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853B1 -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853B1
KR101578853B1 KR1020150040059A KR20150040059A KR101578853B1 KR 101578853 B1 KR101578853 B1 KR 101578853B1 KR 1020150040059 A KR1020150040059 A KR 1020150040059A KR 20150040059 A KR20150040059 A KR 20150040059A KR 101578853 B1 KR101578853 B1 KR 10157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drying
water
upp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배
이상철
Original Assignee
김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배 filed Critical 김관배
Priority to KR102015004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처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물과 함께 이동하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와, 연결부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와, 물기제거부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물기제거부와 건조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기능을 향상시켜 쓰레기의 배출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식기를 세척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된다.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나 음식물 쓰레기통에 넣은 후 폐기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처리되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가 있다. 음식물 처리장치에서는 음식물을 분쇄한 후 분쇄된 음식물에 미생물을 투입한다. 미생물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가 친환경적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를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는 물기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며 악취가 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및 배출작업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75206호(2014. 06. 19 공개, 발명의 명칭: 일체형 주방용 오물분쇄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후처리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분쇄부에서 분쇄된 음식물이 물과 함께 이동하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부와, 연결부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와, 물기제거부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물기제거부와 건조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물기제거부는, 연결부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 및 이송스크루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배출공을 구비하며 음식물에서 배출된 물을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배수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기제거부는, 연결부와 연통되며 배수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내측몸체부를 포함하며, 배수케이스와 이송스크루는 내측몸체부에 하측이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케이스는 배출공을 형성하는 메쉬망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송스크루를 통해 상측으로 이송되는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는 배출공을 통해 측면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수케이스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통공되어 측면연결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몸체부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베이스몸체와, 베이스몸체의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며 연결부와 연결되는 관로연결부와, 베이스몸체에 접하는 배수케이스의 하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배수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돌기 및 베이스몸체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스크루는, 배수케이스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심축에는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루몸체 및 이송스크루몸체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부는, 물기제거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물기제거부를 통해 이송된 음식물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건조몸체와, 건조몸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건조몸체의 내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및 건조몸체의 내측을 회전하며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의 출력축은 교반날개부와 이송스크루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교반날개부와 이송스크루는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분쇄인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므로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이송스크루와 배수케이스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음식물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분쇄부와 배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물기제거부와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기제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기제거부와 건조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가 동작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에서 배출부로 건조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분쇄부와 배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배출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와 물기제거부와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기제거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기제거부와 건조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가 동작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가 동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에서 배출부로 건조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는, 하우징부(10), 분쇄부(20), 연결부(30), 물기제거부(40), 건조부(60), 구동부(80), 탄성캡부재(90), 보조교반부(100), 도어부(110), 배출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음식물 처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며, 분쇄부(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1하우징(12)과, 물기제거부(40)와 건조부(6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하우징(14)을 포함한다.
분쇄부(20)는 물과 함께 전달된 음식물(130)을 분쇄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분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20)는, 입구커버부(22), 경사안내부(23), 커터부(24), 분쇄모터(26)를 포함한다.
입구커버부(22)는 분쇄부(20)의 상측에 설치되며, 경사안내부(23)의 상측을 커버하여 음식물 처리장치(1)의 운방 중 분쇄부(2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투입됨을 방지한다. 음식물 처리장치(1)가 설치되거나 사용될 때에는 입구커버부(22)를 음식물 처리장치(1)에서 분리한다.
입구커버부(2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사안내부(23)는 중앙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가운데는 물과 음식물(130)이 통과되도록 통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터부(24)는 복수 개의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경사안내부(23)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 음식물(130)과 물은 커터부(24)의 회전에 의해 분쇄된다.
커터부(24)의 하측에는 분쇄모터(26)가 설치되며, 분쇄모터(26)의 출력축(82)은 커터부(24)의 회전중심에 연결되므로, 구동축의 동작에 의해 커터부(24)가 회전된다.
연결부(30)는 분쇄부(20)에서 분쇄된 음식물(130)이 물과 함께 이동하도록 관로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30)의 일측은 분쇄부(20)에 연결되며 타측은 물기제거부(40)에 연결된다. 연결부(30)의 일측은 연결부(30)의 타측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분쇄부(20)에서 분쇄된 음식물(130)은 물과 함께 낙하되어 하측에 위치한 물기제거부(4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연결부(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하측은 수평방향으로 굽어지며 몸체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기제거부(40)는 연결부(30)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13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물기제거부(40)는, 이송스크루(42), 배수케이스(47), 내측몸체부(50)를 포함한다.
