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3772A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3772A
KR20100133772A KR1020090052481A KR20090052481A KR20100133772A KR 20100133772 A KR20100133772 A KR 20100133772A KR 1020090052481 A KR1020090052481 A KR 1020090052481A KR 20090052481 A KR20090052481 A KR 20090052481A KR 20100133772 A KR20100133772 A KR 2010013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grinding
sink
blade portion
bl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온텍
Priority to KR102009005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3772A/ko
Publication of KR2010013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77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모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2차 분쇄실이 마련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실이 구비된 분쇄기 본체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고 분쇄실의 하측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 동작하게 되는 회전 분쇄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회전 분쇄 플레이트 상에는 분쇄 칼날이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에서 분쇄된 후 미생물 저장용기에서 투입된 미생물과 함께 하수관 연결구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관 연결구 상에는 하수관 연결구를 통과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2차 분쇄실이 마련되는 한편 2차 분쇄실 내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이 되는 소형 분쇄 칼날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분쇄, 칼날, 미생물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Device for disposing food wastes}
본 발명은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모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분쇄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2차 분쇄실이 마련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하측에 설치되어 설거지 과정 또는 음식의 조리과정 전후 등에서 발생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작은 크기로 분쇄시키는 한편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가 촉진되게 하는 미생물을 투여하여 설거지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 오수와 함께 싱크대를 통해서 하수로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20-410491호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장치'와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626598호의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한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의 하부 측에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 및 미생물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기 본체(110)가 설치되는데, 분쇄기 본체(110)의 한쪽에는 미생물 저장용기(120)가 장착된다. 따라서 싱크대(10)의 배수구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기 본체(110)를 통과하게 되면서 작은 크기로 분쇄가 이루어지는 한편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미생물 저장용기(120)로부터 투입된 미생물과 혼합된 후 하수관(20)으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에서 실시되는 분쇄 과정에서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되지 못한 상태에서 하수관으로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서 하수관이 막히게 되거나 분해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싱크대의 배수구에 모이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수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2차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길이가 길며 질긴 섬유질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가 용이하며 전체적인 음식물쓰레기의 처리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분쇄실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줄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실이 구비된 분쇄기 본체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고 분쇄실의 하측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 동작하게 되는 회전 분쇄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회전 분쇄 플레이트 상에는 분쇄 칼날이 설치되어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에서 분쇄된 후 미생물 저장용기에서 투입된 미생물과 함께 하수관 연결구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하수관 연결구 상에는 하수관 연결구를 통과하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2차 분쇄실이 마련되는 한편 2차 분쇄실 내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이 되는 소형 분쇄 칼날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소형 분쇄 칼날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이 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에 설치되는 분쇄 칼날은 회전 분쇄 플레이트에 힌지로써 조립 체결되는 조립부; 조립부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는 수평 칼날부; 수평 칼날부의 전방 단이 수직 상으로 굴절되어 수평 칼날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수직 칼날부; 및 수평 칼날부의 바깥쪽 선단과 후방 단 사이가 경계가 되는 모서리 부분에 평면 형태가 훅 형태로 형성된 훅 형태 칼날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회전 분쇄 플레이트의 회전시 훅 형태 칼날부의 바깥쪽 끝단이 그리는 회전 반경은 수직 칼날부가 그리는 회전 반경보다 크게 설정이 되게 조립부의 중심점으로부터 훅 형태 칼날부의 끝 사이의 거리는 수직 칼날부의 끝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하수관 상에 2차 분쇄실이 추가 설치됨에 따라서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쓰레기의 분해가 촉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길이가 길며 질긴 섬유질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분쇄실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동 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이 되는 분쇄 칼날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칼날이 적용 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다.
도면 중에 표시되는 도면부호 20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차 분쇄실을 지시하는 것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의 도면부호에 대해서는 종래기술의 설명에서 사용된 도면부호가 그대로 인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 본체(110)와 하수관(20) 사이를 잇는 하수관 연결구(190) 상에 설치되는 2차 분쇄실(200)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서 하수관 연결구(190) 상에 설치되는 2차 분쇄실(200)은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기 본체(110)에 마련된 분쇄실(130)에서 분쇄된 후 하수관(20) 측으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한 번 더 잘게 분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구성되는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기 본체(110)에는 소정 용적의 분쇄실(130)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부 분쇄 하우징(140)과 하부 분쇄 하우징(150)이 플랜지 조립된다.
