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035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035B1
KR101053035B1 KR1020080068449A KR20080068449A KR101053035B1 KR 101053035 B1 KR101053035 B1 KR 101053035B1 KR 1020080068449 A KR1020080068449 A KR 1020080068449A KR 20080068449 A KR20080068449 A KR 20080068449A KR 101053035 B1 KR101053035 B1 KR 101053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utting
blade
extension
proces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057A (ko
Inventor
오성제
조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508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303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카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카라
Priority to KR1020080068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035B1/ko
Priority to PCT/KR2009/003825 priority patent/WO2010008164A2/ko
Publication of KR20100008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below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기 위한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기 위한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는 하우징(housing), 커팅 브라켓(cutting bracket), 그리고 임펠러(impeller)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음식물 처리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음식물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에서 처리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음식물 배출구를 구비한다. 커팅 브라켓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임펠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팅 브라켓의 하면과 외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아래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는 제1 블레이드(blade)와 상기 커팅 브라켓의 상면과 내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위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커팅 브라켓과 임펠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식물의 절단 및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커팅 브라켓, 임펠러, 절단, 교반, 배출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DEVICE FOR CUTTING AND MIXING FOOD GARBAGE OF FOOD GARBAGE DISPOS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기 위한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정책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분리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유발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교반하고 건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였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고 교반하는 과정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효율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고 교반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기 위한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는 하우징(housing), 커팅 브라켓(cutting bracket), 그리고 임펠러(impeller)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음식물 처리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음식물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에서 처리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음식물 배출구를 구비한다. 커팅 브라켓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임펠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팅 브라켓의 하면과 외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아래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는 제1 블레이드(blade)와 상기 커팅 브라켓의 상면과 내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위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커팅 브라켓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아래 끝단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면, 상기 제2 연장부의 외면, 그리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면, 상기 제2 연장부의 내면, 그리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상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 브라켓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아래 끝단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커팅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연장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커팅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외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는 한 측면은 오목하고 다른 한 측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는 한 측면은 오목하고 다른 한 측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배출구는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팅 브라켓은,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볼록한 쪽이 선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 중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진입하는 쪽의 반대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식물 배출구는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커팅 브라켓은 그 양 측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처리 공간에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커팅 브라켓이 구비되고 커팅 브라켓의 하면과 외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커팅 브라켓의 아래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가지는 제1 블레이드와 커팅 브라켓의 상면과 내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커팅 브라켓의 위를 지나는 회전 궤적으로 가지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가 구비됨으로써, 커팅 브라켓과 임펠러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식물의 절단 및 교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1 블레이드가 한 측면이 볼록하고 다른 한 측면은 오목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임펠러가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임펠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음식물이 임펠러의 중심부로 보이게 되거나 하우징의 내벽 쪽으로 모일 수 있어 음식물의 절단, 건조, 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커팅 브라켓이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처리된 음식물이 커팅 브라켓에 부딪혀 그 아래에 있는 음식물 배출구로 떨어지게 되므로 처리된 음식물이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음식물 배출구가 하우징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제1 블레이드가 한 측면이 볼록하고 다른 한 측면은 오목하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임펠러가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나아가 커팅 브라켓이 제1 블레이드의 볼록한 쪽이 선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 중 제1 블레이드가 진입하는 반대 측으로 치우쳐 위치함으로써, 음식물이 제1 블레이드의 볼록한 측면에 의해 밀려 하우징 내벽 쪽으로 이동하여 음식물 배출구로 몰리게 되고 특히 커팅 브라켓이 제1 블레이드가 진입하는 쪽의 반대 측으로 치우쳐 배치됨으로써 제1 블레이드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음식물이 커팅 브라켓에 부딪혀 음식물 배출구로 떨어질 수 있는 공간이 더 많이 확보되어 음식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는 처리 대상인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는 스탠드(stand)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케이스(case)(101) 내에 음식물을 절단, 교반, 건조, 가스 배출 및 보관 등을 위한 각종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는 음식물 투입을 위한 개폐 커버(10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개폐 커버(103)가 열린 상태에서 내부로 처리할 음식물을 투입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커버(103)는 외부 케이스(101)에 피봇(pivot) 가능하게 체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100)의 상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는 음식물 처리 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housing)(13)을 포함한다.
