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593B1 -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593B1
KR101346593B1 KR1020130085112A KR20130085112A KR101346593B1 KR 101346593 B1 KR101346593 B1 KR 101346593B1 KR 1020130085112 A KR1020130085112 A KR 1020130085112A KR 20130085112 A KR20130085112 A KR 20130085112A KR 101346593 B1 KR101346593 B1 KR 101346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conveying
blade
rotating shaf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기
Original Assignee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앤케이테크 filed Critical (주)오앤케이테크
Priority to KR1020130085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22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recirculation of material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처리된 음식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축의 회전에 따라서 이송 대상 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회전축에 마련되고,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 대상 물체를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A conveyor screw module and a food disposer including i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신속하게 이송 및 분쇄하면서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또는 건조하여 가축의 사료나 퇴비로 사용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오늘날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여러 가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나 처리 방법에 관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은 1990년대 초반의 단순 건조방식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에는 미생물을 이용한 바이오방식이 주를 이루었고, 2000년대 중반부터 현재까지는 다시 건조방식이 시장 구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바이오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거나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고, 건조방식도 가격적 측면을 제외한 전기 소모량, 감량능력 및 냄새 제거 능력 내지 탈취 능력과 음식물 쓰레기의 자원화나 퇴비화를 통한 친환경적인 면에서의 문제로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있다.
이에, 건조방식의 장점을 융합한 분쇄 및 건조방식이 현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시장의 기술 트렌드로 되어있다.
특히, 분쇄 및 건조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0827452호(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서는 수분 분사노즐, 절단부, 저음 임펠러를 구비한 커팅 하우징과, 압축 스크류, 토출 임펠러를 구비한 압축 하우징 및 염분감지센서, 제어부, 건조부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한 다음 금속용기에 담고 물에 침전시킨 상태에서 초음파로 진동을 주어 음식물 쓰레기에 베어 있는 염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102476호(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한다)에서는 분쇄용 칼날에 의해 분쇄하는 분쇄부, 압착관, 스크류, 캡, 가이드관으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용 칼날에 의해 분쇄한 후 압착하여 물을 배출한 다음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도록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 1 및 2에 의하여도 음식물이 분쇄되는 부분이 한 군데밖에 없기 때문에 분쇄되지 아니한 부분에 의하여 이송 후 배출 과정에서 배출구가 막힐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 또는 기타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를 교반하고, 건조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별도의 공정으로 처리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음식물 처리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처리된 음식물에 의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송 스크류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 회전에 따라서 이송 대상 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회전축에 마련되고,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 대상 물체를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을 제공한다.
이송 블레이드는 이송 대상 물체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이송구간과; 이송부와 커터부 사이에 마련되어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이송 대상 물체를 커터부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압축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은 일단부에서 커터부가 마련되는 타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은 일단부에서 커터부가 마련되는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등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구간에 배치되는 이송 블레이드의 간격은 압축구간에 배치되는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 블레이드는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서 하나의 블레이드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송 블레이드는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서 두 개의 블레이드가 상호 교번적으로 나선형태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송 스크류 모듈은 이송 블레이드의 테두리에 마련되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축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 지름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어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축의 회전에 따라서 하우징에 투입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회전축에 마련되고,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회전축에 마련되고,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송 스크류 모듈이 수용되며,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이 토출방향으로 가면서 그 내벽과의 접촉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내벽을 구비하는 스크류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대용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파쇄하고, 교반 및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처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송 스크류 모듈은 이송부와, 압축 파쇄 구간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음식물이 압축 파쇄 구간으로 진입하면 수분이 빠지면서 부피가 줄어들 수 있으므로 처리되는 음식물의 중량이나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회전축의 직경이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기 때문에 음식물에 대한 압축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이송 스크류 모듈의 토출방향에 커터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이 커터부에 의하여 토출 직전의 음식물이 분쇄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입자를 좀더 작게 만들 수 있어서, 교반 및 건조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하우징은 이송 스크류 모듈이 수용되는데, 그 토출 부분에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진 내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송 스크류 하우징의 내벽은 이송 스크류 모듈의 회전축과 함께 토출방향으로 이동하는 음식물을 압축하는 역할을 하므로, 음식물의 부피 및 중량 감소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모듈을 이용하여 음식물 처리 중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악취로 인한 악영향을 제거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특히, 열교환 모듈에 외부 공기를 이용하는 제1열교환기와 냉매를 이용하는 제2열교환기를 두어 기체에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기체에 대한 응축 및 탈취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매를 이용한 제2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압축기 정지시, 제2열교환기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는 냉각수를 이용한 보조 열교환기를 배치함으로써, 제2열교환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순차적이고 효과적인 열교환을 통한 기체에 대한 응축 및 탈취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5(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파쇄부의 사시도이다.
