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744B1 -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744B1
KR100948744B1 KR1020080110769A KR20080110769A KR100948744B1 KR 100948744 B1 KR100948744 B1 KR 100948744B1 KR 1020080110769 A KR1020080110769 A KR 1020080110769A KR 20080110769 A KR20080110769 A KR 20080110769A KR 100948744 B1 KR100948744 B1 KR 10094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ink
discharged
screw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희준
Original Assignee
채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준 filed Critical 채희준
Priority to KR1020080110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axial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단 측에서 투입받아 후단 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시켜 1차 탈수 및 감량화시키며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저속 회전되는 회전 스크류를 갖는 압착 파쇄 수단부와, 압착 파쇄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쇄에 따라 단편화된 음식물 조각들을 고속 회전시켜 원심 분리에 의해 잔류 수분을 제거시킨 후 개방된 측방으로 자연 배출시키며 고속 회전되는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을 구비하는 탈수 배출 수단부와, 회전 스크류와 회전 탈수 콘을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부와, 탈수 배출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며 교체 가능한 수거 봉지를 갖는 수거 수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길이가 긴 압착 파쇄 수단부에 대한 후단 측 하부에 탈수 배출 수단부가 구비되고, 그 전단 측 하부에 구동 모터 및 그 전동 연결 구성이 구비되는 배치 구조에 따라 작은 크기 및 부피로 구현될 수 있어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원활히 장착될 수 있음과 함께 싱크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 모터와 간단한 전동 연결 구성을 통해 회전 스크류와 회전 탈수 콘을 동시에 회전시키므로, 이 점에서도 소형화를 이루고 제조 비용과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110769
음식물, 처리, 압착, 파쇄, 탈수, 싱크대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GARBAGE DISPOSING APPARATUS FOR A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오수와 함께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먼저 회전 스크류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하고, 이어서 하나의 구동 모터를 통해 회전 스크류와 동시에 회전되는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으로 음식물 쓰레기 내의 잔여 수분을 원심 분리로 마저 제거한 다음,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 낙하되어 하부에 준비된 수거 봉지에 담기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인간 생활에 수반하여 필수적으로 대량 발생되는 폐기물의 일종으로, 수분을 80∼85% 정도 다량 함유하여 젖은 상태로 배출됨과 아울러 그 자체가 유기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그 처리가 매우 난이하다.
즉, 음식물 쓰레기는 쉽게 부패되어 악취와 오수를 유발하며, 벌레나 병충해를 꾀여 비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함과 함께, 다량의 수분 함유에 따라 그 중량과 부 피가 커서, 그 분리 수거, 운반 및 처리가 매우 곤란하다.
또한, 그 매립 처리 시에는 다량의 침출수 및 악취를 유발하여 환경 오염을 야기하며, 반면 소각 처리 시에는 높은 함수율로 인한 소각 온도 저하로 발열량이 매우 낮은 등 그 처리 효율이 극히 불량하다.
정리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곤란한 이유는 수분 함량이 매우 높다는 점과 그 중량 및 부피가 크다는 점에 기인한다 할 수 있다.
이에, 음식물 쓰레기도 그 함유된 수분을 최대한 제거함과 함께, 그 중량 및 부피만 감소시킬 수 있다면, 일반 쓰레기처럼 용이하게 수거 처리될 수 있고, 또한 연료화, 비료화, 사료화 등을 통해 적절히 재활용되어 경제적 이익도 창출할 수 있다.
관련하여, 근래에는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 일부에서는 이미 이용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크게 독립식과 싱크대 부착식으로 구분된다.
독립식은 이동 가능하도록 하나의 개별 장치로서 구현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아 처리한다.
그러나, 해당 독립식은 싱크대의 상면과 같은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고, 사용자가 매번 싱크대 등에서 발생되는 물기가 많고 혐오스러운 음식물 쓰레기를 옮겨서 투입해 주어야 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쾌감과 불편함을 야기하며, 잘못하면 옮기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주변으로 떨 어져 주변 환경을 해칠 수 있고, 추후 사용자가 처리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꺼내 폐기 봉지 등에 담아 폐기해야 하는 불편함도 야기하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즉, 독립식은 사용자에게 여러 보조적인 작업을 해줄 것을 요구한다.
반면, 싱크대 부착식은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므로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그대로 투입받아 처리하므로, 즉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의 개수대 내에 버리기만 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오수와 함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어 즉각적으로 처리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위생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 부착식을 대상으로 한다.
나아가, 독립식과 싱크대 부착식을 불문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방식에는 발효식과 기계식이 있다.