이송스크루(42)는 연결부(30)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13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루(42)는, 배수케이스(47)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심축에는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루몸체(43) 및 이송스크루몸체(43)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음식물(13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44)를 포함한다. 이송스크루(42)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에 비하여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송스크루(42)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은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낙하되어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배수케이스(47)는 이송스크루(42)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배출공(48)을 구비하며, 음식물(130)에서 배출된 물을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케이스(47)는 배출공(48)을 형성하는 메쉬망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송스크루(42)를 통해 상측으로 이송되는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기는 배출공(48)을 통해 측면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수케이스(47)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부(30)와 연결되는 부분은 통공되어 측면연결공(49)을 형성한다. 배수케이스(47)와 이송스크루(42)는 내측몸체부(50)에 하측이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음식물(130)에서 물기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내측몸체부(50)는 연결부(30)와 연통되며 배수케이스(47)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몸체부(50)는, 베이스몸체(52), 관로연결부(54), 고정돌기(56), 몸체배출구(58)를 포함한다.
베이스몸체(52)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음식물(130)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베이스몸체(52)에 구동부(80)의 출력축(82)과, 이송스크루(42)와 배수케이스(47)의 하부가 지지된다.
관로연결부(54)는 베이스몸체(52)의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며 연결부(30)와 연결된다. 관로연결부(54)의 일측은 연결부(30)와 연결되며 관로연결부(54)의 타측은 배수케이스(47)의 측면연결공(49)에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30)를 통해 이동된 물과 음식물(130)은 측면연결공(49)을 통해 배수케이스(47)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고정돌기(56)는 베이스몸체(52)에 접하는 배수케이스(47)의 하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배수케이스(47)의 하부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돌기(56)는 배수케이스(47)의 외측에 위치하며, 배수케이스(47)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배수케이스(47)의 하부는 고정돌기(56)에 접하여 측면 이동이 구속되며, 배수케이스(47)에서 배출되는 물이 몸체배출구(58)를 통해 배출됨이 용이하도록 고정돌기(56)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배출구(58)는 베이스몸체(52)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배출구(58)는 베이스몸체(52)의 일측 하부에 통공을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베이스몸체(52)에서 하측으로 낙하되는 물의 흐름만 이동을 허용한다.
도 6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60)는 물기제거부(40)를 통해 공급받은 음식물(130)을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부(60)는 건조몸체(61), 가열부(70), 교반날개부(75)를 포함한다.
건조몸체(61)는 물기제거부(40)의 상측에 위치하며, 물기제거부(40)를 통해 이송된 음식물(130)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몸체(61)는 물기제거부(40)와 연통되어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130)을 공급받는 하부건조몸체(62)와, 하부건조몸체(62)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부건조몸체(67) 및 하부건조몸체(62)에 개구된 구멍을 형성하며 하부건조몸체(62)에서 건조된 음식물(130)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구(66)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건조몸체(62)는 외통(63), 내통(64), 하부브라켓(65), 커버케이스(78), 베이스부재(79)를 포함한다. 외통(63)과 내통(64)은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통(63)의 내측에 내통(64)이 위치한다. 내통(64)의 내측에는 물기제거부(40)에서 상측으로 이송된 음식물(130)이 공급되며, 회전되는 교반날개부(75)에 의해 음식물(130)이 골고루 교반되면서 건조된다.
외통(63)과 내통(64)의 사이에는 제1가열부재(72)를 고정하기 위한 하부브라켓(65)이 설치되어 제1가열부재(72)를 고정시킨다. 하부브라켓(65)은 가운데에 구멍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브라켓(65)의 외측에는 제1가열부재(72)를 감싸는 홈부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다.
커버케이스(78)는 외통(63)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케이스(78)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버케이스(78)의 하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베이스부재(79)가 설치되며, 베이스부재(79)는 내측몸체부(50)의 상측에 고정된다.
하부건조몸체(62)에서 커버케이스(78)의 내측에 외통(63)이 위치하며, 외통(63)의 내측에 내통(64)이 위치한 상태에서, 하측 모서리의 일부가 개구되어 배출구(66)를 형성한다. 배출구(66)는 도어부(110)의 도어패널(114)에 의해서 개폐되며, 도어패널(114)이 열린 상태에서 건조부(60)에서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130)은 배출구(66)를 통해 배출부(120)로 이동된다.
