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04Y1 - 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04Y1
KR200476804Y1 KR20140008590U KR20140008590U KR200476804Y1 KR 200476804 Y1 KR200476804 Y1 KR 200476804Y1 KR 20140008590 U KR20140008590 U KR 20140008590U KR 20140008590 U KR20140008590 U KR 20140008590U KR 200476804 Y1 KR200476804 Y1 KR 200476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it
heating unit
he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5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국
Original Assignee
대명전자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전자통신(주) filed Critical 대명전자통신(주)
Priority to KR201400085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는 내측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연소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통해 공급하는 제2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가열부,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제2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필터 없이도 고온으로 냄새를 연소시켜 제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기술이 개시된다.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정책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분리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유발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교반하고 건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였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고 건조하는 과정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대두되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12123호(2010. 02. 08 공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절단하고 건조하며, 음식물 처리공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검출하여 히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기술은 음식물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전력 소비가 크며, 히터를 이용해 음식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바닥면에 이물질이 눌러 붙어서 음식물을 교반하는 임펠러가 오동작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고온으로 냄새를 연소시켜 제거하고, 폐열 회수를 통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음식물 찌꺼기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는, 내측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열하는 제1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와, 상기 흡입된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연소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통해 공급하는 제2 가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가열부,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제2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가열부는, 원형막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방열판이 형성되는 가열봉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봉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주입구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 보호관과, 상기 제1 보호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2 보호관과, 상기 제1 보호관과 상기 제2 보호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관 내부를 보온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는 기어세트와, 상기 기어세트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하는 일측이 빗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필터 없이도 고온으로 냄새를 연소시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폐열 회수를 통해 고온 건조를 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회전 날개를 이용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세부 단면 구성도,
도 4a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제2 가열부의 사시도,
도 4b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제2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회전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의 세부 단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본체부(110), 제1 가열부(120), 흡기부(130), 제2 가열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음식물 처리장치(100)에 투입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며, 이를 가열하기 위해 내부 공간을 폐쇄하여 외부에 음식물의 냄새를 차단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하우징(111)과 덮개부(113)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내측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덮개부(113)는 하우징(111)의 개구면을 폐쇄하여 음식물이 건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냄새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우징(111)을 기밀시킨다.
하우징(111)은 후술하는 제1 가열부(120), 흡기부(130), 및 제2 가열부(140)와 연결되며, 내측 공간의 음식물은 제1 가열부(120)에 의해 1차 건조되고, 제2 가열부(140)에 의해 2가 건조될 수 있다.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제1 가열부(120)에 의해 가열된 공기(①)가 배출되는 배출구(111-1)가 형성된다. 하우징(111)의 타측에는 제2 가열부(140)부에 의해 재가열된 공기(②)가 주입되는 주입구(111-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배출구(111-1) 및 주입구(111-2)는 흡기부(130) 또는 제2 가열부(140)와 연결된다. 제1 가열부(120)에 의해 하우징(111) 내부의 가열된 공기(①)가 배출구(111-1)를 통해 제2 가열부(140)로 배출되며, 제2 가열부(140)에 의해 재가열된 공기(②)가 주입구(111-2)를 통해 하우징(111) 내부로 다시 주입된다.
제1 가열부(120)는 하우징(111)의 하부에 형성되어 하우징(111)을 가열한다. 예를 들어, 제1 가열부(120)는 코일을 이용하여 하우징(111)의 하부에 전기적 저항에 따른 발열을 통해 하우징(111)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가열부(120)는 하우징(111)의 측면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가열부(120)는 저항코일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하우징(111)의 하부 중 일부만을 가열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우징(111) 내부의 음식물 양에 따라 가열 시간, 가열 범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흡기부(130)는 하우징(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111-1)에 연결된다. 흡기부(130)는 팬을 이용하여 하우징(111)의 배출구(111-1)를 통해 하우징(111) 내부의 가열된 공기(①)를 흡입한다. 이 경우, 흡기부(130)는 후술하는 제2 가열부(140)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①)는 제2 가열부(140)로 유입된다. 이 경우, 흡기부(130)는 하우징(111)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열된 공기(①)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 오직 제2 가열부(140)에만 전달한다. 흡기부(130)의 팬의 속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2 가열부(140)는 일측이 흡기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이 하우징(111)의 주입구(111-2)와 연결된다. 제2 가열부(140)는 흡기부(130)를 통해 하우징(111)으로부터 가열된 공기(①)를 재가열하여 하우징(111) 내부로 주입한다. 제2 가열부(140)는 하우징(111)으로부터 가열된 공기(①)를 공급받아 재가열하여 연소시킨다. 이 경우, 제2 가열부(140)는 하우징(111)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 냄새 등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연소시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2 가열부(140)는 냄새가 제거된 재가열된 공기(②)를 주입구(111-2)를 통해 하우징(111) 내부로 공급한다.
