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2210U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2210U
KR20230002210U KR2020220001170U KR20220001170U KR20230002210U KR 20230002210 U KR20230002210 U KR 20230002210U KR 2020220001170 U KR2020220001170 U KR 2020220001170U KR 20220001170 U KR20220001170 U KR 20220001170U KR 20230002210 U KR20230002210 U KR 202300022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hopper
juicer
cutting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to KR2020220001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2210U/ko
Publication of KR202300022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21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착즙기는 스크류 상부의 호퍼 내에서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호퍼 바닥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찍는날; 상기 회전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방향 전면으로 착즙 재료를 밀어내는 베는날; 및 상기 찍는날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찍는날과 호퍼의 바닥판 사이 영역에서 재료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고안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즙 드럼의 상부에 결착된 호퍼 내부에서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하는 절단부의 절단 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충분히 사전 절단 및 파쇄된 재료가 착즙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건강을 위하여 녹즙이나 주스를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는 경우가 늘어나고, 이를 위하여 가정에서 간단하게 야채나 과일을 이용하여 즙을 낼 수 있도록 하는 기기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종래에 주스기는 재료를 투입구에 넣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에 의해 파쇄하여 원심분리방식으로 주스를 만들었다. 하지만, 이러한 주스기는 고속 파쇄하는 과정에서 재료 고유의 맛과 영양소가 파괴될 수가 있고, 줄기나 잎으로 된 야채로는 녹즙을 만들기가 어려웠고, 점도가 높은 키위나 딸기 같은 과일로 주스를 만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콩으로 두유를 만드는 것은 아예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에서는 망드럼과 저속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사이에서 재료를 압착 및 분쇄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마치 맷돌로 갈아서 눌러 짜는 원리를 이용하여 두유로 만들고 토마토, 키위, 딸기와 같이 점도가 높은 과일 등을 강판에 갈아서 눌러 짜는 방식으로 주스를 만드는 작용효과가 있어서, 상기와 같은 종래 주스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스크류의 크기 및 스크류의 크기에 따라 적정 크기의 재료가 투입되도록 제작되는 투입구의 크기에 의해 투입구에 재료를 넣기 전에 사전에 미리 재료를 잘게 절단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3852호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착즙 드럼의 상부에 결착된 호퍼 내부에서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하는 절단부의 절단 효율을 상승시킴으로써 충분히 사전 절단 및 분쇄된 재료가 착즙 드럼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는 착즙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스크류 상부의 호퍼 내에서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호퍼 바닥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찍는날; 상기 회전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방향 전면으로 착즙 재료를 밀어내는 베는날; 및 상기 찍는날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찍는날과 호퍼의 바닥판 사이 영역에서 재료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돌기;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돌기는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돌기의 회전방향 전면에는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날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찍는날과 상기 이송돌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돌기는 찍는날 하부의 길이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찍는날과 상기 베는날은 회전 중심에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는날은 상기 찍는날이 나선의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는 회전 본체의 내부에 강성 재질의 심체가 삽입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체에는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 또는 상기 심체를 관통하는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상기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착즙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는 상기 호퍼 내에서 분쇄된 착즙 재료를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착즙 드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돌기는 상기 배출홀과 연계하여 재료를 절단 및 분쇄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착즙 재료를 호퍼 내에서 절단 및 교반시켜 착즙 드럼에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착즙 재료를 사전 절삭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기가 제공된다.
또한, 나선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되는 찍는날의 하부에 송곳니 형태의 이송돌기를 배치함으로써 찍는날과 호퍼 바닥판 사이 영역에서 추가로 재료를 이송 및 파쇄할 수 있으므로 절단부의 절단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기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구성하는 절단부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이중 구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심체 및 절단부의 최종 형태를 비교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이중 구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 착즙기의 절단부와 호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 착즙기의 절단부와 호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 착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 착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를 구성하는 절단부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절단부의 저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 착즙기는 스크류 상부의 호퍼 내에서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부(100)는 회전 본체(110), 찍는날(120), 베는날(130) 및 이송돌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본체(110)는 호퍼의 바닥판 중앙 상측에 배치되고, 저면의 회전 중심에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각형 홈(1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각형 홈(111) 위에는 나사(240)가 체결되는 나사홈(112)이 형성된다.
찍는날(120)과 베는날(130)은 회전 본체(110)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고, 이송돌기(140)는 찍는날(120)의 하부에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찍는날(120)은 회전 본체(110)의 일측에서 절단부(100)의 회전 방향으로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찍는날(120)의 상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져 뾰족한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찍는날(120)은 판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며 나선으로 휘어지며 상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마치 소뿔의 형태로 형성된다.