상부건조몸체(67)는 건조되는 음식물(130)의 상측을 차폐하며, 내측에는 제2가열부재(74)가 설치되어 하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건조몸체(67)는 상부커버(68)와 결합몸체(69)를 포함한다. 상부건조몸체(67)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몸체(69)는 상부건조몸체(67)의 하측에 결합된다. 결합몸체(69)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커버(68)와 결합몸체(69)의 사이에는 제2가열부재(74)가 설치된다.
가열부(70)는 건조몸체(61)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건조몸체(61)의 내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70)는, 하부건조몸체(62)에 설치되며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건조몸체(61)의 하측을 가열시키는 제1가열부재(72) 및 상부건조몸체(67)에 설치되며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건조몸체(61)의 상측을 가열시키는 제2가열부재(74)를 포함한다. 제1가열부재(72)와 제2가열부재(74)는 열선이나 히트파이프를 사용하며, 링 형상으로 권선되거나 곡선 형상으로 굽어져서 설치된다. 제1가열부재(72)와 제2가열부재(74)는 따로 동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같이 동작되는 등 다양한 동작상태를 갖는다.
교반날개부(75)는 건조몸체(61)의 내측을 회전하며 음식물(130)을 교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교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반날개부(75)는, 이송스크루(42)를 관통하는 구동부(80)의 출력축(82)에 연결되어 이송스크루(42)와 함께 회전하는 날개몸체부(76) 및 날개몸체부(76)에서 건조몸체(61)의 하부를 따라 연장되는 날개부재(77)를 포함한다. 날개부재(77)는 하부건조몸체(62)를 구성하는 내통(64)의 하측면 형상을 따라 굽어지므로 날개부재(77)의 회전시 내통(64)에 있는 음식물(130)의 교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80)는 물기제거부(40)와 건조부(60)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80)의 출력축(82)은 교반날개부(75)와 이송스크루(42)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교반날개부(75)와 이송스크루(42)는 출력축(82)과 함께 회전된다. 출력축(82)은 상부건조몸체(67)와 날개몸체부(76)와 하부건조몸체(62)와 이송스크루몸체(43)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출력축(82)은 날개몸체부(76)와 이송스크루몸체(43)에 고정되므로 출력축(82)이 회전될 때 날개몸체부(76)와 이송스크루몸체(43)도 같이 회전된다.
한편 물기제거부(40)의 배수케이스(47) 상측에는 탄성캡부재(90)가 설치된다. 탄성캡부재(90)는 이송스크루(42)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음식물(130)에 의해 상측으로 휘어지므로 음식물(130)이 건조부(6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캡부재(90)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음식물 처리장치(1)에는 보조교반부(100)가 추가로 설치되어 교반날개부(75)와 함께 음식물(130)을 교반시키므로 음식물(130)의 건조가 보다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교반부(100)는, 건조몸체(61)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교반모터(102)와, 교반모터(102)에서 연장되어 건조몸체(61)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교반모터(102)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건조몸체(61)의 내측에 있는 음식물(130)을 교반시키는 보조날개(104)를 포함한다. 교반모터(102)는 상부건조몸체(67)의 상측에 위치하며,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된다. 보조날개(104)는 교반모터(102)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건조몸체(6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도어부(110)는 제어신호에 의해 배출구(66)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110)는 도어구동부(112)와 도어패널(114)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구동부(112)는 실린더나 솔레노이드밸브가 사용되며, 도어구동부(112)에 링크 연결된 도어패널(114)은 도어구동부(112)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어 배출구(66)를 개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120)는 건조부(60)에서 건조된 음식물(130)을 저장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부(120)는 배출커버(122), 회수저장부(124), 회수저장커버(126), 감지센서(128)를 포함한다.
배출커버(122)는 제2하우징(14)에 결합되어 제2하우징(14)과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배출커버(122)는 회수저장부(124)의 외측에 위치하며 회전되거나 슬라이드 이동되어 회수저장부(124)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회수저장부(124)는 배출구(66)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건조된 음식물(130)이 내측에 저장된다. 회수저장커버(126)는 회수저장부(124)의 상측을 커버하며, 배출구(66)와 마주하는 하측에만 구멍이 형성되므로 배출구(66)를 통해 낙하되는 음식물(130)은 회수저장커버(126)를 통과해 회수저장부(124)의 내측에 저장된다.
