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29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729Y1
KR200450729Y1 KR2020090016031U KR20090016031U KR200450729Y1 KR 200450729 Y1 KR200450729 Y1 KR 200450729Y1 KR 2020090016031 U KR2020090016031 U KR 2020090016031U KR 20090016031 U KR20090016031 U KR 20090016031U KR 200450729 Y1 KR200450729 Y1 KR 2004507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ischarge
outlet
treatment tan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주
Original Assignee
이현주
에코스마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주, 에코스마트(주) filed Critical 이현주
Priority to KR2020090016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7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7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7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08Parts thereof
    • F26B25/12Walls or side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며, 건조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된 처리조;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도어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배출구 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내측의 열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ARATUS FOR DISPOSING GARBAGE}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쓰레기의 30% 가량이 음식물 쓰레기이며, 음식물 쓰레기는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 75% 정도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근래에 음식물 쓰레기와 생활쓰레기를 분리하여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수분이 제거되지 않은 음식물 쓰레기는 큰 부피 및 중량에 의해 수송에 많은 비용과 노력을 요하며, 기온이 낮은 장소나 겨울철 이외에는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가 단시간에 변질되어 악취가 발생하고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높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하게 됨으로써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식은 발효방식, 액상사료화방식, 건조방식 등이 있다. 특히, 건조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처리조 내에 교반기가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절삭하고 처리조 내를 고온화 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킨다.
그러나, 어린 아이 또는 사용자 등이 교반기의 작동 중 처리조 내에 손을 넣어 날카로운 교반기의 날개에 의해 손을 다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건조의 효율을 위해 처리조 안은 밀폐가 되어야 하지만, 처리조 안이 고온이 되면 처리조를 개폐하는 배출도어가 변형되어 배출도어 부근에는 빈틈이 발생하여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배출도어가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교반기가 작동하여, 처리조 내에 손을 집어 넣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배출도어의 밀폐를 견고히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며, 건조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마련된 처리조;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도어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처리조의 외면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홈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어, 폐쇄된 상기 배출도어와 밀착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또는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또는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구를 가로막는 가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또는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는 상기 가림막에 의한 상기 배출구의 가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포함되며, 상기 배출구의 개방 시에는 상기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처리조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의 일단에는 회전봉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봉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전봉에 연동하는 ‘ㄴ’자 형상의 회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의 회전에 따라 상기 ‘ㄴ’자 형상의 회동부가 상기 근접센서의 전면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씰링부가 구비되어 내측의 열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이 배출홀을 개방하면,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처리조 안의 동작 이 멈추게 되어 사용자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가 구비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받침부의 단부를 바구니 등에 삽입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어 일일이 바구니에 담지 않고 받침부를 통해 흘려 보낼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 처리조(110), 교반기(140), 샤프트(141), 교반아암(142), 교반날개(143), 배출가이드(144), 배출날개(145), 케이스(150) 및 덮개(170)가 도시되어 있다.
처리조(1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건조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도 4참조: 115)이 형성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처리조(110) 내부에 열을 전달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미도시)가 처리조(110)에 설치될 수 있다. 가열장치로는 열선 또는 열풍을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펠티어소자를 이용할 수도 있고, 그 밖에도 처리조(1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열장치와 별도로 온도센서(미도시)를 음식물 쓰레기에 직접 접할 수 있도록 처리조(110)의 내면에 복수의 온도센서(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교반기(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샤프트(141), 샤프트(141)의 외주면에 샤프트(141)의 축방향에 직각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복수의 교반아암(142), 교반아암(142)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교반날개(143), 배출가이드(144) 및 배출날개(1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41)는 풀리(미도시), 체인(미도시) 및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샤프트(141)의 양단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샤프트(141)의 외주면에 샤프트(141) 축방향과 수직으로 복수의 교반아암(142)이 결합되는데, 복수의 교반아암(142)은 샤프트(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동시에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위치에 결합되고, 각각의 교반아암(142)의 단부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교반날개(143)가 결합될 수 있다. 교반아암(142)의 수, 인접한 교반아암(142) 사이의 회전된 각도 및 교반날개(143)의 형상 및 면적 등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교반기(140)가 역회전 할 때에 음식물 쓰레기와 접하게 되는 교반날개(143)의 표면에는 배출가이드(144)가 형성되고, 복수의 교반아암(142)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배출날개(145)가 형성된다. 배출날개(145)는 교반기(140)가 역회전 할 때에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처리조(110) 밖으로 삽으로 떠내듯 밀어내도록 교반아암(142)과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결합되며, 배출가이드(144)는 교반기가 역회전 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날개(145) 방향으로 모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배출가이드(144)는 배출날개(145)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형상을 갖는 교반기(140)의 교반날개(143)는 샤프트(141)가 회전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조(110)의 내면에 고루 흩어지게 하는데, 이때 전분이 많거나 점착성이 강한 음식물 쓰레기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덩어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간격에 의해 작고 단단한 물체가 처리조(110)의 내면과 교반날개(143)의 사이에 끼어들게 되더라도, 교반날개(143)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물체를 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구조의 교반기를 제시하였으나, 설계상의 필요에 따라 교반기의 구조 및 결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소량인 경우에는, 교반기가 생략될 수도 있다.
