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388B1 -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 Google Patents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388B1
KR101309388B1 KR1020120080860A KR20120080860A KR101309388B1 KR 101309388 B1 KR101309388 B1 KR 101309388B1 KR 1020120080860 A KR1020120080860 A KR 1020120080860A KR 20120080860 A KR20120080860 A KR 20120080860A KR 101309388 B1 KR101309388 B1 KR 10130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chamber
liquid separation
food wast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식 filed Critical 김경식
Priority to KR102012008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5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knives spaced axially and circumferentially on the periphery of a cylindrical r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02C18/184Disc-shaped knives with peripherally arranged demountable cutting tip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싱크대 배수구와 연통하며, 내부에 분쇄판이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와 오수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침적 및 부유하는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구비된 흡입펌프와, 오수가 하방향에서 유입되어 내부의 여과재를 관통하여 처리수를 외부의 하수라인으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칼럼이 구비되는 고액분리 집수정; 상기 토출관과 토출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수라인과 재순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감량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Solid and liquid separator for food waste}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가정으로부터의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처리 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포함된 오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며, 여과된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도록 하는 고액분리 집수정과, 고액분리 집수정으로부터 토출된 고형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된 케이크를 배출토록 하는 고형물 감량장치를 포함함에 따라 음식물류 폐기물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토록 하고, 이렇게 배출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포함된 오수를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하여 고형물 함량을 낮춘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도록 하며, 분리된 고형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타 용도로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짐으로 인해 음식물류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쉽게 부패되고, 이로 인해 심한 악취와 오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수단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각 가구의 주방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하여 처리하는 음식물 분쇄 처리기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음식물 분쇄 처리기는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투입시킨 후 작동시켜 음식물류 폐기물을 미세하게 분쇄한 다음 이송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음식물 분쇄 처리기는 싱크대의 배수구 하부에 설치되고,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을 사용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한 후 이송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음식물류 폐기물을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물 분쇄 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류 폐기물처리는 기존에 한국 특허공개 제2012-43836호 등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단순히 가정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기술에 대해서만 제시되고 있을 뿐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 제1157025호에서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음식물 분쇄 처리기; 상기 음식물 분쇄 처리기에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오수와 함께 이송시키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끝단에 위치하며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를 저장하는 음식물 쓰레기 저장탱크; 상기 음식물 쓰레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살수펌프; 상기 살수펌프를 통해 이송된 슬러지를 건조시키되, 원심력을 이용하여 슬러지와 오수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원심분리기; 상기 원심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저장탱크; 상기 슬러지 저장탱크에 저장된 슬러지를 가공하여 사료 또는 퇴비로 사용 가능한 펠렛으로 제조하는 펠렛제조기;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경우도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단순히 저장탱크에 침전시켜 이렇게 침전된 고형물만을 외부로 유출시킴에 의해 사료 등으로 재활용하는 기술만이 제시되어,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로부터 부유고형물 등은 그대로 저장탱크에 남아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문제로 저장탱크로부터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는 경우 수질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되며, 전체적으로 음식물 분쇄 처리기, 원심분리기 등에서 오수, 처리수의 재활용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제2012-43836호 특허등록 제1157025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류 폐기물을 각 가정 등에서 자동화에 의해 분리수거가 가능하게 됨은 물론, 재활용이 된 오수로부터 음식물류폐기물을 처리하고,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로부터 고형물의 제거효율을 높여 방류되는 처리수가 하수방류 기준에 부합하도록 하며, 분리된 고형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을 할 시에도 제거된 수분(처리수)를 방류하도록 하여 편의성, 처리효율, 자원재활용면에서 우수한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싱크대 배수구와 연통하며, 내부에 분쇄판이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와 오수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침적 및 부유하는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구비된 흡입펌프와, 오수가 하방향에서 유입되어 내부의 여과재를 관통하여 처리수를 외부의 하수라인으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칼럼이 구비되는 고액분리 집수정; 상기 토출관과 토출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수라인과 재순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감량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가정으로부터의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처리 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포함된 오수에서 고형물을 분리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며, 여과된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도록 하는 고액분리 집수정과, 고액분리 집수정으로부터 토출된 고형물에서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된 케이크를 배출토록 하는 고형물 감량장치를 포함함에 따라 음식물류 폐기물을 자동화된 시스템에 의해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토록 하고, 이렇게 배출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포함된 오수를 고액분리를 통해 분리하여 고형물 함량을 낮춘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도록 하며, 분리된 고형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타 용도로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을 이용한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자동화 된 시스템에 의해 가정에서의 음식물류폐기물을 분쇄하여 고액분리를 통해 고형물이 제거된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토록 함과 동시에 분리된 고형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자원화가 용이한 케이크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종래 분리수거를 통해 집합적으로 처리하던 공정을 가정단위로 처리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진되고, 악취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을 이용한 공정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이송장치가 싱크대에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성인 이송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이송장치의 일구성인 분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이송장치의 일 구성인 와류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 집수정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 집수정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Ⅰ-Ⅰ면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Ⅱ-Ⅱ면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고액분리 집수정의 일 구성인 여과칼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고액분리 집수정의 일 구성인 여과칼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감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감량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감량장치의 일 구성인 본체부의 정단면도이고,
도 16은 감량장치의 일 구성인 가압부의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을 이용한 공정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구성인 이송장치가 싱크대에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구성인 이송장치의 정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이송장치의 일구성인 분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이송장치의 일 구성인 와류실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 집수정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 집수정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Ⅰ-Ⅰ면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에서 Ⅱ-Ⅱ면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고액분리 집수정의 일 구성인 여과칼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고액분리 집수정의 일 구성인 여과칼럼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형물 감량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형물 감량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와 연통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과 이를 포함하는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장치(100), 상기 이송장치(1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과 이를 포함하는 오수를 유입받아 고액분리를 하여 분리된 고형물을 외부로 배출하고, 여과된 처리수를 하수로 방류하는 고액분리 집수정(200), 및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을 유입받아 수분을 제거하여 감량된 케이크를 생산하는 감량장치(300)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음식물류 폐기물"이라함은 음식재료 도는 음식물의 생산, 유통, 가공, 조리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와 남겨서 버려지는 음식물 등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100)는 음식물류 폐기물과 이를 포함하는 오수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수라인(500)을 통해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 유입토록 하고,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부터 분리된 고형물은 토출라인(600)을 통해 감량장치(300)로 토출되도록 하며,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부터 여과된 처리수는 하수라인(800)을 통해 방류되는 것이고, 상기 감량장치(300)로부터 제거된 수분은 재순환라인(700)에 의해 상기 오수라인(500)으로 유입토록 하여 고액분리 과정을 다시 거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형물 감량장치(300)로부터 수분이 제거되어 감량된 케이크는 별도의 저장소(400) 등에 저장되어 자원화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의 개략적인 공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100)에 의한 음식물류 폐기물의 분쇄 및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오수와 함께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 이송공정을 갖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이송된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하는 오수는 고액분리 집수정(200)에서 고액분리, 처리수 방류 및 분리된 고형물을 감량장치(300)로 이송공정을 갖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이송된 분리된 고형물은 상기 감량장치(300)에서 수분제거 및 감량된 케이크 생산공정을 갖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공정에 기해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방법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상세시 설명한다.
