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940B1 -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940B1
KR102197940B1 KR1020190006601A KR20190006601A KR102197940B1 KR 102197940 B1 KR102197940 B1 KR 102197940B1 KR 1020190006601 A KR1020190006601 A KR 1020190006601A KR 20190006601 A KR20190006601 A KR 20190006601A KR 102197940 B1 KR102197940 B1 KR 10219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ttom plate
food
heating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850A (ko
Inventor
유현국
유호철
Original Assignee
대명전자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전자통신(주) filed Critical 대명전자통신(주)
Priority to KR102019000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94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는, 열전도성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수용부와,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을 가열하며,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상기 가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FOOD ODOR ELIMIN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가열시 발생하는 수증기를 연소시켜 냄새를 제거하고, 사물인터넷을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도록 정책적으로 강제하고 있다. 그러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여야 하므로 분리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악취 유발 등 여러 가지 불편한 점을 유발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및 교반하고 건조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였는데,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하고 건조하는 과정의 효율을 높일 필요가 대두되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804호(2015년 4월 7일 공고)는 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온으로 냄새를 연소시켜 제거하고, 폐열 회수를 통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음식물 찌꺼기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의 경우 부피가 커서 일반 주방에서 사용하기 번거롭고, 음식물을 가열한 후 재가열을 통해 냄새를 제거하기 때문에 전력소모 및 열낭비가 심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고온으로 연소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가열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연소가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연소된 공기를 재순환하여 2차 가열함으로써 냄새의 추가 연소 및 건조가 가능하여 탈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의 냄새제거 파악하고 동작을 제어시킬 수 있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는, 열전도성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수용부와,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을 가열하며,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가열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상기 가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이동하는 유로관과,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관의 일측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연소시키는 제1 가열부와,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유로관의 타측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가열부를 통과한 수증기를 건조시키는 제2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중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와 내부의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2 가열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제2 가열부를 통과한 수증기가 상기 유로관의 주변을 따라 재가열되면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하여 발생하는 수증기를 고온으로 연소하여 냄새를 제거하고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가열과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연소가 가능하여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또한, 연소된 공기를 재순환하여 2차 가열함으로써 냄새의 추가 연소 및 건조가 가능하여 탈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사용자가 음식물의 냄새제거 파악하고 동작을 제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중 가열부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회동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통신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중 가열부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바닥판(110), 수용부(120), 가열부(130) 및 흡입부(140)를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열전도성 금속소재로 형성된다. 바닥판(110)은 상부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20)가 위치한다. 바닥판(110)은 후술하는 가열부(130)에 의해 가열된다. 바닥판(110)은 원판형, 사각판형, 다각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바닥판(110)은 열전도가 이뤄질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110)은 중앙이 중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된 부위에는 수용부(120)와 연결되는 모터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판(110)은 가열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120)는 바닥판(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한다. 수용부(12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수용부(120)는 본체(121)의 내부에 수용되며, 본체(121)의 상부에 덮개(122)가 형성되어 수용부(120)의 내부가 밀폐된다. 