갈고리 형태로 상측을 향하는 찍는날(120)은 상부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찍어서 파쇄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또한, 찍는날(120)이 판상이 아니라 소정의 살두께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서, 미나리와 같은 줄기 채소가 찍는날(120)에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뿔 형상으로 나선으로 연장된 형상은 절삭된 착즙 재료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찍는날(120)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 곡면(121)이 형성되어, 찍는날(120)이 회전하며 찍는날(120)에 의해 파쇄된 착즙 재료가 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찍는날(120)의 상단 높이는 높을수록 파쇄 효과가 높아지는데, 적어도 베는날(130)의 상단면의 높이보다는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찍는날(120)의 반경 방향 길이는 호퍼의 내측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는날(130)은 호퍼의 바닥판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는날(130)은 수직 방향으로도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는날(130)의 회전 방향 전면과 후면의 경사면이 만나는 상단에는 날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베는날(130)의 단부는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그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는날(130)은 상단에 형성된 날에 의해 찍는날(120)에서 파쇄되어 아래로 이동한 착즙 재료를 2차적으로 파쇄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베는날(130)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서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호퍼(210)의 바닥판(211)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배출홀(213)을 향해 밀어서 배출홀(213)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베는날(130)의 두께가 얇으면 호퍼(210) 바닥판(211)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밀지 못하고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는날(130)은 절단부(100)의 회전 중심에서 찍는날(120)이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180도 반대 방향의 위치에서 연장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베는날(130)은 절단부(100)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찍는날(120)과 베는날(130)은 회전 중심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존재하되 찍는날(120)과 베는날(130)의 날 끝은 서로를 향하도록 휘어지기 때문에, 절단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초승달 모습과 유사하다.
또한, 찍는날(120)과 베는날(130)은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하지 않고 찍는날(120)이 나선으로 휘어지며 상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절단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초승달 모습과 유사하되 공간상에서 서로 뒤틀어져 있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베는날(130)도 찍는날(120)과 마찬가지로 호퍼의 내측면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돌기(140)는 찍는날(120) 하부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하향 연장되고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져 뾰족한 송곳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방향 전면에는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날부(141)가 형성된다.
찍는날(120)은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므로 찍는날(120)과 호퍼(210)의 바닥판(211) 사이 영역에는 재료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송곳니 형태로 이루어진 이송돌기(140)는 찍는날(120)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찍는날(120)과 호퍼(210) 바닥판(211) 사이로 유입되는 재료를 이송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또한, 이송돌기(140)의 하단부가 뾰족한 송곳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회전방향 전면에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날부(141)가 형성됨에 따라 찍는날(120)과 호퍼(210) 바닥판(211) 사이에 위치하는 재료를 파쇄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찍는날(120)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재료를 절단 및 파쇄할 수 있는 정도의 살두께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돌기(140)의 하단부 위치는 낮을수록 파쇄 및 이송 효과가 높아지므로, 호퍼(210) 바닥판(211)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호퍼(210) 바닥판(211)과 근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도면 중,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이중 구조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절단부 내부에 형성되는 심체 및 절단부의 최종 형태를 비교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이중 구조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100)는 회전 본체(110)의 내부에 강성 재질의 심체(150)가 삽입된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100)는 회전 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재질로 형성된 심체(150)가 회전 본체(110)의 내부 구조를 형성한다.
절단부(100)는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적이고, 강도가 높고, 가공이 용이하며, 가벼운 소재로 제작이 요구된다. 특히, 구동력을 전달받는 회전 본체(110)의 각형 홈(111) 및 나사홈(112)은 강한 부하가 작용하므로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지 않으면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절단부(100)의 회전 본체(110) 내부에 강도가 강한 재질의 심체(150)를 삽입하여, 강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절단부(100)에 요구되는 제작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심체(150)는 PEI(Polyetherimide, 울템) 재질로 형성될 수가 있고, 절단부(100)는 POM(Polyoxymethylene 또는 Polyacetal) 재질 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두 재질을 가지는 심체(150)와 절단부(100)는 인서트 사출로 강력하게 결합되도록 제작될 수가 있다.
