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69Y1 -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69Y1
KR200346869Y1 KR20-2004-0001639U KR20040001639U KR200346869Y1 KR 200346869 Y1 KR200346869 Y1 KR 200346869Y1 KR 20040001639 U KR20040001639 U KR 20040001639U KR 200346869 Y1 KR200346869 Y1 KR 200346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processing apparatus
container
receiving means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식
Original Assignee
김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식 filed Critical 김운식
Priority to KR20-2004-0001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working units, e.g. with a single driving-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교체 장착만으로 마늘의 박피 뿐만 아니라 분쇄 및 믹서기능을 할 수 있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터와 작동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봉을 베이스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와, 마늘의 상태에 따라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는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물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된 마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하는 수용수단과, 투입된 마늘을 커버하도록 수용수단 상부에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각각의 부품을 적절하게 교체 사용하여 마늘의 박피, 분쇄, 믹서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쟁력 및 인지도 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마늘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마늘의 가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garlic by various means}
본 고안은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의 교체 장착만으로 마늘의 박피 뿐만 아니라 분쇄 및 믹서기능을 할 수 있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늘은 특유의 매운 맛과 향이 나는 취식이 가능한 식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국 고유음식의 특성상 대부분 마늘을 넣어 음식을 조리하고 있고, 이와 같이 조리된 음식을 취식하여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주로 한식 요리를 하는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는 마늘을 음식에 넣어 조리하기 위하여 마늘의 껍질을 손으로 일일이 벗겨내고, 벗겨낸 마늘은 칼자루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찧거나 빻아서 사용하였다.
더욱이, 김치와 같은 음식을 만드는 경우에는 평상시보다 많은 양의 마늘을필요로 하게 되므로, 마늘즙 형태로 판매하는 것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는 이상 많은 양의 마늘을 직접 손으로 껍질을 벗겨내고 찧는 등의 수고를 감수해야만 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마늘을 가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수고를 줄이기 위해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근래에는 깐마늘을 별도로 구입하여 통상의 믹서기에 넣고 갈아내어, 필요한 만큼의 마늘즙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믹서기는 투입된 음식물을 단순히 갈아내기 위한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어, 마늘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거나 손으로 직접 껍질을 벗겨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또는 도 2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선등록받은 "마늘박피장치"(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35446호)를 도시한 것으로, 케이싱(10)과 회전체(20)와 핸들(30)과 뚜껑(40)을 주요 구성요소로 한다.
먼저 케이싱(10)은 마늘을 수용하도록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마찰에 의해 마늘(G)의 껍질을 벗겨낼 수 있도록 내주면에 다수의 제1마찰돌기(15)를 부착한다. 그리고, 회전체(20)는 제1마찰돌기(15)와의 마찰에 의해 마늘(G)의 껍질을 벗겨내는 것으로, 외주면에 다수의 제2마찰돌기(25)를 부착하여 상기 케이싱(10) 내부에 회전 용이하게 설치한다.
핸들(30)은 회전체(20)를 선회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체(20) 단부에 결합한다. 그리고, 뚜껑(40)은 투입된 마늘(G)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케이싱(10) 상부에 결합된다.
즉, 상단에 핸들(30)을 결합한 회전체(20)는 하단을 뚜껑(40) 중앙에 관통시켜 상기 뚜껑(40)에 결합하고, 상기 뚜껑(40)은 케이스(10) 상부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마늘(G)을 투입한 후 핸들(30)을 잡고 회전체(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마늘(G)은 제1,2마찰돌기(15)(25) 사이에 끼워져 마찰에 의해 껍질을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케이스(10) 내부에 부착 설치된 제1마찰돌기(15)는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긴 길이의 것이 부착되므로 마늘(G)의 크기에 상관없이 고르게 껍질을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늘박피장치는 마찰돌기의 마찰에 의해 마늘의 껍질을 골고루 신속하게 벗겨낼 수 있는 효과는 있었으나, 깐마늘을 잘게 분쇄하거나 곱게 갈아내기 위해서는 공지의 믹서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마련하거나 칼자루의 뒷부분을 이용하여 직접 찧어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으로 직접 핸들을 돌려 마늘의 껍질을 벗겨내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많은 양의 마늘이 필요한 경우에는 껍질을 벗겨내기 위한 적지 않은 수고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선등록된 마늘박피장치(국내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35446호)를 보다 진보하게 개량한 것으로, 부품의 교체 사용만으로 마늘의 껍질을 벗겨내는 기능 뿐만 아니라 마늘의 분쇄 및 믹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력에 의한 모터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마늘을 가공하도록 하므로, 마늘 가공에 소요되는 수고와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한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마늘박피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마늘박피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가공장치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a,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본체 내부구조와 작동버튼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부분절개단면도.