하우징(13)은 음식물 처리 공간(11)으로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음식물 투입구(15)와 음식물 처리 공간(11)에서 처리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음식물 배출구(17)를 구비한다. 음식물 투입구(15)는 하우징(13)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음식물 배출구(17)는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3)은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음식물 처리 공간(11)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3)은 상부 부재(19)와 하부 부재(2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부재(19)와 하부 부재(21) 사이의 밀봉을 위해 상부 부재(19)와 하부 부재(21) 사이에 끼워지는 밀봉 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19)는 내부에 빈 공간이 있고 아래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부재(19)의 위 면에는 처리될 음식물의 투입을 위한 음식물 투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부재(21)는 내부에 빈 공간이 있고 위 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 부재(21)의 바닥에는 처리된 음식물의 배출을 위한 음식물 배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23)는 전체적으로 고리 형상을 가지며 서로 접촉하는 상부 부재(19)의 아래 둘레와 하부 부재(21)의 위 둘레(27)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부재(19), 하부 부재(21), 그리고 밀봉 부재(23)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19), 하부 부재(21), 그리고 밀봉 부재(23)는 볼트(bolt), 클램프(clamp) 등 다양한 결합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3)의 내부에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 공간(11)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실린더(cylinder)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음식물 배출구(17)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음식물 배출 조절 장치가 음식물 배출구(17)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음식물 배출 조정 장치의 작동에 의해 원하는 시점에서 처리된 음식물이 음식물 처리 공간(11)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음식물 배출구(17)의 아래에는 처리된 음식물을 보관하는 처리 음식물 보관함(도시되지 아니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가열 장치(29)가 하우징(13)의 아래 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장치(29)는 전기 저항이 큰 전기 저항선이 내부를 지나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3)의 아래 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 장치(29)의 전기 저항선에 전기가 인가되면 가열 장치(29)가 가열되고, 가열 장치(29)의 열이 하우징(13)으로 전달되어 하우징(13) 내부의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있는 음식물이 가열되어 건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의 건조 과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에 의한 절단 및 교반 과정과 함께 수행될 수도 있고 절단 및 교반 과정이 종료된 후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는 하우징(13)의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배치되는 커팅 브라켓(cutting bracket)(31)과 임펠러(impeller)(33)를 포함한다. 커팅 브라켓(31)과 임펠러(33)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있는 음식물이 절단되고 교반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팅 브라켓(31)은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돌출되도록 음식물 처리 공간(11)을 형성하는 하우징(13)의 내벽(35)에 고정된다. 하우징(13)의 내벽(35)에는 커팅 브라켓(31)이 밀착되어 고정되는 위치에 장착 시트(seat)(37)가 함몰되어 형성되고, 커팅 브라켓(31)은 이 장착 시트(37)에 끼워지는 장착부(39)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9)는 하우징(13)의 내벽(35)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장착부(39)와 장착 시트(37)에는 나사 홀(41, 43)이 각각 형성되며 이 나사 홀(41, 43)에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커팅 브라켓(31)이 하우징(13)의 내벽(35)에 고정된다. 커팅 브라켓(31)을 하우징(13)에 장착하기 위한 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커팅 브라켓(31)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자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13)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팅 브라켓(31)은 한 번 이상 절곡되어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며 이 절곡된 부분이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위치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팅 브라켓(31)은 하우징(13)의 내벽(35)에서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45), 이 제1 연장부(45)의 내측 끝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47), 그리고 제2 연장부(47)의 아래 끝단에서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연장부(49)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45)는 하우징(13)의 내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며, 제2 연장부(47)는 제1 연장부(45) 의 내측 끝단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고, 제3 연장부(49)는 제2 연장부(49)의 아래 끝단에서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음식물 처리 공간(1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된다. 이에 따라 커팅 브라켓(3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단 형상을 가지게 된다.