심체(150)는 회전 본체(1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심체(150)에는 심체(15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51), 심체(15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152), 또는 심체(150)를 관통하는 관통공(153)이 형성되어 심체(150)와 절단부(100)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또한, 강도가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심체(150)에는 강한 부하가 작용하는 각형 홈(111) 및 나사홈(112)을 형성하여 후술할 동력전달부(230) 및 나사(24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부위의 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절단부와 호퍼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 착즙기의 절단부와 호퍼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100)의 회전 본체(110)는 호퍼(210)의 바닥판(211) 중앙에 형성된 연결홀(212)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착즙기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본체, 구동 본체 상측에 조립되는 용기 형태의 착즙 드럼(300), 착즙 드럼(300) 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착즙 드럼(300) 내부에 수용된 재료를 분쇄 및 압착하는 스크류(310) 및 상기 착즙 드럼(300)의 상측에 조립되고 착즙 드럼(300)으로 재료를 공급하는 호퍼(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퍼(210)는 원통 형상으로서 개방된 상부를 통해 착즙 재료를 공급받는 공간을 형성하며, 호퍼(210)의 바닥판(211) 중앙에는 연결홀(212)이 관통 형성되고, 호퍼(210)의 바닥판(211) 중앙과 가장자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하는 배출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호퍼(210) 내에 투입된 착즙 재료는 호퍼(210) 내에서 회전하는 절단부(100)에 의해 절삭 및 분쇄되고 배출홀(213)을 통과하여 호퍼(210) 아래에 배치되는 착즙 드럼(3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절단부(100)는 호퍼(210) 내부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호퍼(2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단부만 호퍼(210)에 지지된 상태로 착즙 재료를 절삭시키기 때문에, 호퍼(210) 내 절단부(100)의 상측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100)의 상측 전체가 개방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호퍼(210) 내에 통과일과 같이 크기가 큰 착즙 재료도 투입시켜 절삭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절단부(100)는 호퍼(210) 바닥판(211)의 연결홀(212) 내에 배치된 부싱부(220)의 상측에 배치되고, 부싱부(220)의 하측에 배치되는 동력전달부(230)에 고정됨에 따라, 호퍼(210) 바닥판(211) 상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부싱부(220)는 반경 방향 내측면과 외측면이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은 원형의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단턱(221)을 형성한다. 부싱부(220)의 외측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홀(212)의 내측면은 원추 형태의 경사면 및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때, 부싱부(220)는 인서트 사출로 호퍼(210)의 바닥판(21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홀(212)과 부싱부(220) 사이에는 상부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태로 접하도록 하여 착즙 과정에서 부하에 의해 스크류(310)가 상승할 때 상부를 향하는 힘을 받더라도 호퍼(210) 바닥판(211)과 부싱부(220) 사이의 결합력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스크류(310)의 부상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가 있다.
부싱부(220)의 내측에는 상하 개방된 형태로 홀이 형성되어 동력전달부(230)가 삽입된다. 동력전달부(230)에 스크류(310)의 상부 회전축(311)이 삽입된 상태로 스크류(310)가 회전할 때 부싱부(220) 내측에 삽입되는 동력전달부(230)가 부싱부(220) 내부에서 회전을 하므로, 부싱부(220)는 동력전달부(230)가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230)는 외측면이 상기 부싱부(220)의 내측면에 대응되도록 원추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부(231) 및 상기 결합부(231)의 상단에서 상기 부싱부(220)의 상면 위로 돌출 형성되며 나사(240)가 삽입되는 나사홀(233)이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231)의 저면에는 각형 축으로 이루어진 스크류(310)의 상부 회전축(311)이 삽입되는 각형 축공(234)이 형성된다.
결합부(231)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돌출부(232)는 동력전달부(230)가 호퍼(210)의 저면에서 부싱부(220)에 삽입되었을 때 부싱부(220)의 홀을 관통하여 부싱부(220)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호퍼(2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부 돌출부(232)는 4각의 각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회전 본체(110)의 저면에 각형 홈(111)을 형성하여 상부 돌출부(232)에 절단부(100)를 결합시킬 수가 있다. 상부 돌출부(232)의 형상 및 이에 대응하는 회전 본체(110) 저면의 홈(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십자 형태, 스플라인 형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가 있다.