이 경우, 덮개(122)에는 내측으로 가열부(130)와 연결되는 제1 배관(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120)가 가열되면서 내부에 가열된 수증기가 제1 배관(123)을 따라 후술하는 가열부(130)로 이동하게 된다. 수용부(120)는 음식물 조리용과 음식물 처리용이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20)의 바닥면의 형상이 서로 달라지면서 바닥면과의 접촉시 조리용인지 혹은 처리용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20)의 내측 바닥면에는 회전하는 회전날개(124)가 형성된다. 회전날개(124)는 바닥면에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수용부(120)의 바닥면에는 모터가 연결되어 회전날개(124)를 구동시킬 수 있다. 회전날개(124)는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아닌 덮개(122)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날개(124)는 덮개(122)에서 수용부(120)의 바닥면으로 닿게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을 교반한다. 이 경우, 회전날개(124)의 일측이 수용부(120)의 바닥면에 음식물이 늘어붙지 않게 반복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가열부(130)는 바닥판(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바닥판(110)을 가열한다. 가열부(130)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발열체이다. 가열부(130)는 수용부(120)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연소시킨 후 외부로 배출한다. 이는 수용부(120)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연소시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가열부(130)는 고온으로 수증기를 가열시킴으로써 냄새 성분을 연소시고, 잔존 수증기를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열부(130)는 바닥판(110)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부(130)는 바닥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착탈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30)는 유로관(131), 제1 가열부(132) 및 제2 가열부(133)를 포함한다. 유로관(131)은 표면이 바닥판(110)과 맞닿는 'U'자 형상의 관으로 개구된 양측에 제1 가열부(132) 및 제2 가열부(133)가 각각 삽입된다. 유로관(131)은 수용부(120)로부터 가열된 수증기가 주입되고 배출된다. 유로관(131)은 'U'자 형 제1 배관(123)과 '∩'자 형 제1 배관(123)이 서로 연결되어 다중 절곡된 제1 배관(123)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수증기가 오래도록 유로관(131) 내부에 머물게 함으로써 연소과정과 건조과정을 충분히 거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유로관(131)은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강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열부(132)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열부재이다. 제1 가열부(132)는 전기에 의해 고온으로 발열된다. 제1 가열부(132)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로관(131)의 일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유로관(131)의 내부에 수용된다. 제1 가열부(132)는 길이방향의 중심봉의 외표면으로 기 설정된 표면적을 가지도록 나선형 구조의 발열판이 형성된다. 이는 수용부(120)로부터 가열된 수증기가 인입되어 고온의 제1 가열부(132)를 따라 이동하면서 냄새성분을 연소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32)가 가열됨으로써 바닥판(110)을 통해 수용부(120)를 가열하고, 수용부(120)로부터 배출되는 가열된 수증기를 고온으로 연소시켜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관(131)에 주입된 수증기가 나선형 구조의 제1 가열부(132)를 따라 유로가 형성되어 이동하면서 재가열된다. 이로 인해 수증기 내에 포함된 냄새 성분이 제거된다.
제2 가열부(133)는 나선형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발열부재이다. 제2 가열부(133)는 전기에 의해 고온으로 발열된다. 제2 가열부(133)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유로관(131)의 타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유로관(131) 내부에 수용된다. 제2 가열부(133)는 길이방향의 중심봉의 외표면으로 기 설정된 표면적을 가지도록 나선형 구조의 발열판이 형성된다. 제2 가열부(133)는 제1 가열부(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가열부(133)는 유로관(131)의 일측에서 제1 가열부(132)를 통과한 수증기를 고온으로 건조시킨다. 이에 따라, 제2 가열부(133)는 바닥판(110)을 가열하여 수용부(120)를 가열시키면서, 동시에 수용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를 건조시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부(130)는 단열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부(134)는 단열소재로 형성되어 유로관(131)의 외표면 중 바닥판(110)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를 단열시킨다. 단열부(134)는 유로관(131) 내의 제1 가열부(132), 제2 가열부(133)가 발열하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단열부(134)는 유로관(131)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부(134)는 단열 및 난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134)는 2중 구조로 형성되어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가열부(132) 및 제2 가열부(133)에 의해 발열되는 열이 대부분 바닥판(110)으로 향하게 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흡입부(140)는 수용부(120)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가열부(130)로 흡입한다. 흡입부(140)는 가열부(130)와 연결되어 수용부(120)로부터 배출된 수증기가 가열부(130)를 경유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흡입부(140)는 팬모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부(140)는 유로관(131)의 배출구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한다. 