도6(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파쇄 모듈의 평면도와 사시도이다.
도7 (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 파쇄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압축부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압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스크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11(a) 내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 스크류 모듈의 제1,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12(a) 내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 스크류 모듈의 제3,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13(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다.
도14(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6(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토출 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교반 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교반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의 구조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 중 제1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 중 제1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정면도이다.
도1과 내지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2)과, 외부 하우징(2) 내부에 마련되어 음식물이 투입되는 투입부(10)를 포함한다.
투입부(10)는 외부 하우징(2)에 마련되는 투입구(3)와 연통되게 마련된다.
투입부(10)의 하부에는 투입된 음식물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부(100)가 마련되고, 파쇄부(100)의 하부에는 파쇄된 음식물을 교반 건조부(300)로 이송시키면서, 압축할 수 있는 이송 압축부(200)가 마련된다.
이송 압축부(200)의 출구 측에는 파쇄, 압축, 이송된 음식물들이 서로 섞이면서 건조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교반 건조부(300)가 마련되고, 교반 건조부(300)의 상측에는 교반 건조부(300)에 있는 음식물로부터 나오는 기체를 다른 물질(예, 냉매, 냉각수,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열교환 모듈(400)이 마련된다.
한편, 교반 건조부(300)의 일측에는 교반 및 건조, 탈취가 완료된 음식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를 개폐하는 토출 도어(390)가 마련되고, 토출 도어(390)의 하부에는 토출된 음식물이 수용되면서 이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인출부(500)가 마련된다.
한편, 음식물 처리기(1)를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더 포함되는데, 제어부(600)는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특정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부의 사시도이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부(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되고, 각각의 벽에는 물분사 노즐(11)이 마련된다.
물분사 노즐(11)에서 분사되는 물은 음식물에 포함된 염분 제거와, 투입구 주위를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도5(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파쇄부의 사시도이고, 도6(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파쇄 모듈의 평면도와 사시도이고, 도7(a) 내지 (c)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 파쇄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부(100)는 투입부(10) 하부에 마련되어 투입부(10)의 하부와 연통되는 파쇄 하우징(101)과, 파쇄 하우징(101)의 내부에 마련되는 톱니 형태의 파쇄날을 구비하는 파쇄 모듈(102)을 구비한다.
파쇄 하우징(101)은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사진 형태의 입구를 갖는다.
파쇄 하우징(101) 내부에는 파쇄 모듈(10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데, 파쇄 모듈(102)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파쇄 모듈(102)의 파쇄 회전축(111,121)과 연결되는 회전 모터(103)가 마련된다.
도6(a)와 (b)은 파쇄 모듈(102)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a)와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 모듈(102)은 각각의 파쇄 회전축(111,121)에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는 톱니 형태의 파쇄날(112,122)과, 파쇄날(112,122) 사이에 마련되어 간격이 유지되도록 스페이서 역할을 하는 부시(113,123)가 마련된다.
파쇄날(112,113)은 제1파쇄 회전축(111)에 마련되는 제1파쇄날(112)과, 제2파쇄 회전축(121)에 마련되는 제2파쇄날(122)을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이웃하게 배치되되,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파쇄 회전축(111)과 제2파쇄 회전축(121)이 각각 내측방향을 회전하는 경우, 내측 방향으로 음식물이 위치한 경우, 제1,2파쇄날(112,122)에 의하여 잘게 파쇄 또는 분쇄될 수 있다.
도7은 다양한 형태의 파쇄날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7(a)는 파쇄 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6(a)(b)에서 나타난 파쇄 모듈과 동일한 것이다.
제1파쇄 회전축(111)과 제2파쇄 회전축(121)에 각각 제1,2파쇄날(112,122)이 장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제1파쇄 회전축(111)에 마련되는 제1파쇄날(112)의 회전 방향과 제2파쇄 회전축(121)의 마련되는 제2파쇄날(122)의 회전 방향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어느 한쪽이 시계 방향으로 돌면, 반대쪽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파쇄 동작을 수행한다.