처리조(110)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기(140)로 교반하며 가열장치로 가열하면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수증기의 형태로 증발된다.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처리조(110) 내의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해야 하므로, 처리조(110)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미도시)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배기관(115)을 통하여 응축기부(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응축기부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를 공급받아 냉각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내부에는 냉각수가 이동하는 응축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출도어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출도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에는 경사면(113)과, 배출구(115)와 씰링부(117)와, 케이스(150)와, 배출홈(151)과 받침부(153)와, 배출도어(160)와, 돌출부(161)와, 잠금장치(165, 167)와, 가림막(180) 및 센서부(190)가 도시되어 있다.
가열장치 및 교반기(도 2 참조: 140)의 작동에 의해 처리조(110)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동안,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처리조(110)는 밀폐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배출구(115)를 개폐하는 배출도어(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처리조(110)의 외측에는 처리조(110)를 커버하며, 배출구(115)와 연통되는 배출홈(151)이 형성되는 케이스(150)가 구비된다.
배출도어(160)와 처리조(110)는 스테인레스(sus) 재질일 수 있으며, 배출도어(160)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잠금장치(165, 167)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165, 167)는 처리조(110)의 외측에 고정되는 고정장치(165)와 고정장 치(165)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배출도어(160)를 잠금 및 해제하는 걸림쇠(16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165, 167)는 배출도어(160)를 잠금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167)가 배출도어(160)와 수평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도어(160)를 잠금해제하면 걸림쇠(167)가 배출도어(160)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상이 될 수 있다.
처리조(110) 내부가 가열장치에 의해 고온이 되면 배출구(115)측 또는 배출도어(160)가 변형되어 배출도어(160) 부근에는 빈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밀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115)의 내주면에는 경사면(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도어(160)는 경사면(113)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161)가 마련될 수 있고, 배출도어(160)는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단차를 형성하는 배출도어(160)가 배출구(115)를 폐쇄하면, 돌출부(161)가 배출구(115)에 삽입되고, 돌출부(161)의 외측인 식별부호 163은 씰링부(117)와 맞닿게 된다.
일 예로, 사각의 배출구(115)를 통하여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고, 경사면(113)은 배출구(115)의 내주면이 될 수 있다. 네 개의 경사면(113)이 처리조(110) 내의 가상의 꼭짓점을 향하여 연장되면, 가상의 각뿔을 형성하듯이 처리조(110)의 내측을 향하여 좁아지는 형상으로 경사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가로방향 혹은 세로방향으로 수평 혹은 수직하게 절단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이, 배출구(115)와 배출도어(160)는 전면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113)은 네 면이 수평을 이루며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 하여 내측의 열기가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데 효율적일 수 있다.
게다가, 씰링부(117)가 배출구(115)를 둘러 싸는 폐쇄된 곡면 형상으로 처리조(1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폐쇄된 배출도어(160)와 밀착될 수 있다. 씰링부(117)는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구(115)와 마주하는 배출도어(160)의 일면인 식별부호 163과 밀착하여 처리조(110)내의 열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케이스(150)에는 배출홈(151)을 폐쇄하도록 손잡이(171)가 형성된 덮개(17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덮개(170)는 처리조(110)의 배출구(115)를 이중으로 폐쇄한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10)의 배출구(115)와 연통되도록 케이스(150)에는 배출홈(151)이 형성되고, 처리조(110)의 외측에 배출도어(160)가 구비되며, 배출홈(151)을 커버할 수 있도록 덮개(170)가 케이스(170)에 힌지결합하여 손잡이(도 1참조: 171)를 잡고 상하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조(110) 내에서 교반기(140) 등의 작동 중 어린 아이 또는 사용자 등이 덮개(170)를 열어 배출구(115)로 손을 내밀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115)의 상측에 인접한 케이스(170)의 내측 또는 처리조(110)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배출구(115)를 가로막는 가림막(180)이 포함될 수 있다.