우선 이송장치(100)는 싱크대의 배수구(101)에 구성되어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 및 이송(토출)하여,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섬유질이 상당 비율을 차지하는 국내 음식물류 폐기물에 적합한 분쇄 기능을 갖는 분쇄부(110)가 구성되며, 설거지 시 사용된 오수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분쇄부(110)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사이펀원리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별도의 저장부(120) 및 역 "U"형 토출관(150)을 마련하고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송장치(100)는 싱크대의 배수구(101)에 상부가 연통되며 하부에는 역 "U"형 토출관(150)이 연결되는 토출구(119)가 구성되는 분쇄부(110)와 상기 분쇄부(110)와 이격되며 관부(132)에 의해 연통되는 저장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부(110)는 상부가 개구되어 배수구(101)로부터의 설거지 등에 의한 오수 및 음식물류 폐기물을 수용하는 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112) 내부에는 분쇄판(120)이 배치되며, 공간부(112)의 상부 일측면에는 관부(132)가 결합되고, 분쇄판(120)의 하부에는 와류실(116)이 형성되며 상기 와류실(116)의 하부 일측면에는 토출구(119)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12)에는 분쇄부(110)의 분쇄작업시 개구된 분쇄부(110)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111)가 구성된다. 즉 상기 공간부(112)의 개구된 상단에 구성되어 공간부(112)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덮개부(111)가 구성된다.
상기 덮개부(111)의 구성에 기해 설거지 중에는 상기 공간부(112)가 대기와 연통하는 상태가 되므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부의 내부하면(h)이 형성된 위치에서 오수의 수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센서 등의 작동에 기해 상기 덮개부(111)가 상기 공간부(112)의 상단을 막아 분쇄시 음식물류 폐기물이 배수구(101)로 역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형상 등에 기해 사이펀현상이 발생하도록 함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수 및 분쇄부(110)에 저장된 오수와 함께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완전히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덮개부(111) 및 덮개부(111)와 대응되는 지점의 분쇄부(110) 상면에는 마그네틱 센서를 장착하여 덮개부(111)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데 마그네틱 센서 외에도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는 공지의 구성을 사용하면 무방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2)에는 상부에 음식물류 폐기물 중에 분쇄가 곤란한 것이나, 젓가락 등을 미리 걸러내기 위해 상기 공간부(112)의 내주연과 밀착되도록 상기 관부(132)의 상부에 용기형상의 거름망(114)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분쇄부(110)에는 회전하여 음식물류폐기물을 분쇄하는 원판 형상의 분쇄판(120), 공간부(112)의 내주연에 부착되되 분쇄판(1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연마링(118), 분쇄판(120)의 중심과 회전축(104)이 결합되는 모터(102)가 더 구성된다.
상기 분쇄판(120)은 상기 공간부(112)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쇄판(120)은 분쇄부(110)의 하부에 수밀 된 공간에 구성되는 모터(102)와 회전축(104)을 연결되어 일체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쇄판(120)의 상면에는 회전방향을 향하며 경사구배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터날(122)이 구성되고 커터날(122)이 배치된 위치에는 배출홀(124)이 형성되는데, 이는 회전하는 커터날(122)에 의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하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커터날(122) 및 배출홀(124)에 의해 오수의 하방향 유동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터날(122) 및 배출홀(124)의 수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바람직하게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판(120)의 중심축으로부터 대칭이 되는 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이 상기 분쇄판(120)의 회전에 의해 고르게 커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터날(122)에 의해 잘게 커팅된 음식물류 폐기물로 상기 배출홀(124)로 낙하되지 않은 나머지 음식물류 폐기물은 후술하는 믹서돌기(126)와 연마링(118)에 기해 멧돌방식으로 완전하게 분쇄되는 것이다.
상기 연마링(118)은 관 형상으로 상기 분쇄판(120)의 둘레와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쇄판(120)의 테두리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연마링(118)의 측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장공(118-1)이 형성된다.
상기 믹서돌기(126)는 상기 분쇄판(120)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핀(128)에 의해 결합되어 분쇄판(120)이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에 기해 연동되어 같이 회전하는 바, 상기 믹서돌기(126)는 중앙부위가 타원형으로 관통된 유동홀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핀(128)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분쇄판(120)에는 상기 믹서돌기(126)가 포함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공(12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믹서돌기(126)는 일측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서 비대칭 형상을 갖도록 맷돌부(127)가 형성되며 상기 맷돌부(127)는 원심력의 작용에 기해 상기 연마링(118)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믹서돌기(126)의 수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믹서돌기(126)는 분쇄판(120)이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의 작용으로 상기 분쇄판(120) 상에서 자체 회전한다. 상기 분쇄판(120)이 회전함에 따라 잔류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먼저 상기 커터날(122)에 의해 잘게 커팅됨과 더불어 원심력에 의해 분쇄판(120)의 테두리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분쇄판(120) 상에서 회동하는 믹서돌기(126)의 저면과 분쇄판(120)의 상면이 마찰되는 즉, 맷돌원리에 기해 음식물류 폐기물을 완전히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믹서돌기(126)는 측부에 배치된 연마링(118)과의 타격에 의해 음식물류 폐기물을 완전히 분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쇄판(120)이 회전함으로써 커터날(122)과 믹서돌기(126)에 의해 커팅 및 분쇄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커팅날(122)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홀(124), 믹서돌기(126)의 회전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29) 및 분쇄판(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반원 형상으로 된 복수의 배출홈(125)을 통해 분쇄판(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류실(116)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분쇄판(120)은 모터(102)의 회전축(104)과 연동하여 회전력이 부과되는 것으로, 상기 분쇄판(120)의 형상은 이외에도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분쇄판(120)의 저면에는 사이펀 날개(123)가 구성되는바, 상기 사이펀 날개(123)는 이하에서 설명할 토출구(119)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 및 오수가 배출됨에 있어 사이펀 원리가 적용되기 위한 수단이 된다.
한편 상기 와류실(116)은 제 1 와류면(117a)에서 부터 제 2와류면(117b)까지 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나선형의 바닥면(117)이 소정각도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 2와류면(117b)의 끝단 지점에는 토출구(119)가 형성된다.
이는, 토출구(119)를 통해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오수의 유동을 형성시켜 사이펀원리가 원활하게 작용 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인 작동 원리는 추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토출구(119)에 연결되는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은 싱크대 배수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분쇄부(110)를 거쳐 집수정 등으로 배출시키는 역 "U"자형 관 구조로 형성되며, 특히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은 상기 관부(132)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하도록 하여, 설거지 시 유입되는 오수가 저장부(130)에 저장되도록 하고, 분쇄시 역 "U"형 토출관(150)으로 저장된 오수 및 음식물류 폐기물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덮개부(111)의 개폐가 필수적이 사항이다.