도 5a, 5b, 5c는 본 고안에 따른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수단의 결합상태와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와 정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 110 - 베이스
120 - 요홈 130 - 회전봉
135 - 장착홈 150 - 작동버튼
160 - 속도조절스위치 170 - 전원차단장치
200 - 박피용회전체 205 - 마찰돌기
210 - 분쇄용회전체 215 - 분쇄칼날
220 - 믹서용회전체 225 - 믹서칼날
230 - 삽입홈 235 - 장착편
300 - 제1용기 310 - 제2용기
320 - 요철 330 - 삽입관
340 - 손잡이 400 - 뚜껑
410 - 기밀턱 450 - 가압부
G : 마늘 M :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모터와 작동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봉을 베이스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와, 마늘의 상태에 따라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이 삽입되는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물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된 마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상부에 설치하는 수용수단과, 투입된 마늘을 커버하도록 수용수단 상부에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수용수단에 투입된 마늘은 수용물가공수단의 교체 사용에 의해 박피, 분쇄, 믹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마늘을 가공하기 위한 동일한 기능의 장치들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 도 5c는 본 고안의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본체(100)와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수단과 뚜껑(400)과 작동버튼(15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는 첨부도면 도 3 또는 도 4a, 4b와 같이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수용물가공수단을 회전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에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수단을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00)는 전방 상면에 원형의 판 형상을 갖는 베이스(110)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110) 중앙에는 본체(100) 내부에 관통되도록 회전봉(130)을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110) 상면에는 요홈(120)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수단이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모터(M)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M)의 상부에는 바이메탈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170)를 설치하여 과열된 모터(M)의 구동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상기 모터(M)는 회전축(140)에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140)에는 기어(145)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기어(145)는 회전봉(130) 하단에 결합된 또 다른 기어(145)에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되어 모터(M)의 회전력을 회전봉(130)에 전달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봉(130)의 상단부에는 장착홈(135)을 형성하여 후술되는 수용물가공수단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욱이, 상기 본체(100) 배면에는 모터(M)와 연결되도록 속도조절스위치(160)를 설치하여 상기한 모터(M)의 속도를 가감시키므로 회전봉(1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수용물가공수단은 회전봉(130)과 함께 회전작동되어 투입된 마늘(G)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가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첨부도면 도 5a, 5b, 5c와 같이 박피용회전체(200)와 분쇄용회전체(210)와 믹서용회전체(220)로 나뉘게 된다.
먼저 박피용회전체(200)는 마늘(G)의 껍질을 벗겨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박피용회전체(200)는 외주면 둘레에 빼곡하게 다수의 마찰돌기(205)를 부착하고, 내측에는 후술되는 삽입관(330)에 끼워지도록 삽입홈(2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 상단의 장착홈(135)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205)는 박피용회전체(200)의 길이보다 약간 작도록 막대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한 마찰돌기(205)는 단부의 형상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내부를 중공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205)는 마찰력이 강한 실리콘 및 고무재와 같은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마찰돌기(205)와 동일한 마찰계수를 갖는 다른 합성수지의 재질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더욱이, 상기 마찰돌기(2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부의 형상을 곡면으로 형성한 동시에 내부가 중공된 막대형태로 형성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중공되게 형성한 것이 아닌 내부가 채워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막대형태가 아닌 판상의 형태로 형성하여도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분쇄용회전체(210)는 껍질이 벗겨진 마늘(G)을 잘게 부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박피용회전체(200)와 동일하게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분쇄용회전체(210)는 외주면 하단에 마늘(G) 분쇄기능을 갖는 2개의 분쇄칼날(215)을 부착하고, 내측에는 후술되는 삽입관(330)에 끼워지도록 삽입홈(2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 상단의 장착홈(135)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다. 또한, 이와 같이 부착된 상기 분쇄칼날(215)은 대략 'S'자형이 될 수 있도록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한다.