케이스(170)의 내측에는 가림막(180)에 의한 배출구(115)의 가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90)가 포함되며, 센서부(19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구(115)의 개방 시에는 센서부(190)의 신호에 의해 처리조(110)의 동작이 멈출 수 있다.
가림막(180)의 일단에는 회전봉(181)이 구비되고, 회전봉(181)의 일단부에는 회전봉(181)에 연동하는 ‘ㄴ’자 형상의 회동부(185)가 구비되어, 회전봉(181)의 회전에 따라 ‘ㄴ’자 형상의 회동부(185)가 근접센서의 전면을 개방 또는 차단하여 배출구(115)의 가림여부를 알릴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시적으로 배출홈(151)의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 회전봉(18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막(180)과 센서부(190)의 작동을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가림막(180)은 사각형상의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180)이 배출구(115)의 전방에 위치되면 배출구(115)를 가리게 되고, 가림막(180)을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앞으로 당기어 회전봉(181)의 상부로 젖히면 배출구(115)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가림막(180)은 회전봉(18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봉(181)에 가림막(180)을 용접으로 접합시킬 수 있는 등 그 결합예는 다양하다. 가림막(180)의 젖혀짐에 따라 회전봉(181)이 회전하고, 회전봉(181)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동부(185)는 회전봉(181)에 연동하여 회동하게 된다.
또한, 회동부(185)의 일단은 회전봉(181)에 고정되고 회동부(185)의 타단은 회전봉(181)에 연동하여 센서부(190)측에 근접할 수 있다. 회동부(185)는 회전봉(181)의 회전에 따라 회동부(185)의 타단이 상하부로 가상의 포물선을 그리며 센서부(190)측에 근접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림막(180)이 배출구(115)를 가리는 경우, 회동부(185)는 센서부(190)의 전면에 있어, 센서부(190)로 가림막(180)이 배출구(115)를 가리고 있음을 알린다. 또한, 가림막(180)이 배출구(115)를 개방할 경우, 회전봉(181)에 연동하여 회동부(185)가 센서부(190)로부터 떨어져 가림막(180)이 배출구(115)를 개방했음을 알린다.
가림막(180)이 배출구(115)를 개방하게 되면, 센서부(190)의 신호에 의해 처리조(110)의 동작이 멈추게 되어 처리조(110)가 동작 중에 배출도어(160)를 개방하여도 교반기(140)와 같은 구성은 동작을 멈추어 사용자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케이스(150)의 외측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를 구동시키는 전원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전원스위치에 의해 가열장치 및 교반기(140)가 작동됨은 물론이고,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가림막(180)에 의해 이중으로 처리조(110) 내부의 작동을 조정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90)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케이스에는 처리조의 동작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가 포함되고, 회전봉에 연동하여 회동하면서 그 위치에 따라 스위치부를 온오프시키는 누름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케이스(150)의 하단부에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설계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기도 한다. 건조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가 케이스(150)에서 수직으로 떨어져 음식물 쓰레기가 케이스(150)의 밑바닥으로 들어가는 등 청소의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 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케이스의 내측에 힌지(154)결합되어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하는 받침부(15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53)는 히진결합에 의해 회동이 가능함으로써, 배출홈(151)에 삽입되어 덮개(170)로 덮인 케이스(150)의 내측에 내장되거나 케이스(15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덮개(170)가 개방되면, 힌지(154)결합된 받침부(153)는 배출홈(151)의 하방으로 젖혀질 수 있으며, 배출홈(151)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를 이루게 된다. 배출홈(151)의 하방으로 젖혀진 받침부(153)의 상단은 배출홈(151)의 단부에 걸쳐져 받침부(153)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힌지(154)결합된 부위가 받침부(153)로부터 연장되고 연장부위가 배출홈(151)의 단부에 걸려 받침부(153)의 꺽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부(153)는 케이스(150)로부터 돌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때, 받침부(153)의 단부를 바구니 등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어 일일이 바구니에 담지 않고 받침부(153)를 통해 흘려 보낼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53)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1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부(153)의 결합을 힌지(154)결합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케이스에는 받침부가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받침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구비되고, 받침부에는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는 롤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는, 처리조(110)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 및 분쇄되기 위하여, 가열장치 및 교반기(140)가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도어(160)가 배출구(115)를 폐쇄하고, 가림막(180)이 배출구(115)의 정면에 배치된 상태가 되야 한다.