발효식은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소화시켜 분해 처리하는 것으로, 분해 과정에서 고약한 악취가 발산되어 주변 환경을 과다하게 해칠 수 있고, 필요되는 미생물 등을 별도로 투입해 주어야 함과 함께 발효 조건도 적절히 설정해 주어야 하므로 번거롭고 사용이 어려우며, 무엇보다도 완벽한 분해를 위해 너무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고, 넓은 공간도 필요되는 등의 여러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발효식은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반면, 기계식은 전원만 공급해 주면 그 작동이 자동으로 실시되고, 별도의 설정이나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주부 등이 손쉽게 이용 가능하다.
해당 기계식은 주로 '파쇄-배출', '파쇄-수집', '탈수-수집', '파쇄-탈수', '파쇄-건조-수집'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한다.
'파쇄-배출'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회전 칼날이나 회전 스크류를 이용하여 잘게 파쇄한 후, 잘게 파쇄된 찌꺼기를 그대로 오수와 함께 하수도로 배출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배수관 및 하수도관이 막힐 수 있고, 방류에 따라 하천의 수질을 극심하게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도로 바로 배출하는 방법은 그 이용이 지양되어야만 한다.
'파쇄-수집'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하여 그 중량 및 부피를 줄인 후에 별도의 수집 용기에 수집하는 방법으로, 파쇄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 내에 함유된 수분이 일부 유출되어 제거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수분을 제대로 제거할 수 없어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등에 따른 문제를 전혀 해결할 수 없다.
'탈수-수집'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를 망체인 회전 탈수통 내에 투입하여 일정 시간 동안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원심 분리를 이용하여 탈수한 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파쇄를 실시하지 않음에 따라 중량 및 부피를 줄일 수 없고, 음식물 쓰레기 내부에 깊숙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은 전혀 제거할 수 없다.
'파쇄-탈수' 방법은 상기한 '파쇄-수집'과 '탈수-수집'을 조합한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우선 잘게 파쇄하여 그 중량 및 부피를 줄인 후에 탈수시키는 것 으로, 가장 최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파쇄-건조-수집' 방법은 먼저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파쇄한 후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히터와 같은 열원에서 발생되는 고열이나 열풍으로 강제 건조시켜 처리하는 방법으로, 열원을 이용함에 따른 막대한 전력 소요로 유지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또한 화재, 화상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싱크대 부착식으로는 '파쇄-탈수' 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 발명은 해당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파쇄-탈수' 방법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회전 칼날, 회전 스크류와 같은 파쇄 수단과 탈수통과 같은 탈수 수단이 상하로 배치됨에 따라 기기의 크기 및 부피가 매우 크므로, 싱크대 내의 한정된 공간에 원활히 설치될 수 없고, 공간 활용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파쇄 수단과 탈수 수단을 각기 별도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이 점에서도 크기 및 부피가 크고, 높은 제조 비용이 소요되며, 가동에 따른 전력 소모량도 큰 문제점이 있다.
셋째, 탈수 수단인 탈수통이 세탁기에 구비되는 탈수통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게 구비됨에 따라, 이 점에서도 크기 및 부피를 증대시키고, 추후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해당 탈수통 내로부터 꺼내는 작업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넷째,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를 사용자가 꺼내주기 전에는 탈수통 내에 그대로 잔류되므로, 잔류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탈수통 상의 탈수공들이 막혀 이후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탈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다섯째,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수저, 젓가락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투입되어 회전 칼날, 회전 스크류와 같은 파쇄 수단을 파손시키고, 작동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파쇄-탈수' 방법을 이용하되, 작은 크기와 부피 및 간소화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전력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전혀 음식물 쓰레기를 만질 필요가 없도록 할 수 있고, 금속성 물질의 투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처리 효율이 매우 우수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싱크대의 개수대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전단 측에서 투입받아 후단 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시켜 1차 탈수 및 감량화시키며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저속 회전되는 회전 스크류를 갖는 압착 파쇄 수단부;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쇄에 따라 단편화된 음식물 조각들을 고속 회전시켜 원심 분리에 의해 잔류 수분을 제거시킨 후 개방된 측방으로 자연 배출시키며 고속 회전되는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을 구비하는 탈수 배출 수단부; 상기 회전 스크류와 상기 회전 탈수 콘을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부; 및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며 교체 가능한 수거 봉지를 갖는 수거 수단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을 상기 회전 탈수 콘 내부의 깊숙한 부분으로 이송하여 전달하는 전달 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의 상기 회전 스크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중심 축 상에 전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씩의 압착 스크류 날과 파쇄 스크류 날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 축의 후단 측은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는,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 스크류가 내장되며 전단 측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면 