한편 상기 저장부(130)에는 상기 관부(132)와 연통하여 직각으로 굴곡된 엘보우관(134)이 구성되는 바, 일단은 상기 관부(132)와 연통하여 결합되고 타단은 수용부(131)의 내부 바닥면과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음식물류 폐기물 분쇄시 저장부(130)에서 분쇄부(110)로 오수를 재공급 시킬 때 수용부(131)에 저장된 오수가 모두 빨려 나갈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131)에 저장되는 오수가 분쇄부(110)로 유입될 때 수용부에 잔여 오수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부(131)의 내부 바닥면에 인접하는 상기 엘보우관(134)의 끝단을 향하여 하향 되도록 경사면(133)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저장부(130)의 상부에는 수용부(13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통되는 에어변(137)이 구성되는 바, 수용부(131)에 저장되는 오수가 분쇄부(110)로 방출될 때 오수는 수용부(131)의 바닥면부터 빠져나가게 되는데 이는 수용부(131)의 바닥면에 끝단이 구성되는 엘보우관(134)에 기인 한 것으로 분쇄부(110)로의 오수 방출시 오수의 감쇄량 만큼의 부피를 상부 에어변(137)을 통해 수용부(131)에 공기가 보충되도록 구성하여 오수가 분쇄부(110)로 원활하게 방출 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저장부(130)에는 수위감지용 센서(136)가 구성되는 바, 상기 수위감지용 센서(136)는 수용부(131)에 유입되는 오수가 분쇄부(110)의 작동시 요구되는 수위을 채우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ON" 명령을 입력하여도 분쇄부(110)가 동작 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분쇄부(110)에 내재된 분쇄판(120) 등의 마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수량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에 의해 상기 토출구(119)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분쇄부(110) 내부에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큰 수압에 의해 씻겨 내려 역 "U"형 토출관(150)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110) 내부의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모두 배출시킬 수 있어 청결함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극봉 센서를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센서라도 무방하다.
상기 분쇄부(110)의 작동이라 함은 분쇄부(110)의 하측에 구성된 모터(102)가 회전하여 분쇄판(120)이 연동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수용부(131)에 저장된 오수가 모두 배출되면 이 역시 상기 수위감지용 센서(136)가 감지하여 상기 모터(102)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OFF" 명령을 입력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기기의 작동을 멈출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송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먼저 설거지 등의 작업시 오수와 음식물류 폐기물은 싱크대의 배수구(101)를 통해 분쇄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와류실(116)과 공간부(112)로 순서대로 수위를 채우며 유입된다. 이때, 입자가 큰 폐기물은 분쇄판(120) 상에 머무르게 된다. 공간부(112)의 오수 수위가 올라감에 따라 와류실(116)에 구성된 토출구(119)를 통해 역 "U"형 토출관(150)에서의 오수 수위도 올라가게 된다. 이때 오수가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 내부하면(h)보다 낮게 배치된 관부(132)로 먼저 유입되어 저장부(130)에 마련된 수용부(131)를 가득 채우고 난 후 계속적으로 오수가 공간부(112)로 유입되면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부를 넘어 자연배수 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설거지 등의 작업을 마친 후, 더 이상 오수의 유입이 없게 되면 분쇄부(110)의 상단이 개구되어 있으므로(덮개부가 개구) 수두차에 의해 분쇄부(110)의 수위는 상기 역 "U"형 토출관(150) 최상단 내부하면(h)의 위치에 머물게 된다.
분쇄부(110)를 동작시키기 전에 분쇄부(110)의 개방된 상부에 덮개부(111)를 체결하게 되는데, 상기 분쇄부(110)의 수위는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 내부하면(h)의 높이와 같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수위의 세팅은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 내부하면(h)의 높이 배치에 의해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상기 수위는 덮개부(111)를 체결하였을 때 덮개부(111)의 하단부에 의해 오수가 눌러질 수 있도록 즉, 덮개부(111)가 체결됨에 의하여 분쇄부(110)의 공간부(112)에는 공기층이 남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덮개부(111)를 체결한 후 분쇄부(110)가 작동되면, 분쇄판(120)이 회전하여 커터날(122)과 믹서돌기(126)에 의해 커팅 및 분쇄되는 음식물류 폐기물은 커팅부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홀(124), 믹서돌기(126)의 회전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129) 및 분쇄판(120)의 테두리에 형성된 반원 형상으로 된 복수의 배출홈(125)을 통해 분쇄판(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와류실(116)로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저장된 오수에도 하부방향으로 유동이 형성되며, 이렇게 분쇄판(120) 하부로 유동된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 및 오수는 분쇄판(120)의 저면에 구성된 사이펀 날개의 회전에 의해 하방향으로 와류가 형성되며, 또한, 와류실(116)의 구조에 기해 와류가 배가됨으로써 기 저장된 오수의 수위보다 높은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h)을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 및 오수가 넘어가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기해 사이펀 원리가 작용하여 역 "U"형 토출관(150)을 통해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이 포함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형상에 기해 사이펀 원리가 작동함으로써 오수 및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외부로 토출토록 하는 것은, 상기 분쇄부(110)에 체결되는 덮개부(111)에 기해 내부의 공간부(112)는 외부 공기가 차단되는 구조로 되어 상기 분쇄판(120)이 회전하여 분쇄판(120)의 저면에 구성된 사이펀 날개가 회전됨에 의해 그 하부인 상기 와류실(116) 내에는 와류가 형성된다. 상기 와류에 의해 오수 및 분쇄된 음식물 폐기물은 상기 역 "U"형 토출관(150)의 최상단(h)에 도달하여 하부로 낙하하게 됨으로써 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 후에는 역 "U"형 토출관(150)으로 분쇄부(110) 내부는 물론 저장부(130)에 저장된 오수가 배출됨으로써 이와 함께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고액분리 집수정(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은 유입되는 오수에서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 즉 고형물이 오수 내에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1차적으로 침적고형물과 부유고형물을 걸러내고, 2차적으로 나머지 고형물을 여과칼럼(230)을 통해 제거한 처리수를 배출토록 함은 물론 집수정(210)에 일정 수위가 도달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분리된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과 함께 유입된 오수를 토출시켜 상기 고형물 감량장치(300)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우기 시 등에 오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침수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침적고형물"이라함은 비중이 물보다 커서 침전되는 고형물을 말하는 것이고, "부유고형물"이라함은 비중이 물보다 작아서 부유되는 고형물을 말하는 것이며, "나머지 고형물"이라함은 비중이 물과 비슷하여 물과 함께 유동하는 고형물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은 비중에 의해 고형물을 먼저 분리하고, 이렇게 분리되지 않은 고형물은 여과를 통해 분리하도록 하여 오수로부터 고형물(음식물류 폐기물) 제거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의 상세 구성은 집수정(210), 흡입펌프(220), 여과칼럼(230), 하부흡입관(240) 및 부유물흡입관(250)으로 구성된다.
