하여 즙의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릿(242)의 폭이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경우, 반경 방향으로 틈의 크기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틈은 길이 방향으로는 아래로 갈수록 틈의 폭이 작도록 하여, 아래로 갈수록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어 생성되는 찌꺼기가 틈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스크류(230)에 의한 강한 압력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모듈(250)의 상단에는 소정의 개수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드럼 고정부(259)가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착즙 드럼(280) 상단에 형성된 드럼 고정홈(2802)에 삽입시켜 착즙 드럼(280) 내에서 즙분리 드럼(26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외측 모듈(250)의 하단면에는 소정의 개수로 파여진 끼움 홈부(258)가 형성되는데,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 사이를 결합시킬 때 끼움 돌출부(247)는 외측 모듈(25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 홈부(258)에 삽입되어,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 사이를 결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의 결합에 의해 유출공을 형성하는 즙분리 드럼(260)을 사용하나, 기존에 널리 알려진 드럼 면에 다수의 원형의 망공이 형성된 망 드럼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 모듈(250)에 리브(252)가 형성되고 내측 모듈(240)에 슬릿(242)을 형성하여 내측 모듈(240)과 외측 모듈(250)이 결합할 때 즙을 배출시키는 유출공을 형성하도록 하나, 별도 외측 모듈(250)을 형성하지 않고 착즙 드럼(280)의 내측면에 전술한 리브(252)를 형성하고 내측 모듈(240)을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즙을 배출시키는 유출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4 내지 도 48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 드럼(280)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4는 도 4에 도시된 착즙 드럼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45는 도 44에서 즙마개부가 열린 모습을 도시하는 착즙 드럼의 사시도이고, 도 46은 도 45에 도시된 즙마개부의 배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4에 도시된 착즙 드럼의 저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의 사시도이다.
착즙 드럼(280)은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의 용기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즙분리 드럼(260) 및 스크류(230)를 수용하고, 상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210)가 체결될 수가 있다.
착즙 드럼(280)의 저면 중앙에는 관통공(2805)이 형성된 방수원통(281)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805)을 통해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이 삽입되어 구동축(130)과 결합될 수가 있다. 상기 방수원통(281)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관통공(2805)을 통하여 즙이 구동축(130)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2805) 가장자리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 패킹링(2811)이 삽입되어, 즙이 구동축(1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방수원통(281) 상단부의 상측면과 하측면 사이에 고정되어 상측면과 하측면을 함께 패킹하는 이중 패킹이 사용될 수 있다.
착즙 드럼(280)의 외측 하단부에는 즙이 배출되는 즙 배출구(285)와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 배출구(284)가 각각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가 있다.
착즙 드럼(280) 상부의 내측면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결착돌기(2801)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호퍼 하우징(215) 하단부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결합돌기(2174)를 결착돌기(2801) 사이에 위치시키고, 호퍼(210)을 아래로 살짝 가압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결착돌기(2801)에 아래에 결합돌기(2174)를 위치시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결합시킬 수가 있다. 이때 결착돌기(2801)에는 체결 방향 단부에 회전 방지턱(2803)이 있어, 결합돌기(217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여 두 부재(210, 280) 사이의 결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웃하는 두 결착돌기(2801) 사이의 공간에 호퍼(210)의 결합돌기(2174)를 위치시켰을 때 결합돌기(2174)가 좌우로 충분히 움직일 수 있도록 두 결착돌기(2801) 사이의 공간이 넓게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이 n 각형의 각형 축으로 구성되고 동력전달부(219)의 축공이 2n 각형의 각형 축공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호퍼(210)를 잡고 회전시키며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에 동력전달부(219)를 삽입시키기 위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회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착즙 드럼(280)의 저면 외측에는 고정홈(2804)이 형성되어 구동축(130)이 돌출 형성되는 본체(100) 상단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2)와 결합하여 본체(100) 상부에 착즙 드럼(28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착즙 드럼(280)의 바닥면에는 착즙 드럼(280)의 내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형으로 돌출된 제 1 원형돌기(28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원형돌기(282)의 내측면에 즙분리 드럼(260)의 외측 모듈(250)이 안착된다. 이때, 착즙 드럼(280)의 내측면과 제 1 원형돌기(282) 사이의 원형의 바닥면 상에 즙분리 드럼(260)으로부터 분리된 즙이 저장되어 즙배출구(285)를 통해 배출될 수가 있다. 상기 원형의 바닥면은 즙배출구(285)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즙의 자중에 의해 즙배출구(285)를 향하여 유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즙 드럼(280)의 바닥면 방수원통(281) 주위에 원형으로 돌출된 제 2 원형돌기(283)가 형성된다. 제 2 원형돌기(283)와 방수원통(281) 사이의 공간에 스크류(230)의 내부링(237)이 안착되고 제 2 원형돌기(283) 바깥쪽 측면에 외부링(238)이 안착되어 스크류(2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외부링(238)의 내측면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인서트링(2381)을 형성하여 외부링(238)과 제 2 원형돌기(283)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제 2 원형돌기(283)의 바깥쪽 바닥면 일측에는 즙분리 드럼(260) 내에서 분리된 찌꺼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찌꺼기 배출공(2806)이 형성될 수 있다. 찌꺼기 배출공(2806)은 찌꺼기 배출구(284)와 연결되어 즙분리 드럼(260) 내부의 찌꺼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다.