상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1 배수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스크류 케이스; 상기 회전 스크류의 원추형 부분을 감싸는 원추형의 것으로 상기 스크류 케이스의 후단에 결합 구비되며 측면 상에는 탈수되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2 배수공이 형성되고 후단 측 중심에는 파쇄된 상기 음식물 조각들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크류 캡; 및 상기 스크류 케이스와 상기 스크류 캡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분을 외측에서 수용받아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으로 배출하는 제1 집수 케이스;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배수구와 상기 스크류 케이스 상의 상기 투입구를 경사되게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여 공급하는 경사 투입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스크류의 상기 중심 축의 원추형 부분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파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캡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상대측 파쇄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서 추가 파쇄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싱크대의 상기 배수구의 내부나 상기 경사 투입관의 입구 측 내부에는, 한번 이상 꺽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금속성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꺽임 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탈수 콘은, 측면 상에 탈수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3 배수공을 구비하며,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는, 상기 회전 탈수 콘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3 배수공을 통해 외부 배출되는 상기 수분을 수용하여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으로 배출하는 제2 집수 케이스; 상기 회전 탈수 콘의 개방된 측방을 외측에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튕겨 나오는 상기 음식물 조각을 충돌하여 낙하시키며 낙하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이 배출되는 최종 배출구를 갖는 차폐 케이스; 및 상기 회전 탈수 콘의 외측 꼭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축; 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회전 스크류를 중간에서 전동 연결하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기어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 스위치부는, 상기 싱크대 상에 구비되어 급수를 개폐하는 수도 꼭지의 개폐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 모터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거 수단부는, 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수거 봉지; 상기 수거 봉지를 거치하되 입구가 개방 유지되도록 거치하며 상기 수거 봉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봉지 거치대; 및 상기 수거 봉지를 안치하여 지지하는 안치 케이스; 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 방향으로 길이가 긴 압착 파쇄 수단부에 대한 후단 측 하부에 탈수 배출 수단부가 구비되고, 그 전단 측 하부에 구동 모터 및 그 전동 연결 구성이 구비되는 배치 구조에 따라 작은 크기 및 부피로 구현될 수 있어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원활히 장착될 수 있음과 함께 싱크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구동 모터와 간단한 전동 연결 구성을 통해 회전 스크류와 회전 탈수 콘을 동시에 회전시키므로, 이 점에서도 소형화를 이루고 제조 비용과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의 회전에 따라 탈수된 음식물 조각들이 그대로 튕겨 나가 낙하 배출되어 하부 측에서 수집되므로, 처리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옮겨 담을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회전 탈수 콘으로부터 탈수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바로바로 배출되므로 이후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탈수 성능도 우수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처리 완료된 음식물 조각들이 수거 봉지에 자동으로 담겨지고 사용자는 수거 봉지를 그대로 꺼내어 폐기하고 새로운 수거 봉지로 교체하면 되므로, 이 점에서도 편리성과 위생적인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구나 경사 투입관의 입구 측 내부에 유로가 한번 이상 꺽이도록 꺽임 유로부가 형성되어 설거지 등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투입될 수 있는 금속성 물질의 투입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금속성 물질에 의해 회전 스크류가 파손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것도 막을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스위치부가 수도 꼭지와 연동되도록 작동되므로, 사용자의 일손을 줄여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 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싱크대(10)의 배수구(14)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단 측에서 투입받아 후단 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시켜 1차 탈수 및 감량화시키며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제자리에서 회전 작동되는 회전 스크류(114)를 갖는 압착 파쇄 수단부(110)와, 압착 파쇄 수단부(110)로부터 배출되는 단편화된 음식물 조각들을 고속 회전시켜 원심 분리로 잔류 수분을 탈수시키고 탈수 완료된 음식물 조각들을 개방된 측방으로 배출시켜 낙하 배출되도록 하며 고속 회전되는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132)을 구비하는 탈수 배출 수단부(130)와, 회전 스크류(114)와 회전 탈수 콘(13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40)와,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구동 모터(140)를 온/오프(on/off)시키는 작동 스위치부(미도시)와, 회전 탈수 콘(132)의 하부에서 낙하되는 음식물 조각들을 내부 수용하여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수거 봉지(152)를 갖는 수거 수단부(150)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싱크대(10)는 제공되는 급수를 통해 그 내부에서 설거지 등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일명 설거지 통인 개수대(12)를 상면 측에 구비하며, 해당 개수대(12)의 바닥 중앙에는 설거지 등에 따라 발생되는 오수가 배출되어 하수도관(20)으로 방류되도록 하기 위한 배수구(14)가 형성된다.