상부 돌출부(232)와 회전 본체(110) 저면의 홈(111)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부(231)의 축공(234)을 통해 나사(240)를 삽입해 상부 돌출부(232)를 관통하는 나사홀(233) 및 절단부(100) 저면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 나사홈(112)에 나사(240) 결합시켜, 상부 돌출부(232)에 절단부(100)의 회전 본체(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부(231)의 내측면에 형성된 축공(234)의 상단에는 스크류(310)의 상부 회전축(31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나사(240) 머리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호퍼(210) 바닥판(2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절단부(100)는, 호퍼(210)가 착즙 드럼(300)의 상부에 결착되는 과정에서 착즙 드럼(300)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310)의 상부 회전축(311)이 동력전달부(230)의 축공(234)에 결합됨에 따라, 스크류(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스크류(310)와 함께 회전하게된다.
첨부도면 중, 도 13은 본 고안 착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고안 착즙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고안 착즙기의 절단부(100)에 의한 재료의 사전 분쇄 및 절단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절단부(100)는 호퍼(210) 내측 바닥판(21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즙 드럼(300)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3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호퍼(210) 내부에서 회전하며, 호퍼(210) 내부에 투입된 착즙 재료를 절삭 및 분쇄하여 호퍼(210)의 바닥판(211)에 형성된 배출홀(213)을 통해 호퍼(210) 아래에 위치하는 착즙 드럼(300) 내부로 공급한다.
본 고안에서 절단부(100)는 호퍼(210) 내부에서 상단과 하단이 각각 호퍼(2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하단부만 호퍼(210)에 지지된 상태로 착즙 재료를 절삭시키기 때문에, 호퍼(210) 내 절단부(100)의 상측에는 간섭을 받지 않는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부(100)의 상측 전체가 개방된 개방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호퍼(210) 내에 통과일과 같이 크기가 큰 착즙 재료도 투입시켜 절삭시킬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찍는날(120)은 갈고리 형태로 상측을 향해 연장되어 상부로 투입된 착즙 재료를 찍어서 파쇄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게 된다. 또한, 소뿔 형상으로 나선으로 연장된 형상은 절삭된 착즙 재료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찍는날(120)의 반경 방향 내측면은 하부로 갈수록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도록 경사 곡면(121)이 형성되어, 찍는날(120)이 회전하며 찍는날(120)에 의해 파쇄된 착즙 재료가 곡면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 본체(110)의 타측, 즉 찍는날(120)의 반대쪽에 형성된 베는날(130)은 찍는날(120)에서 파쇄되어 아래로 이동한 착즙 재료를 2차적으로 파쇄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호퍼(210)의 바닥판(211) 상에 위치하는 착즙 재료를 배출홀(213)을 향해 이동시켜 배출홀(213)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홀(213)과 연계하여 재료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찍는날(120)이 호퍼(210)의 상부 개구를 통해 투입된 착즙 재료를 찍어서 파쇄하고, 이어 베는날(130)이 찍는날(120)에 의해 1차로 파쇄된 재료를 배출홀(213)으로 이송하는 동시에 배출홀(213)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2차로 절단하여 배출홀(213)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찍는날(120)은 회전 본체(110)의 일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꺾여 올라간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찍는날(120)과 호퍼(210) 바닥판(211)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찍는날(120) 하부의 이격된 공간에서는 재료 절단 및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찍는날(120)은 베는날(130)에 의해 절단되어 호퍼(210) 바닥판(211) 상에 놓여진 재료를 이송하지 않고 그대로 통과하기 때문에, 찍는날(120)을 통과한 재료는 베는날(130)의 다음 회전 주기에 이르러서야 배출홀(213)을 향해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찍는날(120) 하부에 배치된 이송돌기(140)가 찍는날(120)과 호퍼(210)의 바닥판(211) 사이영역에 배치된 재료를 이송할 수 있으므로, 착즙 재료의 이송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즉, 베는날(130)을 이용해 호퍼(210) 바닥판(211) 상의 재료를 배출홀(213)로 이송하는 것에 더하여, 베는날(13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찍는날(120) 하부의 이송돌기(140)를 이용해 재료를 이송함에 따라, 베는날(130)만 이용해 재료를 이송하는 것에 비해 재료의 이송 주기를 단축시켜 사전 절단 및 분쇄된 재료가 배출홀(213)을 통해 더욱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찍는날(120) 하부에 배치된 이송돌기(140)의 회전방향 전면에는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날부(141)가 형성됨에 따라, 이송돌기(140)에 의해 배출홀(213)로 이송된 재료를 배출홀(213)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사전 절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돌기(140)의 회전방향 전면에 형성되는 경사날부(141)는 상기 호퍼(210) 바닥판(211) 상에 형성되는 배출홀(213)과 연계하여 재료를 절단 및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절단부(100)는 찍는날(120)을 이용해 호퍼(210) 내부로 공급된 재료를 절단 및 분쇄하고, 베는날(130)을 이용해 호퍼(210)의 바닥판(211) 상에 위치하는 재료를 배출홀(213)을 향해 이송하면서 배출홀(213)과 상호 작용하여 추가 절단 및 분쇄하는 것에 더하여, 베는날(130)의 회전 중심 반대편에 위치하는 찍는날(120) 하부의 이송돌기(140)를 이용해 재료를 배출홀(213)을 향해 이송하여 착즙 재료의 배출 주기를 단축하고, 이송돌기(140)의 경사날부(141)가 찍는날(120)의 하부에서 착즙 재료를 절단 및 분쇄하여 절단부(100)의 절단 및 분쇄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절단부, 110:회전 본체, 111:각형 홈,