제어부(150)는 하우징(111)의 내부 온도에 따라 제1 가열부(120), 흡기부(130), 제2 가열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111)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는 제1 가열부(120) 또는 제2 가열부(140)의 가열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하우징(111) 내부의 온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제1 가열부(120) 또는 제2 가열부(140)의 가열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우징(111) 내부의 가열온도가 높아 수증기 등의 양이 많으면 흡기부(130)를 가동시켜 제2 가열부(140)로 공기를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20) 또는 제2 가열부(140)를 가열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100)는 회전부(160) 및 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160)는 하우징(111)의 내측 바닥면에 위치하며, 중심체(161)에 형성된 복수의 날개(162, 132)가 회전하면서 하우징(111)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탈거시킨다. 회전부(160)의 복수의 날개는 하우징(111) 내부로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는 바닥면에 부착되는 음식물을 탈거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60)는 제1 날개(162) 및 제2 날개(163)를 포함한다. 제1 날개(162)는 하우징(111) 내측의 음식물을 분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제2 날개(163)는 음식물을 분쇄시킴과 동시에 바닥면이 빗살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을 긁어냄으로써 가열된 음식물이 하우징(111)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부(170)는 하우징(111)의 하부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부(160)를 회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70)는 중심축(171), 기어세트(173) 및 모터(174)를 포함한다. 중심축(171)은 일단이 회전부(160)와 연결되고, 회전부(160)의 중심체(161) 내부에 베어링(172)과 함께 결합된다. 중심축(171)의 타단에는 기어세트(173)가 연결된다. 기어세트(173)는 복수의 기어가 결합되어 후술하는 모터(174)로부터 동력을 전달한다. 예를 들어, 기어세트(173)는 스퍼기어(spur gear), 웜기어(worm gear), 베벨기어(bevel gea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모터(174)는 기어세트(173)를 회전시켜 중심축(171)이 회전하도록 하여 회전부(160)를 회전시킨다.
도 4a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제2 가열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제2 가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제2 가열부(140)는 가열봉(141), 유로관(142), 제1 보호관(143), 제2 보호관(144) 및 단열재(145)를 포함한다.
가열봉(141)은 원형막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방열판이 형성되는 발열체이다. 가열봉(141)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전기선과 연결되어 고온으로 가열된다.
유로관(142)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봉(141)을 내부에 수용한다. 유로관(142)은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로관(142)을 통해 재가열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유로관(142) 내부에서 가열봉(141)을 따라 고온으로 가열되어 냄새 등이 연소된다.
제1 보호관(143)은 유로관(142)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하우징의 배출구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관통공(143-1)이 형성되어 하우징의 배출구 또는 흡기부와 연결된다. 제1 보호관(143)은 가열봉(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온하고, 재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않도록 한다. 제1 보호관(143)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타측은 폐쇄되어 있다.
제2 보호관(144)은 제1 보호관(143)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하우징의 주입구(111-2)와 연결된다. 이 경우, 제2 관통공(144-1)이 형성되어 하우징의 주입구(111-2)와 연결된다. 제2 보호관(144)은 가열봉(141)에서 발생하는 열을 보온하고, 재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제2 보호관(144)의 일측은 개구되어 있으며, 타측은 폐쇄되어 있다. 제1 보호관(143)이 제2 보호관(144)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관통공(143-1), 제2 관통공(144-1) 외에 개구된면은 폐쇄된다.
단열재(145)는 제1 보호관(143)과 제2 보호관(144) 사이에 삽입되어 유로관(142) 내부를 보온한다. 이 경우, 단열재(145)는 세라크울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단열재(145)는 제1 보호관(143)과 제2 보호관(144) 사이의 이격된 틈을 기밀한다. 따라서, 제1 보호관(143)의 제1 관통공(143-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2 보호관(144)의 제2 관통공(144-1)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주입된다. 이에 따라, 제2 가열부(140)는 고온으로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연소시켜 냄새를 제거하고, 재가열된 공기를 폐열순환하여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켜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처리장치 중 회전부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원고안의 음식물 처리장치(100)의 회전부(160)는 중심체(161), 제1 날개(162) 및 제2 날개(163)를 포함한다.