또한, 싱크대(10)는 그 전면에 다층의 서랍과 여닫이식 도어(미도시)를 구비하며, 개수대(12) 하부의 그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싱크대(10) 내의 수용 공간 에 설치되며, 배수구(14)와 하수도관(20)에 대해 연결된다.
상기한 압착 파쇄 수단부(110)는 설거지 등에 따라 싱크대(10)의 배수구(14)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전단 측에서 투입받아 후단 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시킨 후 타단 측에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압착 파쇄 수단부(110)는,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하면 측에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제1 배수공(112b)이 형성되고 전단 측에는 싱크대(10)의 배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112a)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스크류 케이스(112)와, 스크류 케이스(112) 내에 삽입되어 길게 구비되며 그 중심 축(114a) 상에 일정 길이씩의 압착 스크류 날(114b-1)과 파쇄 스크류 날(114b-2)이 돌설되게 형성되고 중심 축(114a)의 후단 측은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구동 모터(140)의 작동에 따라 제자리에서 저속으로 회전되는 회전 스크류(114)와, 회전 스크류(114)의 후단 측 원추형 부분을 감싸도록 스크류 케이스(112)의 후단에 대해 결합되어 구비되며 회전 스크류(114)와 대응되는 원추형으로 측면 상에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2 배수공(116a)이 형성되고 후단 중심에는 파쇄된 음식물 조각들이 배출되는 배출구(116c)가 형성되는 스크류 캡(116)과, 제1 배수공(112b)과 제2 배수공(116a)을 통해 스크류 케이스(112)와 스크류 캡(116)으로부터 외부 배출되는 수분을 외측에서 수용받아 집수한 후 하수도관(20)으로 배출하는 제1 집수 케이스(118)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스크류 케이스(112)는 수평되게 구비되는 원통형의 것으로, 전단 측 에는 싱크대(10)의 배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받기 위한 투입구(112a)가 형성되고, 하면 측에는 다수개의 제1 배수공(112b)이 전반적으로 형성된다.
관련하여, 스크류 케이스(112) 상의 투입구(112a)와 싱크대(10) 상의 배수구(14)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경사 투입관(10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사 투입관(102)은 그 경사 구배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자연스럽게 흘러 투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사 투입관(102)은 회전 스크류(114)의 투입구(112a)가 싱크대(10)의 배수구(14) 하부 측에 바로 형성되지 않고 벗어난 외측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회전 스크류(114)의 길이를 충분하게 길게 하여 해당하는 회전 스크류(114)에 의한 압착 및 파쇄 성능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러나, 꼭 경사 투입관(102)을 이용할 필요는 없고, 싱크대(10) 상의 배수구(14)와 스크류 케이스(112) 상의 투입구(112a)가 바로 직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싱크대(10)의 배수구(14) 내부나 경사 투입관(102)의 입구 측 내부에는 한번 이상 꺽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도록 꺽임 유로부(10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꺽임 유로부(102a)는 어느 정도 길이가 있는 수저, 젓가락과 같은 금속성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금속성 물질에 의해 내부의 회전 스크류(114)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회전 스크류(114)는 구동 모터(140)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저속으로 회전 작동되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 축(114a) 상에 순차적으 로 일정 길이씩의 압착 스크류 날(114b-1)과 파쇄 스크류 날(114b-2)이 형성되며, 그 중심 축(114a)의 전단 측은 스크류 케이스(112)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구동 모터(14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해당 회전 스크류(114)의 중심 축(114a)의 후단은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그 원추형 부분은 스크류 캡(116)의 내부에 위치된다.
회전 스크류(114)의 전단 측에 일정 길이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압착 스크류 날(114b-1)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강제적으로 가압 이송시키는 것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압착시켜 일부 탈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압착 스크류 날(114b-1)은 후단 측으로 갈수록 그 피치가 점차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압착 스크류 날(114b-1)에 이어 회전 스크류(114) 상에 일정 길이의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파쇄 스크류 날(114b-2)은 음식물 쓰레기를 계속 이송시키면서 잘게 파쇄시키는 것에 의해 함유된 수분이 추가적으로 일부 탈수되도록 함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 내에 깊숙이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밖으로 노출되어 후속되는 메인 탈수 공정에서 원활히 탈수될 수 있도록 만들며, 파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중량과 부피가 대폭 감소되도록 한다.