112:나사홈, 120:찍는날, 121:경사 곡면,
130:베는날, 140:이송돌기, 141:경사날부,
150:심체, 151:돌출부, 152:함몰부,
153:관통공, 210:호퍼,
211:바닥판, 212:연결홀, 213:배출홀,
220:부싱부, 221:단턱, 230:동력전달부,
231:결합부, 232:상부 돌출부, 233:나사홀,
234:축공, 240:나사, 300:착즙드럼,
310:스크류, 311:상부 회전축

Claims (10)

  1. 스크류 상부의 호퍼 내에서 회전에 의해 착즙 재료를 사전 절단시키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호퍼 바닥판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본체;
    상기 회전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고 나선의 형태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찍는날;
    상기 회전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의 바닥판에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고 회전방향 전면으로 착즙 재료를 밀어내는 베는날; 및
    상기 찍는날 하부에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찍는날과 호퍼의 바닥판 사이 영역에서 재료를 이송할 수 있는 이송돌기;를 포함하는 착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는 하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을 갖는 착즙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의 회전방향 전면에는 회전 방향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날부가 형성된 착즙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찍는날과 상기 이송돌기는 일체로 형성되는 착즙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는 찍는날 하부의 길이방향 중앙에 배치되는 착즙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찍는날과 상기 베는날은 회전 중심에서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베는날은 상기 찍는날이 나선의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휘어진 형상인 착즙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회전 본체의 내부에 강성 재질의 심체가 삽입된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착즙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심체에는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심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홈 또는 상기 심체를 관통하는 관통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는 착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며 착즙 재료를 압착하는 상기 스크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착즙 드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호퍼의 하단면에는 상기 호퍼 내에서 분쇄된 착즙 재료를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착즙 드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착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돌기는 상기 배출홀과 연계하여 재료를 절단 및 분쇄하도록 마련되는 착즙기.
KR2020220001170U 2022-05-12 2022-05-12 착즙기 KR202300022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70U KR20230002210U (ko) 2022-05-12 2022-05-12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170U KR20230002210U (ko) 2022-05-12 2022-05-12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210U true KR20230002210U (ko) 2023-11-21

Family

ID=88968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170U KR20230002210U (ko) 2022-05-12 2022-05-12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221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2B1 (ko) 2005-03-21 2008-01-11 김영기 착즙주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7878Y1 (ko) 착즙기
MXPA01000397A (es) Dispositivo para picar alimento.
KR200429957Y1 (ko) 녹즙기
KR20230002210U (ko) 착즙기
KR200493484Y1 (ko) 착즙기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WO2023219333A1 (ko) 착즙기
KR101067466B1 (ko) 분쇄커터유닛 및 이를 구비한 믹서기
KR20210000946U (ko) 착즙기
KR20120012039A (ko) 편심형 착즙 스크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200000718U (ko) 착즙기
CN108324075B (zh) 用于食物加工机的螺旋推进器及食物加工机
US20240041237A1 (en) Juicer assembly for large diameter feed tube
KR200496948Y1 (ko) 착즙기용 스크류 및 그 착즙기
AU2020233651B2 (en) Juicer
KR20230002200U (ko) 착즙기
KR20230002201U (ko) 착즙기
TWM525696U (zh) 刀具及具有該刀具的渣汁分離裝置
US20230138835A1 (en) Kitchen gadget set
KR200324886Y1 (ko) 마늘 절단기
KR200363518Y1 (ko) 핸드 믹서기용 분쇄용기의 안전장치
KR20230002227U (ko) 착즙기
KR200368485Y1 (ko) 다용도 식품가공기의 커터
TWM644831U (zh) 食品磨碎裝置
KR101408890B1 (ko) 믹서기용 거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