회수저장부(124)의 하측에는 감지센서(128)가 설치되므로, 회수저장부(124)가 센서부의 상측에 장착된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센서(128)는 회수저장부(124)의 무게가 설정된 무게 이상이 되면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므로 회수저장부(124)에 음식물(130)이 설정치 이상으로 차게 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몸체(61)의 상측에는 송풍팬(142)과 송풍덕트(140)가 설치되므로, 건조몸체(61) 내측에 있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를 외측으로 배기시켜 음식물(130)의 건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처리장치(1)가 싱크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음식물(130)이 물과 함께 분쇄부(20)의 내측으로 투입된다. 분쇄모터(26)의 동작으로 커터부(24)가 회전하면서 음식물(130)을 분쇄하며, 분쇄된 음식물(130)과 물은 연결부(30)를 통해 물기제거부(40)로 이동한다.
관로연결부(54)를 통해 배수케이스(47)의 측면연결공(49)으로 공급된 음식물(130)과 물은 이송스크루(42)의 회전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물은 망 형상으로 형성된 배수케이스(47)의 배출공(48)을 통해 외측으로 배출되어 내측몸체부(50)의 하측으로 낙하된 후 몸체배출구(58)를 통해 음식물 처리장치(1)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구동부(80)의 동작으로 출력축(82)이 회전하면, 출력축(82)에 연결된 이송스크루(42)와 교반날개부(75)가 함께 회전된다. 이송스크루(42)를 따라 교반된 음식물(130)이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음식물(130)에 포함된 수분이 배수케이스(47)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송스크루(42)와 배수케이스(47)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므로 이송스크루(42)가 수평으로 설치된 것에 비하여 제품의 외형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기가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130)은 이송스크루(42)의 상측으로 이송되며, 탄성캡부재(90)를 상측으로 들어올리며 건조부(6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건조부(60)의 내측으로 공급된 음식물(130)은 교반날개부(75)에 의해 회전되면서 균일하게 교반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조교반부(100)도 동작하면서 보조날개(104)를 회전시키므로 건조몸체(61) 내로 공급된 음식물(130)의 교반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가열부재(72)와 제2가열부재(74)가 동작되어 건조몸체(61)의 상하측을 가열하므로, 교반되는 음식물(130)의 상하측이 가열되어 커피가루 같은 가루 형상으로 건조된다. 건조몸체(61) 내측에 있는 습기를 포함한 공기는 송풍팬(142)을 통해 강제 이송되어 송풍덕트(140)를 통해 외측으로 배기된다.
건조부(60)의 내측에서 건조가 완료된 음식물(13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10)의 도어구동부(112)가 동작되어 개구된 배출구(66)를 통해 회수저장부(124)의 내측으로 배출된다. 회수저장부(124)에 건조된 음식물(130)이 설정치 이상으로 채워지면, 감지센서(128)가 동작되어 사용자에게 알리므로 회수저장부(124)의 교체가 적정시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인 음식물(130)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므로 음식물(130)에 포함된 물기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음식물(130)의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130)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이송스크루(42)와 배수케이스(47)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음식물(130)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형을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부재(72)와 제2가열부재(74)가 함께 동작되어 음식물(130)의 상하부를 가열하므로 분쇄된 음식물(130)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교반날개부(75)와 함께 보조날개(104)가 회전하면서 음식물(130)을 교반시키므로 음식물(130)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싱크대에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른 곳에도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음식물 처리장치
10: 하우징부 12: 제1하우징 14: 제2하우징
20: 분쇄부 22: 입구커버부 23: 경사안내부 24: 커터부 26: 분쇄모터 30: 연결부
40: 물기제거부 42: 이송스크루 43: 이송스크루몸체 44: 이송날개 47: 배수케이스 48: 배출공 49: 측면연결공 50: 내측몸체부 52: 베이스몸체 54: 관로연결부 56: 고정돌기 58: 몸체배출구
60: 건조부 61: 건조몸체 62: 하부건조몸체 63: 외통 64: 내통 65: 하부브라켓 66: 배출구 78: 커버케이스 79: 베이스부재 67: 상부건조몸체 68: 상부커버 69: 결합몸체 70: 가열부 72: 제1가열부재 74: 제2가열부재 75: 교반날개부 76: 날개몸체부 77: 날개부재
80: 구동부 82: 출력축 90: 탄성캡부재
100: 보조교반부 102: 교반모터 104: 보조날개
110: 도어부 112: 도어구동부 114: 도어패널
120: 배출부 122: 배출커버 124: 회수저장부 126: 회수저장커버 128: 감지센서
130: 음식물 140: 송풍덕트 142: 송풍팬

Claims (8)

  1.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상기 음식물이 물과 함께 이동하도록 관로를 형성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받은 상기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음식물에 포함된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
    상기 물기제거부를 통해 공급받은 상기 음식물을 교반하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물기제거부와 상기 건조부에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기제거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해 공급받은 상기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루; 및
    상기 이송스크루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배출공을 구비하며, 상기 음식물에서 배출된 물을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배수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는, 상기 물기제거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기제거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음식물이 저장되는 내측공간을 구비하는 건조몸체;
    상기 건조몸체의 상측과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몸체의 내측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 및
    상기 건조몸체의 내측을 회전하며 상기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는,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상기 건조몸체의 하측을 가열시키는 제1가열부재; 및
    전기의 공급으로 동작되어 상기 건조몸체의 상측을 가열시키는 제2가열부재;를 포함하며,