찌꺼기 배출공(2806)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찌꺼기패킹(287)이 형성될 수가 있다. 착즙 드럼(280) 저면에 찌꺼기패킹(287)은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자유 회동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 찌꺼기패킹(287)은 즙분리 드럼(260) 내부에서 외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찌꺼기 배출공(2806)을 폐쇄하고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탄성 변형되어 찌꺼기 배출공(2806)을 개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즙분리 드럼(260) 내부의 찌꺼기는 착즙 드럼(280)의 바닥면에 도달하여 찌꺼기패킹(287)을 밀어서 찌꺼기 배출구(28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찌꺼기 배출구(284)가 착즙 드럼(280)의 일측에 고정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찌꺼기패킹(287)이 고정되는 찌꺼기 배출공(2806) 및 찌꺼기 배출구(284)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부분은 착즙 드럼(280) 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찌꺼기 배출구(284)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2842)가 착즙 드럼(280)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2842)의 상면에는 찌꺼기 배출공(2806)을 둘러싸도록 패킹링(2844)이 장착되어 즙 또는 찌꺼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2842)의 끝단부 일측에는 'ㄷ'자 형태의 고정링(2843)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2842)를 회동시켜 착즙 드럼(280)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찌꺼기 배출구(284)의 상단부를 형성하며 착즙 드럼(280)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2849)에 고정링(2843)을 회동시켜 고정시키면 찌꺼기 배출공(2806)을 거쳐 찌꺼기가 배출되는 찌꺼기 배출구(284)를 형성하게 된다.
반대로, 고정링(2843)을 회동시켜 결합을 해제시키고,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2842)를 아래로 회동시키면 찌꺼기패킹(287)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찌꺼기패킹(287) 및 찌꺼기 배출구(284) 내측면을 세척할 수 있다.
즙배출구(285)의 단부에는 즙마개부(28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즙배출구(28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즙마개부(286)을 회동시켜 즙배출구(285)를 개폐시킬 수가 있다. 즙마개부(286)의 내측에는 즙배출구(285) 내부에서 즙이 유출되지 않도록 패킹(2861)이 결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9는 도 2에 도시된 본체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0은 도 3에 도시된 개폐 센싱부의 사시도이고, 도 51 내지 도 56은 각각 호퍼의 풀림 방지 구조의 다른 변형례들을 도시하고, 도 57은 도 49에 도시된 유동 모터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8은 유동 모터축의 동작을 설명하는 유동 모터축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본체(100)는 하부 본체부(120) 및 상부 본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본체부(120)는 바닥면으로부터 지지되며, 하부 본체부(120)의 상면에는 모터(1001)에 의해 감속하여 회전하는 구동축(13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130)에 착즙부(200)가 결합될 때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이 삽입되어 구동축(130)의 회전력을 스크류(230)에 전달시킬 수 있다.
하부 본체부(120)의 하단부 일측에는 전원 케이블(102)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하부 본체부(120) 내부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구동되는 모터(1001) 및 복수의 기어로 형성되어 모터(100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구동축(130)에 전달하는 감속부(10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본체부(110)는 하부 본체부(120)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착즙부(200)가 하부 본체부(120) 상에 결합될 때 착즙부(200)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부 본체부(110)의 외측면에는 착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버튼(104)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길게 돌출되는 회전방지키(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키(112)에 대응되도록 호퍼(210)의 외측면에는 회전방지키(112)가 삽입되는 회전방지키홈(2159)이 형성된다. 회전방지키홈(2159)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간섭방지홈(2154)의 아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착즙부(200)가 본체(100)에 결합될 때 회전방지키홈(2159)에 회전방지키(11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키홈(2159)과 회전방지키(112)의 결합 구조에 의해 호퍼(210)의 원주방향 위치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절단부(225)에 착즙 재료가 끼어서 부하가 걸리는 경우 호퍼(210)가 착즙 드럼(280)과의 체결 방향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아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 구조에 의해 호퍼(210)의 회전을 막아서 이를 방지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착즙 드럼(280) 만이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호퍼(210)를 착즙 드럼(280) 상부에 결착시킬 수가 없고, 착즙 드럼(280)에 호퍼(210)가 결착된 상태에서만 착즙부(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 사이는 결합돌기(2174)와 결착돌기(2801) 사이의 결합으로 고정되는데, 착즙 드럼(280) 만이 본체(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결합돌기(2174)와 결착돌기(2801)를 회전시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합시키고자 하면 회전방지키홈(2159)과 회전방지키(112)의 위치가 맞지 않아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회전방지키홈(2159)과 회전방지키(112)의 위치를 맞추어 호퍼(210)를 상부 본체부(110)에 고정시키는 경우 결합돌기(2174)와 결착돌기(2801)를 서로 맞추어 결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결합돌기(2174)와 결착돌기(2801)가 위치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착즙 드럼(280) 상부에 호퍼(21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만 착즙부(2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에 착즙부(2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본체부(110)가 형성되고, 상부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키(112) 및 호퍼(210)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키홈(2159)의 구성에 의해, 착즙 중 호퍼(210)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 사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본체(100)에 착즙부(200)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상부 본체부(110)가 없는 경우에는 착즙 중 호퍼(2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 방지부의 별도 구성이 필요하다. 이하, 도 51 내지 도 56을 참조로, 풀림 방지부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착즙 드럼(280)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는 이동 결착부(401)가 형성될 수 있다. 착즙 드럼(280)에는 스크류(230)가 내부에 장착되는 공간 외부에 별도로 이동 결착부(40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0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결착부(401)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는 착즙 드럼(28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가이드홀(406)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착즙 드럼(280) 위로 돌출되는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가 호퍼(2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착홈(402)에 삽입되어, 호퍼(210)에 역방향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호퍼(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축(130)이 돌출 형성되는 본체(100)의 상단면에는 상부로 돌출된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에 대응되도록 착즙 드럼(280)의 저면에는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가 삽입되는 삽입홈(40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홈(403)의 상부에는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가이드홀(405)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결착부(40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는 하부 가이드홀(405)에 삽입되어 삽입홈(403) 내에 아래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01)의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을 하면, 도 5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406)의 축 방향 위치와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가이드홀(406)의 축 방향 위치가 서로 달라서, 이동 결착부(401)는 대체로 긴 막대 형상을 가지되 중간부에 절곡 또는 굴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 외측면과 하단부 외측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단턱(4011, 4012)이 형성되어, 이동 결착부(401)가 위아래로 이동하는 위치를 제한시킬 수 있다.