스크류 캡(116)은 스크류 케이스(112)의 후단에 대해 결합되어 구비되는 원추형의 것으로, 그 측면 상에는 전반적으로 다수개의 제2 배수공(116a)이 형성되고, 그 후단 측 중심에는 파쇄된 음식물 조각들이 배출되는 배출구(116c)가 형성된다.
이러한 스크류 캡(116)은 스크류 케이스(112)에 대해 볼팅 등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추후 그것을 분리시키고 내부에 대한 유지 보수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스크류(114)의 중심 축(114a)의 후단 측 원추형 부분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파쇄 돌기(114b-3)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원추형 부분을 외측에서 감싸는 스크류 캡(116)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상대측 파쇄 돌기(116b)가 형성되며, 해당 파쇄 돌기들은 그들 사이의 홈 부분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맷돌식으로 갈아 보다 미세하게 단편화시킨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최대한 미세하게 파쇄하는 이유는 후속되는 메인 탈수 공정에서 잔류 수분이 보다 신속하면서 완벽하게 제거되도록 함과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 및 부피를 최대한 줄이기 위함이다.
제1 집수 케이스(118)는 스크류 케이스(112)와 스크류 캡(116)을 외측에서 적절히 감싸도록 구비되어 스크류 케이스(112) 상의 제1 배수공(112b)과 스크류 캡(116) 상의 제2 배수공(116a)을 통해 외부 배출되는 수분을 수용받아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20)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한 탈수 배출 수단부(130)는 압착 파쇄 수단부(110)로부터 배출되는 파쇄된 상태의 음식물 조각들을 전달받아 순간적으로 강하게 회전시킴으로써 음 식물 조각들에 잔류하는 수분이 원심 분리에 의해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탈수된 음식물 조각들이 개방된 측방으로 튕겨 나가 낙하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잔여 수분을 탈수시키고,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음식물 조각들을 바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탈수 배출 수단부(130)는, 구체적으로,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것으로 측면 상에는 전반적으로 다수개의 제3 배수공(132a)이 형성되고 그 깊숙한 내부로 공급되는 음식물 조각들을 강하게 회전시키는 회전 탈수 콘(132)과, 회전 탈수 콘(132)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어 회전 탈수 콘(132) 상의 제3 배수공(132a)을 통해 외부 배출되는 수분을 수용받아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20)으로 배출하는 제2 집수 케이스(134)와, 회전 탈수 콘(132)의 개방된 측방을 외측에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회전 탈수 콘(132)의 회전에 따라 튕겨 나오는 음식물 조각들을 충돌하여 하부로 낙하되도록 하며 낙하되는 음식물 조각들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최종 배출구(136a)가 하부 측에 형성되는 차폐 케이스(136)와, 회전 탈수 콘(132)의 외측 꼭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구동 모터(140) 측과 전동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축(132b)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관련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132)이 눕혀지도록 구비되므로, 만약 음식물 쓰레기가 회전 탈수 콘(132) 내의 깊숙한 부분으로 공급되지 않고 개방된 부분에 인접한 부분으로 공급되면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가 충분히 회전되지 않고 바로 배출되어 수분 제거가 미흡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조각들은 해당 회전 탈수 콘(132)의 깊숙한 부분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술한 압착 파쇄 수단부(110)의 스크류 캡(116)의 배출구(116c)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 탈수 콘(132) 내의 깊숙한 부분에 위치되도록 별도의 전달 관(120)이 구비되어 해당 전달 관(120)을 통해 음식물 조각들이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동 모터(140)는 스크류 케이스(112)의 전단 측 하부에 구비되어 그 작동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전동 연결되는 회전 탈수 콘(132)이 고속 회전되도록 하고, 또한 전동 연결되는 회전 스크류(114)가 상대적으로 저속 회전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구동 모터(140)는 그 출력 축이 회전 탈수 콘(132)의 회전 축(132b)과 직결되어 그 작동에 따른 빠른 회전 속도로 회전 탈수 콘(132)이 회전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출력 축이 중간의 감속 기어체(140a)를 통해 회전 스크류(114)의 중심 축(114a)과 전동 연결되어 상대적으로 감속된 속도로 회전 스크류(114)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스크류(114)의 중심 축(114a)과 회전 탈수 콘(132)의 회전 축(132b)이 모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바, 하나의 구동 모터(140)와 간단한 전동 연결 구성을 통해서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 스크류(114)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회전 탈수 콘(132)은 회전 스크류(114)의 후단 측 하부에 구비되며, 구동 모터(140)는 회전 스크류(114)의 전단 측 하부에 구비되는 바, 그들의 최적화된 배치에 따라 매우 작은 크기의 소형으 