도7(b)는 파쇄 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파쇄 회전축(111)상의 제1파쇄날(112)과 제2파쇄 회전축(121) 상의 제2파쇄날(122) 아래에 보조 파쇄날(132)이 마련되어 있다. 보조 파쇄날(132)은 보조 파쇄 회전축(13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파쇄는 제1파쇄 회전축(111)상의 제1파쇄날(112)과 제2파쇄 회전축 (121)상의 제2파쇄날(122) 사이에서 일어나고, 다시 한번, 제2파쇄날(122)과 보조 파쇄날(132)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다.
도7(c)는 파쇄 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파쇄 회전축(111)상의 제1파쇄날(112)과 제2파쇄 회전축(121) 상의 제2파쇄날(122) 아래에 각각 제1보조 파쇄날(142)과 제2보조 파쇄날(15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은 각각 제1,2보조 파쇄 회전축(141,151)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파쇄 동작은 제1파쇄날(112)과, 제1보조 파쇄날(142) 사이, 제1,2보조 파쇄날(142,152) 사이, 제2보조 파쇄날(152)과 제2파쇄날(122)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많은 양의 음식물을 짧은 시간에 파쇄할 수 있다.
파쇄부(100)는 이송 압축부(200)와 연결되기 때문에 파쇄 모듈(102)에 의하여 파쇄된 음식물은 이송 압축부(200)로 낙하하여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이송 압축부(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압축부의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압축부의 측단면도이다.
도8과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압축부(200)의 구성은 이송 스크류 모듈(210)과, 이송 스크류 모듈(210)이 수용되는 스크류 하우징(250)을 포함한다.
이송동작은 이송 스크류 모듈(2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압축동작은 이송 스크류 모듈(210)과 스크류 하우징(250) 사이의 공간에서 음식물이 압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하우징(250)은 제1하우징(251)과, 제2하우징(252)으로 구분된다.
제1하우징(251)은 대략 사각통 형태로 마련되고, 상부에는 파쇄부(100)에서 파쇄된 음식물이 통과하여 투입되는 투입구가 마련된다.
제2하우징(252)은 대략 원통형태로 마련되고, 제1하우징(251)의 토출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하우징(251)에는 이송되고 압축된 음식물이 토출될 수 있는 토출구(280)가 마련된다.
토출구(280)를 통과하여 토출된 음식물은 교반 건조부(300)로 이동한다.
한편, 제1하우징(251)과 제2하우징(252)의 내벽에는 음식물로부터 나오는 수분을 배출할 수 있는 배수홀(261)이 마련된다.
도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하우징(250)의 하부에는 집수부(270)가 마련되어 있어서, 배수홀(261)을 통과한 물을 집수할 수 있다. 집수부(270)의 바닥면은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어 집수된 물이 일측으로 흘러가게 할 수 있다.
집수부(270)의 일측에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271)이 마련된다. 이송 스크류 모듈(210)은 스크류 하우징(25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양 단부에는 지지축(211)이 마련되고, 지지축(211) 사이에는 회전축(212)이 마련된다.
회전축(212)의 지름은 지지축(211)보다 현저하게 두껍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212)의 외주면에는 이송 블레이드(213)가 나선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송 블레이드(213)의 옆에는 커터부(214)가 마련되는데, 커터부(214)는 제2하우징(252)에서 토출되기 직전의 음식물을 한번 더 분쇄하거나 절단 또는 파쇄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회전축(212)의 직경은 음식물의 이송방향 또는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태가 된다.
한편, 제2하우징(252)의 내부 직경의 경우, 이송방향 또는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 즉 테이퍼 처리된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회전축(212) 직경과 제2하우징(252)의 내부 직경이 변하게 형성된 이유는 제2하우징(252) 내부로 이송된 음식물이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압축되어 그 부피를 줄이면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즉,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회전축(212) 외주면과 제2하우징(252) 내벽 사이의 공간이 점점 축소된 상태에서 그 안에 들어있는 음식물의 경우, 뒤에서 이송되는 음식물에 의하여 밀리면서 압축되어 그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압축되어 토출되는 음식물은 커터부(214)를 거치게 되어 한번 더 분쇄, 또는 파쇄, 또는 절단되어 보다 잘게 부수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송 및 압축 메커니즘을 구현하기 위해서 이송 압축부(200)는 이송구간과, 압축분쇄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송구간은 제1하우징(251)의 전단부에서 제2하우징(252) 진입 전 구간으로 정의되고, 압축 분쇄 구간은 제2하우징(252) 진입 전 부분에서 제2하우징(252) 후단부까지의 구간으로 정의된다.