임펠러(33)는 하우징(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노출되도록 하우징(13)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33)는 양 방향(즉, 도 5에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임펠러(33)는 하우징(13)의 바닥을 관통하여 삽입된 회전축(51)에 체결되어 회전축(51)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축(51)의 모터(motor) 등의 동력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임펠러(33), 회전축(51), 그리고 하우징(13) 사이의 밀봉을 위해 오링(O-ring)(53)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임펠러(33)는 서로 다른 회전 궤적을 갖는 제1 블레이드(blade)(55)와 제2 블레이드(57)를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55)는 커팅 브라켓(31)의 아래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고, 제2 블레이드(57)는 커팅 브라켓(31)의 위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는다. 즉, 임펠러(33)가 하우징(13)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2 블레이드(57)가 제1 블레이드(55)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며, 제1 블레이드(55)는 회전하면서 커팅 브라켓(31)의 아래를 지나게 되고 제2 블레이드(57)는 회전하면서 커팅 브라켓(31)의 위를 지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55)는 커팅 브라켓(31)의 하면과 외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55)는 커팅 브라켓(31)의 제1 연장부(45)의 하면, 제2 연장부(47)의 외면, 그리고 제3 연장부(49)의 하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블레이드(55)는 몸체부(61)와 돌출부(63)를 포함한다. 몸체부(61)는 임펠러(33)의 회전 중심축에서 하우징(13)의 내벽으로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며, 돌출부(63)는 몸체부(61)의 끝단에서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몸체부(61)는 커팅 브라켓(31)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상태에서 커팅 브라켓(31)의 제3 연장부(49)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며, 돌출부(63)는 커팅 브라켓(31)의 제1 연장부(45)의 하면과 제2 연장부(47)의 외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61)의 상면과 돌출부(63)의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팅 브라켓(3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음식물 절단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5)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5)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제1 블레이드(55)는 임펠러(33)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55)는 곡선의 형상을 가지도록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를 향해 내 려다 봤을 때, 제1 블레이드(55)의 한 측면은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다른 한 측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블레이드(57)는 커팅 브라켓(31)의 상면과 내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제2 블레이드(57)는 커팅 브라켓(31)의 제1 연장부(45)의 상면, 제2 연장부(47)의 내면, 그리고 제3 연장부(49)의 상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들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블레이드(57)는 임펠러(33)의 회전 중심축에서 하우징(13)의 내벽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연장부(65), 이 제4 연장부(65)의 외측 끝단에서 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연장부(67), 그리고 제5 연장부(67)의 위 끝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연장부(69)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연장부(65)의 하면은 커팅 브라켓(31)의 제1 연장부(49)의 상면과 마주하며, 제5 연장부(67)의 외면은 커팅 브라켓(31)의 제2 연장부(47)의 내면과 마주하고, 제6 연장부(69)의 하면은 커팅 브라켓(31)의 제3 연장부(45)의 상면과 마주한다.
하우징(13) 내부의 음식물 처리 공간(11)에 음식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임펠러(33)가 회전하면, 임펠러(33)의 제1 블레이드(55)가 커팅 브라켓(31)의 아래를 통과할 때 커팅 브라켓(31)의 하면과 제1 블레이드(55)의 상면에 의해 음식물이 절단되고, 임펠러(33)의 제2 블레이드(57)가 회전하면서, 특히 커팅 브라켓(31)의 위를 지나면서 음식물이 잘 섞이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골고루 절단될 수 있으며 하우징(13)에 설치되는 가열 장치(29)에 의해 음식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다.
특히, 제1 블레이드(55)가 휘어지게 형성되고 임펠러(33)가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임펠러(3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음식물이 임펠러(33)의 중심부로 모이게 되거나 하우징(13)의 내벽 쪽으로 모이게 될 수 있어 음식물의 절단, 건조, 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커팅 브라켓(31)은 그 양 측면 중 하나 이상이 하우징(13)의 바닥에 형성된 음식물 배출구(17)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 처리가 완료되어 음식물 배출을 위해 음식물 배출구(17)가 개방된 경우, 제1 블레이드(55)나 제2 블레이드(57)에 밀려 이동하는 음식물이 커팅 브라켓(31)에 부딪혀서 그 아래에 있는 음식물 배출구(17)로 떨어지게 되므로 음식물의 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배출구(17)가 하우징(13)의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임펠러(33)의 제1 블레이드(55)가 볼록한 측면과 오목한 측면을 갖도록 휘어져 형성되는 경우, 커팅 브라켓(31)은 임펠러(33)의 제1 블레이드(55)의 볼록한 쪽의 측면이 선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음식물 배출구(17)의 수직 상부 중 제1 블레이드(55)가 진입하는 쪽의 반대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33)가 제1 블레이드(55)의 볼록한 쪽이 선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음식물이 제1 블레이드(55)의 볼록한 측면에 의해 밀려 하우징(13)의 내벽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하우징(13)의 바닥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음식물 배출구(17)로 음식물이 몰려 음식물이 보다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나아가 커팅 브라켓(31)이 음식물 배출구(17)의 수직 상부 중 제1 블레이드(55)가 진입하는 쪽 의 반대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블레이드(55)에 의해 밀려 이동하는 음식물이 커팅 브라켓(31)에 부딪혀 음식물 배출구(17)로 떨어질 수 있는 공간이 더 많이 확보됨으로써 음식물이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커팅 브라켓과 임펠러의 제1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커팅 브라켓과 임펠러의 제2 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의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커팅 브라켓과 임펠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음식물 처리 공간 13: 하우징
15: 음식물 투입구 17: 음식물 배출구
31: 커팅 브라켓 33: 임펠러
55: 제1 블레이드 57: 제2 블레이드

Claims (9)

  1. 삭제
  2.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을 절단하고 교반하기 위한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로서,