이동 결착부(401)가 위로 이동할 때에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에 형성된 단턱(4011)은 상부 가이드홀(406)의 하단면과 상기 단턱(4011) 사이에 개제되는 스프링(407)과 접촉하도록 하여, 이동 결착부(401)의 상부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결착부(401)가 하부로 이동할 때에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에 형성된 단턱(4012)은 하부 가이드홀(406)의 상단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이동 결착부(401)의 하부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결착부(401) 하단부에 형성되는 단턱(4012)은 이동 결착부(401)의 절곡 부위와 함께 형성된다.
또한, 하부 가이드홀(406)에 삽입되는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 아래에 이동 결착부(401)의 직경을 변화시켜 단턱(4013)을 형성하고, 하부 가이드홀(406)의 하부 내측면에도 상기 단턱(4013)에 대응하도록 내부로 돌출된 단턱(4051)을 형성하여, 두 단턱(4013, 4051) 사이의 접촉으로 이동 결착부(401)의 하부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도 51의 (a)에서와 같이 본체(100)에 착즙부(200)를 정위치에 결합시킬 때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는 삽입홈(403)에 삽입되는데, 이때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가 삽입홈(403) 내에 위치하는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과 접촉하여 이동 결착부(401)를 밀어 올려 이동 결착부(401)는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가이드홀(406) 내에 삽입되어 있던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는 착즙 드럼(280) 위로 돌출되어 호퍼(210)의 저면에 형성된 결착홈(402)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도 51의 (b)에서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착즙부(200)를 분리시키면 이동 가이드 돌출부(404)와 이동 결착부(40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어 이동 결착부(401)는 상기 스프링(407)에 의한 탄성력으로 다시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 가이드홀(405) 내에 삽입되어 있던 이동 결착부(401)의 하단부는 다시 삽입홈(403) 내에 위치하게 되고, 착즙 드럼(280) 위로 돌출된 이동 결착부(401)의 상단부는 다시 상부 가이드홀(406)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결착부(401)에 의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고, 호퍼(210) 또는 착즙 드럼(280)을 회전시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분리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52를 참고로 풀림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210)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16)의 안쪽 측면에 손잡이부(216)를 향하여 탄성 이동을 하는 탄성 결착부(411)가 형성된다. 즉, 탄성 결착부(411)와 손잡이부(216) 사이에 스프링(412)이 개제되어 버튼식으로 탄성 결착부(411)는 손잡이부(216)를 향하여 탄성 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탄성 결착부(411)의 하단부는 착즙 드럼(280)의 외측면을 향하여 굴곡되며, 탄성 결착부(411)의 하단부는 착즙 드럼(280)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착홈(413)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2의 (a)에서와 같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가 정위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탄성 결착부(411)는 착즙부(200)를 향하여 탄성 이동을 할 수 있고, 이때 탄성 결착부(411)의 하단부가 상기 결착홈(413)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 52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탄성 결착부(411)를 파지하여 누르면 탄성 결착부(411)가 손잡이부(216)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412)에는 탄성력이 저장될 수 있다. 탄성 결착부(411)가 손잡이부(216)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서 탄성 결착부(411)의 하단부와 결착홈(41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탄성 결착부(411)에 의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고, 호퍼(210) 또는 착즙 드럼(280)을 회전시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분리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53을 참고로 풀림 방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210)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는 이동 결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호퍼(210)에는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공간 외부에 별도로 이동 결착부(42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2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결착부(42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결착부(421)의 하단부는 호퍼(2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홀(425)을 통해 호퍼(210)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호퍼(210) 아래로 돌출되는 이동 결착부(421)의 하단부가 착즙 드럼(28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착홈(424)에 삽입되어, 호퍼(210)에 역방향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호퍼(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퍼(210)의 상부에는 이동 결착부(42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4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이동 결착부(42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426)의 축 방향 위치와 이동 결착부(42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하부 가이드홀(426)의 축 방향 위치가 달라서, 이동 결착부(421)는 대체로 긴 막대 형상을 가지되 중간부에 절곡 또는 굴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 결착부(421)는 스프링(42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21)의 중간부에서 아래로 길게 돌출된 스프링 삽입부(4211)가 형성되고, 호퍼(210)의 하우징 내벽과 스프링 삽입부(4211) 사이에 스프링(422)이 개제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2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 삽입부(4211)의 하단이 호퍼(210)의 하우징 내벽과 접촉하도록 하여 이동 결착부(421)의 하부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 결착부(421)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어 압축된 스프링(422)의 탄성력으로 이동 결착부(421)가 위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결착부(421)에 고정되는 스프링(422)에 의해 이동 결착부(421)의 상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결착부(421)는 뚜껑의 개폐를 센싱하는 구성의 일 예로 사용될 수도 있다.