이 경우, 유로관(131)의 배출구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흡입부(140)는 팬모터의 구동속도가 조절되어 수증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120)로부터 배출된 수증기가 가열부(130)의 유로관(131)을 따라 이동하면서 냄새가 제거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회동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회동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부(150)는 바닥판(1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바닥판(110)의 중공을 통해 회전축(151)이 수용부(120) 내부의 회전날개(124)와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회동부(150)는 회전모터로 구현되며, 회전축이 수용부(120)의 회전날개(124)와 결합되어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회동부(150)는 복수의 회동기어(151)를 이용하여 회전축(151)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회동부(150)는 수용부(120) 내부에 음식물이 눌러붙지 않도록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동부(15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동부(150)의 구동속도는 단계별로 변속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회동부(150)의 일측에는 센서가 형성되어 회전날개(124)가 구비된 수용부(120)인지 여부를 감지하여 회전날개(124)가 형성되지 않은 수용부(120)의 경우 회전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배출관(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관(160)은 가열부(130)와 연결되어 재가열된 수증기를 배출하는 통로이다. 배출관(160)은 제2 배관(125)을 통해 배출구(130-2)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용부(120)에서 가열되어 배출된 수증기는 제1 배관(123)을 따라 가열부(130)의 주입구(131-1)를 통해 주입되고, 가열부(130) 내에서 재가열되어 연소과정 및 건조과정을 거친 수증기가 배출구(130-2)를 통해 배출관(160)으로 주입된다. 배출관(160)은 가열부(130)의 유로관(131)과 접촉하여 그 주변부를 경유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배출관(160)을 통과하는 수증기가 주변의 유로관(131)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해 재가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유로관(131)을 거친 수증기가 배출관(160)을 따라 이동하면서 재가열되어 추가적으로 냄새제거 및 건조가 이뤄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수용감지부(170) 및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감지부(170)는 바닥판(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수용부(120)의 종류를 감지한다. 수용감지부(170)는 접촉센서 또는 비접촉센서로 구현할 수 있다. 수용감지부(170)를 접촉센서로 구현하는 경우 수용부(120)와의 접촉 여부를 감지한다. 수용감지부(170)를 통해 수용부(120)가 바닥부의 상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수용감지부(170)를 비접촉센서로 구현하는 경우 조도센서 또는 자기센서를 이용하여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감지부(170)는 수용부(120)의 종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120)는 내부에 회전날개(124)가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감지부(170)는 수용부(120)의 바닥면과의 접촉 방식에 따라 일반형과 회전형으로 감지한다. 여기서, 일반형은 음식물 조리용이고, 회전형은 음식물 처리용이다. 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바닥면에는 조리용과 처리용에 따라 돌기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120)의 용도 감지는 회전날의 구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80)는 바닥판(110)에 결합되는 수용부(120)의 종류에 따라 회동부(15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수용부(120)가 음식물 조리용인 경우에는 가열부(130)를 동작시키고, 수용부(120)가 음식물 처리용인 경우에는 회동부(150)를 구동시켜 수용부(120) 내의 회전날개(124)를 구동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수용부(120)가 음식물 조리용인 경우와 음식물 처리용인 경우에 따라 회동부(150)의 동작 여부 외에 가열부(130)의 가열온도 및 시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수용부(120) 음식물 조리를 위한 경우 가열부(130)의 온도를 음식물 조리에 맞게 낮추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경우 가열부(130)의 온도를 높이면서 더욱 빠르게 냄새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냄새탐지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냄새탐지부(190)는 바닥판(110)이나 외부 하우징에 형성될 수 있다. 냄새탐지부(190)는 수용부(120)에서 발화가 발생할 경우 가스를 감지한다. 냄새탐지부(190)는 다양한 화학가스의 종류를 탐지하고 그 정보를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이는 가열부(130)를 통해 가열시 수용부(120) 내의 음식물이 타거나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가열부(130)의 동작을 중단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냄새탐지부(190)로부터 가스정보를 획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일정한 농도 이상의 이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 이를 화재로 판단하고 가열부(130)의 구동을 중단하게 된다.
또한, 냄새탐지부(190)는 수용부(120)의 덮개(122), 가열부(130), 배출관(1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수용부(120)로부터 발생한 가열된 수증기의 냄새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새탐지부(190)는 수용부(120)로부터 어느 정도 악취의 냄새가 발생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냄새탐지부(190)는 가열부(130)로부터 배출되는 배기의 냄새를 탐지하여 어느 정도 냄새가 제거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냄새탐지부(190)는 배출관(160)에 형성되어 최종 배출되는 냄새를 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단계별로 [수용부(120)]-[가열부(130)]-[배출관(160)]에서 각각 냄새를 탐지하여 어느정도 냄새가 해소되었는지 판단하고, 가열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무게감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감지부(200)는 바닥판(110)에 형성되어 수용부(120)의 무게를 감지한다. 무게감지부(200)는 수용부(120)에 수용된 음식물의 무게를 감지한다. 무게감지부(200)는 수용부(120)를 통해 감지된 무게에 따라 음식물 처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무게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수용부(120)의 음식물은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가열하면 수증기가 발생하여 무게가 감소하게 된다. 무게감지부(200)는 시간에 따른 무게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출력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무게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파악하여 가열부(130)나 흡입부(140)의 세기나 시간을 조절한다. 