그리고 하부 분쇄 하우징(150)의 하측에는 분쇄실(130)의 하측에 설치되는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에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전동 모터(180)가 설치되고,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 상에는 분쇄 칼날(300)이 일정 각도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한편, 하부 분쇄 하우징(150)의 둘레에는 홈(172)과 돌기(174)가 형성된 환형의 고정 분쇄 링(170)이 설치된다. 따라서 전동 모터(18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가 회전하게 되면, 분쇄실(13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 쇄 칼날(300) 및 고정 분쇄 링(170)의 날카로운 부분 등에 부딪치면서 잘게 분쇄가 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쇄기 본체(110)의 측면에는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이 혼합되게 하여 분해가 촉진되게 하는 미생물 저장용기(120)가 장착 설치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분쇄실(130)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 칼날(300)에 의해서 잘게 분쇄가 되는 한편 미생물 저장용기(130)에서 공급이 된 미생물과 섞인 후 하수관(2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져 음식물쓰레기의 분해가 촉진되게 구성이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2차 분쇄실(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분쇄기 본체(110)에서 1차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2차 분쇄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하수관 연결구(190)의 하부 측에 마련되는 2차 분쇄실(200) 내에는 전동 모터(220)에 의해서 회전 동작이 되는 소형 분쇄 칼날(210)이 설치된다.
특히, 소형 분쇄 칼날(210)은 전술한 분쇄기 본체(110)의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 상에 설치되는 분쇄 칼날(300)과는 달리 전동 모터(220)의 회전축에 직접 축 결합이 된 구조로 설치가 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 연결구(190)의 하단에 전동 모터(220)가 설치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하수관 연결구(190)의 하단에는 캡(23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전동 모터(220)와 캡(230) 사이에는 절연 패킹(240)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수관 연결구(190)의 상단 측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10)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일 경우에 바이패스되게 하는 바이패스관(192)이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기 본체(110) 내에 설치되는 분쇄 칼날(300)은 길이가 길고 질긴 섬유질 음식물쓰레기의 분쇄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4 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칼날(30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에 힌지(162)로써 조립 체결되는 조립부(310), 조립부(310)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는 수평 칼날부(320), 수평 칼날부(320)의 전방 단이 수직 상으로 굴절되어 수평 칼날부(320)와 일체로 형성된 수직 칼날부(330) 및 수평 칼날부(330)의 바깥쪽 선단과 후방 단 사이가 경계가 되는 모서리 부분에 평면 형태가 훅 형태로 형성된 훅 형태 칼날부(34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훅 형태 칼날부(340)는 분쇄 칼날(300)의 수직 칼날부(330)의 후방에 형성되어 수직 칼날부(330)와 고정 분쇄 링(17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지나치는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에서는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의 회전시 훅 형태 칼날부(340)의 바깥쪽 끝단이 그리는 회전 반경이 수직 칼날부(330)가 그리는 회전 반경보다 크게 조립부(310)의 중심점으로부터 훅 형태 칼날부(340)의 끝단 사이의 거리는 수직 칼날부(330)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멀게 설계가 된다.
도면 중에 표시된 도면부호 166a 및 166b 는 분쇄 칼날(300)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각 운동이 될 수 있게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분쇄 칼날(300)은 유선형의 훅 형태 칼날부(340)가 더 형성됨에 따라 분쇄 칼날(300)의 수직 칼날부(330)와 고정 분쇄 링(170) 사이의 간격을 통해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절단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기존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경우에는 분쇄 칼날과 고정 분쇄 링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길이가 길고 질긴 섬유질 음식물쓰레기가 절단되지 않고 통과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칼날(300)의 경우에는 훅 형태 칼날부(340)가 고정 분쇄 링(170)에 더욱 가까이 위치됨에 따라서 기존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발생하게 되었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체적인 음식물쓰레기의 분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쓰레기가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수관(20)으로 배출이 되어 하수관(20) 등이 막히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분쇄 칼날(300)이 설치된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가 회전 동작이 되는 과정에서 작은 크기로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서 공급이 되는 물 및 미생물 저장용기(120)에서 공급되는 미생물 등과 함께 회전 분쇄 플레이트(160)에 마련된 배출 구멍(164) 및 고정 분쇄 링(170)에 마련된 홈(172)을 통해서 분쇄기 본체(110)에 마련된 분쇄실(130) 하측으로 배출이 된다.
