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297Y1 -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297Y1
KR200360297Y1 KR20-2004-0016019U KR20040016019U KR200360297Y1 KR 200360297 Y1 KR200360297 Y1 KR 200360297Y1 KR 20040016019 U KR20040016019 U KR 20040016019U KR 200360297 Y1 KR200360297 Y1 KR 200360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drum
stirring
drum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장범
Original Assignee
채장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장범 filed Critical 채장범
Priority to KR20-2004-0016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2Applications of driving mechanism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4Agitating, stirring, or scra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및 건조하여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량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내에 수용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21)(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출입구(11)가 형성된 교반드럼(10)과; 교반드럼(10)을 가열시키는 히터(60)와; 메인축(41)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교반드럼(1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교반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축(42)(43)과; 편심축(42)(43)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70)와; 편심축(42)(43)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50)와; 출입구(11)가 음식물 찌꺼기의 투입위치, 교반/분쇄위치 및 배출위치로 위치되도록 교반드럼(1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교반드럼(10)이 회전되는 동안 출입구(11)를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수단과; 교반드럼(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는 수거통(14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편심회전되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의 교반 및 분쇄효율을 향상시켜 처리부피를 줄이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경사면이 형성된 보조브레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드럼의 중앙부측으로 안내하여 교반 및 분쇄를 원활하게 한다. 또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휀 및 덕트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냄새로 인한 주변환경오염을 방지시킨다.