제어부(180)는 음식물의 건조상태에 따라 가열부(130)나 흡열부를 구동하되, 제1 시간의 제1 무게정보와 제2 무게정보를 비교하여, 편차가 기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건조가 완료되면 가열부(130)나 흡입부(140)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된다. 제어부(180)는 설정된 가열시간 이내에도 제1 무게정보와 제2 무게정보의 편차가 기 설정치를 초과한 경우 가열부(130)의 세기나 시간을 증가시키고, 편차의 감소폭에 따라 가열부(130)나 흡입부(140)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게를 통해 음식물의 건조상태를 확인하여 제어조건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에 통신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는 통신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10)과 통신하여 음식물 내새 제거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10)과 원격에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8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통신부(210)는 음식물의 처리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통신부(21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 현재의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100)의 음식물 처리량이나, 처리속도, 냄새제거상태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어신호를 원격으로 수신하여 가열부(130), 흡입부(140), 회동부(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110 : 바닥판
120 : 수용부
121 : 본체
122 : 덮개
123 : 회전날개
124 : 제1 배관
125 : 제2 배관
130 : 가열부
131 : 유로관
131-1 : 주입구
131-2 : 배출구
132 : 제1 가열부
133 : 제2 가열부
134 : 단열부
140 : 흡입부
150 : 회동부
151 : 회동축
152 : 회동기어
160 : 배출관
170 : 수용감지부
180 : 제어부
190 : 냄새탐지부
200 : 무게감지부
210 : 통신부
10 : 사용자 단말

Claims (5)

  1. 열전도성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하여 수용부;
    상기 바닥판과 맞닿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수증기가 이동하는 유로관과,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증기를 연소시키는 제1 가열부와, 나선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관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열부를 통과한 수증기를 건조시키는 제2 가열부와, 상기 유로관의 외표면 중 상기 바닥판과 접촉하지 않는 부위를 단열시키는 단열부를 포함하는 가열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수증기를 상기 가열부로 흡입하는 흡입부; 및
    일측이 상기 제2 가열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제2 가열부를 통과한 수증기가 주입되고, 상기 유로관과 접촉하여 재가열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의 중공을 통해 상기 수용부와 내부의 회전날개를 회전시키는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바닥판에 결합되는 상기 수용부의 종류에 따라 상기 회동부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06601A 2019-01-18 2019-01-18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KR10219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01A KR102197940B1 (ko) 2019-01-18 2019-01-18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601A KR102197940B1 (ko) 2019-01-18 2019-01-18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50A KR20200089850A (ko) 2020-07-28
KR102197940B1 true KR102197940B1 (ko) 2021-01-04

Family

ID=7183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601A KR102197940B1 (ko) 2019-01-18 2019-01-18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83B1 (ko) 2013-01-28 2014-04-10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KR101449894B1 (ko) * 2014-02-03 2014-10-15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KR101730580B1 (ko) * 2015-12-04 2017-04-26 주식회사 예신 데이터 저장 및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분쇄 처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918B1 (ko) * 1997-02-22 1999-07-01 김동주 음식물쓰레기 고속 발효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483B1 (ko) 2013-01-28 2014-04-10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뚜껑
KR101449894B1 (ko) * 2014-02-03 2014-10-15 이영희 열분해 기능을 가진 조리용기
KR101730580B1 (ko) * 2015-12-04 2017-04-26 주식회사 예신 데이터 저장 및 무선통신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 분쇄 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850A (ko)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600893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08246219A (ja) 乾燥機およびそのための乾燥制御方法
JP4564443B2 (ja) 廃棄物の炭化装置
KR102197940B1 (ko) 음식물 냄새 제거장치
WO2005007311A1 (ja) 飲食物に関した廃棄物処理装置
CN211290212U (zh) 一种自动启停的油烟净化一体机
KR200476804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756446B1 (ko) 린트필터 막힘감지방법
JP2004205130A (ja) 加熱調理器
JPH0483573A (ja) 塵芥処理装置
KR100702992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TWI802429B (zh) 用於多功能感應瓦斯爐的排油煙機控制系統以及排油煙機控制系統的控制方法
JP3971919B2 (ja) 有機廃棄物の炭化装置
JP3435829B2 (ja) 厨芥処理装置
KR0164292B1 (ko) 쓰레기 처리장치
JP3060675B2 (ja) 乾燥処理装置
JPS5575133A (en) Cleaning device for cooking apparatus
JP3370664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950033274A (ko) 가열조리기
JPH0221691Y2 (ko)
KR101788607B1 (ko) 고주파 가열식 음식물처리기 및 상기 음식물처리기에서의 스파크 안전차단 방법
JP3698342B2 (ja) 厨芥処理機
JP4252401B2 (ja) 生ごみ処理機
JP2016124996A (ja) 炭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