믹서용회전체(220)는 잘게 부순 마늘(G)을 곱게 갈아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박피용회전체(200)와 동일하게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믹서용회전체(220)는 외주면 하단에 믹서기능을 갖는 4개의 믹서칼날(225)을 부착하고, 내측에는 후술되는 삽입관(330)에 끼워지도록 삽입홈(2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 상단의 장착홈(135)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믹서칼날(225)은 믹서용회전체(2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대칭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수단은 상기한 수용물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된 마늘(G)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5a, 5b, 5c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제1용기(300)와 제2용기(310)로 나뉘어진다.
먼저, 제1용기(300)는 껍질을 벗겨내지 않은 마늘(G)을 수용하여 본체(100)의 베이스(110) 상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용기(300)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제1용기(300)는 내주면 둘레를 빼곡하게 감싸도록 다수의 마찰돌기(205)를 부착하고 외주면에 손잡이(34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마찰돌기(205)는 박피용회전체(200)의 마찰돌기(205)와 동일한 재질과 형태로 형성하여 부착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300)의 하부에는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관(330)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1용기(300)의 저면에는 베이스(110) 상면의 요홈(120)에 견고하게 끼워질수 있도록 요철(320)을 형성한다.
제2용기(310)는 박피된 마늘(G)을 분쇄 및 믹서 작업하기 위해 마늘(G)을 수용하여 본체(100)의 베이스(110) 상부에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 제2용기(310)는 상기한 제1용기(300)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상기 제2용기(310)는 외주면 일부에 손잡이(3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용기(310)의 하부에는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관(330)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제2용기(310)의 저면에는 베이스(110) 상면의 요홈(120)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요철(3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관(330)은 곱게 갈아낸 마늘(G)액이 본체(100)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상부로 길게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뚜껑(400)은 투입된 마늘(G)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제1,2용기(300)(3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뚜껑(400)은 투명한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뚜껑(400)의 저면에는 기밀턱(410)을 형성하여 제1,2용기(300)(310) 내에서 가공되는 마늘(G)이 외부로 이탈되거나 흐르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뚜껑(400)의 단부를 일체로 연장 성형하고 그 하부에 가압부(450)를 형성하여 후술되는 작동버튼(150)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작동버튼(150)은 상기 뚜껑(400)의 개·폐에 의해 모터(M)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체(100)의 후방 상면에 형성한 구멍에 함몰되게 설치한다. 이러한, 작동버튼(15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 등을 이용하여 모터(M)와 연결시켜 모터(M)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작동버튼(150)의 하부에 스프링(155)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버튼(150)을 지속적으로 위로 밀어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작동버튼(150)의 둘레는 구멍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고 상면 외주면을 턱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작동버튼(150)이 본체(10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또는 도 5a를 통하여 마늘(G)을 박피하는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제1용기(300) 내부에 껍질을 벗겨내지 않은 마늘(G)을 적당량 투입하고, 상기 제1용기(300) 하단의 요철(320)을 베이스(110)의 요홈(120)에 맞춰 견고하게 끼우게 된다. 그리고, 뚜껑(400)에 형성된 가압부(450)의 위치를 작동버튼(150)의 위치와 동일하게 맞춘 후에 뚜껑(400)을 덮개 되면, 가압부(450)는 작동버튼(150)을 자연스럽게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작동버튼(150)과 연결된 모터(M)는 구동되고, 회전축(140)과 회전봉(130)은 회전작동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회전봉(130)에 끼워진 박피용회전체(200)는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박피용회전체(200)에 부착된 마찰돌기(205)와 제1용기(300)에 부착된 마찰돌기(205)는 상기 박피용회전체(200)의 회전에 의해 투입된 마늘(G)에 마찰을 가하게 된다.