한편, 상기 제2하우징(252)의 상부 후방에는 압축분쇄시 음식물이 제1하우징(251) 방향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턱 역할을 하는 역류 방지부(2525)가 마련된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스크류 모듈의 사시도이다. 특히, 도10은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이송 블레이드(213)가 나선형 블레이드로 구성되었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그 앞에 커터부(214)가 배치된 것도 상술한 바와 같다.
커터부(214)는 회전축(212)의 외주면을 둘러싸면서 지지되는 지지부(2141)와, 지지부(2141)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커터날(2142)을 포함한다.
커터날(2142)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과 도12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a)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기본이 되는 제1실시예로서, 상기 도10에서 나타난 것과 동일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송 블레이드(213)는 하나의 나선이 회전축(212)을 둘러싸면서 이송방향으로 이어지되, 이송 블레이드(213) 사이의 간격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11(b)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제2실시예로서, 이송 블레이드(213)는 하나의 나선이 회전축(212)을 둘러싸면서 이송방향으로 이어지되, 이송 블레이드(213) 사이의 간격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초기 이송구간에는 많은 음식물을 한번에 이송하고, 나중에는 압축구간에서는 조밀한 블레이드 간격에 의하여 배출방향으로 압축하기 위함이다.
도12(a)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송 블레이드(213)는 하나의 나선 블레이드가 아니라, 2개의 나선으로 각각 형성된 제1,2 이송 블레이드(2131, 2132)가 상호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제1이송 블레이드(2131)와 제2이송 블레이드(2132)는 서로 회전축(212)의 외주면을 따라서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며, 꽈배기 형태로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이송 블레이드(2131,2132)의 테두리에는 홈(215)이 형성되는데, 홈(215)의 역할은 음식물을 걸리게 하는 것이며, 보조적으로는 물이 빠질 수 있는 유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홈(215)의 위치는 각각 이송 블레이드(2131,2132)에서 동일한 위치가 아니라, 이송방향을 따라서 위상차가 발생되게 형성된다.
한편, 이송 블레이드(213)의 압축구간의 경우, 각 블레이드의 높이가 이송방향 또는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된다.
압축구간에서 주된 압축은 회전축(212)의 외주면과 제2하우징(252)의 내벽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압축에 따른 저항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서 블레이드의 높이를 위와 같이 조정한 것이다.
따라서, 압축구간에서의 블레이드의 단부를 연결한 가상의 연결선의 형태는 제2하우징(252)의 내벽면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도12(d)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송 블레이드(213)는 하나의 나선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도, 이송 블레이드(213)의 테두리에는 홈(215)이 형성되는데, 홈(215)의 역할도 음식물을 걸리게 하는 것이며, 보조적으로는 물이 빠질 수 있는 유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홈(215)의 위치는 각각 블레이드에서 동일한 위치가 아니라, 이송방향을 따라서 위상차가 발생되게 형성된다.
한편, 이송 블레이드(213)의 압축구간의 경우, 각 블레이드의 높이가 이송방향 또는 토출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되는데, 이 이유는 제3실시예의 이유와 동일하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서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13 내지 도16은 제2하우징을 도시한 것으로, 도13(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 사시도이고, 도14(a)와 (b)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측면도 및 측단면도이고, 도15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제2하우징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16(a) 내지 (d)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하우징의 토출 커버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3 내지 도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하우징(252)의 경우, 배수홀(261)이 형성되는 내벽(2521)과, 내벽(2521)을 둘러싸며 배수홀(261)에서 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외벽(2522)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252)의 입구의 주위에는 상기 배수홀(261)에서 나온 물이 배수부(270)으로 빠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물 이동 통로(282)가 마련된다.
물 이동 통로(282)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물 이동 통로(282)의 경우, 도면에서는 장공 형태로 마련되어 있으나, 원형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관하고, 하나의 긴 장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하우징(252)의 입구 주위 상부에는 상기 역류 방지부(2525)가 마련된다.
한편, 내벽(2521)의 토출 부분에는 외벽(2522)과 연결된 출구 커버(2523)가 마련된다.