    음식물 처리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음식물을 투입하기 위한 음식물 투입구와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에서 처리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음식물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housing),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내측 끝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의 아래 끝단에서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를 포함하는 커팅 브라켓(cutting bracket),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커팅 브라켓의 하면과 외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아래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면, 상기 제2 연장부의 외면, 그리고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제1 블레이드(blade)와, 상기 커팅 브라켓의 상면과 내면의 형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팅 브라켓의 위를 지나는 회전 궤적을 갖도록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면, 상기 제2 연장부의 내면, 그리고 상기 제3 연장부의 상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임펠러(impeller)를 포함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커팅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3 연장부의 하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축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벽을 향해 연장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커팅 브라켓과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장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외면과 각각 마주하는 면을 구비하도록 상기 몸체부로부터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한 측면은 오목하고 다른 한 측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휘어져 형성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는 한 측면은 오목하고 다른 한 측면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휘어지게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는 양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배출구는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커팅 브라켓은, 상기 임펠러는 상기 제1 블레이드의 볼록한 쪽이 선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 중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진입하는 쪽의 반대 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배출구는 상기 음식물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커팅 브라켓은 그 양 측면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음식물 배출구의 수직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KR1020080068449A 2008-07-15 2008-07-15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KR101053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449A KR101053035B1 (ko) 2008-07-15 2008-07-15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PCT/KR2009/003825 WO2010008164A2 (ko) 2008-07-15 2009-07-13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449A KR101053035B1 (ko) 2008-07-15 2008-07-15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57A KR20100008057A (ko) 2010-01-25
KR101053035B1 true KR101053035B1 (ko) 2011-08-02

Family

ID=4155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449A KR101053035B1 (ko) 2008-07-15 2008-07-15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53035B1 (ko)
WO (1) WO201000816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2U (ko) * 2019-10-22 2023-07-2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279B1 (ko) * 2013-11-18 2016-01-08 김혜온 분쇄 및 교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어셈블리
WO2023282444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416A (ja) * 2001-05-28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機
JP2003211120A (ja) * 2002-01-18 2003-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151B2 (ja) * 1993-04-09 2001-1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厨芥処理機
JP2006062883A (ja) * 2004-08-24 2006-03-09 Nichiha Corp 木質セメント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6416A (ja) * 2001-05-28 2002-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ゴミ処理機
JP2003211120A (ja) * 2002-01-18 2003-07-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芥処理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502U (ko) * 2019-10-22 2023-07-2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230001518U (ko) * 2019-10-22 2023-07-27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0497816Y1 (ko) * 2019-10-22 2024-03-08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KR200497878Y1 (ko) * 2019-10-22 2024-03-22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08164A2 (ko) 2010-01-21
WO2010008164A3 (ko) 2010-04-29
KR20100008057A (ko) 201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EP2221106A1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0530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KR101362968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03663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12166197A (ja) 飲食物処理システムの乾燥機
KR1010176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7624B1 (ko) 건식 수직형 혼합기
KR100573965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90066946A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10013377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76804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25958B1 (ko) 음식물 처리기 세트
KR101066115B1 (ko) 회전식 쓰레기 건조장치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200360297Y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4507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4927087A (en) Ice shaving system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339772B1 (ko) 미생물 액상발효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파분쇄 및 분해장치
KR10141860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CN214655839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洗衣机
CN219950553U (zh) 一种废水中溶解性无机物组分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8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618

Effective date: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