그리고 2차 분쇄실(200)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소형 분쇄 칼날(210)에 의해서 더욱 작은 크기로 2차 분쇄가 되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더욱 촉진이 될 수 있으며 분쇄된 음식물쓰레기에 의해 하수관(20)이 막히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이 되는 분쇄 칼날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칼날이 적용된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분쇄실 내부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10. 분쇄기 본체 120. 미생물 저장용기
130. 분쇄실 140. 상부 분쇄 하우징
150. 하부 분쇄 하우징 160. 회전 분쇄 플레이트
164. 배출구멍 170. 고정 분쇄 링
172. 홈 174. 돌기
190. 하수관 연결구 192. 바이패스관
200. 2차 분쇄실 210. 소형 분쇄 칼날
220. 전동 모터 300. 분쇄 칼날
310. 조립부 320. 수평 칼날부
330. 수직 칼날부 340. 훅 형태 칼날부
10. 싱크대 20. 하수관

Claims (4)

  1. 음식물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실이 구비된 분쇄기 본체가 싱크대의 배수구 하측에 설치되고 분쇄실의 하측에는 전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 동작하게 되는 회전 분쇄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 분쇄 플레이트 상에는 분쇄 칼날이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의 배수구에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분쇄실에서 분쇄된 후 미생물 저장용기에서 투입된 미생물과 함께 하수관 연결구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구 상에는 하수관 연결구를 통과하는 음식물쓰레기의 2차 분쇄를 위한 2차 분쇄실이 마련되는 한편 상기 2차 분쇄실 내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동작이 되는 소형 분쇄 칼날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형 분쇄 칼날은 전동 모터의 회전축에 축 결합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본체의 분쇄실에 설치되는 분쇄 칼날은,
    상기 회전 분쇄 플레이트에 힌지로써 조립 체결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의 한쪽에 연장 형성되는 수평 칼날부;
    상기 수평 칼날부의 전방 단이 수직 상으로 굴절되어 상기 수평 칼날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하측에서 상측을 향할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수직 칼날부; 및
    상기 수평 칼날부의 바깥쪽 선단과 후방 단 사이가 경계가 되는 모서리 부분에 평면 형태가 훅 형태로 형성된 훅 형태 칼날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분쇄 플레이트의 회전시 상기 훅 형태 칼날부의 바깥쪽 끝단이 그리는 회전 반경은 상기 수직 칼날부가 그리는 회전 반경보다 크게 상기 조립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훅 형태 칼날부의 끝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칼날부의 끝 사이의 거리보다 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90052481A 2009-06-12 2009-06-12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eased KR20100133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81A KR20100133772A (ko) 2009-06-12 2009-06-12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481A KR20100133772A (ko) 2009-06-12 2009-06-12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772A true KR20100133772A (ko) 2010-12-22

Family

ID=43508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481A Ceased KR20100133772A (ko) 2009-06-12 2009-06-12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377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1973A (zh) * 2016-07-14 2016-08-31 青岛宇星智能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厨房餐具清洗及垃圾处理装置以及整体厨房
CN112956835A (zh) * 2021-02-10 2021-06-15 浙江连冠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集成橱柜
KR20210146163A (ko) 2020-05-26 2021-12-03 미래그린 주식회사 디스포저 주름관 연결구
US11286654B2 (en) 2018-10-17 2022-03-29 Squall E.M.T Ltd. Waste disposer with embedded sprinkler assembl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1973A (zh) * 2016-07-14 2016-08-31 青岛宇星智能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全自动厨房餐具清洗及垃圾处理装置以及整体厨房
US11286654B2 (en) 2018-10-17 2022-03-29 Squall E.M.T Ltd. Waste disposer with embedded sprinkler assembly
KR20210146163A (ko) 2020-05-26 2021-12-03 미래그린 주식회사 디스포저 주름관 연결구
CN112956835A (zh) * 2021-02-10 2021-06-15 浙江连冠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集成橱柜
CN112956835B (zh) * 2021-02-10 2022-09-23 浙江连冠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智能集成橱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70B1 (ko) 가정용 음식물처리기
KR20110029860A (ko) 멀티 고정 분쇄 칼날이 구비된 디스포저
KR101444621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5142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319883B1 (ko) 미세 분쇄를 위한 디스포저
KR20110029859A (ko) 다단의 분쇄 돌기가 구비된 디스포저
KR101005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2631971B (zh) 食物垃圾处理器中的磨碎机构
KR20100133772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8325656A (zh) 一种具有环保功能的垃圾处理装置
KR10079202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4957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1379906B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장치
KR20100133771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4442A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32842B1 (ko) 수직 스크루형 음식물 처리기
KR101074349B1 (ko) 발효 미생물 접종 분해식 싱크대 부착용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202446034U (zh) 一种食物残渣粉碎排空装置
KR2014005700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KR10122737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138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2576459U (zh) 一种家用垃圾处理机
CN212710956U (zh) 一种可移动式垃圾处理装置
CN210675357U (zh) 一种切割增压装置和厨余垃圾处理器
KR201200508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