출구 커버(2523)의 중심부에는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지지축(211)이 관통하여 거치되는 지지홀(281)과, 지지홀(28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음식물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구(280)가 마련된다.
한편, 내벽(2521)의 내부 직경(D)의 경우, 입구 부분에서 토출방향으로 갈 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이송 스크류 모듈(210)의 회전축(212)와 함께 토출되는 음식물을 압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16은 다양한 토출구(280) 배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는 토출구(280) 배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280)는 지지홀(281)을 둘러싸는 하나의 열로 배치되며, 상호 이격된 복수의 원형홀로 마련될 수 있다.
도16(b)는 토출구 배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토출구(280)는 제1실시예의 토출구에 비하여 길이가 긴 타원에 가까운 장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6(c)는 토출구 배치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홀(281)을 둘러싸는 복수의 열로 배치되며, 원형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16(d)는 토출구 배치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실시예의 토출구보다 더 길게 형성된 장공 형태로 마련되며, 하나의 토출구(280)에서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이 토출될 수 있는 구성이다.
도17과 도18은 교반 건조부를 도시한 것으로, 도17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교반 건조부의 사시도이고, 도18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교반 건조부의 평면도이다.
도17 내지 도1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건조부(300)는 상부가 개방된 반원통 형태의 교반 하우징(301)과, 교반 하우징(301)의 하면에 부착되는 히터(302)와, 교반 하우징(30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교반모듈(310)을 포함한다.
히터(302)는 밴드 히터로 구비되어 교반 하우징(301)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가열 건조하는 역할을 한다.
교반 모듈(310)은 회전모터(31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교반 회전축(312)과, 교반 회전축(312)상에 상호 이격되에 배치되는 교반 주걱(313)을 포함한다.
교반 주걱(313)은 교반 하우징(301) 내의 음식물을 분산하거나,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음식물이 일정 부분 건조된 경우, 이를 분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교반 하우징(301)의 일측에는 토출 도어(390)가 마련되는데, 토출 도어(390)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되고, 이를 통해서 교반 및 건조된 음식물이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도어(390) 하부에는 인출부(500)가 마련되어, 토출 도어(390)에서 토출된 음식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도19 내지 도21는 교반 건조부(300)에 있는 음식물의 냄새와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열교환 모듈(400)과 그 부분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즉, 도1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의 구조도이고, 도2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 중 제1열교환기의 사시도이고, 도2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열교환 모듈 중 제1열교환기의 측면도이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 모듈(400)은 교반 건조부(3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400)은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공기와 열교환 시킬 수 있는 제1열교환기(410)와, 제1열교환기(410)를 통과한 기체를 냉매와 열교환 시키는 제2열교환기(420)와, 제1열교환기(410)와 제2열교환기(420) 사이에 마련되며 냉각수와 기체를 열교환 시키는 보조 열교환기(430)를 포함한다.
음식물이 교반 건조부(300)에서 교반 및 건조되는 경우, 악취와 함께 수증기와 같은 기체가 발생하는데, 악취의 경우 수분성분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크다.
따라서, 수분성분을 제거하면 악취를 제거하는데 큰 도움이 되며, 이를 위해 열교환 모듈(400)이 응축기 역할을 하게 하여, 기체에 포함된 수분 제거를 통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제1열교환기(410)는 외부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유로관(411)을 포함하는데, 공기유로관(411)은 제1유로 하우징(412)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마련되어 이를 통과하는 기체의 유로 상태가 상하방향으로 구불구불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기체와의 열교환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20와 도2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열교환기(410)는 사각통 형태의 제1유로 하우징(412)과 제1유로 하우징(412)을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공기유로관(4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유로 하우징(412)에는 공기유로관(411)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송풍기(413)가 배치된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로 하우징(412)에는 교반 건조부(300)와 연통되는 유입구(414)가 마련되며, 유입구(414)를 통해 교반 건조부(300)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제2열교환기(420)와 보조열교환기(430)는 제2유로 하우징(422)에 수용되는데, 제1유로 하우징(412)과 제2유로 하우징(422) 사이에는 연결 유로(451)가 마련되고, 연결유로(451)에는 제1송풍기(461)가 마련된다.