로 원활히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작동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되어 구동 모터(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싱크대(10) 상의 수도 꼭지(미도시) 근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해당 작동 스위치부는 싱크대(10) 상의 수도 꼭지와 연동되도록 작동되어 구동 모터(140)를 온/오프시킬 수 있으며, 즉 수도 꼭지가 개방되어 급수가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구동 모터(140)가 온되어 작동되도록 하고, 수도 꼭지가 폐쇄되어 급수가 정지되는 시점에서 구동 모터(140)가 오프되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 스위치부가 수도 꼭지와 연동되도록 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작동 스위치부를 별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에 의해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싱크대(10)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시점은 대부분 주부가 설거지를 실시하는 시점으로 설거지 시에는 수도 꼭지를 개방하여 급수되도록 하므로, 그 시점에서 구동 모터(14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면, 매우 편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수거 수단부(150)는 회전 탈수 콘(132)의 하부 측에 구비되어 잔류 수분까지 제거된 후 차폐 케이스(136) 상의 최종 배출구(136a)를 통해 낙하 배출되는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수거 수단부(1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거치되어 낙하되는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는 수거 봉지(152)와, 수거 봉지(152)를 탈착 가능하게 거치하되 그 입구가 개방되어 유지되도록 거치하는 봉지 거치대(154)와, 수거 봉지(152)를 안치하여 지지하도록 함체 형태로 구비되는 안치 케이스(15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완료된 음식물 조각들이 최종적으로 수거 봉지(152)에 자동으로 담겨지므로, 사용자는 수거 봉지(152)가 충분하게 채워지면 해당 수거 봉지(152)를 분리시켜 폐기하고, 새로운 수거 봉지(152)로 교체하면 된다.
물론, 이러한 수거 수단부(150)는 수거 봉지(152)의 교체 편의를 위해 싱크대(10) 전면 상에 구비되는 여닫이식 도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좋다.
첨언하면, 상기한 제1 배수공(112b), 제2 배수공(116a) 및 제3 배수공(132a)은 매우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어 수분은 무리 없이 통과되도록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 및 그 파쇄된 조각들은 최대한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는 그 압착 파쇄 수단부(110), 탈수 배출 수단부(130), 구동 모터(140) 및 전동 연결 구성, 수거 수단부(150)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본체 케이스(1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0)의 작용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사용자는 싱크대(10)의 개수대(12) 내에서 급수되는 물을 이용하여 설거지를 실시하며, 그때 일부 남은 잔반의 음식물 쓰레기나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던 음식물 쓰레기를 해당 개수대(12) 내에 버린다.
그러면, 개수대(12) 내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는 설거지에 따라 발생되는 오수와 함께 배수구(14)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개수대(12) 내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14)로 밀어 넣는다.
그에 따라, 배수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는 경사진 경사 투입관(102) 내부를 통해 자연 이송된 후 스크류 케이스(112) 상의 투입구(112a)를 통해 스크류 케이스(112) 내로 투입된다.
한편, 사용자는 설거지를 실시하거나 싱크대(10)의 배수구(14)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때에는 수도 꼭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 스위치부를 조작하여 온시키며, 그에 따라 구동 모터(140)가 회전 작동된다.
따라서, 스크류 케이스(112) 내로 오수와 함께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구동 모터(140)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 스크류(114) 상의 압착 스크류 날(114b-1)에 의해 점차 후단 측으로 이송되면서 그 과정에서 압축되어 일부 탈수되고, 탈수에 따라 발생되는 수분과 싱크대(10)로부터 유입된 오수는 스크류 케이스(112)의 하면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배수공들(112b)을 통해 외부 배출되어 제1 집수 케이스(118)에 모여진 후 연결된 하수도관(20)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회전 스크류(114) 상의 압착 스크류 날(114b-1)에 의해 압축되면서 강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계속하여 회전 스크류(114) 상의 파쇄 스크류 날(114b-2)에 의해 이송되면서 파쇄되며, 그 파쇄에 따라 일부 함유된 수분이 추가적으로 배출되어 제거된다.
그 다음으로, 회전 스크류(114) 상의 파쇄 스크류 날(114b-2)에 의해 파쇄되면서 강제 이송된 음식물 조각들은 계속하여 회전 스크류(114) 상의 파쇄 돌 기(114b-3)와 스크류 캡(116) 상의 상대측 파쇄 돌기(116b)에 간섭됨과 아울러, 그들에 의해 맷돌식으로 갈아져 추가 파쇄되며, 그 추가 파쇄에 따라서도 일부 수분이 배출되어 제거되고, 결과적으로 파쇄된 음식물 조각들은 스크류 캡(116) 상의 배출구(116c)를 통해 배출된다.