우선 상기 집수정(210)은 복수의 구획벽(213)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214)와, 일측에 형성된 유입관(211)과, 타측에 형성된 배수관(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입관(211)은 상기 오수라인(500)과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포함하는 오수가 상기 집수정(2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배수관(212)은 유입된 오수가 각각의 챔버(214)를 경유하고, 상기 여과칼럼(230)을 거쳐 여과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에 해당하며, 상기 하수라인(800)과 연결된다. 이 경우 오수의 원활한 유입, 유출을 위하여 상기 배수관(214)은 상기 유입관(21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집수정(210)에는 구획벽(213) 및 챔버(214)를 구성하되, 상기 유입관(211)으로부터 오수가 유입되어 고형물을 침적시키는 침적챔버(A)와, 상기 침적챔버(A)의 양측으로 오수가 월류하여 고형물을 부유시키는 부유챔버(B)와, 상기 부유챔버로부터 오수가 월류하도록 하여 여과칼럼을 통해 오수로부터 나머지 고형물을 처리토록 하는 처리챔버(C)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집수정(210)의 내부를 침적챔버(A), 부유챔버(B) 및 처리챔버(C)로 구획하되, 그 실시 예를 도 7 등에서 제시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면 우선 상기 집수정(210)의 내부에서 오수 유동방향(유입관(211)에서 배수관(212) 방향)으로 평행하게 제 1, 2격벽(2131, 2132)이 구성되며, 상기 제 1,2격벽(2131, 2132)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 3격벽(2133)이 구성되고, 각각 제 1,2격벽(2131,2132)과 집수정(210)의 측벽(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가로지르는 제 4,5격벽(2134, 2135)이 구성되며, 상기 제 1,2격벽(2131,2132)의 끝단과 상기 집수정(210)의 양측벽을 가로지르는 제 6격벽(2136)이 구성된다.
이렇게 격벽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집수정(210)은 제 1,2격벽(2131, 2132)과 제 3격벽(2133)에 의해 제 1챔버(2141)가 구획되며, 제 1,2격벽(2131, 2132), 제 3격벽(2133) 및 제 6격벽(2136)에 의해 제 2챔버(2142)가 구획되고, 제 1,2격벽(2131, 2132)과 제 4, 5격벽(2134, 2135)에 의해 각각 제 3, 4챔버(2143, 2144)로 구획되며, 제 1,2격벽(2131, 2132), 제 4, 5격벽(2134, 2135) 및 제 6격벽(2136)에 의해 제 5,6챔버(2145, 2146)가 각각 구획되고, 마지막으로 제 6격벽(2136)의 외측(배수관(212) 방향)으로 제 7챔버(2147)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획에 의해 상기 침적챔버(A)는 제 1, 2챔버(2141,2142)가 해당되며, 상기 부유챔버(B)는 제 3,4챔버(2143,2144) 및 제 5,6챔버(2145,2146)가 해당되고, 상기 처리챔버(C)는 제 7챔버(2147)가 해당된다.
한편, 상기 챔버(214) 간을 유입된 오수가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유로(217) 및 하부유로(218)가 형성되는 바, 상기 제 1챔버(2141)에는 양측으로 상기 제 1,2격벽(2131, 2132)의 상단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 1상부유로(2171)가 구성되며, 상기 제 2챔버(2142)에는 양측으로 상기 제 1,2격벽(2131, 2132)의 상단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 2상부유로(2172)가 구성되고, 상기 제 5,6챔버(2145, 2146)에는 각각 상기 제 6격벽(2136)의 상단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제 3상부유로(2173)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상부유로(2171) 및 제 2상부유로(2172)는 제 3상부유로(2173)에 비해 높이가 높게 구성되어 유입된 오수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하부유로(218)는 제 1챔버(2141)과 제 2챔버(2142) 사이에서 제 3격벽(2133)과 이하에서 설명할 하부구획벽(215) 사이에 제 1하부유로(2181)가 구성되며, 제 3챔버(2143)와 제 5챔버(2145) 및 제 4챔버(2144)와 제 6챔버(2146) 사이에서 각각 제 4, 5격벽(2134, 2135)과 하부구획벽(215) 사이에 제 2하부유로(2182)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기해 상기 집수정(210)으로 유입된 오수는 먼저 제 1챔버(2141)로 유입되고, 제 1하부유로(2181)를 통해 제 2챔버(2142)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 1챔버(2141)의 하부구획벽(215)보다 제 2챔버(2142)의 하부구획벽(215)이 낮게 구성되며 제 2챔버(2142)에서도 하부구획벽(215)의 형상은 중앙부로 낮아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유입된 오수가 자연스럽게 제 1챔버(2141)에서 제 2챔버(2142)로 유동하도록 하고, 제 2챔버(2142)에 저류되는 오수로부터 침적 고형물이 제 2챔버(2142)의 하부구획벽(215) 중앙으로 모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 2챔버(2142)는 유입되는 오수로부터 침적고형물이 분리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제 1챔버(2141)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와류판을 구성하여 유입되는 오수에 유동속도를 저하시키고 와류를 발생시켜 제 2챔버(2142)에서 침적고형물이 용이하게 분리(침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제 2챔버(2142)로 유입된 오수가 계속적으로 유입되면 수위가 상승하여 제 1상부유로(2171) 및 제 2상부유로(2172)를 월류하여 제 3,4챔버(2143, 2144) 로 유동하고, 제 3,4챔버(2143, 2144)로 유동된 오수는 수위가 상승하면서 제 2하부유로(2182)를 통해 제 5,6챔버(2145, 2146)로도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3,4챔버(2143, 2144)를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제 2챔버(2142)에서 유입된 오수로부터 침적고형물을 걸러내고, 침적고형물이 걸러진 오수를 양측으로 월류시켜 부유고형물이 제 3,4챔버(2143, 2144)로 유도되도록 함으로써 비중별로 오수에 혼합된 고형물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이에 더하여 제 4,5격벽(2134, 2135)과 제 5,6챔버(2145, 2146)를 구성하는 이유는 제 3,4챔버(2143, 2144)에 부유하는 고형물을 집중시켜 이하에서 설명할 부유물 흡입관(250)을 통해 오수로부터 부유물의 제거효율을 배가시키기 위함이다.
이렇게 유동하는 오수는 제 3,4챔버(2143, 2144) 및 제 5,6챔버(2145, 2146)에서 수위가 상승하여 제 3상부유로(2173)를 월류하여 제 7챔버(2147)로 유동하게 되며 이렇게 유동된 오,폐수는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칼럼(230)을 거치면서 나머지 고형물이 걸러진 처리수가 상기 배수관(21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수정(210)은 상,하부로 상기 하부구획벽(215)에 의해 구획이 되는 바, 상기 하부구획벽(215)은 상기 집수정(210)의 하부에 구성되어 상기 하부구획벽(215)이 각각의 챔버(214)의 하면(바닥면)이 되며, 상기 하부구획벽(215)의 하부에는 하부흡입관(240) 및 이하에서 설명할 제 2하부흡입관(260)이 내부에 장착되는 공간부(216)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펌프(220)는 제 2챔버(2142)에 구성되는 것으로 그 측면에 집수정토출관(221)이 구성되는 바, 상기 집수정토출관(221)은 상기 흡입펌프(220)의 작동에 기해 제 2챔버(2142)에 침적고형물과 제 3,4챔버(2143, 2144)에 부유 고형물, 제 7챔버(2147)에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을 오,폐수와 함께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제 7챔버(2147)에서의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은 앞서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이 걸러진 상태의 오수가 제 7챔버(2147)로 유입되어 저류되는 동안에 침적되고 부유되는 고형물은 물론 이하에서 설명할 여과칼럼(230)의 청소 후에 여과재(234)로부터 탈리된 고형물 중 침적되고 부유된 고형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집수정토출관(221)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별도의 처리장치와 연결되어 고형물을 제거한 후 고형물이 제거된 물을 상기 배수관(212)으로 유입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입펌프(220)는 펌프몸체(222)와 펌프받침대(223)로 구성되는 바, 상기 펌프몸체(222)는 내부에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모터가 장착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집수정토출관(221)으로 고형물 등을 배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펌프의 기능은 공지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펌프받침대(223)는 하면으로 개구된 확관형상으로 둘레부로 흡입공(224)이 형성되는 바, 상기 흡입공(224)의 구성에 기해 상기 제 2챔버(2142)에 침적 고형물이 상기 흡입공(224)을 통해 흡입되어 상기 집수정토출관(221)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펌프받침대(223)는 상기 하부구획벽(215)에 구성된 요홈형상의 집합부(2151)와 밀폐가 되도록 장착이 되며, 상기 집합부(2151)는 이하에서 설명할 하부흡입관(240) 및 제 2하부흡입관(260)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집합부(2151)는 상기 흡입관(240) 및 제 2하부흡입관(260)으로부터 흡입되는 고형물과 물이 집합되는 공간으로 상기 집합부(2151)에 집합된 고형물과 물이 상기 펌프받침대(223) 및 상기 펌프몸체(222)를 거쳐 상기 집수정토출관(221)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 7챔버(2147)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과칼럼(230)이 구성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여과칼럼(2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여과칼럼(230)은 기본 예로서 모터(2321)에 의해 회전력을 부여하는 상부챔버(231), 하부의 여과챔버(233)를 잡아주면서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수챔버(232), 상기 상부챔버(231)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여과챔버(233), 상기 여과챔버(233) 내부의 여과재(234), 및 상기 여과챔버(233)가 안치되는 받침판(235)을 그 구성요소로 한다.