제1송풍기(461)의 흡입동작에 의하여 교반 건조부(300)의 기체가 제1열교환기(410)를 거칠 수 있고, 제1열교환기(410)를 거쳐서 수분 성분이 일부 제거된 기체는 제2열교환기(420) 또는 보조 열교환기(430)가 있는 제2유로 하우징(4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로 하우징(422)에는 제1열교환기(420)의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420)는 냉매가 통과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며, 제2열교환기(420)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471)와, 냉매를 응축시키는 콘덴서(472)와, 응축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모세관이나 팽창밸브와 같은 감압팽창부(473)와 연결된다.
즉, 제2열교환기(420)는 냉매 싸이클에 의하여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기체의 온도를 더욱더 낮출 수 있다.
한편, 제1유로 하우징(412)과 제2유로 하우징(422)의 하부에는 응축수를 받을 수 있는 응축수 트레이(4121,4221)가 마련되고, 응축수 트레이(4121,4221)에 의하여 포집된 응축수는 배출관(480)과 연결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471)에는 온도센서(475)가 마련되어, 압축기(471)의 과열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압축기(471)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정지할 경우가 필요한데, 온도센서(475)가 압축기(471)의 온도를 측정하고, 과열 여부를 탐지하여, 이에 의하여 제어부(600)에서 압축기(471)의 정지시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제어부(600)는 압축기(471) 및 온도센서(475)와 연결되어 온도 센싱 결과에 따라 압축기(471)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압축기(471)가 멈추는 경우에는 제2열교환기(420)의 열교환 동작도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보조 열교환기(430)가 열교환 동작을 수행한다.
보조 열교환기(430)는 상수도와 연결되고, 이에 의하여 냉각수가 보조 열교환기(430)로 선택적으로 유입되어 기체와 열교환 동작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수도 관에 연결된 파이프(432)에 밸브(431)가 마련되며, 밸브(431)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냉각수가 선택적으로 보조 열교환기(430)에 유입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밸브(431)와 연결되어, 밸브(43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0)는 압축기(471)가 멈추는 경우, 밸브(431)를 개방하여 보조 열교환기(430)로 냉각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열교환기(430)에서 열교환 동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제어부(600)는 제2열교환기(420)와 보조 열교환기(430)에서 모두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제2열교환기(430) 앞에는 격판(440)이 마련되어, 기체의 흐름이 직선방향이 아니고 구불구불하게 하여 제2유로 하우징(422)에 기체가 머무는 시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유로 하우징(422)의 토출측에는 토출관(452)이 연결되고, 토출관(452)은 교반 하우징(301)과 연통되게 마련된다.
토출관(452)에는 제2송풍기(462)가 마련되어 제2유로 하우징(422)의 기체를 흡입하여 교반하우징(301)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토출관(452)의 단부에는 건조히터(465)가 마련되는데, 건조 히터(465)는 교반 하우징(301)로 토출되는 공기에 있는 수분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면서, 기체의 온도를 높여서 건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22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2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투입부(10)에 투입된 음식물은 먼저 파쇄부(100)로 들어가서, 파쇄 모듈(102)에 의하여 잘게 파쇄된다.
파쇄 모듈(102)에 의하여 파쇄된 음식물은 낙하하여 이송 압축부(200)에 의하여 이송되고, 배출 전에 압축 및 분쇄(또는 파쇄 또는 절단)된다.
이송 압축부(200)에 의하여 이송 및 압축되어 배출된 음식물은 교반 건조부(300)로 유입되고, 교반 모듈(310)에 의하여 교반된다.
교반되는 음식물은 교반 하우징(301)에 마련되는 히터(302)에 의하여 가열되어 건조된다.
한편, 가열 및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포함한 기체는 열교환 모듈(400)로 유입된다.
도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송풍기(461) 작동에 의하여 기체는 제1유로 하우징(412)으로 유입되어 공기유로관(411)을 통과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하여 온도가 낮아진다.
그리고, 제1열교환기(410)를 통과하여 온도가 낮아진 기체는 제2열교환기(420) 및/또는 보조 열교환기(430)를 거치면서 온도가 더 낮아지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악취가 제거될 수 있다.
악취의 주요인이 되는 수분은 제1유로 하우징(412) 또는 제2유로 하우징(422)에 마련되는 응축수 트레이(4221,4121)에 포집되어 배출관(480)을 따라서 외부로 배출된다.