이로써, 압착 파쇄 수단부(110)를 통과한 상태의 음식물 조각들은 함유된 수분이 어느 정도 제거된 상태이고, 그 중량 및 부피가 대폭 감소된 상태이다.
이어서, 스크류 캡(116)의 배출구(116c)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조각들은 어느 정도 수직되게 구비되는 전달 관(120)의 내부를 통해 자연 낙하식으로 이송된 후 전달 관(120)의 타단에서 배출되며, 즉 구동 모터(140)의 회전 작동에 따라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되고 있는 회전 탈수 콘(132)의 깊숙한 부분에 대해 배출된다.
그러면, 해당 음식물 조각들은 빠른 속도로 회전되고 있는 회전 탈수 콘(132)에 의해 강하게 회전되면서 잔류하는 미량의 수분이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된 후 해당 회전 탈수 콘(132) 상에 전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 배수공들(132a)을 통해 외부 배출되어 제2 집수 케이스(134)를 통해 집수된 다음에 연결된 하수도관(20)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회전 탈수 콘(132)에 의해 몇 차례 강하게 회전된 음식물 조각들은 회전 탈수 콘(132)의 개방된 측방을 통해 튕겨 나가며, 튕겨 나간 음식물 조각들은 차폐 케이스(136)에 부딪혀 하방으로 낙하되고, 결국 차폐 케이스(136) 상의 하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최종 배출구(136a)를 통해 낙하 배출된다.
그러면, 최종 배출구(136a)를 통해 낙하 배출되는 음식물 조각들은 하부 측 의 수거 수단부(150)에 입구가 개방된 상태로 준비되어 있는 수거 봉지(152) 내로 투입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 및 탈수되고, 수거 봉지(152) 내에 자동으로 담겨진다.
물론, 사용자는 수거 봉지(152) 내에 음식물 조각들이 충분하게 차게 되면, 수거 수단부(150)로부터 수거 봉지(152)를 분리시켜 폐기하고, 새로운 수거 봉지(152)를 장착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 스크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스크류 캡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요부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회전 탈수 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구비되는 수거 수단부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12 : 개수대
14 : 배수구 20 : 하수도관
1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02 : 경사 투입관
102a : 꺽임 유로부 110 : 압착 파쇄 수단부
112 : 스크류 케이스 112a : 투입구
112b : 제1 배수공 114 : 회전 스크류
114a : 중심 축 114b-1 : 압착 스크류 날
114b-2 : 파쇄 스크류 날 114b-3 : 파쇄 돌기
116 : 스크류 캡 116a : 제2 배수공
116b : 상대측 파쇄 돌기 116c : 배출구
118 : 제1 집수 케이스 120 : 전달 관
130 : 탈수 배출 수단부 132 : 회전 탈수 콘
132a : 제3 배수공 132b : 회전 축
134 : 제2 집수 케이스 136 : 차폐 케이스
136a : 최종 배출구 140 : 구동 모터
140a : 감속 기어체 150 : 수거 수단부
152 : 수거 봉지 154 : 봉지 거치대
156 : 안치 케이스 160 : 본체 케이스

Claims (10)

  1. 싱크대의 개수대에 형성되는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오수와 함께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전단 측에서 투입받아 후단 측으로 이송하면서 압착 및 파쇄시켜 1차 탈수 및 감량화시키며 횡 방향으로 구비되어 저속 회전되는 회전 스크류를 갖는 압착 파쇄 수단부;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쇄에 따라 단편화된 음식물 조각들을 고속 회전시켜 원심 분리에 의해 잔류 수분을 제거시킨 후 개방된 측방으로 자연 배출시키며 고속 회전되는 눕혀진 나팔관 형상의 회전 탈수 콘을 구비하는 탈수 배출 수단부;
    상기 회전 스크류와 상기 회전 탈수 콘을 동시에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작동 스위치부; 및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며 교체 가능한 수거 봉지를 갖는 수거 수단부; 를 포함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을 상기 회전 탈수 콘 내부의 깊숙한 부분으로 이송하여 전달하는 전달 관; 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의 상기 회전 스크류는,
    상기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중심 축 상에 전단 측으로부터 일정 길이씩의 압착 스크류 날과 파쇄 스크류 날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 축의 후단 측은 테이퍼진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착 파쇄 수단부는,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 스크류가 내장되며 전단 측에는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면 상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탈수되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1 배수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스크류 케이스;
    상기 회전 스크류의 원추형 부분을 감싸는 원추형의 것으로 상기 스크류 케이스의 후단에 결합 구비되며 측면 상에는 탈수되는 수분이 외부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2 배수공이 형성되고 후단 측 중심에는 파쇄된 상기 음식물 조각들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스크류 캡; 및
    상기 스크류 케이스와 상기 스크류 캡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수분을 외측에서 수용받아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으로 배출하는 제1 집수 케이스; 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와 상기 스크류 케이스 상의 상기 투입구를 경사되게 연결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여 공급하는 경사 투입관; 을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스크류의 상기 중심 축의 원추형 부분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파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캡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른 일정 간격마다 각기 전후 방향으로 긴 일자 형태로 돌설되는 상대측 파쇄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갈아서 추가 파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의 상기 배수구의 내부나 상기 경사 투입관의 입구 측 내부에는,