상기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챔버(2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하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그 내부에 모터(2311)가 장착된다. 상기 모터(2311)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수동 또는 일정 수위, 일정 시간에 자동으로 작동케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챔버(231)의 하부에는 상기 배수챔버(232)가 구성되는 바, 상기 배수챔버(232) 하단에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직경이 커지는 확관형상으로 수용부(2322)가 구성되어 상기 수용부(2322) 내측으로 상기 여과챔버(233) 상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챔버(232) 내부에는 상기 모터(2311)와 일체로 연동하는 회전봉(2321)이 구성되며, 그 측면에서 상기 배수관(212)과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여과챔버(233)을 통과한 처리수가 상기 배수챔버(232)로 상승하여 상기 배수관(212)을 통해 상기 하수라인(800)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관(212)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역지변을 구성하여 외부로부터 상기 배수관(212)으로 냄새 등이 역류됨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여과챔버(233)는 복수의 제 1여과홀(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는 외관부(2331)와 상기 외관부(2331)와 일정유격을 형성하며 연결된 복수의 제 2여과홀(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내관부(2332)로 구성된다. 상기 외관부(2331) 및 상기 내관부(2332)는 각각 상단에서 이음부(233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이음부(2333)에는 복수의 제 1유동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외관부(2331), 상기 내관부(2332) 및 상기 이음부(23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여과재(234)가 게재된다. 또한, 상기 외관부(2331) 및 상기 내관부(2332)는 각각의 하단에서 마감판(2334)에 의해 연결되는 바, 상기 마감판(2334)은 중앙에 중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판(2334)에는 복수의 제 3유동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제 3유동공은 청소시 여과재(234)방향으로 흡입력이 작용케 하는 홀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마감판(2334)은 상기 외관부(2331) 및 상기 내관부(2332)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타당한 바, 이는 상기 마감판(2334)의 착탈에 기해 여과재(234)의 게재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감판(2334)의 착탈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내관부(2332)의 하면은 폐면으로 돌출부(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판(2334)의 중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는 반구형의 돌출돌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성되어 이하에서 설명할 받침판(235)의 상면에 형성되는 안치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에 상기 돌출돌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여과챔버(230)의 전체 회전에 편심이 작용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관부(2332) 상단에는 체결프레임(2335)이 구성되며, 상기 체결프레임(2335)은 상기 회전봉(2321)과 연결되어 일체로 거동한다. 상기 체결프레임(2335)에는 복수의 제 2유동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되어 회전봉(2321)으로부터 회전이 상기 체결프레임(2335)에 전달되고, 상기 체결프레임(2335)과 일체로 거동하는 여과챔버(233)에 회전력이 부과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관부(2331)의 상부에는 직경이 작아지는 삽입부(2336)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여과챔버(233)가 하부에서는 돌출돌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 및 안치홈(2351)에 의해서 편심이 방지되고, 상부에서는 삽입부와 수용부를 구성함에 의해 편심이 방지되어 여과챔버(233)가 쏠림 없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삽입부(2336)에는 그 외주연에 테두리홈(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이 구성되어 그 내부에 패킹(2337)이 구성되는 바, 상기 패킹(2337)은 링형상으로 구성되며 일측에 개구(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됨에 특징이 있다. 즉 상기 패킹(2337)은 상기 삽입부(2336)의 테두리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여과챔버(233)가 회전할시에 원심력에 의해 직경이 확장되며 이러한 작용에 기해 상기 패킹(2337)은 상기 수용부(2332)의 내주연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패킹(2337)을 형성하는 이유는 여과챔버(233) 회전시 상기 삽입부(2336)와 상기 수용부(2332) 사이로 여과되지 않은 오수가 유입되어 배수관(212)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패킹(2337)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개구가 상호 교차하도록 구성하여 개구를 통해 오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외관부(2331)의 제 1여과홀은 오,폐수가 유입되어 여과재(234)에 의해 여과가 된 후 상기 이음부(2333)의 제 1유동공을 통해 배수관(212)으로 여과된 처리수가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또한 청소 시 상기 제 1여과홀로 여과재(234)에 낀 슬러지 등 고형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관부(2332)의 제 2여과홀은 제 1여과홀 및 여과재(234)를 거친 오수가 다시 한번 더 걸러지도록 하여 상기 체결프레임(2335)의 복수의 제 2유동공을 통해 여과된 처리수가 배수관(212)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여과재(234)는 중공(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중공에 상기 내관부(2332)가 내재되는 것으로, 상기 여과재(234)는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스텐레스 스트립이 엉킨형상이 제시될 수 있으며, 이렇게 여과재(234)를 스텐레스 스트립이 엉킨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은 오,폐수로부터 고형물을 걸러내기 위함은 물론이고, 여과챔버(233)의 회전에 기해 여과재(234)에 원심력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여과재(234)의 간극사이에 침적된 고형물이 용이하게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스텐레스 스트립에 의해 여과재(234)를 구성하여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여과챔버(233)의 하부에는 받침판(235)이 게재되는 바, 상기 받침판(235)은 그 상부에서 상기 여과챔버(233)가 안치되어 회전력이 발생 시 용이하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받침판(235)의 상면에는 안치홈(2351)을 구성하여 상기 안치홈(2351)에 여과챔버(233)에 형성된 돌출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안치홈(2351)의 내부에서 상기 돌출돌기가 회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칼럼(230)에는 상기 상부챔버(231)와 받침판(235)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판(236)을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지지판(236)을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여과챔버(233)의 회전시 편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여과챔버(233)가 유입된 하수와 접촉면적을 줄여서 모터(2311)의 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여과재(234)로부터 고형물의 탈리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여과칼럼(230)은 제 7챔버(2147)에 장착되되, 상기 받침판(235)의 하면이 장착되는 상기 제 7챔버(2147)의 하면, 즉 하부구획벽(215)에는 요홈부(215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흡입관(240)과 연통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받침판(235)과 상기 요홈부(2152) 사이에는 복수의 흡입홀(215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흡입홀(2153)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흡입펌프(220)의 흡입에 의해 상기 하부흡입관(240)을 통해 제 7챔버(2147)에 침적이물질을 물과 함께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여과칼럼(230)은 제 7챔버(2147)에 장착되되, 상기 받침판(235)의 하면이 장착되는 상기 제 7챔버(2147)의 하면, 즉 하부구획벽(215)에는 요홈부(2152)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흡입관(240)과 연통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받침판(235)과 