    고무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배수케이스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크루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상기 음식물에 밀려서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탄성캡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몸체에 고정되며,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교반모터;
    상기 교반모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건조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교반모터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상기 건조몸체의 내측에 있는 상기 음식물을 교반시키는 보조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기제거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통되며,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내측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케이스와 상기 이송스크루는 상기 내측몸체부에 하측이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수케이스는, 상측과 하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부분은 통공되어 측면연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배출공을 형성하는 메쉬망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측몸체부는,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상기 음식물에서 배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베이스몸체;
    상기 베이스몸체의 측면에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관로연결부;
    상기 베이스몸체에 접하는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측 둘레를 따라 돌출되는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베이스몸체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몸체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스크루는, 상기 배수케이스의 내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중심축에는 수직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루몸체; 및
    상기 이송스크루몸체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음식물을 상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의 출력축은 상기 교반날개부와 상기 이송스크루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교반날개부와 상기 이송스크루는 상기 출력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건조몸체는, 상기 물기제거부와 연통되어 물기가 제거된 상기 음식물을 공급받는 하부건조몸체;
    상기 하부건조몸체의 상측을 차폐하는 상부건조몸체; 및
    상기 하부건조몸체에 개구된 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건조몸체에서 건조된 상기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부는,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도어구동부; 및
    상기 도어구동부에 링크 연결되며, 상기 도어구동부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도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40059A 2015-03-23 2015-03-23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7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59A KR101578853B1 (ko) 2015-03-23 2015-03-23 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0059A KR101578853B1 (ko) 2015-03-23 2015-03-23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853B1 true KR101578853B1 (ko) 2015-12-21

Family

ID=5508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0059A KR101578853B1 (ko) 2015-03-23 2015-03-23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8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223B2 (ko) * 1986-03-28 1991-09-04 Taiko Denki Seisakusho Kk
JPH11221549A (ja) * 1998-02-06 1999-08-17 Morita Econos Ltd 生ゴミ処理機
KR100541056B1 (ko) * 2002-11-22 2006-01-11 주식회사 에코포유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48582A (ko) * 2006-11-29 2008-06-03 이정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358223B2 (ja) * 2006-11-27 2009-11-04 宮田 ノイ子 生ゴミ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223B2 (ko) * 1986-03-28 1991-09-04 Taiko Denki Seisakusho Kk
JPH11221549A (ja) * 1998-02-06 1999-08-17 Morita Econos Ltd 生ゴミ処理機
KR100541056B1 (ko) * 2002-11-22 2006-01-11 주식회사 에코포유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358223B2 (ja) * 2006-11-27 2009-11-04 宮田 ノイ子 生ゴミ処理装置
KR20080048582A (ko) * 2006-11-29 2008-06-03 이정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US8267339B2 (en) Transfer unit having transfer rotor an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255550A (ja) 生ごみ乾燥処理機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6593B1 (ko)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903745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1013703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03744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1051A (ko) 분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10031805A (ko)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KR101705997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170013656A (ko) 슬러지 분리기가 내장된 음식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KR101711578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KR200426854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2A (ko) 컷팅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US20230096648A1 (en) Food waste disposer
CN216687940U (zh) 餐厨垃圾处理器用发酵单元供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