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1989A -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1989A
KR20190091989A KR1020180011234A KR20180011234A KR20190091989A KR 20190091989 A KR20190091989 A KR 20190091989A KR 1020180011234 A KR1020180011234 A KR 1020180011234A KR 20180011234 A KR20180011234 A KR 20180011234A KR 20190091989 A KR20190091989 A KR 2019009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food waste
unit
cru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한
백승주
곽도렬
최성대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승주
곽도렬
최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백승주, 곽도렬, 최대한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1989A/ko
Publication of KR2019009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복수의 파쇄 칼날들로 파쇄하는 파쇄 칼날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 칼날부가 수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 공간 제공부 및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면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건더기 성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이 낮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내부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FOOD GARBAGE CRUSHER}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건더기 성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가정에서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가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하수구로 배출하는 행위는 엄연히 불법이며, 대한민국의 경우 물을 제외한 음식물 잔여물의 20% 이상을 하수구로 배출하는 행위는 규제의 대상이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종래의 다른 기술로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전력 소모량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7315호(등록일자: 2009년 11월 10일, 명칭: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건더기 성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 비용이 낮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내부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복수의 파쇄 칼날들로 파쇄하는 파쇄 칼날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 칼날부가 수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 공간 제공부 및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이 개구되어 있고, 하부면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물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 종단인 제2 영역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가 배출되는 건더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의 제2 영역은 상기 건더기 배출구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갖고, 상기 파쇄 칼날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 중에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의 제2 영역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쇄 칼날은 다른 파쇄 칼날들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는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모아 배수구로 전달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부재의 바닥 내면에는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를 향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세척수 분사부가 상기 물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면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건더기 성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 비용이 낮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내부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공간 제공부의 내부에서 파쇄 칼날부에 의해 파쇄되어 건더기 배출구로 이동하면서 물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가 압착되어 건더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는 케이스(10), 투입구(20), 파쇄 칼날부(30), 구동부(40), 파쇄 공간 제공부(50), 제어부(60), 물받이 부재(70) 및 세척수 분사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여 장치의 외관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케이스(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이 편리하도록 소형이면서 콤팩트한 외관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케이스(10)의 형상이 에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10)가 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경우, 케이스(10)의 상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부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물이 폐수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들 중의 하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 성분이 배출되는 건더기 배출구(5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투입구(20)는 케이스(10)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 또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뚜껑으로 투입구(20)를 덮어 밀폐시킴으로써, 장치 내부에 잔류할 수 있는 찌꺼기 성분으로 인한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쇄 칼날부(30)는 케이스(10)에 수용되어 있으며,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복수의 파쇄 칼날들로 파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파쇄 칼날부(30)는 후술하는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며,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이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 방향으로 이어진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파쇄 칼날부(30)의 종단은 건더기 배출구(54)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파쇄 칼날들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 성분은 파쇄 칼날부(30)의 회전에 의해 건더기 배출구(54)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구동부(4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파쇄 칼날부(30)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파쇄 칼날부(30)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40)는 전기 모터일 수 있고,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일 측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있는 파쇄 칼날부(30)의 회전축이 전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동 결합됨으로써, 구동부(40)의 회전력이 파쇄 칼날부(30)로 전달될 수 있다.
파쇄 공간 제공부(50)는 구동부(40)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 칼날부(30)가 수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파쇄 공간 제공부(50)는, 투입구(20)에 대응하는 제1 영역(51)이 개구되어 있고, 하부면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물 배출구(53)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영역(51)의 반대측 종단인 제2 영역(52)에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가 배출되는 건더기 배출구(54)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은 건더기 배출구(54)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갖고,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 중에서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쇄 칼날은 다른 파쇄 칼날들보다 작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이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 방향으로 이어진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파쇄 칼날부(30)의 종단은 건더기 배출구(54)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파쇄 칼날들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 성분은 파쇄 칼날부(30)의 회전에 의해 건더기 배출구(54)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추가하여,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 중에서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쇄 칼날은 다른 파쇄 칼날들보다 작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파쇄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영역(5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힘으로 압착되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물이 제2 영역(52)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압착력에 의해 배출된다.
제어부(60)는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구동부(40)가 파쇄 칼날부(30)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후술하는 세척수 분사부(80)가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형성된 물 배출구(53)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받이 부재(70)는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5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모아 배수구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척수 분사부(80)는 물받이 부재(70)의 바닥 내면에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53)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53)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세척수 분사부(80)가 물 배출구(53)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내부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추가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구체적인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추가로 참조하면, 사용자가 투입구(20)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투입구(20)는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연결되어 있으며, 투입구(20)의 위치에 대응하는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1 영역(51)이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구(20)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 공간 제공부(50)에 수용되어 있는 파쇄 칼날부(30)로 직접 전달된다.
예를 들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늘리기 위해, 사용자는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내부에서 파쇄 칼날부(30)에 의해 파쇄되어 건더기 배출구(54)로 이동하면서 물이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추가로 참조하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20)를 통해 투입하고 뚜껑으로 투입구(20)를 밀폐한 이후에,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의 전원 버튼을 눌러 장치를 동작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는,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이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 방향으로 이어진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파쇄 칼날부(30)의 종단은 건더기 배출구(54)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파쇄 칼날들의 회전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 성분은 건더기 배출구(54)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물 성분이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하부면에 구비된 다수의 물 배출구(53)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다. 물 배출구(53)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된 물 성분은 물받이 부재(70)로 모인 후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가 압착되어 건더기 배출구(54)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추가로 참조하면,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 있지만,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이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축 방향으로 이어진 나선형 구조를 가지며, 파쇄 칼날부(30)의 종단은 건더기 배출구(54)에 위치하기 때문에,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파쇄 칼날들의 회전에 의해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 성분은 건더기 배출구(54)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에 추가하여, 파쇄 칼날부(3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 중에서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쇄 칼날은 다른 파쇄 칼날들보다 작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파쇄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파쇄 공간 제공부(50)의 제2 영역(52)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영역(5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힘으로 압착되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물이 제2 영역(52)에 이르러서는 대부분 압착력에 의해 배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성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이면서 콤팩트하고 단순한 구성을 가지면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파쇄하여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물과 건더기 성분을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 비용이 낮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내부 세척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위생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케이스
20: 투입구
30: 파쇄 칼날부
40: 구동부
50: 파쇄 공간 제공부
51: 제1 영역
52: 제2 영역
53: 물 배출구
54: 건더기 배출구
60: 제어부
70: 물받이 부재
80: 세척수 분사부