Description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food remnants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 및 건조하여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량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그대로 쓰레기 처리하는 경우 처리 부피가 커지고 부패 및 침출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하는 등 처리하는데 애로사항이 많다.
이에 따라서 음식물 찌꺼기를 처리하고자 하는 처리장치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지고 있다. 일례의 처리장치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류로 압축하여서 물기를 제거시키거나 히터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등 다양한 예들이 제안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제안된 처리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부피가 크고 딱딱한 물질이 투여되는 경우 장치의 고장발생률이 매우 높고, 교반조 내에서 음식물의 교반 및 분쇄효율이 낮아서 실질적으로 처리된 음식물 찌꺼기의 부피를 줄이는데 에는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교반조 내에서 음식물 찌꺼기의 교반 및 분쇄효율이 증대되도록 개량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음식물 찌꺼기의 처리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찌꺼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음식물 찌꺼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넷째, 부피가 크거나 딱딱한 잔반이 그대로 투입되어도 고장이나 작동실패 없이 투입된 모든 음식물 찌꺼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섯째, 잔반 처리 용량이 장치의 크기에 비해 향상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처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처리장치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교반드럼의 회전위치를 나타낸 동작도,
도 4는 메인브레이드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교반드럼 21,22...고정브라켓트
30...스크레이퍼 41...메인축
42,43...편심축 50...메인브레이드
51,52...보조브레이드 60...히터
70...제1모터 80...제2모터
90...제3모터 100...하우징
110...개폐문 120...덕트
130...커버부재 140...수거통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교반드럼과; 상기 교반드럼을 가열시키는 히터와; 상기 메인축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교반드럼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교반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편심축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와; 상기 출입구가 음식물 찌꺼기의 투입위치, 교반/분쇄위치 및 배출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교반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교반드럼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교반드럼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는 수거통;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교반드럼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되는 제3모터와, 일단이 상기 교반드럼의 일측면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를 구비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되어 상기 교반드럼이 회전가능하도록 교반드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위치에 형성되는 입구와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위치에 형성되는 출구가 형성된 커버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 처리장치는, 상기 교반드럼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편심축과 함께 상기 교반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메인브레이드의 회전구간을 제한하는 메인축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교반드럼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축 및 편심축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보조브레이드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교반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교반드럼의 원주방향 내벽의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레이핑시키는 제1스크레이퍼와 상기 교반드럼의 내부 양측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레이핑시키는 제2스크레이퍼를 구비하는 스크레이퍼와, 상기 스크레이퍼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 장치는 상기 교반드럼의 출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 및 흡입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처리장치는 편심회전되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에 의해서 음식물 찌꺼기의 교반 및 분쇄작업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는 가정 또는 음식점등에서 남은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분쇄 및 가열하여 건조시키고 재분쇄하여서 적은량으로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음식물 찌꺼기를 처리하는 도중 발생되는 악취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 실시예의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21)(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출입구(11)가 형성된 교반드럼(10)과; 상기 교반드럼(10)을 가열시키는 히터(60)와; 상기 메인축(41)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교반드럼(1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교반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축(42)(43)과; 상기 편심축(42)(43)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70)와; 상기 편심축(42)(43)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50)와; 상기 출입구(11)가 음식물 찌꺼기의 투입위치, 교반/분쇄위치 및 배출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교반드럼(1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교반드럼(10)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출입구(11)를 통하여 음식물찌꺼기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교반드럼(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는 수거통(140);을 구비한다.
상기 히터(60)는 봉형태로 교반드럼(10)에 일정간격으로 매입 설치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22)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교반드럼(10)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되는 제3모터(90)와, 일단이 상기 교반드럼(10)의 일측면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모터(9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2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회전수단은 제3모터(90)의 구동축을 중심으로 교반드럼(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내에 고정되어 상기 교반드럼(10)이 회전가능하도록 교반드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위치에 형성되는 입구(131)와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위치에 형성되는 출구(132)가 형성된 커버부재(13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 가장자리에 실링부재(12)를 설치하여서, 교반드럼(10)이 커버부재(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때 커버부재(130)와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하여 출입구(11)를 통한 음식물의 이탈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 처리장치에는, 상기 교반드럼(10)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편심축(42)(43)과 함께 상기 교반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메인브레이드(50)의 회전구간을 제한하는 메인축(41)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축(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상으로 형성되어서 메인브레이드(50)의 회전구간을 제한시킨다. 즉, 메인축(41) 및 편심축(42)(43)의 회전시 메인브레이드(50)가 함께 회전될 때, 메인브레이드(50)의 일부분이 메인축(41)에 지지되어서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분쇄시킬 때 반력을 갖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축(41)의 단면 형상에 따라 메인브레이드(50)의 지지각도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반드럼(10)내의 다양한 위치에 메인브레이드(50)를 위치시켜서 효율적인 교반 및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실시예의 처리장치에 채용되는 메인브레이드(5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부채꼴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 장치에는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축(41) 및 편심축(42)(4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보조브레이드(51)(5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브레이드(5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드럼(10)의 중심을 향하여 경사면이 형성된 다각단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회전시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드럼(10)의 중앙부측으로 안내하여 교반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고안 장치에는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교반드럼(10)의 원주방향 내벽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고 메인브레이드와의 상대 회전운동을 통해 파쇄효과를 향상시키는 제1스크레이퍼(31)와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 양측면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는 제2스크레이퍼(32)를 구비하는 스크레이퍼(30)와, 상기 스크레이퍼(30)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80)를 구비한다.
한편, 하우징(100)과 교반드럼(10)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120) 및 흡입휀(1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 및 사용된다.
먼저, 도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가 상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개폐문(110)을 열고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를 통하여 투입시킨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터(90)를 구동하여 교반드럼(10)을 일정각도 회전시켜서 출입구(11)를 커버부재(130)로 폐쇄시킨다. 이때 출입구(11)는 실링부재(12)로 인하여 커버부재(130)에 밀착되면서 회전되므로 음식물 찌꺼기의 누출은 방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모터(70)를 구동하여서 메인브레이드(50) 및 보조브레이드(51)(52)를 일정시간(약30초간)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켜서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분쇄시킨다. 이때 메인브레이드와 스크레이퍼(31)간의 상대 운동, 즉, 스크레이퍼의 정지, 저속 정회전, 역회전을 통해 절단 및 분쇄 작용도 활발하게 진행된다. 또한 이때 정지하고 있는 보조브레이드(51)(52)는 회전되는 동안 교반드럼(10)내에 수용된 음식물 찌꺼기를 중앙부측으로 안내하여 원활한 교반 및 분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제2모터(80)를 구동하여서 스크레이퍼(30)를 일정시간(약 5초)동안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스크레이퍼(30)는 교반드럼(10)의 내벽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긁어내도록 한다.
이어서, 제1모터(70) 및 제2모터(80)를 순차적으로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동작을 반복시킨다.
이와 같이 교반 및 분쇄작업이 완료된 후, 제3모터(90)를 구동하여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가 상부위치로 놓이도록 하고, 히터(60)를 가동하여 교반드럼(10) 및 음식물 찌꺼기를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때 제2모터(80)를 구동하여서 스크레이퍼(30)를 통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시켜 수분 증발을 원활히 하며, 흡입휀(121)을 가동하여 수분 및 냄새를 덕트(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건조동작중 제2모터(80)는 정역방향으로 구동하여 보다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의 건조가 완료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가 폐쇄되도록 교반드럼(10)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모터(70) 및 제2모터(80)를 재가동하여서 건조된 음식물 찌꺼기를 재분쇄한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의 분쇄 및 건조가 완료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모터(90)를 구동하여서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가 커버부재(130)의 출구(132)와 일치하도록 교반드럼(10)을 회전시킨다.
이어서 제1,2모터(70)(80)를 구동하여서 약 5초간 재교반 및 재분쇄시키고, 제2모터(80)를 구동하여서 스크레이퍼(30)를 회전시키면서 분쇄/건조된 음식물 찌꺼기를 수거통(140)에 수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본원이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편심회전되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 채용 및 스크레이퍼 간의 상대 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의 교반 및 분쇄효율을 향상시켜 처리부피를 줄이고 처리시간을 단축시킨다.
둘째, 경사면이 형성된 보조브레이드를 채용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드럼의 중앙부측으로 안내하여 교반 및 분쇄를 원활하게 한다.
셋째,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동안 발생되는 악취를 흡입휀 및 덕트를 통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냄새로 인한 주변환경오염을 방지시킨다.
넷째, 음식물 찌꺼기 투입구와 배출구를 같게 함으로써 투입 가능한 어떠한 크기의 음식물 찌꺼기도 배출 도중에 막혀서 작동이 중지될 가능성을 없앴다. 또한 처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운반되는 통로를 없애서 처리된 음식물 찌꺼기를 모두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위생성을 높였다.
다섯째, 편심축에 의해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함으로써 분쇄가 불가능한 음식물 찌꺼기가 음식물 찌꺼기에 섞여 함께 투입되어도 분쇄가 불가능한 음식물 찌꺼기를 제외하고 분쇄가능한 음식물 찌꺼기를 분쇄하여 처리가 가능하여 인위적으로 분쇄 불가능 음식물 찌꺼기를 골라내거나 음식물 처리기가 작동 중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줄였다.