제2유로 하우징(422)을 통과하여 온도가 낮아지고 제습된 기체는 제2송풍기(462)에 의하여 다시 교반 하우징(301) 내부로 유입되는데, 그 전에 건조히터(465)에 의하여 가열되고 건조되는 과정을 거쳐서 유입된다.
그리고, 건조 가열이 완료되면, 토출 도어(도17참조, 390)가 개방되어, 음식물이 교반 건조부(3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투입부 100: 파쇄부
101: 파쇄 하우징 102: 파쇄 모듈
200: 이송 압축부 210: 이송 스크류 모듈
250: 스크류 하우징 300: 교반 건조부
310: 교반모듈 400: 열교환 모듈
410: 제1열교환기 420: 제2열교환기
430: 보조 열교환기

Claims (11)

  1.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이송 대상 물체를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이송 대상 물체를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테두리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레이드는 상기 이송 대상 물체를 밀어서 이송시키는 이송구간과;
    이송부와 상기 커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상기 이송 대상 물체를 상기 커터부 방향으로 밀 수 있는 압축구간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은 일단부에서 상기 커터부가 마련되는 타단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은 일단부에서 상기 커터부가 마련되는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등간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간에 배치되는 이송 블레이드의 간격은 상기 압축구간에 배치되는 이송 블레이드 간의 간격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서 하나의 블레이드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을 따라서 두 개의 블레이드가 상호 교번적으로 나선형태를 형성하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이송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 지름이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
  10. 음식물이 투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이송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에 투입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테두리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11.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음식물을 이동시키는 이송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단부에 이웃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에 의하여 이송되는 상기 음식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이송 스크류 모듈과;
    상기 이송 스크류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음식물이 토출방향으로 가면서 그 내벽과의 접촉에 의하여 압축될 수 있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내벽을 구비하는 스크류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이송 블레이드의 테두리에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130085112A 2013-07-19 2013-07-19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346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12A KR101346593B1 (ko) 2013-07-19 2013-07-19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12A KR101346593B1 (ko) 2013-07-19 2013-07-19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593B1 true KR101346593B1 (ko) 2014-01-03

Family

ID=5014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12A KR101346593B1 (ko) 2013-07-19 2013-07-19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59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722B1 (ko) * 2016-10-13 2017-09-18 주식회사 에코저 SoC 기반의 친환경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779720B1 (ko) * 2016-09-23 2017-09-22 주식회사 에코저 음식물 처리 장치
WO2018119983A1 (zh) * 2016-12-30 2018-07-05 深圳市玖创科技有限公司 一种储氢电池电极材料粉碎搅拌干燥一体化设备
KR102023080B1 (ko) * 2019-02-15 2019-09-19 이종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102178017B1 (ko) 2019-05-20 2020-11-12 차흥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46929A (ko) 2020-10-08 2022-04-15 차흥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672U (ja) * 1997-02-18 1997-08-26 健一 川村 ごみ破砕装置
KR100240229B1 (ko) * 1997-12-24 2000-01-15 김영기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0672U (ja) * 1997-02-18 1997-08-26 健一 川村 ごみ破砕装置
KR100240229B1 (ko) * 1997-12-24 2000-01-15 김영기 음식물 찌꺼기 탈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720B1 (ko) * 2016-09-23 2017-09-22 주식회사 에코저 음식물 처리 장치
KR101779722B1 (ko) * 2016-10-13 2017-09-18 주식회사 에코저 SoC 기반의 친환경 음식물 처리 장치
WO2018119983A1 (zh) * 2016-12-30 2018-07-05 深圳市玖创科技有限公司 一种储氢电池电极材料粉碎搅拌干燥一体化设备
KR102023080B1 (ko) * 2019-02-15 2019-09-19 이종원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장치
KR102178017B1 (ko) 2019-05-20 2020-11-12 차흥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46929A (ko) 2020-10-08 2022-04-15 차흥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346593B1 (ko)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CA2712799C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81170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8058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0362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03744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88612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열교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379869Y1 (ko)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6076B1 (ko) 증기를 응축 및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유닛
KR101388617B1 (ko) 음식물 처리기용 스크류 하우징
KR100716500B1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0153510B1 (ko) 음식물 쓰레기용 발효 처리기
KR201001168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00024837A (ko)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된 교반스크류 및 상기 교반스크류를 갖는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200397933Y1 (ko) 유해가스 소멸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55753Y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339772B1 (ko) 미생물 액상발효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파분쇄 및 분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