중심체(161)는 금속재로 중앙에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체(161)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제1 날개(162)가 연장형성되고, 타측에는 후술하는 제2 날개(163)가 연장형성된다. 이 경우, 제1 날개(162) 및 제2 날개(163)의 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날개(162)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부재이다. 제1 날개(162)는 절곡된 프레임으로 하우징의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제1 날개(162)는 중심체(161)로부터 'ㄴ'자 형태로 상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의 끝 부분은 기 설정된 각도로 비틀려서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음식물을 분쇄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날개(163)는 음식물을 분쇄 및 탈거시키는 부재이다. 제2 날개(163)는 절곡된 프레임으로 하우징의 음식물을 분쇄시킬 수 있다. 제2 날개(163)는 중심체(161)로부터 'ㄴ'자 형태로 하향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의 끝 부분은 상향으로 절곡되며 기 설정된 각도로 비틀려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163)는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하는 면이 빗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163)가 회전하면서 하우징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음식물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날개(163)의 날개면은 'V'자와 같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음식물 처리장치 110 : 본체부
111 : 하우징 111-1 : 배출구
111-2 : 주입구 113 : 덮개부
120 : 제1 가열부 130 : 흡기부
140 : 제2 가열부 141 : 가열봉
142 : 유로관 143 : 제1 보호관
143-1 : 제1 관통공 144 : 제2 보호관
144-1 : 제2 관통공 145 : 단열재
150 : 제어부 160 : 회전부
161 : 중심체 162 : 제1 날개
163 : 제2 날개 170 : 구동부
171 : 중심축 172 : 베어링
173 : 기어세트 174 : 모터

Claims (5)

  1. 내측 공간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면을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가열하는 제1 가열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
    상기 흡입된 공기를 공급받아 가열하여 연소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를 통해 공급하는 제2 가열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온도에 따라 상기 제1 가열부, 상기 흡기부 및 상기 제2 가열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열부는,
    원형막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방열판이 형성되는 가열봉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열봉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상기 주입구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유로관과, 상기 유로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 보호관과, 상기 제1 보호관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측이 상기 주입구와 연결되는 제2 보호관과, 상기 제1 보호관과 상기 제2 보호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유로관 내부를 보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이중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위치하며, 복수의 날개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이물질을 탈거시키는 회전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와 결합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는 기어세트와, 상기 기어세트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향하는 일측이 빗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날개를 포함하는 이중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복수의 날개 중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음식물을 분쇄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하는 이중 가열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장치.
KR20140008590U 2014-11-24 2014-11-24 음식물 처리장치 KR2004768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590U KR200476804Y1 (ko) 2014-11-24 2014-11-24 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590U KR200476804Y1 (ko) 2014-11-24 2014-11-24 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04Y1 true KR200476804Y1 (ko) 2015-04-07

Family

ID=53032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590U KR200476804Y1 (ko) 2014-11-24 2014-11-24 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819A (ko) * 2017-02-24 2018-09-03 정택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9556471A (zh) * 2019-01-28 2019-04-02 贵州大学 一种爆破用浅孔干燥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10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7044B1 (ko) * 2006-12-29 2007-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공기순환장치
KR20090118474A (ko) * 2008-05-14 2009-11-18 김진영 고주파유도가열용 고주파유도코일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110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7044B1 (ko) * 2006-12-29 2007-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공기순환장치
KR20090118474A (ko) * 2008-05-14 2009-11-18 김진영 고주파유도가열용 고주파유도코일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819A (ko) * 2017-02-24 2018-09-03 정택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118243B1 (ko) * 2017-02-24 2020-06-09 정택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9556471A (zh) * 2019-01-28 2019-04-02 贵州大学 一种爆破用浅孔干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346594B1 (ko)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EP2274112B1 (en) Food garbage disposer
USRE44676E1 (en) Food garbage disposer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76804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346593B1 (ko) 이송 스크류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905176B1 (ko)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WO2005007311A1 (ja) 飲食物に関した廃棄物処理装置
CN206415413U (zh) 一种污染土壤修复治理装置
KR20130099732A (ko) 마이크로웨이브와 열풍 대류를 이용한 음식물처리기
KR200383472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828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보조 열풍 발생구조
KR10145447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25078A (ko) 음식쓰레기용 건조유닛
CN220750351U (zh) 一种厨余机风道系统及垃圾处理器
KR100909078B1 (ko) 소용량 폐 음식물 건조처리장치
KR102197940B1 (ko)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KR102339772B1 (ko) 미생물 액상발효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파분쇄 및 분해장치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696745B1 (ko) 응축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06937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KR101278449B1 (ko) 폐기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