호퍼(2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호퍼(210)의 상면을 덮는 뚜껑부(220)의 저면에는 아래로 돌출된 탄성이동 가이드 돌출부(4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3의 (a)에서와 같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결합 시킨 후에 뚜껑부(220)를 닫으면 탄성이동 가이드 돌출부(423)가 이동 결착부(421)의 상단과 접촉하여 이동 결착부(421)를 아래로 밀어서 이동 결착부(421)는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 가이드홀(425) 내에 위치한 이동 결착부(421)의 하단부는 호퍼(210) 하부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착즙 드럼(280)의 상면에 형성된 결착홈(424)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도 53의 (b)에서와 같이 뚜껑부(220)를 열면 탄성이동 가이드 돌출부(423)에 의한 가압력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스프링(422)에 의한 탄성력으로 이동 결착부(421)는 다시 위로 이동하여 이동 결착부(421)의 하단부는 다시 하부 가이드홀(42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결착부(421)에 의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고, 호퍼(210) 또는 착즙 드럼(280)을 회전시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분리시킬 수가 있다.
다음, 도 54를 참고로 풀림 방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210) 및 착즙 드럼(280)의 외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432, 433)가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딩 결착부(431)는 상기 가이드(432, 433)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가이드(432, 433)는 호퍼(210)의 하단부와 착즙 드럼(280)의 상단부에 각각 양측에 평행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이 결합되었을 때, 호퍼(210)에 형성된 가이드(432)와 착즙 드럼(280)에 형성된 가이드(43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슬라이딩 결착부(431)는 상기 가이드(432, 433)를 따라 상하 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432, 433)와 슬라이딩 결합을 한다. 슬라이딩 결착부(431)의 상하 길이는 호퍼(2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432)와 착즙 드럼(28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가이드(433)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4의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슬라이딩 결착부(431)의 후면에는 상기 가이드(431, 432)와 다양한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을 할 수 있다.
슬라이딩 결착부(43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고, 슬라이딩 결착부(431)와 가이드(432, 433) 사이의 접촉에 의해 호퍼(210)와 착즙 드럼(280)의 원주 방향 이동을 제한시킬 수만 있다면, 슬라이딩 결착부(431) 및 가이드(432, 433)의 구성은 도시된 구성 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4의 (a)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결착부(431)를 가이드(432, 433)를 따라 아래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결착부(431)가 호퍼(210) 및 착즙 드럼(280)에 형성된 가이드(432, 433)와 각각 결착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도 54의 (b)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결착부(431)를 가이드(432, 433)를 따라 위로 이동시키면, 슬라이딩 결착부(431)와 착즙 드럼(280)에 형성된 가이드(433)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어 슬라이딩 결착부(431)에 의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될 수가 있다.
다음, 도 55를 참고로 풀림 방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210)의 외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 결착부(441)가 형성되고, 착즙 드럼(280)에는 회전 결착부(441)의 반대쪽 단부가 삽입되는 결착홈(442)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결착부(441)는 호퍼(210)의 하단부 외측면에 수평 방향을 회전축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회전 결착부(441)는 도 55의 (a)에서와 같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을 시켜 결착홈(442)에 체결되었을 때, 힌지 결합 부위로부터 아래로 연장되어 착즙 드럼(280)을 향하여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 결착부(441)의 끝단부는 결착홈(4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회전 결착부(441)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결착부(441)의 중간 아래 부위에는 반경 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걸림 돌출부(4411)가 형성될 수 있다.
결착홈(442)은 착즙 드럼(280)의 상단부에 회전 결착부(441)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홈으로 형성된다.
도 55의 (a)에서와 같이 회전 결착부(441)를 착즙 드럼(280)을 향하여 회전시키면, 회전 결착부(441)의 반대쪽 단부가 결착홈(442)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도 55의 (b)에서와 같이 회전 결착부(441)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회전 결착부(441)의 단부와 결착홈(442)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어 회전 결착부(441)에 의한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 사이의 결착이 해제될 수가 있다.