    한번 이상 꺽이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여 상기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금속성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꺽임 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탈수 콘은,
    측면 상에 탈수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제3 배수공을 구비하며,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는,
    상기 회전 탈수 콘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3 배수공을 통해 외부 배출되는 상기 수분을 수용하여 집수한 후에 하수도관으로 배출하는 제2 집수 케이스;
    상기 회전 탈수 콘의 개방된 측방을 외측에서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튕겨 나오는 상기 음식물 조각을 충돌하여 낙하시키며 낙하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이 배출되는 최종 배출구를 갖는 차폐 케이스; 및
    상기 회전 탈수 콘의 외측 꼭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 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 축과 상기 회전 스크류를 중간에서 전동 연결하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 기어체; 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부는,
    상기 싱크대 상에 구비되어 급수를 개폐하는 수도 꼭지의 개폐 작동과 연동되어 상기 구동 모터를 온/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 수단부는,
    입구가 상방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탈수 배출 수단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 조각들을 수용받아 내부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교체될 수 있는 수거 봉지;
    상기 수거 봉지를 거치하되 입구가 개방 유지되도록 거치하며 상기 수거 봉지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봉지 거치대; 및
    상기 수거 봉지를 안치하여 지지하는 안치 케이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0080110769A 2008-11-10 2008-11-10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094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9A KR100948744B1 (ko) 2008-11-10 2008-11-10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769A KR100948744B1 (ko) 2008-11-10 2008-11-10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744B1 true KR100948744B1 (ko) 2010-03-18

Family

ID=4218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769A KR100948744B1 (ko) 2008-11-10 2008-11-10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74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3-09-17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CN107930793A (zh) * 2017-11-25 2018-04-20 防城港市润禾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香茅蒸馏的切割装置
KR20190068774A (ko) * 2017-12-11 2019-06-19 조영선 싱크대 배수구 연결 장치
CN110152782A (zh) * 2019-04-24 2019-08-23 王科程 一种生活垃圾回收处理装置
KR20220147927A (ko) 2021-04-28 2022-11-04 디티엘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고액 분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850A (ja) * 1989-04-21 1990-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生ゴミ処理装置
KR100649966B1 (ko) 2005-06-03 2006-11-27 박학구 양각날 및 음각날을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KR100732941B1 (ko) 2005-12-19 2007-06-29 이승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0850A (ja) * 1989-04-21 1990-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生ゴミ処理装置
KR100649966B1 (ko) 2005-06-03 2006-11-27 박학구 양각날 및 음각날을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스크류
KR100732941B1 (ko) 2005-12-19 2007-06-29 이승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3-09-17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CN107930793A (zh) * 2017-11-25 2018-04-20 防城港市润禾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香茅蒸馏的切割装置
KR20190068774A (ko) * 2017-12-11 2019-06-19 조영선 싱크대 배수구 연결 장치
KR102042827B1 (ko) 2017-12-11 2019-11-08 조영선 싱크대 배수구 연결 장치
CN110152782A (zh) * 2019-04-24 2019-08-23 王科程 一种生活垃圾回收处理装置
KR20220147927A (ko) 2021-04-28 2022-11-04 디티엘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고액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0948744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10008545A (ko) 고성능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12928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23958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200379869Y1 (ko)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335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17512B1 (ko) 싱크대용 개숫물 처리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2097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20034188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2104369U (zh) 一种具有除菌消毒功能的厨余机
KR10147319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405262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97005Y1 (ko) 싱크대용 오수처리장치
KR20160000474U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0240024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