상기 요홈부(2152) 사이에는 복수의 흡입홀(2153)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흡입홀(2153)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흡입펌프(220)의 흡입에 의해 상기 하부흡입관(240)을 통해 제 7챔버(2147)에 침적고형물을 물과 함께 흡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여과챔버(233)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우선 오수가 여과챔버(233)의 제 1여과홀을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는 여과재(234)를 거치면서 슬러지 등 고형물이 걸러지고 이렇게 처리된 처리수는 이음부(2333)에 형성된 제 1유동공을 통해 배수챔버(232) 내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처리수는 배수관(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여과챔버(233)의 제 1여과홀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여과재(234)를 거쳐 제 2여과홀을 통해 여과챔버(233)의 내관부(233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바, 이렇게 유입된 처리수는 체결프레임(2335)에 형성된 제 2유동공을 통해 배수챔버(232)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처리수는 배수관(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오수를 여과칼럼(230)을 이용하여 여과를 하다보면 여과재(234)에 슬러지 등 고형물이 침적되어 여과칼럼의 여과효율이 저하된다. 이 경우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모터(2311)를 작동시키면 회전봉(2321) 및 체결프레임(2335)에 의해 여과챔버(233)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이러한 여과챔버(233)의 회전력(W1)은 여과챔버(233) 내부의 여과재(234)에 원심력(O)을 부여하여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여과재(234) 간극에 침적된 슬러지 등 고형물(S1)은 제 1여과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여과재(234)의 청소가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여과챔버(233)의 내부에는 상기 내관부(2332)의 내부에서 상방향의 구심력(W2)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구심력(W2)은 상기 내관부(2332)의 제 2여과홀, 여과재(234) 및 상기 마감판(2334)의 제 3유동공으로 흡입력(I1)이 작용케 하며, 이러한 흡입력(I1)은 상기 받침판(235)의 하면이 장착되는 상기 제 7챔버(2147)의 하면에서 흡입홀(2153), 상기 요홈부(2152)로 흡입력(I2)이 작용케 하여 결국 침적이물질(S2)이 상기 요홈부(2152)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즉 여과챔버(233)의 구조, 흡입홀(2153), 요홈부(2152)의 구성에 기해 여과재(234)의 청소와 동시에 청소의 결과물로 침적된 고형물이 상기 요홈부(2152)에 모이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입펌프(220)의 흡입에 의해 상기 하부흡입관(240)을 통해 침적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과칼럼(230)은 제 7챔버(2147)에 구성되는 바, 도면에서는 2개가 구성된 예가 도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여과칼럼(230)이 2개 구성되는 경우 양 여과칼럼(230)이 청소 및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어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여과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에는 부유물흡입관(250)이 더 구성되도록 하여 부유고형물을 흡입에 의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상기 부유물흡입관(250)은 직립의 관형상으로 상기 흡입펌프(220)와 제 2하부흡입관(260)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부유물흡입관(250)은 복수로 구성되며, 그 설치위치도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도 7 등의 실시 예와 같이 챔버(214)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3,4챔버(2143, 2144)에 구성되도록 하여 부유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토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제 7챔버(2147)에도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7챔버(2147)로 유입된 오수 및 여과칼럼(230)을 청소한 후에 여과재(234)로부터 분리된 고형물 중에 부유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토록 함으로써 오수로부터 부유 고형물을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흡입펌프(220)의 작동으로 제 2챔버(2142) 및 제 7챔버(2147)에서 침적 고형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제 3,4챔버(2143, 2144) 및 제 7챔버(2147)에서 부유 고형물을 제거하도록 하여 용이하게 고형물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며, 일정수위 이상의 경우 고형물과 함께 물도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토록 함으로써 역류문제를 자동적으로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에서 침적고형물 및 부유고형물은 분리되어 오수와 함께 상기 감량장치(300)로 이송이 되는 바, 이하에서는 상기 감량장치(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감량장치(300)는 상기 고액분리 집수정(200)으로부터 유입된 고형물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함수율이 낮은 고형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전방"이라 함은 본 발명의 고형물 수분감량장치의 구성 중 케이크배출부(370)를 향한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 즉, 본체부(310)을 향한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감량장치(300)는 본체부(310) 및 가압부(330)에 내재된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이 이송스크류(390)의 스크류날개(394)의 피치간격(395)에 위치하여 전방으로 이송되게 되며 전방부로 이송될수록 가압부(330)의 내부 공간의 부피가 작아지는 구조에 의하여 고형물을 압축할 수 있게 되는데 그러한 동작 및 작용에 기인하여 함수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이 분리 배출됨으로써 함수율이 낮아진 고형물은 케이크화 되어 케이크배출공(372)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먼저, 본체부(310)는 제 1여과망(311), 투입구(303), 배수구(305) 및 본체케이싱(313)으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스크류(390)가 내재되며 스크류날개(394)의 외경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통형의 제 1여과망(311)이 구성되되 제 1여과망(311)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304)가 형성된다.
본체케이싱(313)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단(324)이 중심을 향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 1 여과망(311)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결합시키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단(324)의 끝단에는 양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325)을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여과망(311)은 호형의 단위 타공망(311-1)들이 통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바, 단위 타공망(311-1)은 원주 방향의 길이가 상기 지지단(324)의 끝단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원주 방향의 양 끝단에는 결속돌기(327)를 구성하여 상기 결속홈(325)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본체부(31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사용 중에 타공망이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유지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단(324)의 끝단에는 제 1여과망(311)의 내주연에 돌출되도록 걸림턱(328)이 형성되는 바, 나선형상의 스크류날개(394)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걸림턱(328)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28)은 고형물이 스크류축(392)의 외면에 고착되어 헛도는 경우가 간혹 발생할 수도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제 1여과망(311)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28)에 의해 회전하는 고형물이 걸리게 되어 스크류축(392)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분리하여 원할하게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여과망(311) 및 본체케이싱(313) 사이의 공간은 제 1공간부(314)라 정의하고 제 1여과망(311)의 내측에 즉, 이송스크류(39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 2공간부(318)라 정의한다.