Claims (5)

  1.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축 방향에 경사진 복수의 파쇄 칼날들로 파쇄하는 파쇄 칼날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파쇄 칼날부가 수용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파쇄 공간 제공부; 및
    사용자 조작 명령에 따라 상기 구동부가 상기 파쇄 칼날부를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는,
    상기 투입구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이 개구되어 있고, 하부면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물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반대측 종단인 제2 영역에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건더기가 배출되는 건더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의 제2 영역은 상기 건더기 배출구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대(truncated cone) 형상을 갖고,
    상기 파쇄 칼날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쇄 칼날들 중에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의 제2 영역에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파쇄 칼날은 다른 파쇄 칼날들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모아 배수구로 전달하는 물받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부재의 바닥 내면에는 상기 파쇄 공간 제공부에 형성된 복수의 물 배출구를 향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조작 명령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세척수 분사부가 상기 물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1020180011234A 2018-01-30 2018-01-3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20190091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34A KR20190091989A (ko) 2018-01-30 2018-01-3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234A KR20190091989A (ko) 2018-01-30 2018-01-3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989A true KR20190091989A (ko) 2019-08-07

Family

ID=6762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234A KR20190091989A (ko) 2018-01-30 2018-01-30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19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9516A (zh) * 2020-07-03 2020-09-15 苏州寰宇新博环保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厨余垃圾处理的破碎分选装置
CN112675998A (zh) * 2020-12-07 2021-04-20 安徽瞬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矿石冶金处理用辅助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5B1 (ko) 2008-11-07 2009-11-17 백순남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315B1 (ko) 2008-11-07 2009-11-17 백순남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9516A (zh) * 2020-07-03 2020-09-15 苏州寰宇新博环保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厨余垃圾处理的破碎分选装置
CN112675998A (zh) * 2020-12-07 2021-04-20 安徽瞬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矿石冶金处理用辅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28981T3 (en) juice Press
KR2010011352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9887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90091989A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기
KR2014013839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41516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10094874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0379869Y1 (ko)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112602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장치
KR1008741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02787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90037110A (ko) 음식물 처리기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116550A (ko)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999006543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26743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19990020542U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192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31581B1 (ko) 청소기능을 갖는 파쇄기가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