Claims (7)

  1. 음식물 찌꺼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되고 한 쌍의 고정브라켓트(21)(2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투입된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출입구(11)가 형성된 교반드럼(10)과;
    상기 교반드럼(10)을 가열시키는 히터(60)와;
    상기 메인축(41)과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교반드럼(1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교반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축(42)(43)과;
    상기 편심축(42)(43)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모터(70)와;
    상기 편심축(42)(43)에 일정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복수의 메인브레이드(50)와;
    상기 출입구(11)가 음식물 찌꺼기의 투입위치, 교반/분쇄위치 및 배출위치로 위치되도록 상기 교반드럼(1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교반드럼(10)이 회전되는 동안 상기 출입구(11)를 통하여 음식물 찌꺼기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수단과;
    상기 교반드럼(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수용하는 수거통(14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교반드럼(10)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되는 제3모터(90)와, 일단이 상기 교반드럼(10)의 일측면 상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3모터(90)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동브라켓트(2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하우징(100)내에 고정되어 상기 교반드럼(10)이 회전가능하도록 교반드럼(1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음식물 찌꺼기가 유입되는 유입위치에 형성되는 입구(131)와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는 배출위치에 형성되는 출구(132)가 형성된 커버부재(13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드럼(10)의 중심에 위치되어 상기 편심축과 함께 상기 교반드럼(1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구동되며 상기 메인브레이드(50)의 회전구간을 제한하는 메인축(41)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축(41) 및 편심축(42)(4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보조브레이드(51)(5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교반드럼(10)의 원주방향 내벽의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레이핑시키는 제1스크레이퍼(31)와 상기 교반드럼(10)의 내부 양측면에 위치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스크레이핑시키는 제2스크레이퍼(32)를 구비하는 스크레이퍼(30)와,
    상기 스크레이퍼(30)를 회전구동시키는 제2모터(8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드럼(10)의 출입구(11)를 통하여 배출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덕트(120) 및 흡입휀(12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2004-0016019U 2004-06-08 2004-06-08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360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019U KR200360297Y1 (ko) 2004-06-08 2004-06-08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019U KR200360297Y1 (ko) 2004-06-08 2004-06-08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51A Division KR100573965B1 (ko) 2004-06-08 2004-06-08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297Y1 true KR200360297Y1 (ko) 2004-08-25

Family

ID=4943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019U KR200360297Y1 (ko) 2004-06-08 2004-06-08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2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6888A (zh) * 2018-08-01 2018-11-16 福州云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零件烘干机
CN110319667A (zh) * 2019-06-27 2019-10-11 南京恒辉粉体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搅拌废渣烘干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6888A (zh) * 2018-08-01 2018-11-16 福州云睿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金属零件烘干机
CN110319667A (zh) * 2019-06-27 2019-10-11 南京恒辉粉体技术工程有限公司 一种高效搅拌废渣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3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73965B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170033614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TW201702208A (zh) 農場有機垃圾和廚餘垃圾處理機
KR200360297Y1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12602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JP4478005B2 (ja) なまごみ処理機械
KR200378842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190091989A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06343947A (ja) 厨芥処理機
KR200146612Y1 (ko) 이동가능한 교반익 구조의 교반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60295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6147996U (zh) 一种具有残渣处理装置的洗碗机
JPH0699096A (ja) 厨芥処理機
KR200155146Y1 (ko) 개방가능 발효조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2701Y1 (ko) 피막제거가 용이한 절단기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JP2002263607A (ja) 厨芥処理機
JP2003190824A (ja) 破砕装置
KR200360296Y1 (ko) 잔반 처리장치
KR202300414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분쇄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8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