상기 제 1여과망(311)은 제 2공간부(318)에서 발생한 처리수가 제 1공간부(314)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형의 측부가 타공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개구부(304)에는 개구된 각 끝단에 대응되도록 일정간격 이격 되어 상기 제 1공간부(314)와 제 2공간부(318)를 차단하는 경계면이 형성 되도록 한 쌍의 종 지지단(324-1)이 형성되는 바, 상기 종 지지단(324-1)에 의해 상기 제 2공간부(318)의 개방된 상부로부터 본체케이싱(313)의 내주연까지는 투입공간(305)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의 후방에 투입구(303)를 형성하되, 투입구(303)의 진행방향은 제 1여과망(311)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구(303)를 통해 하수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배출된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을 제 2공간부(318)로 유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303)는 상기 투입공간(305)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하여 투입구(303)를 통해 유입되는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은 투입공간(305)을 통해 제 2공간부(318)로 투입될 수 있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공간부(318)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390) 또는 스크류날개(394)로 고형물(s)이 낙하되도록 유도하여 강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고형물(s)이 제 1여과망(311)을 향해 직접 낙하 또는 타격 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여과망(31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강한압력로 분사되는 고형물(s)에 의한 여과망의 눈막힘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강한압력로 분사되는 고형물(s)의 투하속도를 줄임으로써 이송스크류(390)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단(324)은 그 면의 형상을 'ㄱ' 자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일례로 본체케이싱(313)에 결합되는 단부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 상기 제 1공간부(314)는 지지단에 의해 그 공간이 완전히 분할되지 않고 서로 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본체케이싱(313)의 하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구(305)가 형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압축이송 되는 고형물에서 분리되는 처리수를 유도하여 제 1공간부(314)에 집수된 하수를 상기 배수구(305)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공간부(314)의 양단부는 밀폐되어 있으나 전방측 단부에는 수집구(322)를 형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가압부(330)와 연통되도록 구성하여 배출되는 수분을 상기 제 1공간부(314)의 배수구(305)로 자연배수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310)의 후방에는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모터(301)가 구성되는데 모터(301)의 구동축(302)은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이송스크류(390)의 후방 끝단과 결합시키되, 모터(301)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체부(310)에 내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압부(330)는 제 2여과망(332)과 가압부케이싱(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여과망(332)과 가압부케이싱(350)은 복수의 보강단(333,334)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제 2여과망(332)은 경사구배를 갖는 관구조로 형성되며 제 2여과망(332)의 내측에는 나선형 날개가 구성된 이송스크류(390)가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여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를 압착시키며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고 고형물에서 분리된 처리수는 제 2여과망(332)을 통과하여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으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의 보강단(333,3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두께를 갖는 살구조로 형성되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 및 횡방향의 제 2보강단(334)으로 구성되며 제 2보강단(334)에는 복수의 유로홈(335)이 형성된다. 또한 보강단(333,334)은 회전하는 상기 이송스크류(390)에 밀착되는 제 2여과망(332)에 발생하는 압력을 지탱해주며 가압부케이싱(350)으로 압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가압부(330)는 전방의 내경 및 외경이 후방의 내경 및 외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가압부(330)의 내주연 및 외주연이 전방을 향할수록 내부공간이 좁아지는 경사구배로 형성됨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고형물은 전진하면 할수록 부피가 줄어드는 즉, 압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탈수작용을 촉진시키게 된다.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 역시 전방을 향해 좁아지는 경사구배를 형성하여 상기 제 2여과망(332)에서 분리된 처리수가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 경사면에 의해 후방을 향해 자연배수 시키고 상기 제 1공간부(314)의 전방측 단에 형성된 수집구(322)를 통하여 상기 제 1공간부(314)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부케이싱(350)의 전방부는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크배출부(37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가압부(330)는 바람직하게는 본체부(310)의 상기 제 1여과망(311) 및 본체케이싱(313)과 유사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는 바,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에는 중심을 향하도록 복수의 보강단(333,334)을 일체로 구성시키되 상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형성된 결속홈(336)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2여과망(332)은 호형의 단위 타공망(332-1)들이 통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하는 바, 단위 타공망(332-1)은 원주 방향의 길이가 상기 종방향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하고 원주 방향의 양 끝단에는 결속돌기(337)를 구성하여 상기 결속홈(336)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압부(33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사용중에 제 2여과망(332)이 손상되더라도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른 유지비가 절감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복수의 제 2보강단(334)에는 복수의 유로홈(335)을 형성하여 제 2여과망(332)을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경사면인 가압부케이싱(350)의 내주연에 의해 자연배수 되어 본체부(310)에 형성된 상기 수집구(322)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구성하는데 이때 가압부(330)와 본체부(310)의 결합시 상기 수집구(322)에 의해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구성한다.
가압부(330)는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이송스크류(390)가 내재되는 바,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를 전방으로 압착하여 이송시키게 되어 고형물에 포함된 수분은 제 2여과망(332)을 통과하게 되고 탈수된 고형물는 전방으로 계속 이송되게 된다.
한편 복수의 제 1보강단(333)의 끝단에는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돌출되도록 걸림턱(338)이 형성되는 바, 나선형상의 스크류날개(394)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걸림턱(338)에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되며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걸림턱(338)은 고형물이 스크류축(392)의 외면에 고착되어 헛도는 경우가 간혹 발생할 수도 있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38)에 회전하는 고형물이 걸리게 되어 스크류축(392)에 고착되는 고형물을 분리하여 원할하게 전방으로 이송 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90)는 원통형의 스크류축(392)과 나선형의 스크류날개(394)로 구성되며 이송스크류(390)의 전방 끝단부의 구조는 곡면을 형성하여 볼록하게 형성되는 원형의 가압구(397)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구(397)의 중심으로 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케이크배출날개(398)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스크류(390)는 상기 제 1여과망(311) 및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스크류축(392)의 일단부 즉, 전방 끝단에는 케이크배출날개(398)를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크배출부(370)에 배치되어 고형물케이크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게 작용한다. 또한, 스크류축(392)의 타단부 즉, 후방 끝단에는 구동축(302)과 연동되도록 결합한다.