도면에서는 회전 결착부(441)가 호퍼(210)에 힌지 결합되고 결착홈(442)이 착즙 드럼(280)에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나, 반대로 착즙 드럼(280)에 회전 결착부가 힌지 결합되고 호퍼(210)에 결착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 도 56을 참고로 풀림 방지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3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호퍼(210) 내에서 상하 이동을 하는 이동 결착부(451)가 형성될 수 있다. 호퍼(210)에는 착즙 재료가 투입되는 공간 외부에 별도로 이동 결착부(451)가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결착부(451)는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 결착부(451)가 아래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는 호퍼(2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가이드홀(455)을 통해 호퍼(210)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호퍼(210) 아래로 돌출되는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가 착즙 드럼(28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착홈(453)에 삽입되어, 호퍼(210)에 역방향의 힘이 인가되더라도 호퍼(2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호퍼(210) 내 이동 결착부(451)의 상부에는 이동 결착부(451)의 상단과 원주 방향 외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이동 결착부(451)를 상하 이동시키는 캠면을 포함하는 캠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캠부(452)가 회전함에 따라서 캠부(452)의 회전축으로부터 이동 결착부(451)와 접촉하는 캠면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가 달라져 이동 결착부(451)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동 결착부(451)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하여 캠부(452)가 회전하더라도 이동 결착부(451)의 상단이 캠면과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캠부(452)의 회전축으로부터 호퍼(210) 바깥으로 연장되는 회전 노브(4521)가 형성될 수가 있는데, 사용자가 회전 노브(4521)를 잡고 회전시키면 캠부(452)가 회전하여 이동 결착부(451)와 접촉하는 캠면의 위치가 바뀌어서 이동 결착부(451)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한, 착즙 드럼(280)의 상면에는 호퍼(210) 아래로 돌출된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결착홈(45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6의 (a)에서와 같이 캠부(452)의 회전 노브(4521)를 잡고 소정의 위치로 회전시켜 이동 결착부(451)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이때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는 호퍼(210) 하단 아래로 돌출되어 착즙 드럼(280)에 형성된 결착홈(453)에 삽입되어 착즙 드럼(280)과 호퍼(210)를 결착시킬 수가 있다.
도 56의 (b)에서와 같이 캠부(452)의 회전 노브(4521)를 잡고 또 다른 위치로 회전시키면, 이동 결착부(451)의 상단과 접촉하는 캠면의 위치가 바뀌어 탄성력에 의해 이동 결착부(451)를 위로 이동시킬 수가 있고,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와 결착홈(453) 사이의 결착이 해제되고 이동 결착부(451)의 하단부는 호퍼(2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56에서는 캠부(452)와 이동 결착부(451)가 호퍼(210) 내에 형성되고 결착홈(453)이 착즙 드럼(280)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캠부와 이동 결착부가 착즙 드럼(280) 내에 형성되고 결착홈이 호퍼(210)에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도 49를 참조로 설명을 하면, 상부 본체부(110)의 저면 일측에는 찌꺼기 배출구(284)와 연통되는 찌꺼기 배출 연결홀(113)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 본체부(120)의 일측에는 찌꺼기 컵(125)이 분리 장착될 수 있다. 하부 본체부(120)에 찌꺼기 컵(125)이 결합되었을 때 찌꺼기 배출 연결홀(113)에 단부가 삽입되는 찌꺼기 배출구(284)를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저장할 수 있다.
상부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뚜껑부(220)의 개폐를 감지하는 개폐 센싱부(115)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도 5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개폐 센싱부(115)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동바(1151) 단부에 제 2 자석(1102)이 고정된다. 상기 제 2 자석(1102)은 전술한 뚜껑부(220)의 자석 배치부(221)에 고정되는 제 1 자석(2211)과 자력을 형성하게 된다. 뚜껑부(220)가 개폐될 때 자석 배치부(221)가 회동함에 따라서 제 1 자석(2211)과 제 2 자석(1102) 사이의 자력(제 1 자석(2211)과 제 2 자석(1102)의 극성에 따라서 인력 또는 척력이 발생함)이 변하게 된다. 자력이 변함에 따라서 제 2 자석(1102)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자 2 자석(1102)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회동바(1151)가 움직여서 개폐 센싱부(115) 내의 센서부가 뚜껑부(220)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뚜껑부(220)가 열리는 경우 모터(1001)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스크류(23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하부 본체부(120)의 상면에는 구동축(13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130)에 직접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을 결합시킬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구동축(130)과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 사이를 자동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유동 구동축을 사용한다. 이하, 유동 구동축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0) 외부로 돌출되는 구동축(130)에 구동전달부(310)가 삽입 결합된다. 이때, 구동축(130)은 각형 축으로 형성되고 구동전달부(310)는 각형 축공으로 형성되어 상호 정합시킴으로써 구동축(130)에 구동전달부(310)를 결합시킬 수가 있고, 나아가 구동전달부(310)는 구동축(130)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동전달부(310)의 형상을 보다 자세히 설명을 하면 구동전달부(310)는 각형 축공으로 형성되어 각형의 구동축(130)과 결합하는 모터축 결합부(311) 및 모터축 결합부(311)의 상부에서 각형 축으로 형성된 스크류 결합부(312)를 포함하며 구성된다. 스크류 결합부(312)는 각형 축공으로 형성되는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과 정합한다.
이때, 구동전달부(310)와 구동축(130) 사이에 코일 스프링(315)이 배치되어 구동전달부(310)는 구동축(130) 상에서 축 방향으로 탄성 이동할 수가 있다. 보다 자세히는 구동축(130)의 상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스프링삽입축(317)이 형성되고, 스프링삽입축(317)에는 코일 스프링(315)이 삽입될 수가 있다. 이때, 스프링삽입축(317)의 상단부에는 축 반경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머리부(318)가 더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스프링삽입축(317)은 구동축(13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못(319)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또한, 모터축 결합부(311)의 각형 축공 상단에는 축 중심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단차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공(313)에는 스프링삽입축(317)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가 있다. 이때, 단차공(313)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는 구동전달부(310)가 축 하방으로 이동할 때 구동축(130)의 상단과 접촉하도록 하여 구동전달부(310)의 하방 리미트를 구성한다.