어린아이나 사용자 등이 배출도어(160)를 열게 되더라도, 가림막(18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배출구(115)를 차단하여야만, 회동부(185)가 센서부(190)로 가열장치 및 교반기(140)의 동작신호를 알리고 동작이 허여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어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센서부(190)를 통해 동작의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의 동작이 완료되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림막(180)을 상부로 올리고, 배출도어(160)를 열어 처리조(110)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받침부(153)와 가림막(180)이 케이스(150)의 내측에 구비됨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처리조(110)의 외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출도어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출도어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처리조 113: 경사면
115: 배출구 117: 씰링부
150: 케이스 153: 받침부
160: 배출도어 161: 돌출부
180: 가림막 190: 센서부

Claims (7)

  1.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건조시키며, 건조처리가 완료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배출구(115)가 마련되고,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시키는 교반기(140)가 구비되는 처리조(110);
    상기 처리조(110)의 외면을 커버하며, 상기 배출구(115)와 연통되는 배출홈(151)이 형성되는 케이스(150);
    상기 케이스(150)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홈(151)을 개폐하는 덮개(170);
    상기 배출구(115)를 개폐하는 배출도어(160);
    상기 배출홈(151)의 내측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봉(181);
    일단이 상기 회전봉(181)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며, 상기 배출구(115)와 이격되어 상기 배출구(115)를 가로막는 가림막(180); - 이 때, 상기 가림막의 너비는 상기 덮개의 너비보다 작음 -
    상기 회전봉(181)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봉(181)과 연동하는 'ㄴ'자 형상의 회동부(185); 및
    상기 케이스(150)의 내측 또는 상기 처리조(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림막(180)에 의한 상기 배출구(115)의 가림 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90); - 이 때, 상기 가림막(180) 및 상기 회전봉(181)의 회동에 따라 상기 'ㄴ'자 형상의 회동부(185)가 상기 근접센서(190)의 전면을 개방 또는 차단함으로써 상기 배출구(115)의 가림 여부가 감지되며, 상기 교반기(140)는 상기 가림막(180)이 상기 배출구(115)를 열면 동작이 멈추고 상기 가림막(180)이 상기 배출구(115)를 가로막으면 작동됨 -
    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배출도어가 폐쇄되면 상기 배출도어와 밀착되는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하측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 또는 상기 처리조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을 가이드 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내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도어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진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삭제
KR2020090016031U 2009-12-09 2009-12-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507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31U KR200450729Y1 (ko) 2009-12-09 2009-12-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031U KR200450729Y1 (ko) 2009-12-09 2009-12-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0729Y1 true KR200450729Y1 (ko) 2010-10-26

Family

ID=4447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031U KR200450729Y1 (ko) 2009-12-09 2009-12-0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7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1A1 (ko) * 2020-03-10 2021-09-16 김규성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284A (ja) 1996-11-06 1998-05-19 Jidosha Buhin Kogyo Co Ltd 生ゴミ乾燥処理装置の排出口開閉装置
JPH10128285A (ja) 1996-11-06 1998-05-19 Jidosha Buhin Kogyo Co Ltd 生ゴミ乾燥処理装置の排出口開閉装置
KR19990064915A (ko) * 1999-05-21 1999-08-05 이병필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JP2004275983A (ja) * 2003-03-19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物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8284A (ja) 1996-11-06 1998-05-19 Jidosha Buhin Kogyo Co Ltd 生ゴミ乾燥処理装置の排出口開閉装置
JPH10128285A (ja) 1996-11-06 1998-05-19 Jidosha Buhin Kogyo Co Ltd 生ゴミ乾燥処理装置の排出口開閉装置
KR19990064915A (ko) * 1999-05-21 1999-08-05 이병필 음식물쓰레기의 발효건조장치
JP2004275983A (ja) * 2003-03-19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物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1A1 (ko) * 2020-03-10 2021-09-16 김규성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222B1 (ko) 배수 겸 건조식 음식물쓰레기처리기를 구비한 싱크대개수대
CN101360568B (zh) 处理垃圾的方法和装置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45072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424005B2 (ja) 生ゴミ処理機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5103413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0530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음식물 절단 및 교반 장치
KR10245818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또는 처리장치]
JP2007014859A (ja) マイクロ波加熱式乾燥処理機及びこれを用いた廃液蒸発処理方法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3233152B2 (ja) 厨芥処理機
KR1013663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1168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678957B2 (ja) 生ごみ乾燥処理装置
KR10102555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57001A (ko) 음식물처리기의 건조장치
KR102076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파쇄구가 구비된 교반기
KR10033206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141511B2 (ja) 生ごみ収納容器とそれを用いた生ごみ処理機
JP2009274029A (ja) マイクロ波生ゴミ処理機
KR101993356B1 (ko) 교반 구조 개선형 음식물쓰레기 및 축분 처리기
KR10032148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10