스크류축(392)은 전방을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는 경사구배를 이루고, 상기 스크류날개(394)는 전방을 향할수록 직경 및 피치가 작아지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는, 이송스크류(390)가 배치되는 상기 제 2여과망(332)의 내주연이 전방을 향할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이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기인하여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하여 함수율이 높은 고형물을 전방으로 이송됨에 따라 그 내부구조는 상하전후방의 공간이 점차 줄어들게 되어 고형물를 압착할 수 있게 되는데, 그에 따라 배출되는 처리수는 제 1여과망(311) 및 제 2여과망(332)을 통해 배출되게 되고 이러한 구조는 전방을 향하면 향할수록 공간의 부피가 더욱 줄어들기 때문에 고형물에 함유된 수분은 거의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케이크배출날개(398)는 결합홈(399)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외면에 복수의 날개를 구성하여 이송스크류(390)가 회전함에 따라 케이크배출날개(398)가 연동하여 탈수된 고형물이 케이크배출날개(398)에 의해 뭉침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고형물를 더욱 압착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390)의 스크류날개(394)는 나선형의 날개 피치 사이에 보조날개(396)를 더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날개(396)는 가압부(330)의 전방 끝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크배출부(370)는 일단이 가압부케이싱(350)의 전방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방향으로 개구된 케이크배출공(37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크배출부(370)는 내측에 결합돌기(379)가 구성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90)에 구성된 결합홈(399)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이송스크류(390)가 더욱 견고하게 배치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형물케이크는 케이크배출날개(398)의 회전에 기해 뭉침 현상없이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크배출부(370)와 가압부(330)의 이음부 내측에 배출중공이 형성된 가압패킹(352)이 내재되도록 하여 곡면을 형성하는 볼록한 원형상인 상기 가압구(397)가 가압패킹(352)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이송스크류(390)의 회전에 기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고형물케이크를 가압하여 케이크배출부(370)로 밀쳐내어 이송시키고 고형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는 밀착된 가압구(397)와 가압패킹(352)에 차단되어 배수구(305)로 자연배수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이송장치 200 : 고액분리 집수정
300 : 고형물 감량장치 400 : 저장소
500 : 오수라인 600 : 토출라인
700 : 재순환라인 800 : 하수라인

Claims (14)

  1. 싱크대 배수구와 연통하며, 내부에 분쇄판이 구비되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와 오수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복수의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침적 및 부유하는 고형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관이 구비된 흡입펌프와, 오수가 하방향에서 유입되어 내부의 여과재를 관통하여 처리수를 외부의 하수라인으로 배출하는 하나 이상의 여과칼럼이 구비되는 고액분리 집수정;
    상기 토출관과 토출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오수라인과 재순환라인에 의해 연결되고, 내부에 이송스크류가 내재된 감량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는,
    싱크대 배수구와 연통하며, 개구된 상단이 덮개부에 의해 개폐가능한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분쇄판으로 구성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와 이격되며 관부에 의해 연통되는 저장부;
    상기 분쇄부의 토출구에 연결되며, 최상단이 상기 관부보다 높은 역 "U"자형 토출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는,
    상기 공간부의 내주연과 밀착되며 상기 관부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는 용기형상의 여과망과, 상기 관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며 구동축에 결합되는 분쇄판과, 상기 분쇄판의 하방향에 형성되며 일측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와류실과, 상기 분쇄판의 테두리에 밀착하여 상기 공간부의 내주연에 결합되되 측면에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된 관 형상의 연마링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은,
    회전방향을 향하며 경사구배를 갖도록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커터날과,
    상기 커터날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홀과, 저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사이펀날개와, 테두리에 형성된 복수의 배출홈과, 일측이 상대적으로 큰 비대칭 형상을 이루고 결합핀을 통해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믹서돌기와, 상기 믹서돌기의 회전반경범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실은 제 1와류면에서부터 제 2와류면까지 하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나선형의 바닥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2와류면의 끝단에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에는 직립의 관형상으로 하나 이상의 부유물흡입관이 구성되되, 상기 집수정의 하부에서 일단이 상기 흡입펌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여과칼럼의 하단에 연결되는 하부흡입관과, 일단이 상기 흡입펌프의 하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물흡입관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 2하부흡입관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의 내부에는 복수의 구획벽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챔버가 구성되되,
    유입관으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어 고형물을 침적시키는 침적챔버와, 상기 침적챔버의 양측으로 오,폐수가 월류하여 고형물을 부유시키는 부유챔버와, 상기 부유챔버로부터 오,폐수가 월류하도록 하여 여과칼럼을 통해 오,폐수를 처리하는 처리챔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칼럼은,
    내부에 모터가 구성된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장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모터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봉이 관통하고, 그 측면에 배수관이 연통하는 배수챔버;
    상기 배수챔버의 하부에서 상기 회전봉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일정유격으로 연결된 외관부와 내관부가 형성되되, 상기 외관부 및 내관부에는 복수의 여과홀이 형성되는 여과챔버;
    상기 외관부와 상기 내관부 사이에 안치되는 여과재;
    상기 여과챔버가 안치되는 받침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량장치는,
    통형의 제 1여과망과, 상기 제 1여과망을 감싸면서 외부에서 고형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상기 제 1여과망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본체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전단에 결합되며, 통형의 제 2여과망과 상기 제 2여과망을 감싸는 가압부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전단에 결합되며, 케이크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크배출부;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어 회전연동하는 이송스크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있어,
    상기 본체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단에 상기 제 1여과망이 결합되되,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단에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단에 의해 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공간과 평행하게 연통하도록 상기 본체케이싱의 후단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여과망의 상단에는 상기 투입공간과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싱의 하단에는 배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일단보다 타단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상향 경사구배가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케이싱은 내주연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제 1보강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 1보강단에 상기 제 2여과망이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케이싱의 일단에는 배출중공을 형성하는 가압패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기 제 1여과망, 상기 제 2여과망 및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내재되는 원통형의 스크류축과, 상기 제 1여과망 및 상기 제 2여과망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스크류날개와, 상기 케이크배출부에 위치하는 상기 스크류축 외주연에 케이크배출날개로 구성되되, 상기 스크류축의 외경은 상기 가압패킹을 기준으로 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작고, 후단부는 상기 배출중공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턱이 구성되며, 상기 배출중공에 접하는 턱은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13. 제 9항에 있어서,
    제 1여과망 및 제 2여과망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14. 삭제
KR1020120080860A 2012-07-24 2012-07-24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KR10130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60A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860A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9388B1 true KR101309388B1 (ko) 2013-09-17

Family

ID=4945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860A KR101309388B1 (ko) 2012-07-24 2012-07-24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3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41A (ko) * 2016-05-09 2017-11-17 김완회 도계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571B1 (ko) * 2016-08-22 2018-01-25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WO2019039622A3 (ko) * 2017-08-22 2019-04-18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21-05-03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44B1 (ko) 2008-11-10 2010-03-18 채희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10100043A (ko)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43836A (ko) * 2010-10-27 2012-05-07 김응국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744B1 (ko) 2008-11-10 2010-03-18 채희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10100043A (ko) * 2010-03-03 2011-09-09 주식회사 허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20043836A (ko) * 2010-10-27 2012-05-07 김응국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6341A (ko) * 2016-05-09 2017-11-17 김완회 도계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452B1 (ko) * 2016-05-09 2018-06-11 김완회 도계 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821571B1 (ko) * 2016-08-22 2018-01-25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WO2019039622A3 (ko) * 2017-08-22 2019-04-18 김경식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KR20210048030A (ko) 2019-10-22 2021-05-03 혁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용 고액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571B1 (ko)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KR10130938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고액분리 감량시설
JP2007275862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940903B1 (ko) 개수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100945273B1 (ko) 고농도 유기폐수의 원심 농축장치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25904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110681676A (zh) 一种餐厨垃圾高效处理系统
EP2628519B1 (en) Device for removing liquid
CN212532369U (zh) 一种离心式污水处理装置
KR101390567B1 (ko) 하수 고액분리 집수정
KR101276526B1 (ko) 탈수성능이 향상된 수평스크린형 진공 드럼 농축기
KR102005816B1 (ko)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와 유분 분리가 가능한 시스템
KR101634932B1 (ko) 유체 여과장치
KR101277408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이송장치
CN110681679A (zh) 一种餐厨垃圾连续除杂处理系统
CN217921659U (zh) 一种厨余污水处理系统
WO2013093396A2 (en) Pond filters and pond filter arrangements
KR20100135102A (ko) 음식폐기물용 고액 분리기
JP4141229B2 (ja)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KR102068262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KR101729608B1 (ko) 음식물 압축기, 음식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KR101192856B1 (ko)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CN211547923U (zh) 一种环保厨房垃圾处理器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