나아가, 모터축 결합부(311)의 하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된 걸림홈(3111)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구동축(130)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 돌출된 걸림턱(132)을 형성하여, 구동전달부(310)가 축 하방으로 이동할 때 걸림홈이 걸림턱(132)에 접촉하도록 하여 구동전달부(310)의 하방 리미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차공(313)의 중간에는 내측으로 축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돌기부(314)가 형성될 수가 있다. 상기 내측돌기부(314)는 구동전달부(310)가 축 하방으로 이동할 때 코일 스프링(315)의 상단과 접촉하여 코일 스프링(315)을 압축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315)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구동전달부(310)가 축 상방으로 이동할 때 내측돌기부(314)는 머리부(318)와 접촉하는데, 이때 머리부(318)는 구동전달부(310)의 상방 리미트를 형성한다.
또한, 구동전달부(310)의 상단에는 개구를 막는 마개부(3101)가 형성될 수가 있다. 구동전달부(310)의 상단의 개구를 통해 나사못(319)이 삽입되어 구동축(130)에 결합되는데, 구동전달부(310)의 상단부에 단차를 형성하고 단차에 마개부(3101)를 안착시켜 구동전달부(310) 상단의 개구를 차폐시킬 수가 있다. 이때, 마개부(3101)는 나사못(319)의 머리부(318)와 스크류 결합부(312)의 내측면 사이로 즙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로 구동전달부(310)를 가압하는 힘이 없을 때에는 도 58의 (a)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코일 스프링(315)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전달부(310)는 상방 리미트의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구동전달부(31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할 때에는 구동전달부(310)는 축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 58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방 리미트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315)은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가 저장되고, 구동전달부(310) 상부의 가압을 해제하였을 때 코일 스프링(315)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구동전달부(310)는 다시 상방 리미트의 위치로 탄성 이동하게 된다.
착즙부(200)를 본체(100)에 안착시킬 때, 스크류(230) 하부 회전축(234)이 구동전달부(310)의 스크류 결합부(312)와 정합하는 경우에는, 구동축(130)의 구동력을 구동전달부(310)에 의해 스크류(23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반면에,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이 구동전달부(310)의 스크류 결합부(312)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크류(230)가 구동전달부(310)를 가압함으로써, 구동전달부(310)가 축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모터(1001)를 회전시키면 구동축(130)에 결합된 구동전달부(310)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전달부(310) 상부의 스크류 결합부(312)가 스크류(230)의 하부 회전축(234)과 정합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코일 스프링(315)의 탄성 에너지에 의해 구동전달부(310)가 축 상방으로 탄성 이동하여, 하부 회전축(234)과 자동으로 정합하게 되어 구동축(130)의 구동력을 스크류(23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본체
1001: 모터
1002: 감속부
102: 전원 케이블
104: 제어 버튼
110: 상부 본체부
1102: 제 2 자석
112: 회전방지키
113: 찌꺼기 배출 연결홀
115: 개폐 센싱부
1151: 회동바
120: 하부 본체부
122: 고정돌기
125: 찌꺼기 컵
130: 구동축
132: 걸림턱
200: 착즙부
210: 호퍼
211: 패킹링
2111: 고정부
2112: 패킹 날개부
215: 호퍼 하우징
2150: 원형홈
21501: 찌꺼기 배출부
2151: 빗살돌기
2152: 연결홀
21521: 가이드홈부
21522: 고정 단턱부
2153: 핀고정홀
2154: 간섭방지홈
2155: 제 1 내측돌기
2156: 관통홈
2157: 제 2 내측돌기
2158: 걸림턱
2159: 회전방지키홈
216: 손잡이부
2161: 체결홀
217: 배출홀
2171: 경사면
2172: 경사면
2173: 경사면
2174: 결합돌기
218: 부싱부
2181: 단턱
219: 동력전달부
2191: 결합부
2192: 축공
2195: 상부 돌출부
2196: 나사홀
2197: 걸림부
2199: 나사
220: 뚜껑부
2201: 추가 투입구
2203: 핀홀
221: 자석 배치부
2211: 제 1 자석
222: 뚜껑 손잡이부
2221: 후크 체결부
2222: 고정단턱
2224: 회동방지 리브
223: 안전 가이드부
224: 핀
225: 절단부
2250: 원형돌기
2251: 홈
2252: 나사홈
2253: 관통홀
2254: 결합부재
2255: 심체
2256: 돌출부
2257: 홈
2258: 관통공
2259: 외피
226: 찍는날
2261: 경사 곡면
227: 베는날
228: 고정캡
2281: 상하 가이드부
2282: 삽입부
2283: 안착홈
2284: 탄성체
2285: 고정홈
229: 회전지지부
2291: 가이드돌출부
2292: 상하 가이드부
2293: 삽입부
2294: 고정 돌출부
2295: 고정부
2296: 고정 돌출부
2297: 파지부
230: 스크류
231: 스크류 몸체
232-1: 제 1 스크류 나사산
232-2: 제 2 스크류 나사산
232-3: 제 3 스크류 나사산
2321: 외날
233: 상부 회전축
234: 하부 회전축
235: 찌꺼기 안내턱
236: 파지부
237: 내부링
238: 외부링
2381: 인서트링
239: 과투입 방지리브
240: 내측 모듈
241: 내측 판부
242: 슬릿
243: 제 2 리브턱
2431: 단턱부
244: 제 1 리브턱
245: 확장부
246: 재료 유입 가이드부
247: 끼움 돌출부
250: 외측 모듈
251: 외측 판부
252: 리브
253: 즙 배출홀
258: 끼움 홈부
259: 드럼 고정부
260: 즙분리 드럼
280: 착즙 드럼
2801: 결착돌기
2802: 드럼 고정홈
2803: 회전 방지턱
2804: 고정홈
2805: 관통공
2806: 찌꺼기 배출공
281: 방수원통
2811: 패킹링
282: 제 1 원형돌기
283: 제 2 원형돌기
284: 찌꺼기 배출구
2842: 찌꺼기 배출구 하단부
2843: 고정링
2844: 패킹링
285: 즙배출구
286: 즙마개부
2861: 패킹
287: 찌꺼기패킹
290: 누름봉
310: 구동전달부
3101: 마개부
311: 모터축 결합부
3111: 걸림홈
312: 스크류 결합부
313: 단차공
314: 내측돌기부
315: 코일 스프링
317: 스프링삽입축
318: 머리부
319: 나사못