즉, 제1용기(300)에 투입된 마늘(G)은 박피용회전체(200)와 제1용기(300)에 부착된 마찰돌기(205)들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마찰돌기(205)와의 마찰력에 의해 껍질을 신속하게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용기(300)의 형상이 상광하협진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큰 크기의 마늘(G)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작은 크기의 마늘(G)이 위치되므로, 제1용기(300) 내부에 투입된 마늘(G)은 크기에 관계없이 골고루 껍질을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400)은 첨부도면 도 4a, 4b와 같이 개방과 폐쇄를 반복적으로 시행하여 모터(M)를 구동하므로써, 모터(M)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마늘(G)의 껍질을 더욱 더 골고루 신속하게 벗겨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모터(M)의 구동 중에 강약조절이 가능한 속도조절스위치(160)를 조절하므로써, 박피용회전체(200)의 회전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뚜껑(400)의 개·폐방식과 속도조절스위치(160)의 강약조절기능은 상술한 박피작업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분쇄작업과 믹서작업에 모두 적용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이처럼, 마늘(G)의 껍질을 모두 벗겨내고 난 후에는 깐 마늘(G)을 분쇄하게 되는데 마늘(G)을 분쇄하는 작동관계를 첨부도면 도 5b를 통하여 설명하면, 제1용기(300)의 깐마늘(G)은 제2용기(310) 내부에 옮기고, 상기 제2용기(310)는 제1용기(300)와 동일한 방식으로 본체(100)의 베이스(110) 상면에 끼우게 된다. 그리고, 회전봉(130)에 끼워진 박피용회전체(200)를 분리시키고 분쇄용회전체(210)를 삽입하여 결합시킨 이후에 상기한 박피작업을 실시할 때와 동일하게 뚜껑(400)을 덮개 되면, 모터(M)의 구동과 함께 회전봉(130)과 분쇄용회전체(210)가 회전하면서 분쇄칼날(215)은 내부에 투입된 깐 마늘(G)을 잘게 분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쇄작업을 거쳐 잘려진 마늘(G)은 다시 믹서작업을 통하여 더욱 고르게 갈리게 되는데, 상기 믹서작업의 작동관계를 첨부도면 도 5c를 통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회전봉(130)에 끼워진 분쇄용회전체(210)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쇄용회전체(210)의 결합방식과 동일하게 믹서용회전체(220)를 결합시킨다. 그 이후에 뚜껑(400)을 덮개 되면, 믹서용회전체(220)에 부착된 믹서칼날(225)은 회전을 하면서 내부의 투입된 마늘(G)을 더욱 고르고 부드럽게 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는 박피용회전체(200)와 분쇄용회전체(210)와 믹서용회전체(220)와 함께 제1,2용기(300)(310)를 가공하고자 하는 마늘(G)의 상태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하여 사용하므로써, 하나의 장치만으로 마늘(G)의 박피작업은 물론 분쇄작업 및 믹서작업과 같은 여러가지 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늘(G)의 박피, 분쇄, 믹서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가공을 위한 별도의 장비 구입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갖추게 되어 소비자들의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인지도 및 신뢰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는 상기한 박피용회전체(200), 분쇄용회전체(210), 믹서용회전체(220)가 전기적인 힘에 의해 모터(M)를 구동하여 모터(M)와 연동된 회전봉(13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손으로 직접 회전시켜 마늘(G)의 껍질을 벗겨내던 종래의 구성과는 다르게 제1,2용기(300)(310) 내부에 투입된 마늘(G)을 힘을 들이지 않고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인 힘에 의해 작동되는 본 고안의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는 뚜껑(400)의 개·폐에 의해 모터(M)를 자동적으로 온/오프시켜 회전봉(130)의 회전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손가락의 절단사고 및 찰과상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사용상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는 마늘가공장치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음식물로 마늘(G)을 일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기존의 믹서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다른 음식물 즉 야채, 과일 등의 가공을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회전체와 제1,2용기를 마늘의 상태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교체 사용하므로써, 마늘의 박피작업 뿐만 아니라 분쇄작업 및 믹서작업과 같은 여러가지 기능을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각각의 회전체와 용기의 교체사용으로 인하여 동일한 기능을 갖는 별도의장비(예를 들어 기존의 믹서기 또는 마늘 박피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의 인지도 및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들인 모터의 구동에 의해 마늘을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마늘의 박피 및 분쇄, 믹서작업과 같은 가공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뚜껑의 개·폐에 의해 작동버튼을 가압하여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모터와 연동되는 회전봉의 회전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칼날에 의한 부상의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9)

  1. 모터(M)와 작동버튼(150)을 설치하고, 상기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연동되는 회전봉(130)을 베이스(110)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본체(100)와;