401: 이동 결착부
4011: 단턱
4012: 단턱
402: 결착홈
403: 삽입홈
404: 이동 가이드 돌출부
405: 하부 가이드홀
406: 상부 가이드홀
407: 스프링
411: 탄성 결착부
412: 스프링
413: 결착홈
421: 이동 결착부
4211: 스프링 삽입부
422: 스프링
423: 탄성이동 가이드 돌출부
424: 결착홈
425: 하부 가이드홀
426: 상부 가이드홀
431: 슬라이딩 결착부
432, 433: 가이드
441: 회전 결착부
4411: 걸림 돌출부
442: 결착홈
451: 이동 결착부
452: 캠부
4521: 회전 노브
453: 결착홈
455: 하부 가이드홀

Claims (2)

  1.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착즙 드럼;
    상기 착즙 드럼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착즙 재료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단면이 포함된 원통형의 호퍼; 및
    상기 호퍼의 하단면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호퍼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호퍼 내부에 투입된 상기 착즙 재료를 파쇄 또는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단부의 회전중심부가 상기 호퍼의 하단면 중앙에만 지지되어 상기 착즙 재료를 투입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의 상측 전체가 개방된 개방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절단부에 의해 파쇄 또는 절단된 착즙 재료를 상기 호퍼 아래에 위치한 상기 착즙 드럼 내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회전중심부로부터 연장되되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고 상기 회전중심부 상단 위로 연장되는 찍는날; 및 상기 회전중심부로부터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방향 전면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밀어내도록 수직 방향으로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베는날을 포함하며,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의 회전시에 상기 찍는날과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착즙 재료를 지지하는 제 1 내측돌기 및 상기 호퍼의 내측면에서 상기 베는날의 끝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는날과 상호 작용하는 제2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간에 투입된 상기 착즙 재료를 상기 회전중심부 상측에서 상기 찍는날이 파쇄 또는 절단시키고, 상기 호퍼 아래부분으로 이송된 상기 착즙 재료는 상기 베는날이 파쇄 또는 절단시켜 회전방향 전면으로 상기 착즙 재료를 밀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착즙 드럼 내부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돌기 또는 상기 제2 내측돌기 수직 아래에 상기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2020230001490U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049781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271U KR20200000717U (ko) 2019-10-22 2019-10-22 착즙기
KR2020190004271 2019-10-22
KR2020210002574U KR200497102Y1 (ko) 2019-10-22 2021-08-18 착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2574U Division KR200497102Y1 (ko) 2019-10-22 2021-08-18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18U KR20230001518U (ko) 2023-07-27
KR200497816Y1 true KR200497816Y1 (ko) 2024-03-08

Family

ID=70224516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71U KR20200000717U (ko) 2019-10-22 2019-10-22 착즙기
KR2020200002250U KR200494286Y1 (ko) 2019-10-22 2020-06-29 착즙기
KR2020210002500U KR200497038Y1 (ko) 2019-10-22 2021-08-10 착즙기
KR2020210002561U KR200496180Y1 (ko) 2019-10-22 2021-08-17 착즙기
KR2020210002562U KR200497039Y1 (ko) 2019-10-22 2021-08-17 착즙기
KR2020210002574U KR200497102Y1 (ko) 2019-10-22 2021-08-18 착즙기
KR2020230001488U KR20230001503U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20230001486U KR20230001517U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20230001487U KR200497878Y1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20230001490U KR200497816Y1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271U KR20200000717U (ko) 2019-10-22 2019-10-22 착즙기
KR2020200002250U KR200494286Y1 (ko) 2019-10-22 2020-06-29 착즙기
KR2020210002500U KR200497038Y1 (ko) 2019-10-22 2021-08-10 착즙기
KR2020210002561U KR200496180Y1 (ko) 2019-10-22 2021-08-17 착즙기
KR2020210002562U KR200497039Y1 (ko) 2019-10-22 2021-08-17 착즙기
KR2020210002574U KR200497102Y1 (ko) 2019-10-22 2021-08-18 착즙기
KR2020230001488U KR20230001503U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20230001486U KR20230001517U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KR2020230001487U KR200497878Y1 (ko) 2019-10-22 2023-07-18 착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0) KR20200000717U (ko)
WO (1) WO2021080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10400B2 (ja) * 2020-04-21 2024-01-1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調理器
WO2023075037A1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KR102511027B1 (ko) * 2021-10-27 2023-03-24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이중투입구조 착즙모듈 및 스크류
KR20230002201U (ko) * 2022-05-11 2023-11-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30002227U (ko) * 2022-05-12 2023-11-22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23219333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35B1 (ko) * 2008-07-15 2011-08-02 주식회사 매직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WO2018226008A1 (ko) *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208740618U (zh) * 2018-05-09 2019-04-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9220038U (zh) * 2018-10-30 2019-08-0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体组件及食物处理机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673B2 (ja) * 1994-06-22 2001-09-04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媒分流器
KR0117617Y1 (ko) * 1995-07-08 1998-04-27 김광호 휴대폰의 차량용 거치대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US9184425B2 (en) * 2009-01-13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0966608B1 (ko) * 2009-11-24 2010-06-29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주서 모듈
KR101682100B1 (ko) * 2009-11-20 2016-12-0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
KR101820042B1 (ko) * 2010-10-25 2018-01-18 코웨이 주식회사 스크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347881B1 (ko) * 2011-01-26 2014-01-10 주식회사 패트론 조리팬 손잡이
FR2982471B1 (fr) * 2011-11-14 2013-12-20 Seb Sa Appareil d'extraction de jus alimentaire
CN203378925U (zh) * 2013-07-02 2014-01-08 韩伟杰 电动榨汁机及其一体式榨汁网组件
KR102221753B1 (ko) * 2014-02-10 2021-03-02 코웨이 주식회사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WO2015161815A1 (zh) * 2014-04-24 2015-10-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自动进料的挤压式榨汁机
KR102257331B1 (ko) * 2014-05-14 2021-05-31 코웨이 주식회사 안전 개폐 구조를 가진 투입장치
KR101726734B1 (ko) * 2015-08-11 2017-04-13 주식회사 덴티스 무영등 손잡이의 탈부착 장치
KR20170069577A (ko) * 2015-12-11 2017-06-21 권재열 다용도 가위
KR20170127754A (ko) * 2016-05-12 2017-11-22 김재원 착즙 드럼
CN208371484U (zh) * 2017-09-28 2019-01-1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旋头和食物处理机
CN208425996U (zh) * 2018-02-06 2019-01-2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机
CN208693083U (zh) * 2018-05-09 2019-04-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拨料件及食物处理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35B1 (ko) * 2008-07-15 2011-08-02 주식회사 매직카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WO2018226008A1 (ko) * 2017-06-07 2018-12-13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208740618U (zh) * 2018-05-09 2019-04-16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9220038U (zh) * 2018-10-30 2019-08-0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体组件及食物处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988U (ko) 2021-09-02
KR200496180Y1 (ko) 2022-11-23
KR200497102Y1 (ko) 2023-08-01
KR200494286Y1 (ko) 2021-09-10
KR20200001620U (ko) 2020-07-21
KR20210001933U (ko) 2021-08-26
KR20230001503U (ko) 2023-07-26
KR20230001518U (ko) 2023-07-27
KR20210001919U (ko) 2021-08-24
KR200497039Y1 (ko) 2023-07-11
WO2021080234A1 (ko) 2021-04-29
KR20200000717U (ko) 2020-04-07
KR200497878Y1 (ko) 2024-03-22
KR200497038Y1 (ko) 2023-07-11
KR20230001517U (ko) 2023-07-27
KR20230001502U (ko) 2023-07-26
KR20210001930U (ko)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816Y1 (ko) 착즙기
KR102221753B1 (ko) 재료의 전처리 커팅 시스템이 포함된 주서기 구조
JP2016519980A (ja) 網ドラム及びこれを含む搾汁ジューサー
US11564523B2 (en) Juicer
KR200493484Y1 (ko) 착즙기
KR200497316Y1 (ko) 착즙기
JP3098005B2 (ja) 作動圧力を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粉砕搾汁機
KR200494287Y1 (ko) 착즙기
KR20180057480A (ko) 가위형 전처리부를 포함하는 주서기
KR101632395B1 (ko) 믹서기용 칼날 연결구
KR20200002766U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이를 사용하는 착즙기
KR101033550B1 (ko) 원액 추출기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CN217937867U (zh) 榨汁机
KR200491537Y1 (ko) 착즙주스기
KR20210000250U (ko) 착즙기
KR20050100273A (ko) 다목적 녹즙기
KR20230002210U (ko) 착즙기
KR20230002227U (ko) 착즙기
KR20210000248U (ko) 착즙기
KR20230002201U (ko) 착즙기
KR20230002200U (ko) 착즙기
KR20230002196U (ko) 착즙기
KR20210002233U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