    마늘(G)의 상태에 따라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봉(130)이 삽입되는 수용물가공수단과;
    수용물가공수단에 의해 가공된 마늘(G)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 상부에 설치하는 수용수단과;
    투입된 마늘(G)을 커버하도록 수용수단 상부에 구비한 뚜껑(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가공수단은 외주면 둘레에 다수의 마찰돌기(205)를 설치하고 내주면에 형성한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에 끼워지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 박피용회전체(200)와,
    상기 수용수단 내측에 설치한 마찰돌기(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가공수단은 외주면 하단에 복수의 분쇄칼날(215)을 설치하고 내주면에 형성한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에 끼워지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 분쇄용회전체(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물가공수단은 외주면 하단에 다수의 믹서칼날(225)을 설치하고 내주면에 형성한 삽입홈(230) 상단에는 상기 회전봉(130)에 끼워지도록 장착편(235)을 형성한 믹서용회전체(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외주면에 손잡이(340)를 구비하고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관(330)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마찰돌기(205)가 그 내주면 둘레에 부착된 제1용기(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수단은 외주면에 손잡이(340)를 구비하고 저면 중앙을 관통하여 삽입관(330)을 일체로 형성한 제2용기(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300)와 제2용기(310)는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8.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마찰돌기(205)는 마늘(G)과 접촉되는 단부의 형상을 곡면으로 형성하고 내부를 중공되게 형성하며 마찰력이 강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0)은 작동버튼(15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연장 성형한 부분의 하측면에 가압부(4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2004-0001639U 2004-01-20 2004-01-20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0346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39U KR200346869Y1 (ko) 2004-01-20 2004-01-20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39U KR200346869Y1 (ko) 2004-01-20 2004-01-20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69Y1 true KR200346869Y1 (ko) 2004-04-01

Family

ID=4942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39U KR200346869Y1 (ko) 2004-01-20 2004-01-20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6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091B1 (ko) * 2004-08-05 2009-03-11 사이몬 하이모프 마늘 박피기
KR200471770Y1 (ko) 2012-08-24 2014-03-14 (주)일렉토피아 마늘 박피기용 필러볼
KR101470609B1 (ko) * 2013-11-08 2014-12-08 주식회사 아우름물산 자동마늘 탈피용 볼
KR101809533B1 (ko) * 2016-02-05 2017-12-15 최재수 과채류 분쇄기
KR101898193B1 (ko) 2017-06-27 2018-09-12 박영섭 실리콘 마찰돌기형 마늘박피기
KR20200063762A (ko) * 2018-11-28 2020-06-05 임재규 마늘 탈피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091B1 (ko) * 2004-08-05 2009-03-11 사이몬 하이모프 마늘 박피기
KR200471770Y1 (ko) 2012-08-24 2014-03-14 (주)일렉토피아 마늘 박피기용 필러볼
KR101470609B1 (ko) * 2013-11-08 2014-12-08 주식회사 아우름물산 자동마늘 탈피용 볼
KR101809533B1 (ko) * 2016-02-05 2017-12-15 최재수 과채류 분쇄기
KR101898193B1 (ko) 2017-06-27 2018-09-12 박영섭 실리콘 마찰돌기형 마늘박피기
KR20200063762A (ko) * 2018-11-28 2020-06-05 임재규 마늘 탈피기
KR102149859B1 (ko) * 2018-11-28 2020-08-31 임재규 마늘 탈피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0704B2 (en) Garlic peeler
JP5246957B2 (ja) 食材加工用装置
JP6017090B2 (ja) 搾り滓開閉機構が備えられたジューサー
MX2008016259A (es) Extractor de jugos.
KR200497878Y1 (ko) 착즙기
KR200346869Y1 (ko) 다기능용 마늘가공장치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US9078543B2 (en) Disposable grinder
JP5629855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100871918B1 (ko) 믹서기용 배출구조
JP5866651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
KR200497316Y1 (ko) 착즙기
KR200494287Y1 (ko) 착즙기
KR100789417B1 (ko) 다기능 분쇄기
KR200343854Y1 (ko) 소형믹서
KR102532522B1 (ko) 복합 블렌더
KR20200005813A (ko) 소형 믹서기
KR200189236Y1 (ko) 분쇄기
KR200289845Y1 (ko) 미니믹서
KR200337882Y1 (ko) 믹서기
KR200212716Y1 (ko) 믹서기 겸용 분쇄기
KR200295000Y1 (ko) 탈수 겸용 믹서기
JP3757934B2 (ja) ソフトアイス飲料製造装置
CN217937867U (zh) 榨汁机
KR101955166B1 (ko) 식재료를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식재료 분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